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바야시 세이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바야시 세이조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연합함대 사령장관, 대만 총독, 국무대신 등을 역임했다. 히로시마 출신으로 해군병학교를 졸업하고 러일 전쟁에 참전했으며, 해군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영국과 미국 주재 무관을 거쳐 해군성에서 요직을 두루 역임했으며, 제네바 해군 군축 회의에 수석 수행원으로 참석했다. 2.26 사건 이후 예비역으로 편입된 후 대만 총독을 지냈으며, 태평양 전쟁 중에는 국무대신을 역임했으나, 종전 후 전범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불기소 처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이조 고등학교 동문 - 아카마츠 켄
아카마츠 켄은 《아이러브 서티》, 《러브히나》, 《마법선생 네기마!》 등의 미소녀 러브 코미디 만화로 유명한 일본의 만화가이자, 2022년 참의원 의원 당선 후 표현의 자유 옹호와 저작권 보호 등의 활동을 하는 정치인이다. - 가이조 고등학교 동문 - 스즈키 모사부로
스즈키 모사부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사회주의 운동가로, 시베리아 개입 반대와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반전 평화 사상을 펼치며 일본사회당 위원장으로 활동하다 정계에서 은퇴했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고가 미네이치
고가 미네이치는 일본 제국 해군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함대 사령장관을 지냈으며, 해군병학교 졸업 후 여러 함선 근무와 주요 요직을 거쳐 야마모토 이소로쿠의 후임으로 연합함대 사령장관이 되었으나 팔라우 대공습 중 사망하여 대함거포주의론자이자 영미 협조파로서 복잡한 면모를 보였던 그의 사망과 일본 해군의 몰락에 대한 평가는 다양하다. - 연합함대사령장관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 공5급 금치훈장 수훈자 - 요나이 미쓰마사
요나이 미쓰마사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가로, 해군 무관으로서 국제적 경험을 쌓고 연합함대 사령장관과 해군대신을 역임했으며, 추축국 진영 참여에 반대하고 미영과의 협상을 모색하다 총리대신에 취임했으나 육군과의 갈등으로 사임, 태평양 전쟁 말기 해군대신으로 포츠담 선언 수락에 기여한 인물이다. - 공5급 금치훈장 수훈자 - 오카다 게이스케
오카다 게이스케는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 참전한 일본 제국 해군 대장이자 총리대신으로, 런던 해군 군축 회의에서 군비 축소를 주장하고 2·26 사건 암살 위기를 겪었으며, 태평양 전쟁 종전에도 기여한 온건파 정치인이다.
고바야시 세이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小林 躋造 (こばやし せいぞう) |
출생 | 1877년 10월 1일 |
출생지 | 일본 히로시마현 |
사망 | 1962년 7월 4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세타가야구 |
묘소 | 다마 영원 |
경력 | |
소속 | 일본 제국 해군 |
복무 기간 | 1898년 - 1936년 |
최종 계급 | 해군 대장 |
참전 | 러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수상 내역 | 욱일대수장 서보대수장 |
주요 보직 | |
정치 경력 | |
타이완 총독 재임 기간 | |
임기 시작 | 1936년 9월 2일 |
임기 종료 | 1940년 11월 27일 |
이전 | 나카가와 겐조 |
이후 | 하세가와 기요시 |
2. 생애
