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신념모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강신념모형(HBM)은 1950년대에 개발된 건강 행동에 대한 초기 이론 중 하나로, 사람들이 예방 접종이나 건강 검진과 같은 건강 관련 행동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모형은 인지된 민감성, 심각성, 이점, 장벽, 행동 유발 요인, 자기 효능감과 같은 구성 요소들을 통해 건강 행동을 예측하며, 건강 행동 변화를 위한 중재 개발에 활용된다. HBM은 금연, 만성 질환 관리 교육, 여성 안전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지만, 건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과, 구성 요소 간의 상호 작용을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믿음 - 망상
망상은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내용을 확고하게 믿는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뇌 기능 장애, 심리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이 원인이 되어 조현병, 망상장애 등에서 나타나며, 정신 상태 검사를 통해 진단하고 항정신병 약물, 인지 행동 치료 등으로 치료한다. - 믿음 - 교리
교리는 종교의 핵심 가르침을 의미하며, 신앙과 실천의 기초를 형성하고 종교와 교파에 따라 의미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 심리학 이론 - 인지주의
인지주의는 인간의 인지 과정을 정보 처리 모델로 설명하며 지식 획득, 기억, 문제 해결 등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의미있는 학습을 위한 능동적 참여와 메타인지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계산적 설명에 대한 비판과 철학적 한계 또한 존재하며, 상황인지, 분산 인지 등의 새로운 이론으로 다각적인 이해를 시도한다. - 심리학 이론 - 성별 불일치의 원인
성별 불일치의 원인은 유전적, 호르몬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되며, 뇌 구조의 차이, 블랜차드의 유형학 등이 관련 연구로 제시된다.
건강신념모형 | |
---|---|
개요 | |
이름 | 건강신념모형 |
영어 이름 | Health Belief Model |
유형 | 심리학 모델 |
개발자 | Godfrey Hochbaum Irwin Rosenstock S. Stephen Kegeles |
개발 연도 | 1950년대 |
구성 요소 | |
인지된 민감성 | 개인의 질병에 걸릴 위험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
인지된 심각성 | 질병이나 상태가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심각성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
인지된 이점 | 행동 변화로 인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인 결과 또는 이점에 대한 개인의 평가 |
인지된 장벽 | 행동 변화를 어렵게 만드는 잠재적인 장애물 또는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개인의 평가 |
행동의 계기 | 건강 행동을 시작하도록 개인을 자극하는 내부적 또는 외부적 요인 |
자기 효능감 |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개인의 자신감 |
활용 분야 | |
공중 보건 | 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질병 예방 전략 수립 |
건강 교육 | 개인의 건강 관련 행동 변화 유도 |
의료 | 환자의 치료 계획 준수도 향상 및 건강 관리 의사 결정 지원 |
마케팅 | 건강 관련 제품 및 서비스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개발 |
연구 | 건강 행동의 예측 요인 식별 및 건강 개입 효과 평가 |
장점 | |
포괄성 | 다양한 건강 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함 |
적용 가능성 | 다양한 인구 집단 및 건강 문제에 적용 가능함 |
실용성 | 건강 개입 설계 및 평가에 활용하기 쉬움 |
단점 | |
행동 예측의 제한성 | 모든 건강 행동을 완벽하게 예측하지 못함 |
문화적 차이 고려 부족 | 문화적 맥락에 따라 예측력이 달라질 수 있음 |
다른 요인 고려 부족 | 사회적, 경제적 요인 등 다른 중요한 요인을 간과할 수 있음 |
2. 역사
건강 신념 모형(HBM)은 1950년대 미국 공중 보건국의 사회 심리학자들이 낮은 결핵 검진 참여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초기 건강 행동 이론이다.[6][7][8] 초기에는 주로 질병 예방 및 검진 행동 예측에 사용되었으나,[2] 이후 예방 접종 의도, 질병 증상 반응, 의료 지시 이행, 생활 습관 행동, 만성 질환 관리 등 다양한 건강 관련 행동으로 적용 범위가 넓어졌으며,[2][7] 1988년에는 행동 변화에 있어 자기 효능감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모델이 보완되었다.[5][7]
건강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다른 주요 이론으로는 제임스 프로차스카의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TM)과 아이섹 아젠의 계획행동이론 등이 있다.
