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건도 (남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건도(乾道)는 1165년부터 1173년까지 남송 효종이 사용한 연호이다. 이 기간 동안 금나라는 대정(大定) 연호를, 서하는 천성(天盛) 및 건우(乾祐) 연호를 사용했다. 건도 연간에는 효종의 즉위, 금과의 두 번째 화약 체결, 서하의 토번 협공 제안, 일본과의 교역 등이 있었으며, 1173년에는 순희(淳熙)로 연호가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연호 - 개희
    개희는 남송 영종의 연호로 1205년부터 1208년까지 사용되었으며, 이 시기 금나라, 서하의 연호와 함께 남송에서는 북벌 실패와 반란 등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 전개되다 화의 후 연호가 가정으로 바뀌었다.
  • 송나라의 연호 - 건흥 (북송)
    건흥은 북송의 연호로 1022년 2월 4일에 제정되어 1023년 1월 25일에 천성으로 개원되었다.
건도 (남송)
개요
남송과 금나라의 경계
1142년부터 1279년까지의 남송과 금나라의 경계
지속 기간1163년 ~ 1189년
이전 연호소흥
다음 연호순희
기년27년
간지
시작 간지계미년
끝 간지기유년

2. 개원

융흥 3년 음력 1월 1일(1165년 2월 13일)에 연호를 '''건도'''(乾道)로 개원하였다.[2][3][4][5][6]

건도 9년 음력 11월 9일(1173년 12월 15일)에 연호를 '''순희'''(淳熙)로 정하고, 다음 해 음력 1월 1일(1174년 2월 4일)에 개원하였다.[7][8][9][10][5][6]

3. 연대 대조표

건도서기
(西紀)
간지
(干支)
금나라 연호서하 연호
원년1165년을유
(乙酉)
대정 5년천성 17년
2년1166년병술
(丙戌)
대정 6년천성 18년
3년1167년정해
(丁亥)
대정 7년천성 19년
4년1168년무자
(戊子)
대정 8년천성 20년
5년1169년기축
(己丑)
대정 9년천성 21년
6년1170년경인
(庚寅)
대정 10년건우 원년
7년1171년신묘
(辛卯)
대정 11년건우 2년
8년1172년임진
(壬辰)
대정 12년건우 3년
9년1173년계사
(癸巳)
대정 13년건우 4년


4. 주요 사건

건도 연간(1165년 ~ 1173년) 동안 일어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다.


  • 건도 원년(1165년)
  • 정월 초하루: 개원하다.[1]
  • 8월 7일: 진주의 계동만(渓峒蠻) 반란이 평정되다.
  • 9월 29일: 회수 연안의 여러 주에 도순검이 설치되다.
  • 건도 2년(1166년)
  • 6월 3일: 양절로시박사를 폐지하다.
  • 건도 3년(1167년)
  • 정월 11일: 삼성호방국용사가 설치되다.
  • 건도 4년(1168년)
  • 5월 25일: 건도력이 시행되다.
  • 7월 10일: 연강수군제치사를 폐지하다.
  • 건도 5년(1169년)
  • 2월 21일: 국용사를 폐지하고, 그 업무는 삼성호방에 귀속시키다.
  • 11월: 광동의 수군을 증강하고, 명주정해현의 수군을 어전수군으로 삼다.
  • 건도 6년(1170년)
  • 정월 2일: 아주의 사평만(沙平蠻)이 변경을 침략하다.
  • 3월: 삼성·추밀원의 관리를 감하다.
  • 4월 1일: 주전사를 폐지했으나, 이듬해에 부활하다.
  • 5월 4일: 육부의 관리를 감하다.
  • 9월 15일: 소식에게 '문충'이라는 시호가 추증되다.
  • 12월 28일: 발운사를 폐지하다.
  • 건도 7년(1171년)
  • 2월 19일: 사찰·도관의 세역 면제를 철폐하다.
  • 건도 8년(1172년)
  • 2월 6일: 상서복야·동평장사의 관명을 승상으로 고치다.
  • 9월: 조백규를 통해 일송무역을 하다.
  • 9월 12일: 우윤문이 스스로 청하여 사천선무사에 부임하다.
  • 건도 9년(1173년)
  • 11월 9일: 다음 해부터 「순희」로 연호를 바꾸는 조칙이 내려지다.

