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바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바어는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투바 공화국을 비롯한 지역에서 사용된다. 19세기 초부터 기록이 존재하며, 몽골어의 영향을 받아 튀르크화되었다. 1930년대에는 라틴 문자를 사용했으나, 1940년부터 키릴 문자로 표기 방식을 변경했다. 현재는 러시아어 키릴 문자에 세 개의 문자를 더한 형태를 사용하며, 4개의 주요 방언이 존재한다. 투바어는 문법적으로 교착어이며, 다양한 어미를 사용하여 시제, 법, 상 등을 나타낸다. 어휘는 튀르크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몽골어 차용어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바 문화 - 유르트
유르트는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이동식 주거 형태로, 나무 골조에 펠트 천을 덮어 만들며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여 유목 생활에 적합하고, 스키타이족 시대부터 사용되어 현대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투바 문화 - 나담
나담은 몽골의 전통 축제로, 씨름, 경마, 양궁 경기를 중심으로 몽골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7월과 8월에 몽골, 내몽골 자치구 등에서 열린다. - 시베리아의 언어 - 아이누어
아이누어는 일본 홋카이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 일본어 교육 강화와 차별로 사용 인구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했으나, 부흥 운동과 언어 보존 노력으로 학습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홋카이도 방언만 남아 있고 교착어의 특징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진다. - 시베리아의 언어 - 하카스어
하카스어는 튀르크어족 남시베리아어군에 속하며 러시아 하카스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예니세이 키르기스에서 기원하여 모음 조화 현상과 SOV 어순, 교착어적 특징을 보이며 사가이 방언과 하스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어가 사용된다. - 몽골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몽골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투바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언어 이름 | 투바어 |
고유 이름 | 투바 딜 |
로마자 표기 | Tıva tıl |
발음 | IPA: [tʰɤ̀ʋɐ tɤ̀ɫ] |
다른 이름 | 투하어 |
화자 수 | 130,000명 (2021년 기준) |
사용 국가 | 러시아 몽골 중국 |
사용 지역 | 투바 |
사용자 | 투바인 |
언어 코드 | |
ISO 639-1 | 없음 |
ISO 639-2 | tyv |
ISO 639-3 | tyv |
Glottolog | tuvi1240 |
Glottolog (Todja) | todj1234 |
ELP | 10479 |
ELP (Tuha) | 10479 |
언어 상태 | |
위험도 | 취약 (유네스코 세계 언어 위기 아틀라스) |
언어 분류 | |
어족 | 알타이어족(논쟁 중) |
어파 | 튀르크어족 |
어군 | 공통 튀르크어 |
하위 어군 | 사얀 튀르크어 |
세부 하위 어군 | 스텝 사얀 튀르크어 |
문자 |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
과거 문자 체계 | 몽골 문자 (역사적) 라틴 문자 (1930년대) |
공용어 지정 | |
국가 | 투바 공화국 (러시아) |
음성 |
2. 역사
투바어는 몽골어와 매우 유사하다. 투바인 자체가 몽골 민족이지만 오랜 튀르크의 지배로 투바어는 튀르크화되었다. 투바라는 이름은 ''몽골비사''가 출판된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투바인(스스로를 지칭하는 명칭)은 역사적으로 소욘, 소요트 또는 우량카이로 불렸다.[4]
투바어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19세기 초 ''울리야수타이지략''(烏里雅蘇台志略|우리야소태지략중국어), 율리우스 클라프로트(1823년), 마티아스 카스트렌(1857년), 니콜라이 카타노프, 바실리 라들로프 등에 의해 기록되었다.[2]
2. 1. 문자 체계의 변천
1930년 이전의 투바어는 주로 몽골 문자로 쓰였으나, 당시 다른 투르크어족 언어들은 대부분 라틴 문자 표기를 도입했다. 1930년, 투바족 승려 롭상친미트가 몽골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표기법을 바꾸면서 문맹률이 낮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1940년부터 투바어를 포함한 투르크어족 언어 표기법이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고, 롭상친미트 등 라틴 문자 도입에 기여한 인물들은 소비에트 연방 역사에서 지워졌다.[10][11][12]소비에트 연방 붕괴 이후, 투바어 문자에 대한 정확한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 현재 투바어 문자는 러시아 문자에 3개의 글자를 추가한 형태이다.