고바야시 세이조는 1877년 히로시마에서 태어나 일본 제국 해군에서 경력을 쌓았다. 1898년 제국 해군병학교를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코르벳함 ''히에이''에서 소위로 복무를 시작했다.[1] 1900년에는 전함 ''하츠세''에서 중위로 진급했고,[1] 1902년부터 1905년까지는 순양함 ''나니와''의 포병 장교로 근무했다.[2] 1912년에는 영국 해군의 에서 장교로 파견되어 복무하기도 했다.[2]
1917년 대령으로 진급하여 순양함 ''히라도''를 지휘했으며, 1920년에는 런던 주재 제국 일본 대사관의 해군 무관으로 임명되었다. 1922년에는 소장으로 진급했다.[3] 1928년에는 중장으로서 ''이즈모''에 탑승하여 해군 함대를 지휘하며 시드니 항만을 방문했는데, 이는 그가 시드니를 방문한 네 번째였다. 그는 영국 해군 에서 함께 복무했던 Dudley de Chair 경 뉴사우스웨일스 주지사의 영접을 받았다.[3][4]
제1차 세계 대전 중 고바야시는 연합 함대를 지원한 공로로 미국 해군 십자 훈장을 받았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격침된 적 함선의 처분을 담당하는 위원회에서 활동했고, 1927년 무기 제한을 위한 제네바 해군 군축 회의에서 일본의 수석 해군 전문가로 활동했다. 1930년 6월, 해군 차관으로 임명되었으며, 1931년 12월에는 일본 제국 해군의 연합 함대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1933년 3월 1일, 대장으로 진급했다.[5]
1936년 3월, 2.26 사건의 여파로 고바야시는 해군 예비역으로 전출되었다. 같은 해 9월 2일, 타이완 총독으로 임명되어 "일본화" 정책을 추진했다. 1937년 4월 식민지 내 모든 중국어 매체를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했으며, 국가 신토 강요와 전통적인 중국 축제 및 관습 금지를 시행했다.[5][6]
1940년 타이완 총독직에서 사임한 후, 참의원이 되었고, 12월에는 국무 대신의 장관 직함을 받았으나 1945년 3월에 사임했다. 1946년 2월에는 참의원 직에서 물러났다.
2. 1. 초기 이력
고바야시 세이조는 히로시마현 출신으로, 아버지는 히로시마번아사노씨의 가신 하야가와 가메타로이다. 그는 삼남으로 태어나 어머니쪽 가문인 고바야시가로 입양되어 이 집안의 성을 가지게 되었다. 해군병학교 26기생으로 졸업하였으며, 해군 원수 가토 도모사부로의 조카인데다 졸업 성적이 뛰어나 일본 제국 해군에서 빠른 승진을 보장받았다.이후 여러 함정에서 해상근무를 하다가 포술 장교로서 러일 전쟁에 참전하였고, 참모로 일하다 장교로서 출세 코스인 해군대학교에 입학해 우등으로 졸업하였다.
이후 다시 해상근무를 하다가 행정 장교로 해군성 근무를 하기도 하였다. 이때 야마모토 곤노효에 해군 대신의 비서관으로 근무하여 해군성 내에서 지위가 확고해졌다.
1911년 영국, 1913년에는 미국에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다. 이후 돌아와서도 계속 행정직으로 근무하다가 1916년 "히라도" 함장으로 단 한 차례 근무한 것이 그의 유일한 함장경력이다.
히로시마시 다이야마치(현: 미나미구 교바시마치) 출생이다. 10세 때 어머니 쪽의 고바야시 하루노스케의 양자가 되어, 소년기는 오노미치에서 자랐다. 해군병학교 동기로 차석 졸업인 노무라 키치사부로가 있었다. 쇼와 초기에 중장으로 진급했을 무렵은, 둘 다 장래의 해군대신 후보로 불리며 장래를 촉망받는 몸이 되었다.
「후지」, 「하츠세」, 「콩고」 승무원으로서 실지를 체험하고, 「나니와」 포술장이 되었다. 종래의 관례에서는 대위로 진급해야 취임할 수 없는 포술장의 지위에 중위 신분으로 취임한 것으로 보아, 고바야시에 대한 기대가 엿보인다.[1] 러일 전쟁 중에는, 「나니와」 포술장, 제2함대참모, 제3함대 참모를 거쳐, 1년 사이에 제4함대·남청 함대 참모를 역임했다.
해군대학교 갑종 제6기를 수석으로 졸업했다. 그 전후에, 「이츠쿠시마」, 「이와미」 포술장을 역임했다. 군무국·교육본부의 부원을 겸임하고, 해군성에서 야마모토 곤베 해군대신 선임 비서관을 맡아, 해군성에서의 지위를 굳혔다.
