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구자라트 술탄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자라트 술탄국은 1407년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건국된 이슬람 왕국이다. 티무르의 침략으로 델리 술탄국의 권위가 약화된 틈을 타 구자라트 총독 무자파르 칸이 독립을 선언하며 시작되었다. 아흐메다바드를 수도로 삼고, 캄베이 만을 중심으로 인도양 무역을 번성시켰다. 포르투갈의 진출과 디우 해전에서의 패배, 무굴 제국과의 갈등을 겪었으며, 1573년 무굴 제국에 병합되어 멸망했다. 구자라트 술탄국은 인도-이슬람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며, 아흐메다바드의 자마 마스지드, 참파네르의 자마 마스지드 등 다양한 건축물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은 1206년부터 1526년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이동과 이슬람 확산 속에서 노예, 할지, 투글루크, 사이이드, 로디 왕조를 거치며 인도-페르시아 문화 융합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 구자라트주의 역사 - 칼라추리 왕조
  • 구자라트주의 역사 - 로탈
    로탈은 인도 구자라트주에 위치한 고대 인더스 문명 도시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와 무역하며 도시 계획, 건축, 공예 기술이 발달했고,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자연재해, 특히 홍수로 멸망했다.
  • 중세 인도의 군주국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중세 인도의 군주국 - 비자야나가라 제국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4세기 초 하리하라 1세가 남인도에 건국한 힌두 제국으로,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대에 최전성기를 누렸으나 탈리코타 전투에서 패배하여 몰락했으며, 정교한 행정 체계, 발달된 경제, 독특한 건축 양식과 문화를 발전시키고 종교에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구자라트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통칭구자라트 술탄국
상태소멸
정치 체제절대 군주제
존속 기간1394년 – 1573년
수도아닐와드 파탄 (1407–1411)
아흐메다바드 (1411–1484, 1535–1573)
참파네르 (1484–1535)
공용어페르시아어 (공식)
중세 구자라트어 (링구아 프랑카)
종교이슬람 (공식)
힌두교
자이나교
통화타카
지도
1525년의 구자라트 술탄국
1525년의 구자라트 술탄국.
역사
시작 사건무자파르 샤 1세에 의해 델리 술탄국으로부터 독립 선언
시작 연도1394년
종료 사건악바르에 의해 합병
종료 연도1573년
이전 국가델리 술탄국
이후 국가구자라트 수바
역대 술탄
초대 술탄무자파르 샤 1세
재위 기간1407–1411
마지막 술탄무자파르 샤 3세
재위 기간1561–1573, 1584
칭호술탄
현재 국가
현재 국가인도

2. 역사

1398년, 델리 술탄국투글루크 왕조 말기에 티무르북인도 침략으로 델리에서 10만 명이 학살되었고, 투글루크 왕조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다.

그 후 구자라트 총독 무자파르 칸은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1407년에 투글루크 왕조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납세 거부를 하여 구자라트 술탄국을 창시했다.

1411년, 무자파르 샤 1세 (재위 1407년 - 1411년)는 통치 4년 만에 사망하고, 그의 손자이자 제2대 왕인 아흐마드 샤 1세가 새로운 왕이 되었다. 아흐마드 샤 1세는 1413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 아흐메다바드를 건설하고, 파탄에서 그곳으로 천도했으며, 이 도시는 크게 번성했다. 또한, 아흐마드 샤 1세는 행정을 개혁하고, 말와 술탄국과 바흐마니 왕조와 다투었으며, 왕국의 영토를 확대했다. 아흐마드 샤 1세의 치세에 구자라트 왕국의 기초가 다져졌고, 왕국은 그의 이름을 따서 아흐마드 샤히 왕조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그의 손자이자 제6대 왕인 마흐무드 베가르하(마흐무드 샤 1세) 또한 유능한 군주였으며, 그의 이름 "베가르"는 "두 개의 도시"를 의미하며, 이는 그의 시대에 새롭게 정복된 찬파네르와 주나가드 두 곳을 가리킨다.

