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견명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견명사(遣明使)는 14세기 후반부터 16세기 중반까지 일본이 명나라에 파견한 사절단을 지칭한다. 남북조 시대의 혼란을 겪은 일본은 무로마치 막부의 아시카가 요시미쓰 시기에 명나라와의 관계를 수립하여 조공 무역을 시작했다. 견명사는 명나라 황제에게 조공하고 답례품을 받는 것을 주요 임무로 했으며, 감합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사절단은 정사, 부사, 승려, 상인, 통역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교토 5산의 선승들이 정사나 부사를 맡았다. 견명사는 일본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영향을 미쳤으며, 다이묘들의 경쟁을 촉발하기도 했다. 1547년 오우치 가문의 사절단을 마지막으로 견명사 파견은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외교 정책 - 요시다 독트린
    요시다 독트린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일본이 미국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경제 부흥을 우선시하고, 평화주의 헌법하에 최소한의 자체 방위력 유지 및 경제 외교를 통해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려 한 정책이다.
  • 일본의 외교 정책 - 정한론
    정한론은 에도 시대 후기부터 메이지 유신 시기에 일본에서 무력을 사용해 조선을 개항하고 복속시켜야 한다는 정치적 사상으로, 존왕양이 운동과 결합되어 메이지 유신 이후 조선과의 갈등 속에서 부각되었으며, 후쿠자와 유키치와 같은 자유주의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일본 관계 - 정유재란
    정유재란은 1597년부터 1598년까지 일본이 조선을 재침략한 전쟁으로, 이순신 장군의 명량 해전 승리로 일본군의 북상을 저지하고 종결되었으며, 조선과 동아시아 정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명나라-일본 관계 - 호람의 옥
    호람의 옥은 명나라 홍무제가 황제권 강화를 위해 개국 공신 등을 숙청한 일련의 사건들을 통칭하며,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고 황제 독재 체제를 구축하는 결과를 낳았다.
  • 무로마치 막부 - 다이묘
    다이묘는 일본 역사에서 유력 무사를 지칭하는 용어로, 시대에 따라 슈고 다이묘, 센고쿠 다이묘로 변화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통제 하에 번주로서 막번 체제를 구성하였으나 메이지 유신 이후 사라졌다.
  • 무로마치 막부 - 고가 공방
    고가 공방은 아시카가 시게우지가 교토쿠의 난으로 거점을 옮기면서 시작된 간토 지방의 정치 세력이었으나, 다른 세력과의 대립 및 후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쇠퇴하여 아시카가 요시우지의 사망과 함께 소멸하며 간토 지방 전국 시대 개막에 영향을 주었다.
견명사
견명사
건문제
건문제
다른 이름일본 사절
파견 국가일본
파견 대상명나라
목적외교 및 무역 관계 수립
시기1401년 ~ 1547년
배경
정치적 배경무로마치 막부의 권력 강화 및 남북조 시대 종결
경제적 배경명나라와의 무역을 통한 이익 추구
주요 인물
아시카가 요시미쓰무로마치 막부 3대 쇼군
이마가와 사다아키라이마가와 씨 당주
겐카이승려, 외교관
주요 사건
간코 무역 시작1404년
영락제의 일본 국왕 책봉아시카가 요시미쓰를 일본 국왕으로 책봉
닌보의 난1523년, 무역 통제권 다툼
영향
일본의 문화 발전명나라의 문물 수입 및 영향
무역을 통한 경제적 이익막부 및 주요 세력의 재정 확보
같이 보기

2. 명나라와의 관계 수립 배경

아시카가 요시미쓰명나라와의 관계를 수립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처음에는 '일본국왕(日本國王) 신(臣) 원의만(源義滿)'이라는 명의로 명과 통교를 시도했으나, 명나라는 가네요시 친왕을 일본 국왕으로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거절당했다. 이후 요시미쓰는 출가하여 '일본국 준삼후(准三后) 원도의(源道義)'라는 명의로 다시 통교를 시도하여 성공했다.[15]