문자 순서는 러시아어와 같으며, ң는 Н 다음에, Ө는 О 다음에, Ү는 У 다음에 온다. ң는 단어 처음에 오지 않아 대문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대문자 | 소문자 | 국제 음성 기호 (IPA) |
---|---|---|
А | а | a |
Б | б | b |
В | в | β |
Г | г | g |
Д | д | d |
Е | е | je |
Ё | ё | jo |
Ж | ж | Ʒ |
З | з | z |
И | и | ɪ |
Й | й | j |
К | к | k |
Л | л | l |
М | м | m |
Н | н | n |
Ң | ң | ŋ |
О | о | ɔ |
Ө | ө | ø,œ |
П | п | p |
Р | р | r |
С | с | s |
Т | т | t |
У | у | u |
Ү | ү | y |
Ф | ф | f |
Х | х | x |
Ц | ц | ʦ |
Ч | ч | ʧ |
Ш | ш | ʃ |
Щ | щ | ʃʃ |
Ъ | ъ | |
Ы | ы | ɨ |
Ь | ь | |
Э | э | e |
Ю | ю | ju |
Я | я | ja |
1930년 라틴 문자를 사용한 정서법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공문서는 몽골 문어로 작성되었다. 1941년에 키릴 문자를 사용한 정서법이 만들어졌고, 라틴 문자 표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926년, 투바 인민 공화국 정부는 소련 과학자들에게 토착 투바 문자를 개발하도록 요청했다. 1927년 로만 부지카예프와 B. 브류하노프(소트파)에 의해 작성된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투바 알파벳의 첫 번째 초안은 Аа, Бб, Вв, Гг, Дд, Ёё, Жж, Ӝӝ, Зз, Ии, Йй, Кк, Лл, Мм, Нн, Ҥҥ, Оо, Ӧӧ, Пп, Рр, Сс, Тт, Уу, Ӱӱ, Хх, Чч, Шш, Ыы 문자를 포함했다. 이 알파벳을 사용하여 첫 번째 투바어 교본이 출판되었지만, 이 프로젝트는 더 이상 발전하지 못했다.
소련에서는 알렉산드르 팔름바흐, 예브게니 폴리바노프, 니콜라스 포페가 투바 라틴화 알파벳 개발에 참여했다. 이들은 새 투르크어 알파벳을 기초로 활용했다. 새 투르크어 알파벳은 모든 투르크 민족 사이의 문자 체계 통일을 위해 설계되었다. 1930년 초, 투바어 알파벳이 최종 확정되었고, 1930년 6월 28일 투바 인민 공화국 정부의 법령에 의해 공식적으로 도입되었다.
라틴 문자 | 키릴 문자 | 공통 튀르크 문자 | 영어 |
---|---|---|---|
PYGY TELEGEJNIꞐ PROLETARLARЬ POLGAŞ TARLATKAN ARATTARЬ KATTЬƵЬꞐAR! | 뷔귀 텔레게잉 프로레탈라리 볼가쉬 타를라트칸 아라타리 카티지냥! | 퓌귀 텔레게잉 프로레타를 파르가쉬 타를라트칸 아라타르 카트지냥! | 전 세계의 노동자와 억압받는 민중들이여, 단결하라! |
1930년 이전의 투바어는 몽골 문자로만 쓰여져 있었으나, 그 당시 이미 다른 투르크어족의 언어들은 라틴 문자를 이용한 표기를 도입했다. 1930년 투바족 승려인 로프산 치밋이 몽골 문자에서 라틴 문자로 고쳤는데, 그 결과 문맹률이 낮아지기 시작했다. 1940년부터 모든 투바어를 비롯한 투르크어족의 언어를 표기하는 방법이 키릴 문자로 대체되었으며, 로프산 치밋 등 라틴 문자로 바꾼 위인들은 소비에트 연방의 역사책에서 지워지기도 하였다.