구자라트 술탄국은 아흐마드 샤 이후 번영을 이어갔고, 인도 서부 해안의 캄베이 만을 중심으로 교역이 번성했으며, 캄베이는 말라바르 해안의 도시 칼리컷과 함께 번성했다. 또한 왕국은 인도양 교역에 종사하는 상인들의 활동을 규제, 통제하지 않고, 보라라고 불린 무슬림 상인과 바니야라고 불린 힌두교도와 자이나교도 상인들이 적극적으로 교역에 참여했으며, 구자라트 지방의 면직물은 아라비아 해안의 도시들과 동남아시아로 대량 수출되었다.

그러나 1498년포르투갈 왕국의 항해가 바스쿠 다 가마가 칼리컷에 내항하면서, 16세기 초 포르투갈 세력이 진출하여 인도양 교역의 지배를 목표로 하게 되었고, 지방 세력과 이권을 놓고 자주 충돌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1509년 2월 3일, 구자라트 왕국의 총독이자 디우 섬의 영주, 칼리컷의 영주 자모린,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연합 함대와,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 알메이다 (1450년경~1510년)가 이끄는 포르투갈 함대가 디우 해협에서 격돌했다 (디우 해전).

연합군은 압도적인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의 교묘한 전술에 패배했고, 포르투갈은 홍해, 아라비아 해 등 인도양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그 후,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포르투갈과의 강화를 생각하게 되었고, 포르투갈에게 디우 섬에 상관을 세우는 것을 허용했다.

그의 손자이자 제10대 왕인 바하두르 샤 (재위 1526~37) 또한 유능했고, 1531년에 말와 술탄국을 멸망시켰다.

1500년대, 북인도에서는 무굴 제국이나 파슈툰족 등 아프간계 수르족 등이 세력을 다투었고, 구자라트 왕국도 그들과 다투었다. 1535년, 바하두르 샤는 무굴 제국의 황제 후마윤과 싸워 패배했으나, 같은 해 후마윤은 아프간계 수르족의 족장 셰르 칸과 싸우기 위해 철수했으므로, 바하두르 샤는 목숨을 건졌다.

그러나, 1537년 2월, 바하두르 샤는 무굴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디우 섬의 포르투갈 총독과 협상하던 중, 그 와중에 바다에 빠져 익사했다. 아크바르의 전기인 "아크바르 나마"에는 그 삽화가 있다.

그 후, 구자라트 왕국의 왕통은 이어졌지만, 지방에서는 유력자들이 할거하며 왕권은 쇠퇴했다.

이러한 혼란으로 인해, 1573년에 무굴 제국의 공격으로 왕국의 수도 아흐메다바드가 함락되었고, 구자라트 왕국은 멸망했다.

2. 1. 건국 배경

무자파르 왕조는 무자파르 샤 1세(자파르 칸)에 의해 창건되었다. 앙드레 윙크와 S.C. 미스라에 따르면, 자파르 칸은 펀자브 출신이나, 델리에서 태어났다.[4][5][6] 아파르나 카파디아는 자파르 칸의 아버지 사하란(사다란)이 하리아나의 타네사르 출신이라고 말한다.[7][8] ''미라티 시칸다리''에 따르면, 사다란은 라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긴 조상을 가졌다고 한다.[9] 미국의 역사가 리처드 M. 이튼은 자파르 칸을 "이슬람으로 개종한 농부의 아들"로 묘사했으며,[10] V. K. 아그니호트리와 아바스 르즈비는 사다란이 자트 무슬림으로 개종했다고 썼다.[11][12]

1398년, 티무르북인도 침략으로 투글루크 왕조의 권위가 약화되었다. 이후 구자라트 총독 무자파르 칸은 1407년 투글루크 왕조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납세 거부를 하여 구자라트 술탄국을 창시했다.

1411년, 무자파르 샤 1세 사후, 손자 아흐마드 샤 1세가 왕위를 이었다. 아흐마드 샤 1세는 1413년 아흐메다바드를 건설하고 파탄에서 천도했으며, 행정 개혁, 영토 확장을 통해 왕국의 기초를 다졌다.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찬파네르와 주나가드를 정복했다. 구자라트 술탄국은 캄베이를 중심으로 교역이 번성했으며, 무슬림, 힌두교도, 자이나교도 상인들이 인도양 교역에 참여했다. 구자라트 면직물은 동남아시아 등으로 수출되었다.