요시미쓰가 명나라와의 관계 수립에 적극적이었던 이유는 조공 무역을 통한 경제적 이익 때문이었다. 당시 일본은 화폐 경제가 발달했지만 자체적으로 동전을 주조할 수 없었기 때문에 명나라로부터 대량의 동전을 수입해야 했다. 대명무역(對明貿易)은 일본에게 매우 매력적인 교역이었다. 명의 사절이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명에서 정난의 변이 끝나고 영락제가 즉위하였다는 소식이 일본에 전달되었다. 요시미쓰는 덴류지(天龍寺)의 승려 겐츄 게이미쓰(堅中圭密)를 사절로 보내 영락제의 즉위를 축하하였다. 영락제는 이듬해 답사를 보내 '일본국왕지인(日本國王之印)'이라는 금인(金印)과 명의 관복 등을 하사하고, '영락감합부(永樂勘合符)'[15] 1백과(顆)를 주어 감합부를 가진 선박만 조공선으로 인정했다.

2. 1. 남북조 시대의 종식과 무로마치 막부의 등장

14세기 후반, 일본은 남북조 시대로 분열되어 있었고, 무로마치 막부는 국내 통일을 위해 명나라의 권위를 이용하고자 했다. 남북조 합일 이후,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일본국왕(日本國王) 신(臣) 원의만(源義滿)'이라는 명의로 명과의 통교를 시도하였으나, 명은 책봉 체제하에 있어 앞서 남조가네요시 친왕(懷良親王)을 '일본국왕 양회(日本國王良懷)'로서 인정하고 있었으므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요시미쓰는 출가하는 등 자신의 지위를 명확히 하고 1401년 '일본국 준삼후(准三后) 원도의(源道義)' 명의로 명과의 통교를 요구하였고, 상인 비토미(肥富)·승려 소아(祖阿)를 파견하였다. 1402년,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명의 영락제(永樂帝)로부터 일본국왕에 봉해졌고, 1404년 명과 일본 사이의 감합무역(勘合貿易)이 이루어졌다(명일교역). 이 시기 한반도의 조선(1392년~1910년)도 명의 책봉 체제에 편입되어 있었으므로 동아시아의 정세는 안정되었다.

일본의 사찰도 일원 무역 이래 사찰 조영료 당선(寺社造営料唐船)을 자주 파견하였다. 일본 임제종 승려 게이안 겐주(桂庵玄樹)(사츠난 학파(薩南学派), 1427년~1508년)·선승이자 수묵화가였던 셋슈 도요(雪舟等楊, 1420년~1502년 또는 1506년) 등이 견명사를 수행하였다.

2. 2.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대명 외교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일본국왕(日本國王)' 칭호를 얻고 명나라와의 조공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고자 했다. 요시미쓰는 명나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조공 관계를 맺고, 감합무역(일명 무역)을 시작했다.[15]

남북조 합일 이후, 요시미쓰는 "일본 국왕 신 미나모토 요시미쓰(源義満)" 명의로 명나라와의 통교를 시도했지만, 명나라는 책봉 체제 하에서 남조의 가네나가 친왕을 "일본 국왕 양회(良懐)"로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에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요시미쓰는 출가하는 등 자신의 지위를 명확히 하고, 1401년 "일본국 준삼후 미나모토 도요시(源道義)" 명의로 명나라와의 통교를 요청하여 상인 비토미(肥富)와 승려 소아(祖阿)를 파견했다. 1402년, 요시미쓰는 영락제에게 일본 국왕으로 봉해졌고, 1404년 감합무역(일명 무역)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 조선(1392년~1910년)도 책봉 체제에 편입되었으므로, 동아시아 정세는 안정되었다.

일본의 지샤(寺社)도 일원 무역 이래 사찰 조영료 당선(寺社造営料唐船)을 자주 파견했다. 임제종 승려 게이안 겐주(桂庵玄樹)와 선승이자 수묵화가였던 셋슈 도요 등이 견명사를 수행하였다.