3. 문자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지고 나서 투바어 문자에 대한 정확한 고증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현재 쓰이는 투바어의 문자는 러시아 문자에 세 개의 글자를 더한 것이다.
문자의 순서도 러시아어와 같으며, ң는 Н 다음에, Ө는 О 다음에, Ү는 У 다음에 온다. ң는 낱말 처음에 오는 일이 없기 때문에 대문자를 쓰지 않는다. 현재 투바어 알파벳은 세 개의 문자가 추가된 러시아어 알파벳의 변형으로, Ңң (라틴어 "ng" 또는 국제 음성 기호), Өө (라틴어 "ö", ), Үү (라틴어 "ü", )가 있다. 알파벳 순서는 러시아어를 따르지만, Ң은 러시아어 Н 다음에, Ө는 О 다음에, Ү는 У 다음에 위치한다.
대문자 | 소문자 | 국제 음성 기호 (IPA) |
---|---|---|
А | а | a |
Б | б | b |
В | в | β |
Г | г | g |
Д | д | d |
Е | е | je |
Ё | ё | jo |
Ж | ж | Ʒ |
З | з | z |
И | и | ɪ |
Й | й | j |
К | к | k |
Л | л | l |
М | м | m |
Н | н | n |
Ң | ң | ŋ |
О | о | ɔ |
Ө | ө | ø,œ |
П | п | p |
Р | р | r |
С | с | s |
Т | т | t |
У | у | u |
Ү | ү | y |
Ф | ф | f |
Х | х | x |
Ц | ц | ʦ |
Ч | ч | ʧ |
Ш | ш | ʃ |
Щ | щ | ʃʃ |
Ъ | ъ | |
Ы | ы | ɨ |
Ь | ь | |
Э | э | e |
Ю | ю | ju |
Я | я | ja |
문자 Е와 Э는 특별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Э는 단어의 시작 부분에서 단모음 소리에 사용되는 반면, Е는 단어의 중간과 끝 부분에서 같은 소리에 사용된다. Е는 러시아어 기원의 단어 시작 부분에서 주로 사용되며, 이 문자의 표준 러시아어 발음을 반영한다. 또한, ЭЭ는 단어의 중간과 끝 부분에서 장모음 소리에 사용된다.
문자 ъ는 эът ''èt'' '고기'에서와 같이 음조 악센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4. 음운론
투바어의 모음 체계는 8개의 단모음 음소를 기본으로 한다. 장모음은 별도의 문자 없이 모음자를 두 번 겹쳐 표기한다. 예를 들어, '에'의 장모음은 ээtyv로 표기한다. йtyv를 동반한 aй|아이tyv, eй|에이tyv와 같은 이중모음은 존재하지만, 단일 모음으로 구성된 이중모음은 없다.
튀르크어족에 속하는 투바어의 특징적인 요소 중 하나는 경후 모음 ъtyv이다. 이는 저음에서 중음으로 올라가는 성조를 가진 장모음으로, аъ|아tyv 또는 eъ|에tyv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말'은 аът|아트tyv로 발음된다.
