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И는 키릴 문자의 일종으로, 그리스 문자 에타(Η)에서 유래되었다. 러시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 등에서 사용되며, 발음은 언어에 따라 /i/ 또는 /ɪ/ 소리에 해당한다. 형태는 라틴 문자 N과 유사하며, 1917년 러시아 문자 개혁을 통해 І를 대체하여 사용되기 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음자 - U
U는 라틴 알파벳의 21번째 글자로, 주로 후설 원순 좁은 모음 /u/ 소리를 내지만, 언어에 따라 /y/나 다양한 발음으로 사용되며, 세미트 문자 와우에서 기원하여 웁실론을 거쳐 라틴 알파벳에 정착했고, V와 함께 쓰이다가 17세기 이후 분리되었으며, 우라늄 기호, 합집합 기호, 랙 유닛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모음자 - Y
Y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셈어 문자에서 유래하여 그리스 문자를 거쳐 라틴 알파벳에 도입되었고, 현대 영어에서는 모음과 자음으로 모두 사용되며 여러 분야에서 기호나 약자로 활용되고 한국어에서는 주로 외래어 표기에 쓰인다.
И | |
---|---|
문자 정보 | |
![]() | |
명칭 | 이졔 |
숫자값 | 8 |
발음 | , , |
유래 | 그리스 문자 에타 (Η η) |
일반 정보 | |
소문자 | и |
대문자 | И |
유니코드 이름 | 키릴 문자 대문자 I 키릴 문자 소문자 I |
2. 역사
И는 그리스 문자 Η(에타)에서 파생된 글자이다. 초기 키릴 문자에서 'И'는 'H' 모양을 취했으며, '이제(ижє)'라고 불렸다. 키릴 문자 체계에서 И는 '여덟'을 의미했다.
초기에는 그리스 문자 Ι(로타)에서 유래된 'І'도 있었으나, 발음상 차이는 거의 없었다. 두 문자는 교회 슬라브어에 여전히 남아있지만, 현대 슬라브어에서는 19~20세기 문자 개편을 통해 하나만 남았다. 러시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는 'И'를 사용하고, 벨라루스어는 'І'를 사용한다.[1]
2. 1. 한국어와 관련된 역사
19세기 말 조선에 러시아 공사관이 설치되면서 키릴 문자가 처음 소개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러시아어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일부 지식인들이 И를 포함한 키릴 문자를 학습했다. 해방 이후 북한에서는 러시아어의 영향으로 키릴 문자가 널리 사용되었고, И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남한에서는 러시아와의 교류가 제한적이어서 키릴 문자가 널리 쓰이지 않았지만, 1990년대 이후 러시아와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키릴 문자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3. 형태
원래 'И'는 그리스 문자 Η와 같은 모양이었다. 이후 가운데 직선이 왼쪽으로 기울어져, 현재는 N을 뒤집은 모양에 가깝다. 가짜 키릴 문자에서는 N 대신 И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 서체에서 소문자 и는 대문자 И와 거의 같다. 이탤릭체와 필기체에서 소문자 ''и''는 로마자 u와 유사하다.[1]
4. 쓰임새
И는 여러 키릴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 사용되는 글자이다.
- 러시아어에서는 알파벳의 열 번째 글자로, /i/로 발음되며 앞의 자음을 연음화시킨다. 1918년 이전에는 모음 앞이나 반모음 й 앞에는 І를 사용했다.[1] 볼셰비키 혁명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Ии''를 유일한 글자로 선택하고 ''Іі''를 제거한 것이 '단순화'와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1]
- 우크라이나어에서는 알파벳의 열한 번째 글자이며, /ɪ/ 소리에 해당된다. 우크라이나어의 /i/ 발음은 і로 표기하여 다른 글자로 취급한다.
- 벨라루스어에서는 и를 전혀 쓰지 않고 І를 사용한다.[4][5]
- 세르비아어에서는 알파벳의 열 번째 글자이며, /i/ 소리에 해당된다.