1498년 바스쿠 다 가마의 칼리컷 내항 이후, 포르투갈 왕국이 인도양 교역 지배를 목표로 진출하여 지역 세력과 충돌했다. 1509년 디우 해전에서 구자라트-이집트 연합 함대가 포르투갈에 패배하여 포르투갈이 인도양 지배권을 획득했다.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포르투갈과 강화하여 디우 섬에 상관 설치를 허용했다.

바하두르 샤는 1531년 말와 술탄국을 멸망시켰다. 1535년 무굴 제국 후마윤과 대립했으나, 후마윤이 철수하여 목숨을 건졌다. 1537년 바하두르 샤는 포르투갈 총독과 협상 중 사망했다. 이후 왕권이 쇠퇴하였고, 1573년 무굴 제국에 의해 멸망했다.

2. 2. 초기 역사 (무자파르 샤 1세 ~ 아흐마드 샤 1세)

자파르 칸은 델리 술탄 피루즈 샤 투글루크에 의해 1391년 구자라트 총독으로 임명되었고, 무자파르 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14][24] 그는 1392년 안힐와다 파탄 근처의 캄보이 전투에서 파르하트-울-물크를 물리치고 안힐와다 파탄을 점령했다.[14][24] 1398년 델리 술탄국투글루크 왕조 말기에 티무르북인도 침략으로 투글루크 왕조의 권위는 약화되었고, 자파르 칸은 독립을 선언한다.[24]

1403년, 자파르 칸의 아들 타타르 칸은 아버지에게 델리로 진격할 것을 촉구했지만 거절당했다. 타타르 칸은 아버지를 아사와할에 감금하고 무하마드 샤 1세라는 칭호로 술탄을 선포했으나, 삼촌에게 독살당했다. 1407년, 자파르 칸은 무자파르 샤 1세로 즉위하여 구자라트 술탄국을 창시했다.[14][24] 1407년에 투글루크 왕조에 대한 충성을 거부하고 납세 거부를 하였다.[24]

1411년 무자파르 샤 1세가 사망하고, 그의 손자 아흐마드 샤 1세가 즉위했다.[24] 아흐마드 샤 1세는 즉위 직후 삼촌들의 반란에 직면했고, 말와 술탄국의 술탄 호상 샤의 침략을 받았다. 호상 샤는 격퇴되었지만, 1417년 칸데쉬의 파루키 왕조와 함께 다시 침략하여 술탄푸르와 난두르바르를 점령했다. 구자라트군은 이들을 물리쳤고, 아흐마드 샤는 말와로 여러 차례 원정을 떠났다.[15][24] 1429년, 잘라와드의 칸하 라자가 바흐마니 술탄 아흐마드 샤의 도움을 받아 난두르바르를 유린했으나, 아흐마드 샤의 군대에 패배했다. 이후 타나와 마힘을 바흐마니 술탄국으로부터 병합했다.[15][24]

아흐마드 샤 1세는 1413년에 자신의 이름을 딴 도시 아흐메다바드를 건설하고, 안힐와다 파탄에서 천도했다.[24] 아메다바드의 자미 마스지드 (1423)는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건설되었다.[16] 그는 행정을 개혁하고, 말와 술탄국과 바흐마니 왕조와 다투었으며, 왕국의 영토를 확대했다.[24] 아흐마드 샤 1세의 치세에 구자라트 왕국의 기초가 다져졌고, 왕국은 그의 이름을 따서 아흐마드 샤히 왕조라고도 불리게 되었다.