대문자 | 소문자 | 전사 (라틴 문자 표기) | 유사 발음 (가나 표기) |
---|---|---|---|
Аtyv | аtyv | a영어 | 아 |
Еtyv | еtyv | e영어 | 에 |
Оtyv | оtyv | o영어 | 오 |
Өtyv | өtyv | ö영어 | 외 |
Уtyv | уtyv | u영어 | 우 |
Үtyv | үtyv | ü영어 | 위 |
Ыtyv | ыtyv | ï영어 | 으 |
Иtyv | иtyv | i영어 | 이 |
모음 조화는 а, ы, о, у|아, 으, 오, 우tyv의 4개 후설 모음과 е, и, ө, ү|에, 이, 외, 위tyv의 4개 전설 모음 사이에서 엄격하게 일어난다. 외래어를 제외하면 한 단어 안에 다른 계열의 모음이 섞이는 경우는 드물다. 다만, 러시아어에 능통한 도시 지역의 젊은 세대 사이에서는 이러한 모음 조화가 약화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4. 1. 자음
투바어는 19개의 고유 자음 음소를 가지고 있다.
4. 2. 모음
투바어의 모음은 장모음, 단모음, 낮음고를 가진 단모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존재한다. 장모음은 단모음보다 최소 2배 이상 길다. 대립적인 저음고는 단모음에서 발생하며, 지속 시간이 최소 절반 이상 증가한다. 낮은 음고를 사용할 때 투바어 화자는 자신의 모달 음성의 가장 낮은 끝에 있는 음고를 사용하며, 일부는 쉰 목소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모음 단어에서 모음이 낮은 음고를 가지면, 화자는 첫 번째 절반에만 낮은 음고를 적용하고(예: '말')[5], 두 번째 절반에서는 모달 음고로 돌아가면서 음고가 상승한다.이는 중국어의 제2성조와 비슷하지만, 투바어의 음고는 훨씬 더 낮게 시작한다. 투바어는 성조 언어가 아닌 대립적인 저음고를 가진 강세 언어로 간주된다. 저음고 모음이 다음절 단어에서 발생하면, 상승하는 음고 윤곽이나 길이 연장 효과가 없다(예: '그의/그녀의/그것의 말'). 이러한 저음고 모음은 카르기라 또는 인두음화 모음으로 언급되기도 했지만, 음성학 연구에서 낮은 음고가 특징임이 밝혀졌다.[5]
바이아르마 캅타가예바는 장모음의 역사가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투바어에서 유래되었을 수도 있다고 언급한다. 대부분의 몽골어에서 장모음의 음질은 연결에서 두 번째 모음의 음질에 따라 달라지지만, 고대 투바어는 첫 번째 모음에 따라 장모음이 결정되었다.[6]
캅타가예바는 몽골어 차용어의 변환을 초기와 후기 층으로 나누었다. 초기 층은 몽골어가 연결을 보존하고 VCV 연결이 보존되었지만 투바어에 들어갈 때 장모음이 발달하거나,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있고 차용어의 장모음이 원래 단어의 단모음을 대체한 단어들이다. 후기 층에는 장모음이 투바어에 들어갈 때 변하지 않는 차용어가 포함된다.[6]
모음은 비음 자음의 환경에서 비음 모음으로 비음화될 수 있지만, 비음화는 대립적이지 않다. 단어 시작 음절의 대부분의 투바어 모음은 낮은 음고를 가지며, 단모음 및 장모음과 크게 대조되지 않는다.[3]
대문자 | 소문자 | 전사 예 (라틴 문자 표기와 가나에 의한 유사음) | |
---|---|---|---|
style="font-weight:bold" | Atyv | style="font-weight:bold" | atyv | a영어 | 아 |
style="font-weight:bold" | Еtyv | style="font-weight:bold" | еtyv | e영어 | 에 |
style="font-weight:bold" | Оtyv | style="font-weight:bold" | оtyv | o영어 | 오 |
style="font-weight:bold" | Өtyv | style="font-weight:bold" | өtyv | ö영어 | 외 |
style="font-weight:bold" | Уtyv | style="font-weight:bold" | уtyv | u영어 | 우 |
style="font-weight:bold" | Үtyv | style="font-weight:bold" | үtyv | ü영어 | 위 |
style="font-weight:bold" | Ыtyv | style="font-weight:bold" | ыtyv | ï영어 | 으 |
style="font-weight:bold" | Иtyv | style="font-weight:bold" | иtyv | i영어 | 이 |
투바어의 모음 체계의 기본이 되는 단모음 음소는 8개이다. 장모음을 표기하기 위한 전용 문자는 없으며, 모음 문자를 두 개 겹쳐서 이를 표기한다. 단, 에(Е)만은 eetyv가 아닌 ээtyv를 사용한다. 이중 모음은 없으며, 반모음 йtyv을 동반한 아이 aйtyv, 에이 eйtyv 등이 있다. 튀르크어족에서의 투바어의 큰 특징으로 경후 모음 ъtyv가 있으며, 저 → 중으로 올리는 성조의 장모음으로 아 аъtyv, 에/eъtyv로 발음한다 (예: 말 아트 аътtyv).