2. 1. 개발 배경
건강 신념 모형(HBM)은 건강 행동에 관한 초창기 이론 중 하나로, 1950년대 미국 공중 보건국에서 사회 심리학자 어윈 M. 로젠스톡, 고드프리 M. 호크바움, S. 스티븐 케겔레스, 하워드 르벤탈에 의해 개발되었다.[6][7] 당시 연구자들과 보건 실무자들은 이동식 X선 차량이 지역 사회를 방문했음에도 불구하고, 결핵 검사를 받는 사람이 적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했다.[8]건강신념모형은 초기에 무증상 질병의 조기 발견을 위한 검진 참여나 예방 접종과 같은 특정 건강 행동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2] 시간이 지나면서 적용 범위가 넓어져, 최근에는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의 백신 접종 의향을 파악하거나, 질병 증상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2] 처방된 치료법을 잘 따르는지 여부(의료 요법 준수),[2] 성적 위험 행동과 같은 생활 습관 관련 행동,[7] 그리고 만성 질환과 같이 초기 행동 변화뿐 아니라 장기적인 행동 유지가 중요한 경우를 이해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다.[2]
이 모델은 1988년까지 수정을 거듭했으며, 특히 자기 효능감 개념이 의사 결정과 실제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심리학 연구 결과들을 통합하여 발전했다.[5][7]
2. 2. 발전 과정
건강 신념 모형(HBM)은 건강 행동에 관한 최초의 이론 중 하나로, 1950년대 미국 공중 보건국에서 사회 심리학자 어윈 M. 로젠스톡, 고드프리 M. 호크바움, S. 스티븐 케겔레스, 하워드 르벤탈에 의해 개발되었다.[6][7] 당시 연구자들과 보건 실무자들은 이동식 X선 차량이 동네를 방문했음에도 불구하고 소수의 사람들만이 결핵 검사를 받는 현상에 주목했다.[8] 이러한 배경 속에서 HBM은 사람들이 특정 건강 행동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 만들어졌다.초기에는 무증상 질병의 조기 발견을 위한 검진이나 예방 접종과 같은 건강 관련 행동을 예측하는 데 주로 적용되었다.[2] 시간이 지나면서 모델의 적용 범위는 더욱 확장되어, 최근에는 질병 증상에 대한 반응,[2] 처방된 의료 요법의 준수,[2] 생활 방식 행동(예: 성적 위험 행동),[7] 그리고 초기 행동 변화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행동 유지가 필요한 만성 질환 관련 행동을 이해하는 데에도 활용되고 있다.[2]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백신 접종 의도를 파악하는 데에도 중요한 이론적 틀을 제공했다.
1988년에는 모델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자기 효능감이 개인의 의사 결정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심리학 분야의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통합하기 위함이었다.[5][7] 이를 통해 건강 신념 모형은 개인의 신념뿐만 아니라 행동 수행 능력에 대한 자신감까지 고려하는 더욱 정교한 이론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3. 이론적 구성 요소
건강신념모형(HBM)은 인지 심리학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8] 20세기 초 인지 이론가들은 강화(reinforcement)가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기대를 통해 작용한다고 보았다.[10] 이러한 관점은 정신 과정을 기대-가치 이론 모델로 설명하는데, 이는 행동이 개인이 특정 결과에 부여하는 가치와 그 행동이 해당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는 기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이다.[11][12]
건강 관련 행동의 맥락에서,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는 질병을 피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대는 특정 건강 행동이 자신이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생각하는 질병 상태를 예방할 수 있다는 믿음이다.[8]
건강신념모형의 구체적인 구성 요소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차이가 건강 관련 행동 참여 여부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2] 한편 건강신념모델로는 제임스 프로차스카의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TM)이나 아이섹 아젠의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이 주요하게 언급된다.