명의 사절이 일본에 체류하는 동안 명에서 정난의 변이 끝나고 연왕(燕王)이 즉위하였다는 소식이 일본에 전달되었다. 쇼군 요시미쓰는 덴류지(天龍寺)의 승려 겐츄 게이미쓰(堅中圭密)를 사절로 보내 명사를 호송시키고 영락제의 즉위를 축하하였다. 새로 즉위한 영락제는 이듬해에 답사를 보내 '일본국왕지인(日本國王之印)'이라는 금인(金印)과 명의 관복 등을 하사하는 동시에, '영락감합부(永樂勘合符)'[15] 1백과(顆)를 주어, 감합부를 가진 선박만을 조공선으로 인정하고 나머지는 왕래를 금지한다는 뜻을 통고하였다.[5]

쇼군 요시미쓰가 일본 국내의 일부 비난을 무릅쓰고 대명 조공관계 수립에 열중한 것은 조공무역에 따른 막대한 이익이 막부 재정에 절대적으로 중요하다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이다. 이익이 보장되는 조공무역 외에 사절을 수행하는 승려와 상인들이 휴대해 간 상품을 교역할 수도 있었으므로 일본에게는 대명무역(對明貿易)이 대단히 매력적인 교역이었다. 더욱이 당시 일본에서는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으나 동전을 주조할 수 없었으므로, 명에서 수입되는 대량의 동전은 일본의 주요한 통화로서 기능하기도 하였다.

3. 견명사의 전개 과정

1401년부터 1547년까지 총 19회에 걸쳐 명나라에 파견된 사절단인 견명사는 시기에 따라 그 성격과 참여 주체가 변화했다.

초기에는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주도하여 명나라와 통교를 추진하고 감합 무역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1411년 아시카가 요시모치 시기에 일시 중단되었다가 1432년 아시카가 요시노리 때 재개되었다.

이후 여러 다이묘들이 참여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고, 특히 호소카와 가문과 오우치 가문의 경쟁은 닝보의 난을 야기하기도 했다.

견명사 이력
회차연도비고
11401년막부선명에 국서. 조아(祖阿), 고이토미(肥富) 파견. 1402년 명, 대통력을 요시미쓰에게 주고 일본 국왕으로 대우.[16] 국서는 히가시보조 히데나가가 작성.
21403년막부선명에 국서. 겐추 게이미쓰 파견. 국서는 젯카이 츄신이 작성. 이후 견명사 정사, 부사는 주로 교토 5산 선승들이 담당.[17]
31404년막부선감합 무역 (일명 무역) 개시
4 ~ 71405년 ~ 1410년막부선
81411년막부선아시카가 요시모치 시기에 단절.
91432년막부선, 쇼고쿠지선, 야마나선, 다이묘지인주산케기아이선(이와시미즈샤 가문, 호소카와 가문 등), 산주산겐도선
101434년막부선, 쇼고쿠지선, 야마나선, 다이쇼인선, 산주산겐도선
111451년덴류지선, 이세 호라쿠샤선, 규슈 단다이선(하카타 세이후쿠지 조영선), 오토모 가문선, 오우치 가문선, 야마토 다무봉선
121465년막부선, 호소카와 가문선, 오우치 가문선이후 호소카와 가문과 오우치 가문 항쟁 시대, 지샤선 파견 중단.[18]
131476년막부선, 쇼고쿠지 슈하쓰인선
141483년막부선, 다이리선
151493년막부선, 호소카와 가문선
16, 171506년, 1520년오우치 가문선, 호소카와 가문선
181538년오우치 가문선1540년이라고도 함. 오우치 요시타카가 명에 파견. 고신 세키테이 등 동행. "일본은 조선을 복속, 사신 서차를 조선보다 위에" 요구.[19] 명은 거절.
191547년오우치 가문선마지막 견명사선.