- 불가리아어에서는 알파벳의 아홉 번째 글자이며, /i/ 소리를 나타낸다. 접속사 'и'('그리고')와 간접 목적어의 단형 'ѝ'('그녀의')를 구별하기 위해 ѝ와 같이 강세 기호와 함께 사용된다.[1]
- 마케도니아어에서는 알파벳의 열한 번째 글자이며 /i/ 소리로 발음한다.[4][5]
- 카자흐어에서는 고유어에서만 И를 쓰고 외래어일 경우에는 Ï를 사용한다. 투바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쓰일 수 있다.[4][5]
4. 1. 러시아어
러시아어 알파벳의 열 번째 글자이다. 일반적으로 /i/로 발음되며, 앞의 자음을 연음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ы (/ɨ/) 발음보다 조금 가벼운 모음으로 인식된다. ж, ш, ц 뒤에서는 /ɨ/로 발음된다.[1] 1918년 이전에는 모음 앞이나 반모음 й 앞에는 І를 사용했다.[1]1930년대부터 러시아어 철자법에서 И는 열번째 알파벳으로 자리 잡았으며, 일부 자음 뒤에 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로 발음하는 게 보통이다.[1] 다만 ё, ю, я 등과는 달리 И는 혼자서 반모음 소리를 내지는 못한다.[1] 1783년 ё (요)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해당 발음을 표기하는 데 있어 'ио'로 묶어 쓰기도 했다.[1]
/i/로 발음하지 못할 때도 있는데, 자음인 'ж' (줴), 'ш' (쉐), 'ц' (쩨) 바로 뒤에 붙을 경우에는 /ɨ/ 소리가 난다.[1] (예: жи → жы /ʐɨ/, ши → шы /ʂɨ/, ци → цы /t͡sɨ/)[1] 이는 러시아어에서 이 세 자음 뒤에 /i/ 발음이 오는 경우 또렷하게 발음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1]
초기 키릴 문자에서 И와 І는 그리스 문자 요타 (Ι ι)에서 파생된 І를 제외하면 거의 구별이 없었다.[1] 두 글자는 키릴 숫자 체계에서 서로 다른 숫자(8과 10)를 나타냈기 때문에 알파벳 목록에 남아 있었다.[1]
새 교회 슬라브어에서는 두 글자가 발음 차이 없이 공존한다.[1] 우크라이나어와 루신어에서는 서로 다른 발음을 갖는다.[1] 19세기 또는 20세기의 알파벳 개혁에서 다른 현대 슬라브어 표기법은 두 문자 중 하나를 제거했다.[1] 현재 러시아어,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는 И만 사용하고, 벨라루스어는 І만 사용한다.[1]
4. 1. 1. 정치적 관점
1918년 볼셰비키 혁명 이전에는 러시아어에서 ⟨И⟩가 ⟨і⟩보다 훨씬 적게 사용되었다. 모든 모음 앞과 합성어의 형태소 끝을 제외한 반모음 ⟨й⟩ 앞에는 ⟨і⟩를 사용했다. 예를 들어, '영어'를 뜻하는 'англійскій'는 ⟨і⟩를 사용했지만, '5에이커'를 뜻하는 'пятиакровый'는 ⟨и⟩를 사용했다. 또한, '세계, 우주, 지역 사회, 공유지, 사회, 평신도'를 뜻하는 'міръ'와 '평화'를 뜻하는 'миръ'를 구별하기 위해 단어 끝에 ⟨и⟩를 사용했다. 1918년 이후에는 두 단어 모두 'мир'로 표기하게 되었다.[1]볼셰비키 혁명에 비판적인 사람들은 ''Ии''를 유일한 글자로 선택하고 ''Іі''를 제거한 것이 '단순화'의 목적과 맞지 않다고 주장했다. ''Ии''는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때로는 ''Шш''와 구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1]
4. 2. 우크라이나어
우크라이나어 알파벳의 열한 번째 글자이다. 낱소리 /ɪ/ 소리에 해당된다. 다른 슬라브어의 키릴 문자로 옮길 때 'и'와 'ы' 중 하나로 옮겨진다.[4][5] 이는 공통 음역법이 없기 때문이다. 다른 언어 화자들은 우크라이나어의 /ɪ/ 발음을 /i/나 /ɨ/로 받아들이며, 심지어는 /e/(한국어의 'ㅔ') 소리로 받아들이기도 한다. 참고로 우크라이나어의 /i/ 발음은 і로 표기하며 엄연히 다른 글자로 취급한다.4. 3. 벨라루스어
벨라루스어에서는 и를 전혀 쓰지 않고 를 표기할 땐 'І'를 대신 사용한다.[4][5] 벨라루스어와 우크라이나어에서 주로 쓰기 때문에 '벨라루스-우크라이나식 I'라고도 부른다.4. 4. 세르비아어
세르비아어에서 И는 알파벳의 열 번째 글자이며, /i/ 소리에 해당된다. 세르비아어 로마자 표기법에서도 이 문자는 'i'로 옮겨진다.[4][5]4. 5. 불가리아어
불가리아어 알파벳의 아홉 번째 글자이다. 소리를 나타낸다. 접속사 'и'('그리고')와 간접 목적어의 단형 'ѝ'('그녀의')를 구별하기 위해 ѝ와 같이 강세 기호와 함께 사용된다.[1]4. 6. 마케도니아어
마케도니아어에서 И는 알파벳의 열한 번째 글자이며 /i/ 소리로 발음한다.[4][5]4. 7. 기타 언어
카자흐어에서는 고유어에서만 И를 쓰고 외래어일 경우에는 Ï를 사용한다. 투바어에서는 이중모음으로 쓰일 수 있다.[4][5]5. 컴퓨팅 코드
유니코드에서 키릴 문자 И는 대문자 U+0418, 소문자 U+0438로 표현된다.
인코딩 | 등록 | 10진수 코드 | 16진수 코드 | 8진수 코드 | 이진 코드 |
---|---|---|---|---|---|
유니코드 | 대문자 | 1048 | 0418 | 002030 | 00000100 00011000 |
소문자 | 1080 | 0438 | 002070 | 00000100 00111000 | |
ISO 8859-5 | 대문자 | 184 | B8 | 270 | 10111000 |
소문자 | 216 | D8 | 330 | 11011000 | |
KOI8 | 대문자 | 233 | E9 | 351 | 11101001 |
소문자 | 201 | C9 | 311 | 11001001 | |
Windows 1251 | 대문자 | 200 | C8 | 310 | 11001000 |
소문자 | 232 | E8 | 350 | 11101000 |
이 외에도 KOI8-R, KOI8-U, 코드 페이지 855, 코드 페이지 866, ISO-8859-5, 매킨토시 키릴 등 다양한 키릴 문자 인코딩 방식에서 표현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uvan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016-06-14
[2]
서적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6-14
[3]
웹사이트
Why Are Russian Letters Backwards? (Cyrillic Looks Weird) – AutoLingual
https://autolingual.[...]
2020-10-29
[4]
웹인용
Tuvan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www.omniglot.[...]
2016-06-14
[5]
웹인용
Compendium of the World's Langu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