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산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산문은 신라 말 고려 초에 성립된 9개의 선종 종파를 통칭하는 용어이다. 9산은 가지산문, 실상산문, 희양산문, 봉림산문, 동리산문, 성주산문, 사자산문, 사굴산문, 수미산문으로 구성된다. 구산선문은 한국 불교의 역사, 사상, 주요 인물, 종파, 문화유산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며, 고려 시대에는 조계종의 중흥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선불교 - 한국불교태고종
태고 보우의 법통을 잇는 한국불교태고종은 대처승 제도를 유지하며 영산재와 같은 전통 의례를 보존하고, 조계종에서 분리되어 1970년 창종된 불교 종단이다. - 선불교의 종파 - 법안종
법안종은 청량 문익이 창시한 선종 종파로, 교선일치 사상을 바탕으로 선 수행과 교학 연구를 병행할 것을 강조하며 남당과 오월 지역, 그리고 고려에서 발전했으나 송나라 시대에 임제종에 흡수되었다. - 선불교의 종파 - 선종 5가
선종 5가는 위앙종, 임제종, 조동종, 법안종, 운문종을 포함하는 선종의 주요 종파로, 당송시대에 발전하여 각기 다른 특징과 수행법으로 선불교의 다양한 흐름을 형성했으며, 특히 임제종은 간화선을, 조동종은 묵조선을 중시하며 현대 동아시아 선불교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명수 9 - 규슈
규슈는 일본 남서부에 위치한 4대 주요 섬 중 하나로, 풍부한 온천 자원과 다양한 문화, 7개의 현으로 구성된 규슈 지방, 그리고 활발한 경제 활동이 특징이다. - 명수 9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구산문 | |
---|---|
개요 | |
명칭 | 구산선문 (九山禪門) |
별칭 | 구산 (九山) 구산선 (九山禪) 구산선종 (九山禪宗) |
종류 | 선종 |
국가 | 한국 |
시대 | 신라, 고려 |
역사 | |
형성 시기 | 신라 말 ~ 고려 초 |
창건 배경 | 당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승려들이 각자의 선 사상을 펼치면서 형성 |
특징 | 지방 호족 세력의 후원 다양한 선 사상 교종과의 갈등 및 융합 시도 |
구산 | |
가지산문 | 개창자: 체징 중심 사찰: 보림사 위치: 전라남도 장흥 |
실상산문 | 개창자: 홍척 중심 사찰: 실상사 위치: 전라북도 남원 |
희양산문 | 개창자: 도헌 중심 사찰: 봉암사 위치: 경상북도 문경 |
봉림산문 | 개창자: 현욱, 심희 중심 사찰: 봉림사 위치: 경상남도 창원 |
동리산문 | 개창자: 혜철 중심 사찰: 태안사 위치: 전라남도 곡성 |
성주산문 | 개창자: 무염 중심 사찰: 성주사 위치: 충청남도 보령 |
사자산문 | 개창자: 도윤, 절중 중심 사찰: 흥녕사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영월 |
사굴산문 (도굴산문) | 개창자: 범일 중심 사찰: 굴산사 위치: 강원특별자치도 강릉 |
수미산문 | 개창자: 이엄 중심 사찰: 광조사 위치: 황해남도 해주 |
2. 역사
경덕왕 때까지 신라 불교는 활발했으나 이후 침체되었다. 이 시기에 중국에서 선종이 들어왔다. 달마로부터 시작된 중국의 선종은 6조 혜능에 이르러 남북으로 나뉘며 크게 발전했고, 신라 학승들이 이 선법을 배워왔다.[8]
신라에 전해진 선법은 주로 6조 혜능의 제자들을 통해서였다. 도의는 784년 당나라로 가서 지장에게서 선법을 배우고 831년에 귀국했으나, 신라에서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도의는 설악산에 은거하며 제자 염거에게 법을 전했고, 염거는 다시 체징에게 전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9산선문이 성립되기 시작했다.[8]
고려 태조는 불교를 장려하며 종파에 차별을 두지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선종을 선호하여 선승을 우대했다. 왕사와 국사 제도가 이때부터 시작되었고, 승려의 위계질서를 위해 승과 제도가 설치되었다. 신라 말 9산은 고려 이엄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9]
성종 때 선법의 영향으로 여러 종파의 교학이 쇠퇴하는 듯했으나, 화엄교학만은 그 세력을 유지했다. 의상 이후 화엄학은 꾸준히 연구되어 고려에 계승되었으며, 대승보살의 실천적 행동을 강조했기 때문에 선종과 교종 모두에서 널리 연구되었다.[9] 의천은 문종의 넷째 아들로 출가하여 화엄학을 배우고 송나라에서 천태학을 공부한 후, 천태교관을 강설하고 속장경을 출판했다.[9]
2. 1. 삼국시대의 불교 전래와 수용