3. 1. 인지된 민감성 (Perceived Susceptibility)
건강신념모형에서 인지된 민감성은 특정 건강 문제를 겪게 될 위험에 대해 개인이 주관적으로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의미한다.[2][4][7] 이 모형에 따르면, 특정 건강 문제에 대해 자신이 민감하다고, 즉 걸릴 위험이 높다고 인식하는 사람은 그 위험을 줄이기 위한 예방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다.[4]반대로, 인지된 민감성이 낮은 사람은 자신이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없다고 생각하거나, 그 가능성이 매우 낮다고 믿을 수 있다.[4] 이렇게 위험을 낮게 인식하는 경우, 오히려 건강에 해로운 행동이나 위험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4] 반면, 특정 건강 문제로 인해 자신이 영향을 받을 위험이 높다고 인식하는 사람은 해당 질병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더 크다.
인지된 민감성은 '인지된 심각성'과 함께 '인지된 위협'을 구성한다.[7] 어떤 건강 문제에 대해 개인이 느끼는 심각성과 민감성의 정도는 그 문제에 대한 지식 수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4] 건강신념모형은 이렇게 인지된 위협의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증진 행동에 참여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길거리 폭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많은 여성이 밤에 혼자 길을 걸을 때 공격받을 수 있다는 위험에 대해 높은 수준의 인지된 민감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에서는 여성의 약 50%가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감을 느낀다고 보고했다.[24] 건강신념모형의 관점에서 보면, 이처럼 야간 폭력에 대한 인지된 민감성이 높은 여성들은 자신의 안전을 지키고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한 행동 변화를 더 쉽게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다.
3. 2. 인지된 심각성 (Perceived Severity)
인지된 심각성(Perceived Severity)은 특정 건강 문제와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 결과에 대해 개인이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2][7] 건강신념모형(HBM)에 따르면, 특정 건강 문제를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사람일수록 그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거나 심각성을 줄이기 위한 건강 행동을 실천할 가능성이 높다.인지된 심각성은 질병 자체가 지닌 의학적 심각성(예: 생명을 위협하는지, 장애나 고통을 유발하는지 등)에 대한 믿음뿐만 아니라, 질병이 개인의 일상생활, 특히 직장 생활이나 사회적 역할 수행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까지 포함하여 평가된다.[2][4][7]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인플루엔자 자체는 의학적으로 심각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인플루엔자로 인해 며칠 동안 결근하게 될 경우 심각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것이라고 인식한다면, 그 사람은 인플루엔자를 매우 심각한 건강 문제로 받아들일 수 있다.
2019년 호주 성인을 대상으로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에 관한 자가 보고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 연구는 인지된 심각성이 백신 접종 의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연구진은 "0점에서 10점 척도로, 독감에 걸리면 얼마나 심각할 것 같습니까?"라는 질문을 통해 인지된 심각성을 측정했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31%는 인플루엔자의 심각성을 낮게, 44%는 보통으로, 25%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플루엔자의 심각성을 높게 인식하는 사람들은 보통으로 인식하는 사람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백신을 접종받을 가능성이 높았다. 반면, 인플루엔자의 심각성을 낮게 인식하는 사람들과 보통으로 인식하는 사람들 간의 자가 보고된 백신 접종률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13]
3. 3. 인지된 이점 (Perceived Benefits)