1911년 7월에 영국, 이어서 1913년에 미국에 파견되었다. 교육본부·함정본부의 부원을 역임하여 군정관의 길을 걸었으며, 중좌 신분으로 「히라도」 함장에 부임하여 유일한 함장 경험을 쌓았다. 2년 후 해군성 선임 부관이 되고, 2년 반 후 영국 대사관 부속 무관으로 파견되어 2년간 영국에 머물렀다.
이 기간 동안 고바야시는 영국의 군사 항공 권위자 윌리엄 셈필의 호의를 얻었다. 해군 항공의 발전을 위해 셈필을 일본에 초청하여 해군 항공대 교육을 의뢰했고, 셈필과의 교섭 끝에 가스미가우라 해군 항공대에서 2년간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것이 「셈필 교육단」으로, 영국제 항공기를 모델로 해군 항공기 설계를 하게 되어 프랑스식 항공을 대체했다.
2. 2. 해군 주요 경력
고바야시 세이조는 일본 제국 해군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보직을 거쳤다.연도 | 직책 |
---|---|
1898년 | 제국 해군병학교 졸업 후, 코르벳함 히에이 소위 복무[1] |
1900년 | 전함 하츠세 중위 진급[1] |
1902년 - 1905년 | 순양함 나니와 포병 장교 |
러일 전쟁 기간 | "나니와" 포술장, 제2함대 참모, 제3함대 참모, 제4함대 및 남청 함대 참모 역임 |
- | 해군대학교 갑종 제6기 수석 졸업 |
- | "이츠쿠시마", "이와미" 포술장 역임 |
- | 군무국, 교육본부 부원 겸임, 해군성 근무, 야마모토 곤베 해군대신 선임 비서관 역임 |
1911년 | 영국 주재무관 파견 |
1912년 | 장교 파견 복무[2] |
1913년 | 미국 주재무관 파견 |
1916년 | "히라도" 함장 (유일한 함장 경력) |
1917년 | 대령 진급, 순양함 히라도 지휘 |
1920년 | 런던 주재 제국 일본 대사관 해군 무관 임명 |
1922년 | 소장 진급 |
- | 제3전대 사령관 역임 |
- | 자이젠 타케시, 무라카미 카쿠이치 해군대신 아래에서 군무국장 역임 |
1926년 | 중장 진급 |
1927년 | 제네바 해군 군축 회의에서 사이토 마코토 전권대사 수석 수행원 |
1928년 | 중장, 이즈모 함대 지휘, 시드니 항만 방문[3][4] |
- | 연습함대 사령관 역임 |
1929년 | 함정 본부장 역임 |
- | 해군 차관 역임 |
1931년 12월 1일 | 연합 함대 사령장관 임명 |
1933년 3월 1일 | 대장 진급 |
1933년 11월 15일 | 군사참의관 임명 |
- |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 함대 지원 공로, 미국 해군 십자 훈장 수여 |
- | 전후, 적 함선 처분 담당 위원회 활동 |
2. 3. 타이완 총독
1936년 육군의 황도파에 의한 2.26 사건으로 육군에서 다수의 장성들이 예편되었고, 해군에서도 3명의 제독이 예편되었는데, 고바야시도 그중 한 명이었다. 고바야시는 황도파와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그의 예편은 의외였다. 그의 경질로 조약파는 완전히 힘을 잃게 되었다.[5]반년 후 고바야시는 타이완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쇼와 천황 시대의 타이완 총독은 모두 문관이었으나, 고바야시는 무관 출신이었기 때문에 이례적이었다. 그는 동남아로 진군하기 위한 타이완의 남진기지화에 발맞추어 4년간 타이완에 "황민화" 정책을 실시하였다. 조선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황민화 정책에는 타이완 문화 탄압, 신사참배 강요, 중국어 신문 폐간, 창씨개명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5]