3. 1. 초기 견명사 (1401년 ~ 1410년)

아시카가 요시미쓰는 명나라와의 관계를 주도하며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 1401년 요시미쓰는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통교를 요청했고, 1402년 명나라 영락제는 요시미쓰를 일본 국왕으로 책봉했다.[16] 1404년부터는 감합 무역(일명 무역)을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다.[12]

이 시기 견명사는 주로 막부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승려와 상인들이 참여하여 무역을 진행했다. 초기 견명사의 주요 인물과 사건은 다음과 같다.

초기 견명사 (1401년 ~ 1410년)
회차연도파견 주체주요 인물 및 사건
11401년막부정사 조아(祖阿), 하카타 상인 고이토미(肥富) 파견. 1402년 명, 대통력을 요시미쓰에게 주고 일본 국왕으로 대우.[16] 국서는 히가시보조 히데나가가 작성.
21403년막부승려 겐추 게이미쓰 파견. 국서는 승려 젯카이 츄신이 작성. 이후 견명사 정사, 부사는 주로 교토 5산 선승들이 맡음.[17]
31404년막부감합 무역 (일명 무역) 개시
41405년막부
51406년막부
61408년막부
71410년막부


3. 2. 견명사의 중단과 재개 (1411년 ~ 1432년)

1411년 아시카가 요시모치 시기에 왜구 문제 등으로 인해 견명사가 일시 중단되었다.[16] 요시모치는 명과의 관계에 소극적이었다. 1432년 요시모치의 뒤를 이은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명과의 조공 무역을 곧 정상적으로 회복시켰다.[17]

견명사(遣明使) 내역
횟수연도선박비고
81411년막부 선박이후, 아시카가 요시모치(足利義持) 시기에 단절.
91432년막부 선박·쇼코쿠지(相国寺) 선박·야마나(山名) 선박·다이묘 사찰 13개 가문 연합 선박 (이와시미즈(岩清水) 사가(社家)나 호소카와 가문 등의 공동 출자)·산주산겐도(三十三間堂) 선박


3. 3. 다이묘들의 참여와 경쟁 (1432년 ~ 1547년)

1432년 견명사 파견이 재개된 이후, 여러 다이묘들이 참여하면서 경쟁이 심화되었다.[18] 이는 일본 내 정치적 갈등을 야기했다. 특히 호소카와 가문(細川氏)과 오우치 가문(大内氏)은 견명사 파견을 주도하기 위해 경쟁했으며, 이는 닝보의 난과 같은 사건을 초래하기도 했다.[18]

1432년 ~ 1547년 견명사
횟수년도선박비고
91432년막부선 ・ 쇼고쿠지 선(相国寺船) ・ 야마나 선(山名船) ・ 다이묘지인주산케기아이 선(大名寺院十三家寄合船, 이와시미즈샤(岩清水社) 가문이나 호소카와 가문 등의 공동 출자) ・ 산주산겐도 선(三十三間堂船)
101434년막부선 ・ 쇼고쿠지 선 ・ 야마나 선 ・ 다이쇼인 선(大乗院船) ・ 산주산겐도 선
111451년덴류지 선(天竜寺船) ・ 이세 호라쿠샤 선(伊勢法楽舎船) ・ 규슈 단다이 선(九州探題船, 하카타 세이후쿠지(聖福寺) 조영선) ・ 오토모 선 ・ 오우치 선 ・ 야마토 다무 봉 선(大和多武峯船)
121465년막부선・호소카와 선・오우치 선이후 호소카와 씨와 오우치 가문(大内氏)과의 항쟁 시대가 되어, 지샤 선(寺社船)은 파견되지 않게 되었다.[18]
131476년막부선 ・ 쇼고쿠지 슈하쓰인 선(相国寺勝鬘院船)
141483년막부선・다이리 선(内裏船)
151493년막부선・호소카와 선
161506년오우치 선・호소카와 선
171520년오우치 선・호소카와 선
181538년오우치 선1540년이라고도 한다. 조선과의 교역에 종사하고 있던 오우치 요시타카(大内義隆)가 명의 북경(北京)으로 파견하였다. 이때 승려 고신 세키테이(湖心碩鼎) 등이 함께 갔다. 또한 이때 "일본은 조선을 복사(服事, 복속)시키고 있으니 사신의 서차를 조선보다 위에 두어야 한다"고 명에 요구하기도 했다.[19] 명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191547년오우치 선마지막 견명사선.