건강 관련 행동은 행동의 인지된 이점에도 영향을 받는다.[7] 인지된 이점은 질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특정 건강 증진 행동을 하는 것이 얼마나 가치 있거나 효과적인지에 대한 개인의 평가를 의미한다.[2] 만약 어떤 사람이 특정 행동이 질병에 걸릴 가능성이나 병의 심각성을 줄여줄 것이라고 믿는다면, 그 행동의 실제 효과에 대한 객관적인 사실과 관계없이 그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4] 예를 들어,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는 것이 피부암을 예방한다고 믿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자외선 차단제를 바를 가능성이 더 높다.건강신념모형에 따르면, 개인은 제안된 행동 변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점을 고려하게 된다. 예를 들어, 여성 대상 야간 폭력 방지를 목표로 하는 단체는 호신용 칼, 고추 스프레이, 호신술 강좌, 경보 시스템, 친구와 함께 다니는 것 등의 방법이 주는 이점(안전 확보)이 이러한 행동을 실천하는 데 드는 비용, 시간, 기타 불편함과 같은 장벽보다 더 크다는 점을 여성들에게 알릴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을 실행함으로써 얻는 이점은 여성들이 밤에 혼자 걸을 때 더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3. 4. 인지된 장벽 (Perceived Barriers)
건강 관련 행동은 개인이 행동을 취하는 데 있어 인지하는 장벽에도 영향을 받는다.[7] 인지된 장벽이란 행동 변화에 대한 개인의 장애물 평가를 의미한다.[2] 어떤 사람이 특정 건강 상태가 자신에게 위협적이라고 인식하고, 특정 행동이 그 위협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고 믿더라도, 그 행동을 실천하는 데 따르는 장벽이 크다고 느끼면 건강 증진 행동에 참여하는 것을 망설일 수 있다. 즉, 행동 변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인지된 이점이 인지된 장벽보다 커야 한다.[2][7]행동을 취하는 데 대한 인지된 장벽에는 그 행동에 참여함으로써 예상되는 불편함, 비용, 위험(예: 의료 시술의 부작용), 그리고 신체적 또는 정서적 불편함(예: 통증, 불안감) 등이 포함된다.[4] 예를 들어, 저렴한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낮거나 독감 백신 주사가 심한 통증을 유발할 것이라는 인식은 독감 백신 접종을 꺼리게 만드는 장벽이 될 수 있다. 또한, 히스패닉 여성을 대상으로 한 유방암 및 자궁경부암 검진 연구에서는 암에 대한 두려움, 당혹감, 암에 대한 숙명론적 관점, 언어 장벽 등이 검진을 방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14]
건강신념모형에서는 개인이 제안된 행동 변화를 채택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점을 고려한다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야간 폭력 예방 캠페인에서는 호신용 칼, 고추 스프레이, 호신술 강좌, 경보 시스템 사용, 친구와 함께 다니기 등의 행동을 제안할 수 있다. 이때 캠페인은 이러한 행동 변화를 실천하는 데 드는 비용, 시간, 기타 불편함과 같은 장벽보다, 이를 통해 얻는 안전이라는 이점이 더 크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행동을 실천함으로써 여성들은 밤에 혼자 걸을 때 더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다는 이점을 얻게 된다.
3. 5. 행동 유발 요인 (Cues to Action)
건강신념모형(HBM)에서는 건강 증진 행동을 시작하기 위해 어떤 계기, 즉 '행동 유발 요인'이 필요하다고 본다.[2][4][6] 행동 유발 요인은 개인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외부 환경에서 주어질 수 있다.[2][6] 몸의 신호(예: 통증이나 특정 증상)는 내부적인 행동 유발 요인에 해당한다.[2][7] 외부적인 요인으로는 주변 사람들,[2] 대중 매체,[6] 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2]로부터 건강 관련 행동을 하도록 자극하는 사건이나 정보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치과에서 정기 검진 알림 엽서를 보내거나, 친구나 가족이 특정 질병을 앓는 것을 보거나, 건강 문제에 대한 언론 캠페인, 제품에 부착된 건강 경고 문구 등이 외부적 행동 유발 요인이 될 수 있다.어떤 행동을 실제로 시작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유발 요인의 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이는 개인이 특정 건강 문제에 대해 얼마나 민감하게 느끼는지, 얼마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는지, 행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과 감수해야 할 어려움(장벽)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4]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이 특정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다고 생각하고 신뢰하는 주치의가 있다면, 공익 광고만 보고도 쉽게 해당 질병 검사를 받으려 할 수 있다. 반면, 같은 질병이라도 자신은 걸릴 위험이 낮다고 생각하거나 믿을 만한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은 검사를 받도록 설득하기 위해 더 강력한 외부적 자극이 필요할 수 있다.
행동 유발 요인은 건강 신념 모형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개인이 실제로 행동을 바꾸도록 이끄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야간 폭력의 위험성에 대한 충격적인 이야기는 여성들이 밤길을 다닐 때 필요한 예방 조치를 취하고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한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강력한 외부적 요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발 요인은 특정 위험에 대한 개인의 민감성 인식과 심각성 인식을 높이는 역할도 한다.