오랜 문민 총독 통치 이후 첫 번째 군 출신 총독인 고바야시는 식민지 상태를 폐지하고 섬의 대만인과 일본인 간의 구분을 없애 일본 본토의 근본적인 일부로 만들면서 "일본화" 정책을 따랐다. 총독으로서 고바야시는 1937년 4월 식민지 내 모든 중국어 매체를 금지하고 일본어의 우위를 확인하는 명령을 내렸으며, 이 정책은 곧 식민지의 학교에서도 따라 시행되었다.[5] 이 정책은 皇民化運動|kōminka undō일본어 즉, "[정복된 사람들]을 황제의 신하로 변모시키기 위한 운동"을 의미했다. 이 새로운 공격적인 식민 정책은 또한 국가 신토의 강요와 전통적인 중국 축제 및 관습 금지를 필요로 했다.[6]
총독 취임 4년째인 1940년 11월, 기원 2600년 기념식전 참석 시, 고노에 수상 및 아키타 타쿠 대신에게 사의를 표명하고, 같은 달 27일에 사직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연합국 최고사령부는 일본 정부에 고바야시를 전범 혐의로 체포하도록 명령했다. 그는 구류되었지만, 불기소 처분으로 석방되었다. 1947년 귀족원이 폐지되기 3개월 전, 고바야시는 귀족원 의원직을 사임하고 공직에서 추방되었다. 1952년 추방이 해제되었지만, 고바야시는 정계에 복귀하지 않고 은퇴 생활을 했다. 1962년 7월 4일, 고바야시는 86세로 도쿄에서 사망했다. 그의 묘소는 다마 영원에 있다.3. 평가
고바야시 세이조는 일본 해군 내에서 국제 군축 조약 준수를 옹호하는 '조약파'의 주요 인물이었으며, 영국과의 협력을 중시했다. 이러한 성향은 해군 내 '함대파'와의 갈등을 야기했고, 그의 경력에 영향을 주었다.
- 영국과의 협력: 고바야시는 영국 주재 무관으로 근무하면서 영국의 군사 항공 전문가 윌리엄 셈필 대령과 교류했고, 그를 일본에 초빙하여 가스미가우라 해군 항공대를 육성하는 데 기여했다. 이는 일본 해군 항공력 발전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 군축 조약 관련 논란: 고바야시는 제네바 해군 군축 회의와 런던 해군 군축 조약에서 조약 준수 입장을 견지했다. 하지만, 이는 함선 건조 확대를 주장하는 함대파의 반발을 샀다.
- 함대파와의 갈등: 런던 해군 군축 조약 이후 함정본부장으로 재직하던 고바야시는 함대파의 비난 대상이 되었다. 보조함 보유 제한으로 인해 신규 전함 건조 계획이 취소되면서, 함대파는 고바야시가 조약 반대 의사를 명확히 밝히지 않은 점을 문제 삼았다. 이후 해군 차관으로 임명되었으나, 함대파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어려움을 겪었고, 결국 조약파는 해군 내에서 세력을 잃게 되었다.
- 2·26 사건 이후 예편: 2·26 사건 이후 육군에서 다수의 장성이 예편될 때 해군에서도 3명의 제독이 예편되었는데, 고바야시도 그중 한 명이었다. 황도파와 관계가 없었음에도 예편되어, 조약파의 마지막 거물로서 숙청되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3. 1. 부정적 평가
고바야시 세이조는 일본 제국 해군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그의 경력과 정책은 여러 논란을 낳았다. 특히 대만 총독 시절 시행한 황민화 정책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황민화 정책: 고바야시는 1936년부터 1940년까지 타이완 총독으로 재임하면서, 타이완을 일본 제국의 일부로 동화시키기 위한 황민화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했다. 이 정책은 조선에서와 마찬가지로 타이완의 문화적 정체성을 억압하고 일본 문화를 강요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 문화 탄압: 타이완의 전통문화와 관습을 억압하고, 일본식 생활 방식을 강요했다.
- 신사참배 강요: 타이완인들에게 일본 신사 참배를 강요하여 종교적 자유를 침해했다.