2. 3. 전성기 (마흐무드 베가다)

무하마드 샤 2세의 아들 쿠트브 웃 딘 아흐마드 샤 2세(1451–1458 재위)는 카파드반즈에서 킬지를 격파하고 메와르의 라나 쿰바를 도왔다.[17] 1458년 아흐마드 샤 2세가 죽은 후, 귀족들은 그의 삼촌 다우드 샤를 왕위에 앉혔으나, 곧 폐위시키고 무함마드 샤 2세의 아들 파트 칸을 왕위에 앉혔다.[24] 파트 칸은 마흐무드 샤라는 칭호를 채택했는데, 일반적으로 마흐무드 베가다로 알려졌다. 그는 왕국을 모든 방향으로 확장했으며, 기르나르와 참파네르 요새를 정복한 후 ''베가다''(두 요새의 정복자)라는 별칭을 얻었다.[19][24]

마흐무드 베가르하(마흐무드 샤 1세)는 "두 개의 도시"를 의미하는 "베가르"라는 이름을 가졌는데, 이는 그의 시대에 새롭게 정복된 찬파네르와 주나가드 두 곳을 가리킨다. 구자라트 술탄국은 아흐마드 샤 이후 번영을 이어갔고, 인도 서부 해안의 캄베이 만을 중심으로 교역이 번성했으며, 캄베이는 말라바르 해안의 도시 칼리컷과 함께 번성했다. 왕국은 인도양 교역에 종사하는 상인들의 활동을 규제, 통제하지 않고, 무슬림 상인(보라)과 힌두교도, 자이나교도 상인(바니야)들이 적극적으로 교역에 참여했으며, 구자라트 지방의 면직물은 아라비아 해안의 도시들과 동남아시아로 대량 수출되었다.

1498년 포르투갈 왕국의 항해가 바스쿠 다 가마가 칼리컷에 내항하면서, 16세기 초 포르투갈 세력이 진출하여 인도양 교역의 지배를 목표로 하게 되었고, 지방 세력과 이권을 놓고 자주 충돌하게 되었다. 1509년 2월 3일, 구자라트 왕국의 총독, 칼리컷의 영주 자모린,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연합 함대와,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 알메이다가 이끄는 포르투갈 함대가 디우 해협에서 격돌했다 (디우 해전). 연합군은 압도적인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의 교묘한 전술에 패배했고, 포르투갈은 홍해, 아라비아 해 등 인도양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그 후,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포르투갈과의 강화를 생각하게 되었고, 포르투갈에게 디우 섬에 상관을 세우는 것을 허용했다. 마흐무드는 1511년 11월 23일에 사망했다.[19][24]

2. 4. 포르투갈과의 관계

1498년 포르투갈 왕국의 항해가 바스쿠 다 가마가 칼리컷에 도착하면서, 16세기 초 포르투갈 세력이 인도양 교역의 지배를 목표로 진출하여 지방 세력과 이권을 놓고 자주 충돌하게 되었다.

1509년 2월 3일, 디우 해전에서 구자라트 왕국의 총독이자 디우 섬의 영주, 칼리컷의 영주 자모린, 이집트의 맘루크 왕조 연합 함대와 포르투갈 인도 총독 알메이다가 이끄는 포르투갈 함대가 격돌했다. 연합군은 압도적인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포르투갈의 교묘한 전술에 패배했고, 포르투갈은 홍해, 아라비아 해 등 인도양의 지배권을 획득했다. 그 후,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포르투갈과의 강화를 생각하게 되었고, 포르투갈에게 디우 섬에 상관을 세우는 것을 허용했다.

바하두르 샤 (재위 1526~37)는 1537년 2월, 무굴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디우 섬의 포르투갈 총독과 협상하던 중, 바다에 빠져 익사했다. 아크바르의 전기인 "아크바르 나마"에는 그 삽화가 있다.

2. 5. 쇠퇴와 멸망

무하마드 샤 2세는 이다르를 상대로 원정을 벌여 통치자를 복종시켰고, 둥가르푸르의 라왈에게 조공을 요구했다.[17] 1449년 참파네르를 공격했지만, 말와 술탄국의 마흐무드 킬지의 도움을 받은 참파네르 통치자에게 격퇴당했다.[17] 1451년 2월, 그는 병으로 사망했고, 아들 아흐마드 샤 2세가 뒤를 이었다.[17] 아흐마드 샤 2세는 카파드반즈에서 킬지를 격파하고, 메와르의 라나 쿰바에 맞서 나가우르를 다스리는 피루즈 칸을 도왔다.[24] 1458년 아흐마드 샤 2세 사후, 귀족들은 그의 삼촌 다우드 샤를 왕위에 앉혔다.[24]