3. 6. 자기 효능감 (Self-efficacy)
자기 효능감은 1988년 건강 신념 모형(HBM)의 기존 4가지 구성 요소(인지된 민감성, 심각성, 이점, 장벽)에 추가된 개념이다.[7][15] 자기 효능감이란 어떤 행동을 성공적으로 해낼 수 있다는 개인의 믿음이나 자신감을 의미한다.[7] 이는 건강 관련 행동에서 나타나는 개인 간의 차이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해 HBM에 포함되었다.[15]원래 HBM은 암 검진이나 예방 접종처럼 한 번의 행동 참여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4][15] 이후 식단 조절, 운동, 흡연 중단과 같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한 장기적인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데에도 적용되었다.[15] 모형 개발자들은 개인이 자신의 행동으로 결과를 바꿀 수 있다는 믿음, 즉 자기 효능감이 건강 행동 변화의 중요한 요소임을 깨달았다.[7][15] 예를 들어, 슈미게(Schmiege) 등의 연구에서는 칼슘 섭취나 체중 부하 운동과 관련하여, 자기 효능감이 미래의 부정적인 건강 결과에 대한 걱정보다 행동을 예측하는 데 더 강력한 요인임을 발견했다.[16]
로젠스톡(Rosenstock) 등은 자기 효능감을 별다른 이론적 설명 없이도 HBM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5] 하지만 일부 연구에서는 HBM의 주요 요소들이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개인이 상황을 통제할 수 있다고 느끼는 정도(인지된 통제력)나 행동하려는 의도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행동 변화를 이끈다고 보았기 때문에, 로젠스톡 등의 주장이 다소 근시안적이라는 비판도 있다.[17]
자기 효능감은 건강 신념 모형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행동 변화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은 자신이 특정 위험을 실제로 예방할 수 있다고 믿을 때, 그 위험을 피하기 위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아무리 노력해도 소용없다고 생각하거나 위험을 막을 수 없다고 믿는다면, 행동에 나설 가능성은 낮아진다.
예를 들어, 여성을 대상으로 한 야간 폭력 예방 계획에서 자기 효능감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한다. 통계적으로 많은 여성이 테이저, 후추 스프레이, 경보기 등을 소지함으로써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다고 느낀다. 또한 호신술 수업은 개인이 스스로를 지킬 방법을 배우고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주어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수업은 지역 사회 센터 등에서 제공되기도 한다.
여성에 대한 야간 폭력 문제는 개인의 안전과 웰빙에 관한 중요한 문제이며, 이는 건강 신념 모형을 적용하여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영역이다. 여성이 야간 폭력에 대비하고 방어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은, 그러한 행동이 실제로 자신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믿음(자기 효능감)이 있을 때 더 적극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3. 7. 수정 변인 (Modifying Variables)
개인의 특성, 즉 인구 통계학적 변수, 심리사회적 변수, 그리고 구조적 변수는 건강 관련 행동에 대한 인식(예: 인지된 심각성, 민감성, 혜택 및 장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인구 통계학적 변수: 연령, 성별, 인종, 민족, 교육 수준 등이 포함된다.[4][7]
- 심리사회적 변수: 성격, 사회 계층, 동료 및 준거 집단의 압력 등이 포함된다.[4]
- 구조적 변수: 특정 질병에 대한 지식 및 질병과의 이전 접촉 경험 등이 포함된다.[4]
건강 신념 모형(HBM)은 이러한 수정 변수들이 인지된 심각성, 민감성, 혜택 및 장벽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건강 관련 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한다.[4][7]
예를 들어, 여성의 안전 문제에 건강 신념 모형을 적용할 때 성별이라는 수정 변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에 따르면 여성의 약 절반(50%)이 밤에 혼자 걷는 것을 불안하게 느끼는 반면, 남성은 5분의 1 미만이 비슷한 두려움이나 불편함을 느낀다고 한다.[24] 이는 성별이라는 수정 변수가 야간 폭력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모형에 따르면, 여성은 남성보다 야간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 자신의 행동을 바꿀 가능성이 더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4. 한국에서의 적용 및 사례
주어진 원본 소스(`source`)가 비어 있어 해당 섹션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한국에서의 적용 및 사례'라는 제목에 부합하는 한국 관련 내용을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하위 섹션의 내용은 이미 완성된 결과물이므로, 이를 상위 섹션에 중복하여 기재할 수 없습니다.