경덕왕(재위 742∼765) 때까지 활발했던 신라의 불교는 그 후 점점 침체되어 갔다.[8] 이 무렵 중국에서 직절 간명한 선(禪)불교가 들어왔다.[8] 이 새로운 선풍(禪風)은 중국에서 달마 이래 종풍이 확립되어 독특한 선종(禪宗)으로 성립, 발전된 것이다. 중국 선종이 6조(六祖) 혜능(慧能)에 이르러 남북으로 나뉘면서 그 기세가 극성할 무렵, 신라 학승들이 선법을 배워왔다.[8] 북선(北禪)은 흔적만 남을 정도로 미미했지만, 6조 혜능의 남선(南禪)은 크게 일어나 신라 선종 형성에 기여했다.[8]한국에 전해진 선법은 6조 혜능의 법손들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첫 전법자는 도의(道義)이다.[8] 그는 선덕왕 5년(784)에 당나라로 가서 마조(馬祖) 도일(道一)의 고제자 서당(西堂) 지장(智藏)에게서 법을 얻고 현덕왕 23년(831)에 귀국했다. 도의는 선법을 일으키고자 했으나, 신라에서는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마설(魔說)이라고 거부했다.[8] 그래서 도의는 설악산에 은거, 그 법을 제자 염거(廉居)에게 전했고, 염거는 다시 체징(體澄, 804∼880)에게 법을 전했다.[8] 이렇게 해서 9산선문(九山禪門)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8]
2. 2. 고려시대의 불교
고려 태조는 불교를 지원할 때 종파에 차별을 두지 않았으나, 무인적인 성격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선종을 좋아하여 선승(禪僧)에게 귀의하였다.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제도는 이때부터 시작되었다.[9] 고려 태조는 958년에 관리 등용을 위해 과거 제도를 시행한 것에 견주어, 승려의 위계질서를 정하기 위해 승과(僧科)를 설치했다.[9] 이는 승려를 존경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통제하려는 의도였다.[9] 신라 말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구산문은 고려에 와서 이엄(866∼932)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9]성종 때 구산의 성립에 따른 선법의 영향으로 여러 종파의 교학이 빛을 잃은 듯했으나, 화엄 교학만은 그 세력을 잃지 않았다.[9] 의상이 남북국 시대에 화엄을 널리 펼친 이래 끊임없이 연구되어 고려에 계승되었다.[9] 화엄 교학은 고려 왕조 전체를 통해 선종이나 교종을 막론하고 널리 연구되었는데, 이는 대승보살의 실천적 행동을 강조한 사상이었기 때문이다.[9] 고려 시대에는 왕자들의 출가가 많았는데, 의천(대각국사, 1055∼1101)은 문종의 넷째 왕자로 11세에 출가하여 영통사의 왕사 난원(爛圓)에게서 화엄을 배웠다.[9] 그는 송(宋)나라에 유학하여 천태학(天台學)을 전수받고 귀국 후에는 천태교관(敎觀)을 널리 강설했다.[9] 또한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국내외의 논저(論著)를 널리 수집하고 속장경을 출판했다.[9] 고려는 초기부터 선(禪)이 성행했지만, 천태 교학이 들어온 뒤부터 중기에는 재래의 선종이 매우 부진하게 되었다.[9]
천태 교학이 들어온 후 고려 중기에는 선종이 매우 부진했다.[9] 이때 고승 지눌(1158∼1210)이 나와 조계선종의 중흥을 이루었다.[9] 많은 선승이 끊이지 않고 배출되어 고려 불교의 후기는 선종 일색이 되었는데, 지눌은 구산선문의 교리를 종합하여 한국 불교의 정통인 조계종을 확립하기에 이르렀다.[9]
2. 3. 조선시대의 불교
고려 중기에는 천태교학의 영향으로 선종이 크게 부진하였다.[9] 이 시기 지눌(1158~1210)이 등장하여 조계선종을 부흥시켰다.[9] 이후 많은 선승들이 배출되면서 고려 후기 불교는 선종이 주류를 이루었고, 지눌은 9산선문의 교리를 통합하여 한국 불교의 정통인 조계종을 확립하였다.[9]3. 한국 불교의 사상
(주어진 원본 소스가 비어있고, 이전 결과물도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1. 교관겸수와 정혜쌍수
의천(대각국사, 1055∼1101)은 고려 문종의 넷째 왕자로 11세에 출가하여 영통사의 왕사 난원에게서 화엄을 배웠다.[9] 그는 송나라에 유학하여 천태학을 배우고 돌아와 천태교관을 널리 강설했다.[9]3. 2. 돈오점수와 돈오돈수
지눌은 고려 중기 침체된 선종을 부흥시켜 조계종을 확립하고, 한국 불교의 정통성을 세웠다.[9]4. 한국 불교의 주요 인물
신라 말 도의가 중국에서 선종을 들여왔으나, 당시 신라에서는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마설(魔說)이라며 거부했다.[8] 도의는 설악산에 은거하여 제자 염거에게 법을 전했고, 염거는 다시 체징에게 법을 전하며 9산선문(九山禪門)이 형성되기 시작했다.[8]