무자파르 샤 2세는 치토르의 라나 상가에게 패배했지만, 라나 상가가 돌푸르 전투에서 이브라힘 로디를 격파하고 말와의 대부분을 정복하면서 구자라트는 약화되었다.[20][24] 라나 상가의 침공은 구자라트의 위신을 크게 훼손했지만, 그의 사후 구자라트 술탄들은 다시 강성해졌다.[20][24] 1526년 무자파르 샤 2세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시칸다르 샤가 즉위했으나, 곧 암살당했다.[20][24] 이후, 귀족들의 권력 다툼 끝에 바하두르 샤가 1527년에 왕위에 올랐다.[24]

바하두르 샤는 오스만 제국의 동맹으로 디우 포위전에서 사망했다. 그는 1537년 포르투갈 제국과의 전투에서 사망했다; (16세기 말 ''악바르나마''의 삽화).


포르투갈이 묘사한 구자라트의 술탄


바하두르 샤는 왕국을 확장했으나, 1532년 무굴 제국후마윤에게 공격받아 함락되었다.[3] 1536년 왕국을 되찾았지만, 1537년 포르투갈인에게 살해되었다.[3] 바하두르 샤에게는 아들이 없어 왕위 계승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었고, 귀족들은 마흐무드 샤 3세를 1538년에 왕위에 올렸다.[3] 마흐무드 샤 3세는 귀족들과 싸워야 했고, 1554년 그의 시종에게 살해되었다.[3] 아흐마드 샤 3세가 뒤를 이었지만, 국정은 귀족들이 통제했고, 그는 1561년에 암살당했다.[3] 무자파르 샤 3세가 즉위했지만, 1573년 무굴 제국 황제 아크바르에게 병합되어 구자라트는 무굴의 수바가 되었다.[3]

무자파르 샤 3세는 1583년 잠시 왕위를 되찾았지만, 1584년 1월 아크바르의 장군에게 패배했다.[3] 그는 부차르 모리 전투 이후 결국 자살했다.[24]

1498년 바스쿠 다 가마가 칼리컷에 도착한 이후, 16세기 초 포르투갈 세력이 인도양 교역 지배를 목표로 진출하여 지방 세력과 충돌했다.[3] 1509년 디우 해전에서 구자라트 왕국, 칼리컷, 맘루크 왕조 연합 함대가 포르투갈 함대에 패배했고, 포르투갈은 인도양의 지배권을 획득했다.[3] 마흐무드 베가르하는 포르투갈과 강화하여 디우 섬에 상관 설립을 허용했다.[3] 1531년 바하두르 샤는 말와 술탄국을 멸망시켰다.[3] 1535년 바하두르 샤는 무굴 제국 황제 후마윤과 싸워 패배했지만, 후마윤의 철수로 목숨을 건졌다.[3] 그러나 1537년 바하두르 샤는 포르투갈 총독과 협상 중 사망했다.[3] 이후 구자라트 왕국은 왕권이 쇠퇴했고, 1573년 무굴 제국의 공격으로 멸망했다.[3]

3. 문화

3. 1. 건축

구자라트의 독특한 인도-이슬람 건축 양식은 이전의 마루-구르자라 건축에서 미세 건축 요소를 차용하여 미흐라브, 지붕, 문, 첨탑 및 정면에 사용했다.[27] 15세기에 구자라트의 인도-이슬람 양식은 특히 독창적이고 우아한 첨탑 사용으로 유명하다. 첨탑은 종종 주 출입구 양쪽에 쌍으로 배치되며, 대부분 상당히 가늘고 적어도 하단에는 정교한 조각이 있다. 일부 디자인은 샤프트 위 간격으로 발코니를 내밀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의 가장 극단적인 형태는 자마 모스크, 아흐메다바드의 소위 "흔들리는 첨탑"의 손실된 상단 부분에 있었는데,[28] 이 부분은 1819년 지진으로 무너졌다. 이 조각은 이전에 마루-구르자라 및 기타 지역 양식의 힌두 사원에서 사용했던 현지 석공의 전통 기술을 활용했다.[29]

구자라트 술탄국은 특히 수도인 아흐메다바드에서 호화롭게 건축했다.[30] 술탄국은 아흐메다바드의 자미 마스지드, 참파네르의 자마 마스지드, 쿠트부딘 모스크, 라니 루파마티 모스크, 사르케즈 로자, 시디 바시르 모스크, 케바다 모스크, 시디 사이예드 모스크, 나기나 모스크 및 파타르왈리 마스지드와 같은 모스크와 틴 다르와자, 바드라 요새 및 아흐메다바드의 다다 하리르 계단식 우물과 같은 구조물을 의뢰했다.