4. 1. 금연 캠페인
건강신념모형(HBM)은 금연과 같은 건강 관련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개발에 사용되어 왔다.[6][15] HBM 기반 중재는 질병의 결과(예: 의학적, 재정적, 사회적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된 민감성과 심각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7] 또한, 금연과 같은 건강 증진 행동의 이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일반적인 인식된 장벽을 식별하며, 금연을 장려하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사회적 지원 등을 활용하여 행동 변화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7] 더 나아가 금연을 상기시키고 장려하는 행동 유발 신호를 제공하거나,[7] 금연 방법에 대한 교육을 통해 자기 효능감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할 수도 있다.[7][15]여러 연구에서 건강신념모형을 사용하여 개인의 특정 행동 변화 의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려 했다. 한 연구에서는 젊은 성인 여성의 금연 의도와 HBM 구성 요소에 대한 인식된 요인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했다.[22] 연구에는 16세에서 30세 사이의 활동적인 여성 흡연자 58명이 참여했다. 아래 표는 연구 참가자의 배경 정보와 인식된 변수 및 금연 의도 간의 상관 관계를 보여준다.

표 2의 결과에 따르면, 인식된 장벽을 제외한 모든 변수는 금연 의도와 약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인식된 민감성과 관련하여, 응답자들은 여성 흡연자 관련 건강 및 사회적 결과에 취약하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흡연이 실제로 심각한 문제나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는 강하게 믿지 않아 금연 의도가 낮았다. 마찬가지로 인식된 심각성 측면에서도, 응답자들은 자신의 흡연 습관이 심각한 결과를 낳는다고 보지 않아 금연 의도가 낮았다. 또한 인식된 이점은 약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개인들이 건강한 행동을 채택하는 것이 전반적인 생활 방식에 유익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식된 장벽은 약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개인이 금연과 연관시키는 장벽이 많을수록 금연할 가능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인식된 자기 효능감은 낮았고, 이는 금연에 대한 욕구가 낮아지게 했다.
젊은 성인 여성의 금연 의도는 건강신념모형의 인식된 요인과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4. 2. 만성질환 관리 교육
건강신념모형(HBM)은 모형의 주요 구성 요소를 목표로 하여 건강 관련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개발에 사용되어 왔다.[6][15] HBM 기반 중재는 다음과 같은 목표를 가질 수 있다.- 인식된 민감성 및 심각성 증가: 질병의 유병률과 발병률 교육, 개인별 위험 추정치 제공, 질병의 의학적·재정적·사회적 결과 정보 제공 등을 통해 건강 상태에 대한 인식을 높인다.[7]
- 비용-편익 분석 변경: 질병 위험 감소 행동의 효과 정보 제공, 일반적인 인식된 장벽 식별, 건강 증진 행동 참여 인센티브 제공, 사회적 지원이나 자원을 활용한 건강 증진 행동 장려 등을 통해 행동 변화를 유도한다.[7]
- 행동 유발 신호 제공: 개인에게 건강 증진 행동을 상기시키고 장려하는 신호를 제공한다.[7]
- 자기 효능감 증진: 특정 건강 증진 행동에 대한 훈련을 제공하여, 특히 식단이나 신체 활동 변화, 복잡한 약물 요법 준수 등 복잡한 생활 방식 변화에 대한 자신감을 높인다.[7][15]
중재는 개인 수준(예: 개인과의 일대일 작업) 또는 사회 수준(예: 법률 제정, 물리적 환경 변화, 대중 매체 캠페인[20])을 목표로 할 수 있다.[21]
여러 연구에서 건강신념모형을 사용하여 개인의 특정 행동 변화 의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자 했다. 한 연구는 젊은 성인 여성의 금연 의도와 HBM 구성 요소에 대한 인식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22] 연구에는 16세에서 30세 사이의 활동적인 여성 흡연자 58명이 참여했다.