4. 2. 1. 모음 조화
투바어는 단어와 접미사 내의 모음 배치를 엄격하게 지배하는 두 가지 모음 조화 체계를 가지고 있다. 후설 모음 조화(또는 때때로 '구개' 조화)는 단어 내의 모든 모음이 후설 모음 또는 전설 모음 중 하나여야 함을 요구한다. 원순 모음 조화(또는 때때로 '순음' 조화)는 모음이 고모음이고 원순 모음 바로 뒤의 음절에 나타나는 경우 원순 모음이어야 함을 요구한다. 저원순 모음 ø [o]|외 [o]tyv는 단어의 첫 번째 음절로 제한되며, 비초성 음절의 모음은 원순 모음 조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원순 모음일 수 있다(고모음 y [u]|위 [u]tyv이어야 하고 원순 모음이 앞에 와야 한다). 투바어 모음 조화 시스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Harrison (2001)을 참조하라.[3]모음 조화는 а, ы, о, у|아, 으, 오, 우tyv의 4개의 후설 모음과 е, и, ө, ү|에, 이, 외, 위tyv의 4개의 전설 모음이 있다. 투바어의 모음 조화는 엄격하며, 외래어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단어에 다른 계열의 모음이 섞이는 일은 없지만, 러시아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는 도시 지역의 젊은 세대에서는 모음 조화가 약해지는 경향도 나타난다.
5. 문법
투바어는 접미사를 추가하여 형태론적으로 복잡한 단어를 구성하는 교착어이다. 예를 들어, теве|테베tyv ''teve''는 '낙타'이고, тевелер|테벨레르tyv ''teveler''는 '낙타들', тевелерим|테벨레림tyv ''tevelerim''은 '내 낙타들', тевелеримден|테벨레림덴tyv ''tevelerimden''은 '내 낙타들로부터'이다.[7]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теве сиген чипкен|테베 시겐 칩켄tyv은 "낙타가 건초를 먹었다"라는 뜻이다.
문법 관계는 명사의 격이나 동사의 활용을 나타내는 어미(접미사)를 어간 뒤에 붙여 나타낸다. 투바어의 명사는 6개의 격(주격, 속격, 대격, 여격, 처격, 탈격)을 가지며, 동사는 시제, 법, 상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어미를 사용한다. [1]
예: 저는 크즐 시에 살고 있습니다.