- 중국어 신문 폐간: 중국어로 발행되는 신문을 폐간시켜 언론의 자유를 억압하고 정보 접근을 제한했다.
- 창씨개명 강요: 타이완인들에게 일본식 성명으로 개명할 것을 강요하여 민족적 정체성을 말살하려 했다.
이러한 황민화 정책은 타이완인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일제 강점기 한국의 민족말살정책과 유사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고바야시의 정책은 타이완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오늘날까지도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 군축 조약 관련 논란: 고바야시는 국제 군축 조약 준수를 주장하는 조약파의 주요 인물이었으나, 런던 해군 군축 조약 체결 과정에서 함대파의 비난을 받았다. 함대파는 고바야시가 조약 반대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고 오히려 수면 아래에서 조약을 추진했다고 의심했다.
4. 연보
연도 | 사건 |
---|---|
1877년(메이지 10년) 10월 1일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다이야마치(현: 미나미구 교바시정) 출생[9] |
1896년(메이지 29년) 2월 5일 | 해군병학교 입학 (입학 시 성적 순위 62명 중 4위)[9] |
1896년(메이지 29년) 12월 11일 | 우등 학술장 수상[9] |
1896년(메이지 29년) 12월 18일 | 우등 학술장 수상[9] |
1898년(메이지 31년) 12월 13일 | 해군병학교 졸업 (졸업 시 성적 순위 59명 중 3위), 해군 소위 후보생 임명, 포함 "히에이" 승무[9] |
1898년(메이지 31년) 12월 14일 | 연습함 원양 항해 출발[9] |
1899년(메이지 32년) 8월 28일 | 원양 항해 귀환[9] |
1899년(메이지 32년) 9월 2일 | 전함 "후지" 승무[9] |
1900년(메이지 33년) 1월 12일 | 해군 소위 임명[9] |
1900년(메이지 33년) 8월 1일 | 전함 "하츠세" 회항 위원[9] |
1901년(메이지 34년) 2월 22일 | 영국 출발[9] |
1901년(메이지 34년) 4월 15일 | 귀국[9] |
1901년(메이지 34년) 5월 4일 | 요코스카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판사[9] |
1901년(메이지 34년) 8월 6일 |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 판사 면직[9] |
1901년(메이지 34년) 8월 30일 | 포함 "콩고" 승무[9] |
1901년(메이지 34년) 9월 5일 | 구레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 판사[9] |
1901년(메이지 34년) 10월 1일 | 해군 중위 임명[9] |
1901년(메이지 34년) 10월 8일 |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 판사 면직[9] |
1902년(메이지 35년) 5월 20일 | 함대 부속 군법회의 판사[9] |
1902년(메이지 35년) 9월 10일 | 요코스카 수뢰단 수뢰 설비대 분대장 겸임[9] |
1902년(메이지 35년) 9월 16일 | 요코스카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 판사[9] |
1902년(메이지 35년) 12월 6일 | 2등 순양함 "나니와" 포술장 겸 분대장 겸임[9] |
1902년(메이지 35년) 12월 11일 | 진수부 부속 군법회의 판사 면직[9] |
1903년(메이지 36년) 9월 26일 | 해군 대위 임명, 2등 순양함 "나니와" 포술장 겸 분대장[9] |
1905년(메이지 38년) 1월 27일 | 제3함대 사령부 참모[9] |
1905년(메이지 38년) 6월 14일 | 제4함대 사령부 참모[9] |