4. 견명사의 구성과 역할

견명사는 명나라에 파견된 사절단으로, 정사(正使)와 부사(副使) 외에 승려, 상인, 통역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명나라 황제에게 조공하고 회사품을 받아오는 것이 주된 임무였다. 또한 감합부(勘合符)를 소지하고 감합무역을 진행했는데, 이는 명나라가 발행한 '감합'이라는 증명서를 가진 선박만이 조공선으로 인정받아 무역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5] 이를 통해 일본과 중국 간의 상품 교환이 이루어졌다.[7]

견명사는 명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입하고 일본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임제종 승려 게이안 게이주나 수묵화가 셋슈 등이 견명사를 통해 명나라 문물을 접했다.

1540년 오우치 요시타카는 견명사를 파견하면서 "일본은 조선을 복속시키고 있으니 사신의 서차를 조선보다 위에 두어야 한다"고 명나라에 요구하기도 했는데,[19] 이는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서 명나라의 지위를 이용해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였다.

4. 1. 사절단의 구성

견명사는 정사(正使)와 부사(副使)를 비롯하여 승려, 상인, 통역관 등으로 구성되었다. 1403년 두 번째 견명사 때 승려 겐추 게이미쓰(堅中圭密)가 파견된 이후, 주로 교토 5산(五山)의 선승들이 정사나 부사를 맡았다.[17]

하카타(博多)와 사카이(堺) 등지의 유력 상인들은 견명사에 참여하여 무역을 담당했다. 예를 들어 1401년 첫 번째 견명사에는 정사 조아(祖阿)와 함께 하카타의 상인 고이토미(肥富)가 파견되었다.[16]

4. 2. 주요 임무

견명사의 주요 임무는 명나라 황제에게 조공품을 바치고 회사품(回賜品)을 받아오는 것이었다. 견명사는 감합부(勘合符)를 소지하고 감합무역을 진행했다.[15] 감합무역은 명나라가 발행한 증명서인 '감합'을 가진 선박만이 조공선으로 인정받아 무역을 할 수 있는 방식이었다.[5] 이를 통해 일본 상품과 중국 상품의 교환이 이루어졌다.[7]

견명사는 명나라의 선진 문물을 수입하고, 일본의 문화를 전파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예를 들어, 임제종 승려 게이안 게이주나 수묵화가 셋슈 등이 견명사를 수행하며 명나라의 문물을 접했다.

1540년에는 오우치 요시타카가 견명사를 파견하면서, "일본은 조선을 복속시키고 있으니 사신의 서차를 조선보다 위에 두어야 한다"고 명나라에 요구하기도 했다.[19] 이는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서 명나라의 지위를 이용하여 우위를 점하려는 시도였다.

5. 견명사의 영향

견명사는 경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방면에 걸쳐 일본에 영향을 미쳤다.
경제적 영향아시카가 요시미쓰명나라와의 조공 무역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었고, 이는 막부 재정에 크게 기여했다. 일본은 명으로부터 대량의 동전을 수입하여 주요 통화로 사용했다.[15] 감합 무역을 통해 일본과 명나라는 상호 이익을 위한 무역 조건을 발전시켰다.[5]
문화적 영향견명사는 명나라의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하여 선종, 수묵화 등 다양한 문화 요소가 일본에 전래되는 데 기여했다.[15]
정치적 영향아시카가 요시미쓰가 명과의 조공 관계를 수립한 것은 조공 무역에 따른 이익이 막부 재정에 중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대명 정책에 불만을 품고 조공 무역을 중단하기도 했다.[15] 1538년에는 오우치 요시타카가 명나라에 견명사를 파견하여 조선보다 높은 서열을 요구하는 등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 갈등을 야기하기도 했다.[19]