4. 1. 외교 및 군사

건도 원년(1165년) 정월 9일, 남송은 과 두 번째 화약을 맺었다.[1] 양국 관계는 숙질 관계로 정해졌고, 남송이 금에 보내는 세공의 명칭은 세폐로 바뀌었다.[1] 세폐는 20만 냥과 비단 20만 필로, 이전보다 각각 5만 냥과 5만 필이 줄었다.[1] 국경은 종전대로 회수에서 대산관에 이르는 경계선을 유지하였다.[1]

건도 4년(1168년) 7월, 서하의 밀사가 사천에 와서 서번을 협공할 것을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4]

건도 7년(1171년) 3월 1일, 남송은 금에 국서 접수를 위한 예식을 고칠 것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7]

건도 8년(1172년) 9월, 명주 지주 조백규를 통해 일본에 국서와 선물을 보냈다. (일송무역)[8]

건도 9년(1173년) 2월 12일, 려주의 청강이 난을 일으켰다.[9] 3월 2일, 금과의 국경 지대에서 은과 비단의 거래를 금지했다.[9] 10월 28일, 금의 하생진사(賀生辰使)가 국서 접수를 둘러싼 마찰 때문에 돌아갔다.[9]

4. 2. 내정 및 경제

건도 원년(1165년) 1월 9일, 남송은 금나라와 두 번째 화약을 맺었다. 양국 관계는 숙질(叔姪) 관계로 정해졌고, 금에 보내는 공물의 명칭은 세폐(歲幣)로 바뀌었다. 세폐는 은 과 비단 20만 필로, 이전보다 각각 5만 냥과 5만 필이 줄었다. 국경은 회수(淮水)에서 대산관(大散關)에 이르는 기존 경계선을 유지했다.[1]

건도 2년(1166년) 11월 9일, 내장고의 은을 모두 방출하여 회자(會子)로 교환했다.[2] 건도 4년(1168년) 3월 22일에는 사용 기한과 액면 가격을 정한 새로운 회자가 발행되기 시작했다.[4]

건도 4년(1168년) 1월 19일, 진회의 자손에게 주어진 음보(蔭補) 특권이 박탈되었다.[4]

건도 8년(1172년) 정월 초하루에는 『건도칙령격식(乾道勅令格式)』이 공포되었다.[8] 같은 해 9월, 명주(明州) 지주 조백규(趙伯圭)를 통해 일본에 국서와 선물을 보냈다. 이는 일송무역의 일환이었다.[8]

건도 9년(1173년) 8월 16일, 수리 시설 진흥을 권장하는 조칙이 내려졌다.[9]