1905년(메이지 38년) 12월 20일 | 남청함대 사령부 참모[9] |
1906년(메이지 39년) 1월 25일 | 2등 순양함 "이츠쿠시마" 포술장[9] |
1906년(메이지 39년) 4월 1일 | 공5급 금계훈장 수상[9] |
1906년(메이지 39년) 8월 30일 | 사세보 진수부 사령부 참모 겸 사령장관 부관[9] |
1907년(메이지 40년) 4월 5일 | 해군대학교 갑종 제5기 입학[9] |
1908년(메이지 41년) 9월 25일 | 해군 소령 임명[9] |
1909년(메이지 42년) 5월 25일 | 해군대학교 갑종 졸업 (졸업 성적 순위 12명 중 수석)[9] |
1909년(메이지 42년) 5월 27일 | 전함 "이와미" 포술장[9] |
1909년(메이지 42년) 12월 1일 | 해군성 군무국 부속 무선 전신 조사 위원[9] |
1909년(메이지 42년) 12월 13일 | 교육본부 과원 겸임[9] |
1910년(메이지 43년) 3월 1일 | 해군성 선임 부관 겸 해군대신 비서관 겸 군사 참의관 부관[9] |
1911년(메이지 44년) 7월 15일 | 주 영국 대사관 부속 해군 주재 무관부 보좌관[9] |
1913년(다이쇼 2년) 1월 27일 | 주 미국 대사관 부속 해군 주재 무관 보좌관[9] |
1913년(다이쇼 2년) 9월 6일 | 귀국[9] |
1913년(다이쇼 2년) 12월 1일 | 해군 중좌 임명, 장갑순양함 "이와테" 부장[9] |
1914년(다이쇼 3년) 11월 8일 | 해군성 교육본부 출사[9] |
1914년(다이쇼 3년) 11월 11일 | 해군대학교 교관 겸임[9] |
1915년(다이쇼 4년) 9월 8일 | 해군성 함정본부 출사[9] |
1915년(다이쇼 4년) 10월 1일 | 해군성 기술본부 부관 겸 임시 건축 부원[9] |
1916년(다이쇼 5년) 12월 1일 | 2등 순양함 "히라토" 함장 겸임[9] |
1917년(다이쇼 6년) 4월 1일 | 해군 대좌 임명, 2등 순양함 "히라토" 함장[9] |
1917년(다이쇼 6년) 12월 1일 | 해군성 선임 부관[9] |
1920년(다이쇼 9년) 4월 1일 | 주 영국 대사관 부속 해군 주재 무관 겸 조선 조병 감독장[9] |
1922년(다이쇼 11년) 6월 1일 | 해군 소장 임명[9] |
1922년(다이쇼 11년) 6월 10일 | 귀국[9] |
1922년(다이쇼 11년) 12월 1일 | 제3전대 사령관[9] |
1923년(다이쇼 12년) 12월 1일 | 해군성 군무국장 겸 장관회의 의원[9] |
1924년(다이쇼 13년) 2월 1일 | 임시 항공회의 의장 겸임[9] |
1926년(다이쇼 15년) 12월 1일 | 해군 중장 임명[9] |
1927년(쇼와 2년) 3월 25일 | 해군성 출사[9] |
1927년(쇼와 2년) 4월 15일 | 제네바 해군 군축 회의 전권 수행원[9] |
1927년(쇼와 2년) 9월 28일 | 귀국[9] |
1928년(쇼와 3년) 1월 15일 | 연습함대 사령관[9] |
1928년(쇼와 3년) 4월 23일 | 연습함대 원양 항해 출발[9] |
1928년(쇼와 3년) 10월 3일 | 귀환[9] |
1929년(쇼와 4년) 2월 1일 | 해군성 함정 본부장 겸 장관회의 의원[9] |
1930년(쇼와 5년) 6월 10일 | 해군 차관[9] |
1931년(쇼와 6년) 12월 1일 | 연합함대 겸 제1함대사령장관[9] |
1932년(쇼와 7년) 3월 14일 | 훈1등서보장 수상[9] |
1933년(쇼와 8년) 3월 1일 | 해군 대장 임명[9] |
1933년(쇼와 8년) 5월 20일 | 연합함대 사령장관 겸 제1함대 사령장관 면직[9] |
1933년(쇼와 8년) 11월 15일 | 군사 참의관[9] |
1934년(쇼와 9년) 4월 29일 | 훈1등 욱일대수장 수상[9] |
1936년(쇼와 11년) 3월 28일 | 대기[9] |
1936년(쇼와 11년) 3월 30일 | 예비역 편입[9] |
1936년(쇼와 11년) 9월 2일 | 타이완 총독[9] |
1940년(쇼와 15년) 11월 27일 | 타이완 총독 면직[9] |
1942년(쇼와 17년) 2월 21일 | 대동아 건설 심의회 위원[9] |
1944년(쇼와 19년) 8월 | 익찬 정치회 총재[9] |