5. 1. 경제적 영향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일본 국내의 비난을 무릅쓰고 명과의 조공 관계 수립에 힘쓴 것은 조공 무역에 따른 막대한 이익이 막부 재정에 매우 중요했기 때문이다. 이익이 보장되는 조공 무역 외에도 사절단을 수행하는 승려와 상인들이 가져간 상품을 교역할 수 있었으므로, 명과의 무역은 일본에게 매우 매력적이었다.[15] 특히 당시 일본에서는 화폐 경제가 발달했지만 동전을 자체적으로 만들 수 없었기 때문에, 명에서 수입한 대량의 동전은 일본의 주요 통화로 사용되었다.[15]

감합 무역은 명나라가 발행한 '감합부'라는 증명서를 가진 선박만 조공선으로 인정하는 방식이었다.[15] 감합 무역을 통해 일본 상품과 중국 상품을 교환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상호 이익을 위한 무역 조건이 발전했다.[5]

5. 2. 문화적 영향

견명사는 명나라의 선진 문물을 일본에 전파하여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선종, 수묵화 등 다양한 문화 요소들이 일본에 전래되었다.[15] 특히, 견명사에 참여한 승려들은 일본 불교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임제종 승려이자 사쓰난 학파의 시조인 게이안 겐주(1427년~1508년)와 선승이자 수묵화가였던 셋슈(1420년~1502년 또는 1506년) 등이 있다.[15] 이들은 명나라의 선진 문화를 일본에 소개하고 확산시키는 데 큰 공헌을 하였다.

5. 3. 정치적 영향

아시카가 요시미쓰명나라와의 조공 관계를 수립한 것은 조공 무역에 따른 막대한 이익이 막부 재정에 절대적으로 중요했기 때문이다. 조공 무역 외에도 사절을 수행하는 승려와 상인들이 가져간 상품을 교역할 수 있었으므로 일본에게 대명 무역은 매우 매력적이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으나 동전을 주조할 수 없었으므로, 명에서 수입되는 대량의 동전은 일본의 주요한 통화로서 기능하기도 하였다.[15]

그러나 요시미쓰의 뒤를 이어 쇼군이 된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아버지의 대명 정책에 불만을 품고 1411년부터 명 사신의 입국을 거절하고 대명 조공 무역을 중단시켰다. 이 무렵 왜구의 활동이 일시적으로 재개되었으며, 망해과 전투가 일어난 것도 이 시기였다. 영락제는 두 차례 사신을 보내 일본에 조공을 재개하도록 종용하였으나 요시모치는 강경한 태도를 굽히지 않았다. 요시모치의 뒤를 이어 쇼군이 된 아시카가 요시노리는 명과의 조공 무역을 곧 정상적으로 회복시켰다.[15]

1538년에는 오우치 요시타카가 명나라 북경으로 견명사를 파견하면서, "일본은 조선을 복속시키고 있으니 사신의 서열을 조선보다 위에 두어야 한다"고 요구하기도 했다.[19] 이는 조선과의 외교 관계에서 갈등을 야기하는 요인이었다.