분석 결과, 인식된 장벽을 제외한 모든 변수(민감성, 심각성, 이점, 자기 효능감)는 금연 의도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식된 민감성의 경우, 응답자들은 여성 흡연 관련 건강 및 사회적 결과에 취약하다는 점에는 동의했지만, 흡연이 실제로 심각한 문제나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는 강하게 믿지 않아 금연 의도가 낮았다. 인식된 심각성 역시, 자신의 흡연 습관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지 않아 금연 의도가 낮았다. 인식된 이점은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건강 행동 채택이 생활 방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함을 시사했다. 반면, 인식된 장벽은 약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 금연과 관련된 장벽이 많다고 느낄수록 금연 의향이 낮아짐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응답자의 인식된 자기 효능감은 낮았으며, 이는 낮은 금연 의도로 이어졌다. 결론적으로, 젊은 성인 여성의 금연 의도는 건강신념모형의 인식된 요인들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HBM의 또 다른 적용 사례는 2016년 홍콩의 정신 질환자(PMI)의 신체 활동 관련 요인을 조사한 연구이다(Mo et al., 2016). 연구진은 HBM이 건강 행동 설명에 자주 사용되는 모델이라는 점과 PMI의 신체 활동 수준 이해에 적합한 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HBM을 채택했다. 연구에는 평균 연령 45세의 PMI 443명이 참여하여 설문 조사를 완료했다. 분석 결과, HBM 변수 중 인식된 장벽이 신체 활동 예측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PMI의 신체 활동과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자기 효능감과 인식된 장벽이 신체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중재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이 주로 자신의 정신과적 상태에 관심을 집중하고 신체 건강 요구에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다는 점도 지적했다.
이 연구는 문화가 HBM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중국 문화는 미국과 다른 건강 신념을 가지며, 신체적 건강보다는 운명과 영적 조화의 균형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HBM은 이러한 외부 변수를 직접적으로 고려하지 않으므로, 이는 모델의 한계와 함께 다양한 요인이 건강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3. 여성 안전 운동
미투 운동과 같은 사회 운동은 여성의 권리와 여성에 대한 폭력 문제를 중요한 사회적 논의 주제로 부상시켰다. 또한, 'Women On Guard'[23]와 같은 여러 단체들은 여성이 밤에 혼자 걸을 때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에 중점을 두기 시작했다. 2021년 3월 3일 발생한 사라 에버라드 살해 사건은 여성이 야간에 혼자 이동할 때 스스로를 보호하고 경계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더욱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에버라드는 영국 런던 남부에서 퇴근 후 집으로 걸어가던 중 납치되어 살해당했다. 건강신념모형은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더 많은 여성이 밤길 보행 시 안전 조치를 취하도록 설득하는 데 필요한 단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5. 비판 및 한계
건강신념모형(HBM)은 개인의 신념과 태도 차이를 통해 건강 관련 행동을 예측하고자 하지만[2], 건강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중요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는다.[2]
예를 들어, 흡연이나 안전벨트 착용과 같은 습관적인 건강 관련 행동은 개인이 의식적으로 건강 관련 결정을 내리는 과정과는 다소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2] 또한 사람들은 건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이유, 가령 미용을 위해 운동을 하는 경우처럼 다른 동기로 건강 관련 행동을 하기도 한다.[2]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환경적 요인 역시 특정 행동을 방해할 수 있다.[2] 예를 들어, 치안이 불안한 동네에 사는 사람은 안전 문제 때문에 야외에서 조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더불어 건강신념모형은 건강 관련 행동에 대한 공포와 같은 감정의 영향을 간과하는데,[7] 일부 연구는 공포가 건강 행동을 예측하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7]
건강신념모형 외에 건강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대안적 요인으로는 결과 기대[25](자신의 행동으로 건강해질 것이라는 믿음)와 자기 효능감[26](예방적 행동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 등이 제시된다.