- Мен Кызыл-хоорайда чурттап тур мен|멘 크즐 호라이다 출탑 투르 멘tyv
- Men Kïzïl-khooraida churttap tur men|멘 크즐 호라이다 출탑 투르 멘tyv
(men 주격 "나", Kïzïl-khoorai "크즐 시", -da 접미사·처격 "...에서", churtta- "살다" 동사 어간, -p 후속의 tur와 세트로 현재 진행을 나타내는 부동사, men 인칭 접미사 "나")
5. 1. 명사
투바어는 명사를 표시하는 6개의 격을 가지고 있다. 속격, 대격, 여격, 탈격, 처격, 전격이 그것이다. 아래에 제시된 접미사들은 전설 모음이지만, ''-Je''를 제외하고는 모음 조화 규칙을 따른다. 각 격 접미사는 다양한 용도와 의미를 가지는데, 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것들만 표시한다.어근 | 변이형 | |||||||||||||||||||||||||||||||||||||||||||||||||
---|---|---|---|---|---|---|---|---|---|---|---|---|---|---|---|---|---|---|---|---|---|---|---|---|---|---|---|---|---|---|---|---|---|---|---|---|---|---|---|---|---|---|---|---|---|---|---|---|---|---|
다음의 경우: | 무성음 | 비음 | 유성음/모음 | -л|ltyv 뒤에 | ||||||||||||||||||||||||||||||||||||||||||||||
주격 | {{lang|tyv|-∅|} | }
격 | 형태 | 의미 |
---|---|---|
주격 | теве|tevetyv | 낙타 |
속격 | тевениң|teveniŋtyv | 낙타의 |
대격 | тевени|tevenityv | 그 낙타 (동사의 명확한 직접 목적어) |
여격 | тевеге|tevegetyv | 낙타에게 또는 낙타에서 (과거 시제) |
처격 | теведе|tevedetyv | 낙타에서 또는 낙타 안에 |
탈격 | теведен|tevedentyv | 낙타로부터 또는 낙타보다 |
전격 I | тевеже|tevežetyv | 낙타로(향하여) |
전격 II | теведиве|tevedivetyv |
5. 2. 동사
투바어의 동사는 시제, 법, 그리고 상을 나타내기 위해 여러 어미를 사용한다. 조동사 또한 동사를 수정하는 데 사용된다. 투바어 및 관련 언어의 조동사에 대한 자세한 학술 연구는 Anderson 2004를 참조할 수 있다.[1]6. 어휘
투바어 어휘는 대부분 튀르크어족에서 기원했지만, 많은 수의 몽골어 차용어가 특징이다. 이 언어는 또한 여러 몽골어 접미사를 차용했다. 또한 예니세이어와 사모예드어의 기층 언어가 존재한다. 투바어 말하기 사전은 리빙 통스 연구소에서 제작한다.[8]
대부분의 튀르크어와 달리, 투바어는 일부 기본적인 개념까지 포함하는 많은 아랍어 및 페르시아어 차용어를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투바인들이 대부분의 튀르크 민족처럼 이슬람교를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7. 방언
투바어는 크게 4개의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서부 방언, 중부 방언, 북동부 방언, 남동부 방언이 그것이다.
방언 | 설명 |
---|---|
중부 방언 | 문어의 기반이 되며, 대부분의 투바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유사하다. 오비우르 방언과 비이-켐 방언을 포함한다. |
서부 방언 | 켐치크 강 상류 인근에서 사용되며, 알타이어의 영향을 받았다. |
북동부 방언 | 토지 방언이라고도 불리며, 예니세이 강 상류 인근에서 사용된다. 비음을 사용하며, 사냥 및 순록 사육과 관련된 어휘가 풍부하다. |
남동부 방언 | 몽골어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
이 외에도 준가르, 첸겔 및 두하 투바인들이 사용하는 방언도 존재하지만, 이들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부족하다. K. 데이비드 해리슨은 투바어의 방언 분화가 투바 민족의 유목 생활 방식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알타이 산맥에서 유래한 준가르 투바어는 몽골 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중국 정부가 투바어 사용자를 인구 조사에서 몽골인으로 분류하기 때문에, 현재 중국에 거주하는 준가르 투바어 사용자의 정확한 수는 알 수 없다.
투바 공화국에서는 표준어로 투바 중앙 방언이 사용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8. 현대적 상황
투바어에는 짧은 수수께끼, 속담, 발음이 힘든 문장, 마법적인 이야기, 영웅 이야기, 무서운 이야기, 뜻이 매우 긴 단어, 암송하는 데에 몇 시간이 걸리는 서사시 등 구전되는 이야기가 많이 있다. 복투 키리쉬 보라 셸레이처럼 출판된 서사시도 있다.