참파네르-파바가드 고고학 공원은 구자라트 술탄국의 16세기 수도로, 변화가 없는 초기 이슬람 시대와 무굴 제국 이전 도시를 기록하고 있다.[31]

111세의 나이로 사망한 아흐메드 샤의 아들은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묘소와 모스크를 세웠다. 술탄 마흐무드 베가다는 이곳을 여름 휴양지로 좋아하여 작은 모스크, 묘소, 궁전, 그리고 물탱크와 같은 추가 구조물로 확장했다. 72에이커에 달하는 이 부지에는 이러한 건물들과 꽃과 과일 나무가 무성한 정원이 있었다. 왕실 생활의 중심지로서 궁전, 파빌리온, 물탱크에서 모임, 종교 의식 및 영적인 토론이 열렸다.

구자라트의 인도-이슬람 건축 양식은 무굴 건축에서 나중에 발견된 많은 건축 요소, 예를 들어 화려한 ''미흐라브''와 첨탑, ''잘리''(돌에 조각된 구멍이 뚫린 스크린), ''차트리''(쿠폴라가 얹힌 파빌리온)를 예고한다.

3. 2. 경제

4. 역대 군주

wikitable

대수이름초상화재위 기간주화


5. 행정

구자라트는 정치적으로 중앙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칼사(khálsah)' 또는 왕실 영토와 공물이나 용역을 지불하고 이전 통치자들의 통제하에 둔 지역으로 나뉘었다.[24] 공물의 양은 영토 가치가 아니라 왕의 봉신이 되기로 동의했을 때 부여된 조건에 따라 결정되었으며, '물크기리(mulkgíri)'라 불리는 군사 원정을 통해 징수되기도 했다.[24]

봉신 국가들의 내부 관리는 공물 지불에 영향을 받지 않았고, 사법 및 수입 징수는 차울루키아 왕들 시대와 유사하게 시행되었다.[24] 수입은 현물로 받은 작물의 분배, 특별 부과금, 무역 및 통과세로 구성되었으며, 작물에 대한 수장의 분배는 지역에 따라 달랐다.[24]

아흐메다바드 왕들은 직접 관할하는 영토를 구획 또는 '사르카르(sarkár)'로 나누어 관리했다.[24] 구획은 귀족에게 할당되거나 왕실 영토로 지정되어 유급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었다.[24] 왕실 영토 구획 담당 관리자는 '묵티아(muktiă)'라고 불렸으며, 평화 유지와 수입 징수가 주요 임무였다.[24] 각 구획에는 '타나(tháná)'라고 불리는 요새 전초 기지가 있었고, '타나다르(thánadár)'라는 관리자가 담당했다.[24] 구자라트 술탄국은 25개의 '사르카르'(행정 단위)로 구성되었다.[25]

샴스 알 딘 무자파르 샤 2세(1511–1525)의 주화.


