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리와 프레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리와 프레키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늑대들로, 각각 '탐욕스러운 자'를 의미한다. 이들은 《고 에다》와 《신 에다》에 언급되며, 오딘이 식사를 늑대들에게 주고 자신은 술만 마시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게리와 프레키는 늑대를 가리키는 일반 명사로 사용되기도 하며, 전쟁터에서 죽은 자들의 시체를 먹는 모습으로도 등장한다. 펜리르와 연관되기도 하며, 오딘과 늑대의 관계는 고대 인도유럽 종교에서 신과 동물의 관계와 유사성을 보인다.
"게리"와 "프레키"라는 이름은 모두 "탐욕스러운 존재" 또는 "게걸스러운 존재"로 해석되어 왔다.[26]
게리와 프레키는 《고 에다》, 《신 에다》, 스칼드 시, 그리고 《시의 에다》의 〈휜들라의 노래〉 등 다양한 문헌에서 언급된다.
2. 어원
"게리"는 게르만조어 형용사 ''*geraz''에서 유래되었으며, 부르군트어 ''girs'', 노르드어 ''gerr'', 고대 고지독일어 ''ger'' 또는 ''giri''의 어원이 된다. 이 낱말들은 모두 "탐욕스러운"이라는 뜻이다.[27] 존 린도우는 "게리"를 형용사 "게르"가 명사화된 이름이라고 해석한다.[29] 브루스 링컨은 "게리"가 인도유럽조어 어근 ''*gher-''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이는 라그나로크에서 한 역할을 하는 괴물 개 가름의 이름에서도 발견된다고 주장한다.[30]
"프레키"는 게르만조어 형용사 ''*frekaz''에서 유래되었으며, 고트어로 "갈망하는, 욕심사나운"이라는 뜻의 ''faihu-friks'', 노르드어로 "탐욕스러운"이라는 뜻의 ''frekr'', 앵글로색슨어로 "원하는, 탐욕스러운, 걸신들린, 대담한"이라는 뜻의 ''frec'', 고대 고지독일어로 "탐욕스러운"이라는 뜻의 ''freh''의 어원이 된다.[28] 존 린도우는 "프레키"를 형용사 "프레크"가 명사화된 이름이라고 해석한다.[29]
''게리''(Geri)라는 이름은 "탐욕스러운 자" 또는 "걸신들린 자"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1] 이 이름은 원시 게르만어 형용사 에서 유래되었으며, 부르군트어의 ''girs'', 고대 노르드어의 gerr|gerrnon, 고대 스웨덴어의 ''giri'', 고대 고지 독일어의 ger|gergoh 또는 giri|girigoh, 고대 네덜란드어의 gir|girdon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탐욕스러운"을 의미한다.[2] 현대 덴마크어의 gerrig|gerrigda, girig|girigda, 노르웨이어의 girug|girugno, 스웨덴어의 girig|girigsv와 비교해 볼 수 있으며, 이 역시 모두 탐욕스러운을 의미한다.
''프레키''(Freki)는 원시 게르만어 형용사 에서 유래되었으며, 고트어의 "탐욕스러운, 욕심 많은", 고대 영어의 frec|frecang "갈망하는, 탐욕스러운, 대식하는, 뻔뻔스러운" 그리고 고대 고지 독일어의 freh|frehgoh "탐욕스러운, 욕심 많은, 갈망하는"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3] 고대 노르드어 형태인 frekr|frekrnon는 "뻔뻔한, 진취적인, 탐욕스러운, 걸신들린"을 의미하며, 식욕이 왕성한 것("대식하는")을 포함하여 상당히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현대의 덴마크어 fræk|frækda, 노르웨이어 frek|frekno, 스웨덴어 fräck|fräcksv, fräk|fräksv와 비교).
3. 출전
《고 에다》와 《신 에다》에서 오딘은 자신의 늑대인 게리와 프레키에게 음식을 주고, 자신은 술만 마신다고 묘사된다. 또한 게리와 프레키는 전쟁터에서 죽은 자들의 시체를 먹는 존재로 나타난다.