6. 견명사 파견 일람

견명사 이력
회차년도파견 선박비고
11401년막부선(幕府船)명에 국서를 보냄. 정사(正使) 조아(동朋衆)·하카타(博多) 상인 고이토미를 파견. 이듬해(1402년) 명은 대통력을 요시미쓰에게 주고 일본 국왕으로 예우함.[16] 국서는 당시 구게(公家) 히가시보조 히데나가가 작성.
21403년막부선명에 국서를 보냄. 승려 겐추 게이미쓰를 파견. 국서는 승려 젯카이 츄신이 작성. 이후 견명사의 정사·부사는 주로 교토 5산(五山)의 선승들이 맡음.[17]
31404년막부선감합 무역(명일 무역) 개시
41405년막부선
51406년막부선
61408년막부선
71410년막부선
81411년막부선아시카가 요시모치 시기에 단절됨.
91432년막부선·쇼코쿠지선·야마나선·다이묘지인주산케기아이선(이와시미즈샤 가문이나 호소카와 가문 등의 공동 출자)·산주산겐도선
101434년막부선·쇼고쿠지선·야마나선·다이쇼인선·산주산겐도선
111451년덴류지선·이세 호라쿠샤선·규슈 단다이선(하카타 세이후쿠지 조영선)·오토모선·오우치선·야마토 다무봉선
121465년막부선·호소카와선·오우치선호소카와 씨와 오우치 씨의 항쟁 시대가 되어, 지샤선(寺社船)은 파견되지 않게 됨.[18]
131476년막부선·쇼고쿠지 슈하쓰인선
141483년막부선·다이리선
151493년막부선·호소카와선
161506년오우치선·호소카와선
171520년오우치선·호소카와선
181538년오우치선덴분 9년(1540년)이라고도 함. 조선과의 교역에 종사하던 오우치 요시타카가 명의 북경(北京)으로 파견. 승려 고신 세키테이 등이 함께 감. "일본은 조선을 복사(服事, 복속)시키고 있으니 사신의 서차를 조선보다 위에 두어야 한다"고 명에 요구했으나, 명은 받아들이지 않음.[19]
191547년오우치선마지막 견명사선.


7. 평가 및 현대적 의의

견명사는 명나라일본 사이의 외교 및 무역 사절단으로, 1404년 감합무역(일명 무역)의 형태로 시작되었다.[15] 이 시기 조선도 명의 책봉 체제에 편입되어 동아시아 정세가 안정되었다. 그러나 일본 국내 정치 상황과 맞물려 여러 문제점을 야기하기도 했다. 아시카가 요시모치는 아버지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대명 정책에 불만을 품고 조공 무역을 중단시켰으며, 이로 인해 왜구 활동이 일시적으로 재개되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견명사는 단순한 외교, 무역 사절단을 넘어 동아시아 국가 간 문화 교류 및 상호 이해를 증진하는 기회였다. 일본 임제종 승려 게이안 겐주나 수묵화가 셋슈 등이 견명사를 수행하며 문화 교류에 기여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견명사를 통해 한반도와 주변국 간의 평화와 협력을 증진할 수 있었던 기회를 강조하고, 상호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한 미래지향적인 관계 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참조

[1] 논문 China in Tokugawa Foreign Relations: The Tokugawa Bakufu’s Perception of and Attitudes toward Ming-Qing China http://www.chinajapa[...] 2003
[2] 서적 Articulating the Sinosphere: Sino-Japanese Relations in Space and Time http://www.hup.harv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3] 웹사이트 日明貿易と博多 http://museum.city.f[...] Fukuoka City Museum 2023-01-29
[4] 웹사이트 日明貿易 https://kotobank.jp/[...] Kotobank 2023-01-29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Zen Buddhism https://books.google[...] 2002
[7] 서적 Japan Encyclopedia 2005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Across the Perilous Sea : Japanese Trade with China and Korea from the Seventh to the Sixteenth Centuries 2006
[10] 서적 Dictionary of Ming biography, 1368-1644 https://books.google[...] 1976
[11] 서적
[12] 서적 日本仏教史 中世 吉川弘文館 1998
[13] 서적 日本仏教史 中世 吉川弘文館 1998
[14] 서적 中世倭人伝 岩波新書 1993
[15] 문서
[16] 서적 日本仏教史 中世 吉川弘文館 1998
[17] 서적 日本仏教史 中世 吉川弘文館 1998
[18] 서적 日本仏教史 中世 吉川弘文館 1998
[19] 서적 中世倭人伝 岩波新書 19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