1944년(쇼와 19년) 8월 26일 | 귀족원 칙선 의원으로 칙임[9] |
1944년(쇼와 19년) 12월 19일 | 고이소 내각 국무대신[9] |
1945년(쇼와 20년) 3월 1일 | 국무대신 면직[9] |
1945년(쇼와 20년) 12월 2일 | 전쟁 범죄 혐의로 신병 구속[11] |
1945년(쇼와 20년) 12월 12일 | 신병 석방[9] |
1946년(쇼와 21년) 2월 22일 | 귀족원 의원 사임[9] |
1947년(쇼와 22년) 11월 28일 | 공직 추방[12] |
1962년(쇼와 37년) 7월 4일 | 도쿄도세타가야구 자택에서 사망, 향년 84세[9] |
1962년(쇼와 37년) | 묘소는 도쿄도 후추시 다마 묘지[9] |
5. 수훈
- 훈1등 서보대수장
훈1등 서보장
수여일 | 위계 |
---|---|
1900년 2월 20일 | 정8위[16] |
1901년 12월 17일 | 종7위[17] |
1903년 12월 19일 | 정7위[18] |
1908년 12월 11일 | 종6위[19] |
1914년 1월 30일 | 정6위[20] |
1917년 4월 20일 | 종5위[21] |
1922년 5월 10일 | 정5위[22] |
1926년 12월 28일 | 종4위[23] |
1931년 12월 15일 | 정4위[24] |
1934년 1월 15일 | 종3위[25] |
1936년 4월 18일 | 정3위[26] |
1944년 12월 28일 | 종2위[27] |
참조
[1]
웹사이트
Kobayashi Seizo
2012-07-22
[2]
뉴스
KNEW GOVERNOR
http://nla.gov.au/nl[...]
2016-07-14
[3]
뉴스
VICE-ADMIRAL AND OFFICERS OF JAPANESE SQUADRON LANDING IN SYDNEY.
http://nla.gov.au/nl[...]
2016-07-14
[4]
뉴스
SYDNEY'S PROGRESS PRAISED
http://nla.gov.au/nl[...]
2016-07-14
[5]
서적
The State of Taiwanese Culture and Taiwanese New Literature in 1937
Columbia University Press
[6]
서적
Japanese Attitudes towards Colonialism, 1895-1945
Princeton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近代東京における私立中学校の予備校的役割
[8]
서적
小林躋造伝
帝国軍事教育会
[9]
뉴스
総督更迭、長谷川清海軍大将が新任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40-11-27
[10]
서적
山本五十六再考
[11]
뉴스
梨本宮・平沼・平田ら五十九人に逮捕命令
毎日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1945-12-04
[12]
서적
公職追放に関する覚書該当者名簿
日比谷政経会
[13]
뉴스
朝日新聞
1952-03-15
[14]
서적
貴族院要覧(丙)
[15]
서적
貴族院要覧(丙)
[16]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0-02-21
[17]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1-12-18
[18]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3-12-21
[19]
간행물
叙任及辞令
1908-12-12
[20]
간행물
叙任及辞令
1914-01-31
[21]
간행물
叙任及辞令
1917-04-21
[22]
간행물
叙任及辞令
1922-05-11
[23]
간행물
叙任及辞令
1927-01-17
[24]
간행물
叙任及辞令
1931-12-23
[25]
간행물
叙任及辞令
1934-01-18
[26]
간행물
叙任及辞令
1936-04-22
[27]
간행물
叙任及辞令
1945-06-20
[28]
간행물
叙任及辞令
1922-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