스칼드 시에서는 "게리"와 "프레키"가 "늑대"를 뜻하는 일반 명사나 "피", "부육"을 의미하는 케닝그로 사용된다. 《휜들라의 노래》에서는 "프레키 형제"라는 이름이 언급된다.
3. 1. 《고 에다》
《고 에다》 중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에서 오딘은 그림니르라는 가명을 사용하여 변장하고 어린 아그나르에게 오딘을 따르는 짐승들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아그나르는 오딘은 게리와 프레키에게 먹이를 주면서 자신은 술만 먹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31]
또한, 〈훈딩을 죽인 자 헬기의 첫 번째 서사시〉 제13절에서는 게리와 프레키가 "비드리르(오딘의 다른 이름)의 사냥개들"이라는 케닝그로 불리며, 이 둘이 전쟁터를 돌아다니며 전투에서 사망한 이들의 시체를 게걸스럽게 뜯어먹는다고 한다.[31]
《시적 에다》의 시 《그림니르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헬기 훈딩스바나 I" 13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3. 2. 《신 에다》
《신 에다》 중 〈귈피의 속임수〉 제38장에서 옥좌에 앉은 높으신 분은 오딘이 식탁 위에 차려진 음식을 모두 자기 늑대 게리와 프레키에게 줘 버리고 자신은 오로지 술만 먹는다고 설명한다. 오딘에게는 술이 곧 음식이고 음료의 역할을 다한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높으신 분은 〈그림니르가 말하기를〉의 구절을 인용한다.[32]
〈시어법〉 제75장에는 바르그(괴물 늑대)와 늑대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 목록에는 게리와 프레키의 이름도 올라와 있다.[33]
〈시어법〉 제58장에 인용된 스칼드 시 작품들(흐비니르의 툐돌프와 에길 스칼라그림손의 작품들이라 함)을 보면 "게리"와 "프레키"가 "늑대"를 가리키는 일반명사처럼 사용된 것을 알 수 있으며, 〈운율 일람〉 제64장에서도 "게리"가 "늑대"를 가리키는 일반명사로 사용되고 있다.[34] 〈시어법〉 제58장에서 "게리"는 "피"의 케닝그로 사용되며("게리의 맥주"), 제60장에서는 "부육"의 케닝그로 사용된다("게리의 조각").[35] "프레키" 역시 "부육"의 케닝그로 사용된다("프레키의 식사").[36]
3. 3. 《휜들라의 노래》
『시의 에다』의 『휜들라의 노래』 제18절에서는, 여성 거인 휜들라가 열거하는 인간 남성 오타르의 조상 중에, 동명의 "프레키 형제"의 이름이 있다[25].
4. 유물

뵈크스타 룬돌 암각화에 있는 말 탄 기수와 그 오른쪽에 있는 두 동물은 오딘과 게리와 프레키가 그림 오른쪽 끝에 있는 엘크 또는 무스를 사냥하는 모습을 묘사한 것으로 해석된다.[37] 뵈크스타 룬 비석 그림 속 기마자가 오딘으로 정확하게 확인된다면, 게리와 프레키는 엘크 사냥에 참여하는 모습으로 묘사된 것이다.[16]
5. 신화 해석

민속학자 존 린도우는 오딘이 한 프레키(게리와 프레키)에게는 저녁 식탁에서 먹이를 주면서, 다른 프레키(펜리르)에게는 자기 자신의 몸을 먹이로 주는 아이러니가 있다고 말한다.[38]
역사학자 마이클 슈파이델은 게리와 프레키를 유물에서 발견되는 늑대가죽을 입은 사람 그림, 게르만족 사이에 널리 퍼진 늑대 관련 이름, 울프헤드나르 등 늑대 전사에 관한 노르드 신화와 연관짓는다.