4. 3. 기타


  • 건도 원년(1165년) 8월 7일, 진주에서 계동만(渓峒蠻)의 반란이 평정되었다.
  • 건도 원년(1165년) 9월 29일, 회수 연안의 여러 주에 도순검이 설치되었다.
  • 건도 2년(1166년) 6월 3일, 양절로시박사가 폐지되었다.
  • 건도 3년(1167년) 정월 11일, 삼성호방국용사가 설치되었다.
  • 건도 4년(1168년) 정월 19일, 진회 자손에게 주어진 음보가 박탈되었다.
  • 건도 4년(1168년) 7월, 서하의 밀사가 사천에 와서 서번을 협공할 것을 제안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
  • 건도 4년(1168년) 7월 10일, 연강수군제치사가 폐지되었다.
  • 건도 5년(1169년) 2월 21일, 국용사가 폐지되고 그 업무는 삼성호방에 귀속되었다.
  • 건도 5년(1169년) 11월, 광동의 수군이 증강되고, 명주정해현의 수군을 어전수군으로 삼았다.
  • 건도 6년(1170년) 정월 2일, 아주의 사평만(沙平蠻)이 변경을 침략하였다.
  • 건도 6년(1170년) 3월, 삼성·추밀원의 관리가 감축되었다.
  • 건도 6년(1170년) 4월 1일, 주전사가 폐지되었으나, 이듬해에 부활하였다.
  • 건도 6년(1170년) 5월 4일, 육부의 관리가 감축되었다.
  • 건도 6년(1170년) 12월 28일, 발운사가 폐지되었다.
  • 건도 7년(1171년) 2월 19일, 사찰·도관의 세역 면제가 철폐되었다.
  • 건도 8년(1172년) 정월 초하루, 『건도칙령격식』이 공포되었다.
  • 건도 8년(1172년) 9월, 명주 지주 조백규를 통해 일본에 국서와 선물이 보내졌다. (일송무역)
  • 건도 9년(1173년) 2월 12일, 려주의 청강이 난을 일으켰다.
  • 건도 9년(1173년) 3월 2일, 금과의 국경 지대에서 은·비단의 거래를 금지하였다.
  • 건도 9년(1173년) 8월 16일, 수리 시설의 진흥을 권하는 조칙이 내려졌다.
  • 건도 9년(1173년) 11월 9일, 다음 해부터 「순희」로 연호를 바꾸는 조칙이 내려졌다.

5. 동시대 다른 지역의 연호

건도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
서기1165년1166년1167년1168년1169년1170년1171년1172년1173년
간지을유병술정해무자기축경인신묘임진계사
금나라대정 5년대정 6년대정 7년대정 8년대정 9년대정 10년대정 11년대정 12년대정 13년
서하천성 17년천성 18년천성 19년천성 20년천성 21년건우 원년건우 2년건우 3년건우 4년
대리국건덕 7년이정 원년이정 2년
서요숭복 2년숭복 3년숭복 4년숭복 5년숭복 6년숭복 7년숭복 8년숭복 9년숭복 10년
베트남정륭보응 3년정륭보응 4년정륭보응 5년정륭보응 6년정륭보응 7년정륭보응 8년정륭보응 9년정륭보응 10년정륭보응 11년
일본조칸 3년
영만 원년
영만 2년
인안 원년
인안 2년인안 3년인안 4년
가응 원년
가응 2년가응 3년
승안 원년
승안 2년승안 3년


5. 1. 중국

;

;서하

;대리국

;서요

건도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
서기1165년1166년1167년1168년1169년1170년1171년1172년1173년
간지을유병술정해무자기축경인신묘임진계사
금나라대정 5년대정 6년대정 7년대정 8년대정 9년대정 10년대정 11년대정 12년대정 13년
서하천성 17년천성 18년천성 19년천성 20년천성 21년건우 원년건우 2년건우 3년건우 4년


5. 2. 베트남

찐롱바오응(政隆寶應) (1163년 ~ 1174년)


5. 3. 일본

참조

[1] 서적 하삽총담(荷牐叢談) 제1 〈열조연호변오〉(列朝年號辨誤)
[2] 문서 을유년(乙酉年) 1월 신해일(辛亥日)
[3] 서적 《송사》(宋史) 권33 〈본기〉(本紀) 제33 - 효종(孝宗) 1 https://zh.wikisourc[...]
[4] 서적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39 〈송기〉(宋紀) 139 https://zh.wikisourc[...]
[5] 웹사이트 《송회요집고》(宋會要輯稿) 예(禮) 54 - 개원소(改元詔) https://zh.wikisourc[...]
[6] 웹사이트 천문우주지식정보 음양력변환 https://astro.kasi.r[...]
[7] 문서 계사년(癸巳年) 11월 무술일(戊戌日)
[8] 문서 갑오년(甲午年) 1월 기축일(己丑日)
[9] 서적 《송사》(宋史) 권34 〈본기〉(本紀) 제34 - 효종(孝宗) 2 https://zh.wikisourc[...]
[10] 서적 《속자치통감》(續資治通鑑) 권143 〈송기〉(宋紀) 143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