이론 자체의 문제점도 지적된다. 건강신념모형을 구성하는 이론적 요소들의 정의가 다소 광범위하고 모호하며,[6] 이 요소들이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족하다.[6][7] 이로 인해 연구마다 이론적 구성 요소를 다르게 조작하여 정의하게 되어, 연구 결과들을 엄격하게 비교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7][27]
특히 '행동 유발 신호'가 건강 관련 행동 예측에 얼마나 기여하는지를 평가하는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다.[2][4][6][7] 행동 유발 신호는 측정이 어렵다는 현실적인 문제가 있는데,[4][7] 예를 들어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 변화를 유발한 특정 신호를 정확히 기억하거나 보고하지 못할 수 있다.[4] 텔레비전 공익 광고나 광고판 같은 신호는 순간적으로 지나가기 때문에, 개인이 그러한 신호가 자신의 건강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 자체를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4][7] 또한,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비롯되는 대인 관계의 영향 역시 신호로서 측정하기가 특히 어렵다.[4]
연구 결과들이 항상 건강신념모형을 지지하지 못하는 또 다른 이유는 건강 신념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건강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인에는 개인에게 특별한 영향을 주는 사건, 문화적 배경, 사회경제적 지위, 그리고 과거의 경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일부 학자들은 건강신념모형에 네 가지 변수(자기 정체성, 지각된 중요성, 미래 결과 고려, 외모에 대한 관심)를 추가하여 모델을 확장하려는 시도를 했다. 연구를 통해 미래 결과 고려, 자기 정체성, 외모에 대한 관심, 지각된 중요성, 자기 효능감, 지각된 민감성 등이 건강한 식습관 행동의 중요한 결정 요인이며, 건강 개입 설계를 통해 변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기도 했다.[28]
6. 다른 건강 행동 이론과의 관계
건강신념모형 외에도 건강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으로는 제임스 프로차스카가 제시한 범이론적 행동변화단계 모형(Transtheoretical Model, TTM)과 아이섹 아젠의 계획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등이 있다.
참조
[1]
논문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for the Assessment of Public Knowledge and Household Preventive Practices in Karachi, Pakistan, a Dengue-Endemic City
2016-11-10
[2]
논문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3]
논문
Health-driven mechanism of organic food consump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2024-03
[4]
논문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5]
논문
The role of behavioral science theory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6]
논문
A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predicting behavior
http://osf.io/v58zr/
[7]
서적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http://hbcs.ntu.edu.[...]
Jossey-Bass
[8]
서적
Health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Jossey-Bass
2015-07
[9]
논문
The health belief model predicts vaccination intentions against COVID-19: A survey experiment approach
https://doi.org/10.1[...]
2021
[10]
서적
Psychological theory: Contemporary readings
Macmillan
1951
[11]
서적
The mentality of apes
Routledge
[12]
서적
Personality and the behavior disorders
Ronald Press
1944
[13]
논문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to identify barriers to seasonal influenza vaccination among Australian adults in 2019
2021
[14]
논문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Hispanic women: a literature review using the health belief model
2002
[15]
논문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health belief model
[16]
논문
Osteoporosis prevention among young women: psychosocial models of calcium consumption and weight-bearing exercise
2007-09
[17]
서적
Cambridge Handbook of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18]
논문
The Health Belief Model and prediction of dietary compliance: a field experiment
1977-12
[19]
논문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 belief model and compliance of persons with diabetes mellitus
1980
[20]
뉴스
Mass Media and Health Beliefs: Using Media Campaigns to Promote Preventive Behavior
[21]
서적
Cambridge handbook of psychology, health and medicin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논문
Applicat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on the Intention to Stop Smoking Behavior among Young Adult Women
2020-07-03
[23]
웹사이트
7 Crucial safety tips for women walking alone at night
https://web.archive.[...]
Women On Guard
2021-11-23
[24]
웹사이트
Half of women feel unsafe walking alone after dark, says ONS
https://www.independ[...]
2021-08-24
[25]
논문
Social-Cognitive Factors in Changing Health-Related Behaviors
2001-04
[26]
논문
Risk-appraisal, outcome and self-efficacy expectancies: Cognitive factors in preventive behaviour related to cancer
1990
[27]
논문
Scales for Measuring Health Belief Model Dimensions: A Test of Predictive Valu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ationships Among Beliefs
[28]
논문
Towards an effective health interventions design: an extension of the health belief model
2012
[29]
논문
Use of the Health Belief Model for the Assessment of Public Knowledge and Household Preventive Practices in Karachi, Pakistan, a Dengue-Endemic City
2016-11-10
[30]
논문
The Health Belief Model: A Decade Later
[31]
논문
Historical Origins of the Health Belief Model
[32]
논문
The role of behavioral science theory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33]
논문
The role of behavioral science theory i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health interven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