베른트 하인리히는 게리와 프레키가 오딘과 그의 까마귀 후긴과 무닌과 함께 사냥에서 까마귀, 늑대, 인간 사이에 나타나는 공생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그는 오딘 신화가 강력한 사냥 동맹을 만들기 위해 두 명의 동맹과 협력하는 사냥꾼으로서의 선사 시대 과거에 대한 고대 지식을 요약한 은유이며, 우리가 사냥 문화를 버리고 목축업자와 농부가 되면서 잊혀진 과거를 반영한다고 보았다.[21]
5. 1. 펜리르와의 관계
''프레키''는 〈무녀의 예언〉에서 라그나로크 때 오딘을 잡아먹으리라 예언되는 괴물 늑대 펜리르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38] 민속학자 존 린도우는 오딘이 한 프레키(게리와 프레키)에게는 저녁 식탁에서 먹이를 주면서, 또 다른 프레키(펜리르)에게는 자기 자신의 몸을 먹이로 주는 아이러니가 있다고 말한다.[17]역사학자 마이클 슈파이델은 게리와 프레키를 유물들에서 발견되는 늑대가죽을 입은 사람 그림과 게르만족들 사이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늑대와 관련된 이름들, 그리고 늑대 전사들에 관한 노르드 신화(울프헤드나르 등)와 연관짓는다.
슈파이델이 언급한 늑대와 관련된 게르만족 이름은 다음과 같다.
| 이름 | 의미 |
|---|---|
| 울프록(Wulfhroc) | 늑대떼 |
| 울프헤탄(Wolfhetan) | 늑대가죽 |
| 이상그림(Isangrim) | 회색 가면 |
| 스크루톨프(Scrutolf) | 늑대옷 |
| 볼프강(Wolfgang) | 늑대걸음 |
| 볼프트레길(Wolfdregil) | 늑대-달리는 자 |
| 불폴라익(Vulfolaic) | 늑대-춤추는 자 |
슈파이델은 이러한 점들을 들어 기독교화로 인해 시들해진 범게르만적 늑대전사집단의 종교가 오딘을 중점적으로 숭배했으리라고 생각한다.[18]
또한 학자들은 게리와 프레키의 "신을 따라다니는 동물"이라는 역할에서 인도유럽어족 종교들에서 발견되는 공통점을 지적한다. 19세기의 야코프 그림은 늑대와 도래까마귀를 신성시한다는 점에서 오딘과 그리스의 아폴론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고 보았다.[19] 문헌학자 모리스 블룸필드는 베다 신화의 야마의 개 한 쌍과 오딘의 늑대 한 쌍을 연관지으면서 이것들이 인도유럽어족 사이에 널리 퍼진 "케르베로스" 테마의 게르만 버전이라고 보았다.[20] 슈파이델은 베다의 루드라와 로마의 마르스에게서도 이러한 유사성을 찾아낸다.[18] 그는 늑대와 강력한 인물 사이의 관계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이것이 오딘 곁의 늑대 게리와 프레키가 앵글로색슨 왕들의 왕좌에서도 똑같이 으르렁거린 이유이다. 게리와 프레키와 같은 늑대 전사는 단순한 동물이 아니라 신화적 존재였다. 오딘의 추종자로서 그들은 그의 힘을 구현했고, 늑대 전사도 그랬다."[18]
참조
[1]
서적
2007
[1]
서적
2001
[2]
서적
2003
[3]
서적
2003
[4]
서적
2001
[5]
서적
1991
[6]
서적
1907
[7]
서적
1923
[8]
서적
1991
[9]
서적
1907
[10]
서적
1936
[11]
서적
1995
[12]
서적
1995
[13]
서적
1995
[14]
서적
1995
[15]
서적
1995
[16]
서적
1993
[17]
서적
2001
[18]
서적
2004
[19]
서적
1882
[20]
서적
1908
[21]
서적
2006
[21]
서적
2006
[21]
서적
2006
[22]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3]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4]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5]
서적
『エッダ 古代北欧歌謡集』
[26]
서적
2007
[26]
서적
2001
[27]
서적
2003
[28]
서적
2003
[29]
서적
2001
[30]
서적
1991
[31]
서적
1991
[32]
서적
1995
[33]
서적
1995
[34]
서적
1995
[35]
서적
1995
[36]
서적
1995
[37]
서적
1993
[38]
서적
2001
[39]
서적
2004
[40]
서적
1882
[41]
기타
Fjölsvinnsmál
1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