고려 태조는 선승(禪僧)에게 귀의하였고,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제도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9] 958년에는 승려의 위계질서를 정하기 위한 승과(僧科)가 설치되었다.[9] 신라 말 형성되기 시작한 9산선문은 고려 시대 이엄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9] 의천은 문종의 넷째 아들로 송(宋)나라에서 천태학(天台學)을 배워와 천태종을 열었다.[9]
고려 중기 지눌은 조계종을 확립하여 조계선종의 부흥을 이끌었다.[9]
4. 1.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까지 활발했던 불교는 그 후 점점 침체되어 갔다.[8] 이 무렵 중국에서 직절 간명한 선(禪)불교가 들어왔다.[8] 이 새로운 선풍(禪風)은 달마 이래 종풍이 확립되어 독특한 선종(禪宗)으로 성립, 발전된 것이다. 중국 선종이 6조(六祖) 혜능(慧能)에 이르러 남북으로 나뉘면서 그 기세가 크게 일어날 무렵, 신라 학승들이 선법을 배워왔다.[8] 북선(北禪)은 흔적만 남을 정도로 미미했지만, 6조 혜능의 남선(南禪)은 크게 일어나 신라 선종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8] 한국에 전해진 선법은 6조 혜능의 법손들에 의한 것이며, 그 첫 전법자는 도의(道義)이다.[8] 도의는 선덕왕 5년(784)에 당나라로 가서 마조(馬祖) 도일(道一)의 제자 서당(西堂) 지장(智藏)에게서 법을 얻고 현덕왕 23년(831)에 귀국했다. 신라에서는 도의가 가져온 선법을 이해하지 못하고 마설(魔說)이라고 거부했기 때문에, 도의는 설악산에 은거하여 제자 염거(廉居)에게 법을 전했고, 염거는 다시 체징(體澄, 804∼880)에게 법을 전했다.[8] 이렇게 해서 9산선문(九山禪門)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8]4. 2. 고려시대
고려 태조는 불교를 지원할 때 종파에 차별을 두지 않았으나, 개인적인 성향으로 선종을 좋아하여 선승(禪僧)에게 귀의하였다.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제도는 이때부터 시작되었다.[9] 958년에는 관리 등용을 위한 과거 제도와 함께 승려의 위계질서를 정하기 위한 승과(僧科)를 설치했다.[9] 이는 승려를 존경하면서도 한편으로는 통제하려는 의도였다.[9] 신라 말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9산선문은 고려 시대 이엄(866∼932)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9]구산 성립에 따른 선법의 영향으로 여러 종파의 교학이 빛을 잃은 듯했으나, 화엄교학만은 그 세력을 잃지 않았다.[9] 의상이 남북국 시대에 화엄을 널리 펼친 이래 끊임없이 연구되어 고려에 계승되었다.[9] 화엄교학은 대승보살의 실천적 행동을 강조한 사상이었기 때문에 고려시대 전체를 통해 선종이나 교종을 막론하고 널리 연구되었다.[9] 고려시대에는 왕자들의 출가가 많았는데, 의천(대각국사, 1055∼1101)은 문종의 넷째 아들로 11세에 출가하여 영통사의 왕사 난원(爛圓)에게서 화엄을 배웠다.[9] 그는 송(宋)나라에 유학하여 천태학(天台學)을 전수받고 귀국 후에는 천태교관(敎觀)을 널리 강설했다.[9] 또한 교장도감을 설치하여 국내외의 논저(論著)를 널리 수집하고 속장경을 출판했다.[9] 고려는 초기부터 선(禪)이 성행하였으나, 천태교학이 들어온 뒤부터 중기에는 재래의 선종이 매우 부진하게 되었다.[9]
4. 3. 조선시대
고려 중기에는 천태교학의 영향으로 선종이 크게 위축되었다.[9] 이러한 상황에서 지눌(1158∼1210)이 등장하여 조계선종의 부흥을 이끌었다.[9] 지눌은 구산문의 교리를 통합하여 한국 불교의 정통 종파인 조계종을 확립하였고, 이후 많은 선승들이 배출되면서 고려 후기 불교는 선종이 주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9]5. 한국 불교의 종파
한국 불교에는 여러 종파가 존재한다. 신라 시대에는 5교9산이 대표적이었다. 5교는 계율종, 법상종, 법성종, 열반종, 원융종을 가리키며, 9산은 9산 선문을 뜻한다. 9산에는 가지산문, 동리산문, 봉림산문, 사굴산문, 사자산문, 성주산문, 수미산문, 실상산문, 희양산문이 있다.[4][6][7]
고려시대에는 5교 양종이 나타났는데, 5교는 신라 시대와 같고 양종은 조계종과 천태종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에는 선교 양종으로 불교 종파가 통합되었으며, 현대에는 조계종, 조동종, 진각종, 진언종, 천태종, 태고종 등 다양한 종파가 활동하고 있다.