재정 목적을 위해 각 구획은 '파르가나(parganáh)'라는 하위 구획으로 분배되었고, '아밀(ámil)' 또는 '타흐실다르(tahsildár)'라는 유급 관리자가 담당했다.[24] 이들은 촌락 대표(파텔, 데사이)들의 도움을 받아 생산량의 절반을 징수했다.[24] 하위 구획 관리자는 구획 관리자에게, 구획 관리자는 궁정의 수입 책임자에게 수입 기록을 제출했다.[24] 각 구획 총독에게는 회계사가 배정되었고, 아흐마드 샤 1세는 총독과 회계사의 출신을 다르게 하여 서로 견제하도록 했다.[24] 미라트-이-아흐메디(Mirăt-i-Áhmedi)에 따르면, 무자파르 샤 2세 통치 말기에 군대가 증가하고 대신들이 수입 세부 사항을 요약하여 계약에 따라 임대하면서 행정에 혁신의 정신이 스며들어 회계 확인 시스템이 포기되고 반란과 혼란이 발생했다.[24]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 서적 Urdu: A Multidisciplinary Analysis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2022-01-01
[3] 서적 Gir Forest and the Saga of the Asiatic Lion https://books.google[...] Indus Publishing
[4] 간행물 Gujarat https://www.iranicao[...]
[4] 서적 Across the Green Sea: Histories from the Western Indian Ocean, 1440–16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2024
[4] 서적 Indo-Islamic society: 14th – 15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2003
[4] 서적 Gujarat: The Long Fifteenth Century and the Making of a Reg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4] 서적 The rise of Muslim power in Gujarat; a history of Gujarat from 1298 to 1442 https://archive.org/[...] New York, Asia Pub. House 1963
[4] 서적 Gunpowder and Firearms: Warfare in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5] 서적 The Making of the Indo-Islamic World: c. 700–1800 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6] 서적 The Mirat-i-Sikandari: A History of Gujarat from the Inception of the Dynasty of the Sultans of Gujarat to the Conquest of Gujarat by Akbar of Shaikh Sikandar ibn Muhammad urf Manjhu ibn Akbar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 Press
[7]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0
[7] 서적 Medieval India (From Sultanat to the Mughals), PART ONE Delhi Sultanat (1206–1526) https://books.google[...] Har-Anand Publications
[7]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S. Chand
[7] 서적 The Muslim Diaspora – A comprehensive reference to the spread of Islam in Asia, Africa, Europe and the America, 570–1799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Inc.
[7] 서적 Gujarat: The Long Fifteenth Century and the Making of a Reg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In Praise of Kings Rajputs, Sultans and Poets in Fifteenth-century Gujara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서적 Gujarat: The Long Fifteenth Century and the Making of a Reg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10]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1000–1765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9-09-17
[11] 서적 Indian History https://books.google[...] Allied Publishers 1988
[12] 서적 The Wonder That Was India https://archive.org/[...] Allied Publishers 1987
[13] 웹사이트 The Rise of Muslim Power in Gujarat. A history of Gujarat from 1298 to 1442. {{!}} WorldCat.org https://www.worldcat[...] 2023-02-24
[14]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15]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16]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17]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18]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9]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20] 문서 The Delhi Sultanat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6
[21] 웹사이트 The Cambridge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017-07-26
[22] 문서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Mumbai 2007
[23] 서적 African Samurai: The True Story of Yasuke, a Legendary Black Warrior in Feudal Japan https://www.worldcat[...] Hanover Square Press
[24] 서적 History of Gujarát The Government Central Press
[25] 서적 Eighteenth-century Gujarat : the dynamics of its political economy, 1750-1800 Brill 2009
[26] 간행물 Journal Of Oriental Institute Baroda Vol.10 Maharaja Sayajirao University of Baroda 1961-03
[27] 저널 A Self-Conscious Art? Seeing Micro-Architecture in Sultanate South Asia https://www.jstor.or[...] 2010
[28] 웹사이트 The Shaking Minarets at Ahmedabad, drawn in 1809 http://www.bl.uk/onl[...]
[29] 문서
[30] 웹사이트 Historic City of Ahmadabad https://whc.unesco.o[...] 2019-09-26
[31] 웹사이트 Champaner-Pavagadh http://www.worldheri[...] Worldheritagesite.org 2012-09-23
[32] 서적 Indo-Islamic society: 14th - 15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1990
[33] 서적 In Praise of Kings: Rajputs, Sultans and Poets in Fifteenth-century Gujarat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34] 서적 The rise of Muslim power in Gujarat; a history of Gujarat from 1298 to 1442 http://archive.org/d[...] New York, Asia Pub. House 1963
[35] 서적 The State and Society in Medieval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6] 서적 The rise of Muslim power in Gujarat; a history of Gujarat from 1298 to 1442 http://archive.org/d[...] New York, Asia Pub. House 1963
[37] 서적 Gir Forest and the Saga of the Asiatic Lion https://books.google[...] Indus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