이러한 구전 전승은 알고 있는 사람이 나이가 들어가고 젊은 사람이 익히려 하지 않아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투바어는 언어학적으로 사얀 튀르크어에 속하며, 가장 가까운 친족 언어는 소멸 위기에 놓인 토파어이다.
투바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투바어는 크게 4개의 방언으로 구분된다.
방언 | 설명 |
---|---|
중부 방언 | 문어의 기반을 형성하며, 오비우르 방언과 비이-켐 방언을 포함한다. 지리적으로 중앙에 위치하여 대부분의 투바인들이 사용하는 언어와 유사하다. |
서부 방언 | 켐치크 강 상류 인근에서 사용된다. 알타이어의 영향을 받았다. |
북동부 방언 | 토지 방언이라고도 불리며, 예니세이 강 상류 인근에서 사용된다. 비음을 사용하며, 다른 방언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사냥 및 순록 사육과 관련된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
남동부 방언 | 몽골어족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
준가르, 첸겔 및 두하 투바인들이 사용하는 방언도 존재하지만, 현재는 이러한 흔치 않은 방언들에 대한 포괄적인 기록은 부족하다. 투바어가 사용되는 지역 내에는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2001년 투바어에 대한 논문을 완성한 K. 데이비드 해리슨은 이러한 방언의 분화가 투바 민족의 유목적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주장한다.
알타이 산맥에서 유래한 준가르 투바어는 몽골 서부 지역에서 사용된다. 현재 중국에 거주하는 준가르 투바어 사용자의 정확한 수는 파악하기 어려운데, 중국 정부가 투바어 사용자를 인구 조사에서 몽골인으로 분류하기 때문이다. 중국에 거주하는 투바인들은 대부분 신장 자치구에 살고 있으며, 몽골족에 포함된다.[15] 일부 투바인들은 신장 북서부의 카나스 호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곳에서는 공식적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몽골족"에 포함된 지역 오이라트 몽골족 공동체의 일부로 간주된다. 오이라트족과 투바족 어린이들은 양쪽 그룹의 모국어가 아닌 차하르 몽골어[16]와 표준 중국어인 관화를 사용하는 학교에 다닌다.
참조
[1]
간행물
Dukhan, a Turkic Variety of Northern Mongolia, Description and Analysis
http://www.harrassow[...]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2011
[2]
서적
2011
[3]
서적
2001
[4]
학술지
The Jungar Tuvas: Language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PRC
2001
[5]
서적
A Grammar of Tuvan
Scientific Consulting Services International
[6]
학술지
Long Vowels in Mongolic Loanwords in Tuvan
2004
[7]
문서
Obsolete or dialectal version of current allative I
[8]
웹사이트
Tuvan Talking Dictionary
http://tuvan.swarthm[...]
[9]
학술지
80 лет тувин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становление, развитие, перспективы
https://nit.tuva.asi[...]
2024-10-06
[10]
학술지
80 лет тувинской письменности: становление, развитие, перспективы
https://nit.tuva.asi[...]
2024-10-06
[11]
학술지
ТРАГИЧЕСКАЯ СУДЬБА УЧЕНОГО ЛАМЫ ЛОПСАН-ЧИНМИТА
https://cyberleninka[...]
2024-10-06
[12]
서적
1992
[13]
웹사이트
Non-Slavic languages (in Cyrillic Script)
https://www.loc.gov/[...]
2022-03-31
[14]
웹사이트
Tuvan Talking Dictionary
https://talkingdicti[...]
2022-03-31
[15]
서적
1996
[16]
문서
"Öbür mongγul ayalγu bol dumdadu ulus-un mongγul kelen-ü saγuri ayalγu bolqu büged dumdadu ulus-un mongγul kelen-ü barimǰiy-a abiy-a ni čaqar aman ayalγun-du saγurilaγsan bayida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