5. 1. 9산 선문 (구산문)
신라 말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9산선문은 고려에 와서 이엄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9]5. 2. 오교 구산과 오교 양종
고려 태조는 불교를 지원하면서 종파에 차별을 두지 않았지만, 개인적으로 선종을 선호하여 선승(禪僧)에게 귀의하였고, 왕사(王師)와 국사(國師) 제도가 이때부터 시작되었다.[9] 958년에는 관리 등용을 위한 과거 제도와 함께 승려의 위계질서를 정하기 위한 승과(僧科)를 설치했다.[9] 이는 승려를 존경하는 한편 그들을 통제하려는 의도였다.[9] 신라 말기에 형성되기 시작한 9산선문은 고려에 와서 이엄(866∼932)의 수미산파 성립으로 완성되었다.[9]구산 성립에 따른 선법의 영향으로 여러 종파의 교학이 빛을 잃은 듯했으나, 화엄교학만은 그 세력을 잃지 않았다.[9] 의상이 화엄을 널리 펼친 이래 화엄교학은 끊임없이 연구되어 고려에 계승되었다.[9] 고려시대 전체를 통해 선종이나 교종을 막론하고 널리 연구되었는데, 이는 대승보살의 실천적 행동을 강조한 사상이었기 때문이다.[9] 고려시대에는 왕자들의 출가가 많았는데, 의천(대각국사, 1055∼1101)은 문종의 넷째 왕자로 11세에 출가하여 영통사의 왕사 난원(爛圓)에게서 화엄을 배웠다.[9] 그는 송(宋)에 유학하여 천태학(天台學)을 전수받고 귀국 후에는 천태교관(敎觀)을 널리 강설했다.[9] 그는 또 교장도감을 설치, 국내외의 논저(論著)를 수집하여 속장경을 출판했다.[9] 고려는 초기부터 선(禪)이 성하였으나 천태교학이 들어온 뒤부터 중기에는 재래의 선종이 매우 부진하게 되었다.[9]
5. 3. 조계종
지눌(1158∼1210)은 고려 후기 조계선종의 중흥을 이끌었다.[9] 지눌은 9산선문의 교리를 종합하여 한국 불교의 정통인 조계종을 확립하였다.[9]6. 한국 불교의 문화유산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한국 불교의 문화유산'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있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eonjong Gusan [9 Holy Zen-sect Buddhist Mountains]
http://san-shin.net/[...]
[2]
웹사이트
Korean Buddhism Orders and Sects
http://koreantempleg[...]
[3]
문서
영어 위키 백과의 Korean Buddhism > Buddhism as state religion in the Goryeo period (918–1392)에서는 선종 구산을 "Nine Mountain Monasteries"라 번역하고 있다. 2011년 2월 28일에 확인.
[4]
서적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고려시대의 사상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 선종 9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5]
서적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종파 > 한국불교의 종파〔개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6]
서적
동양사상 > 한국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사상 > 통일신라시대의 불교사상 > 선종의 도입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7]
서적
한국사 > 중세사회의 발전 > 고려의 성립 > 호족의 문화 > 9산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8]
서적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한국불교의 역사〔개설〕> 삼국시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9]
서적
종교·철학 > 한국의 종교 > 한국의 불교 > 한국불교의 역사 > 한국불교의 역사〔개설〕> 고려시대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