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로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로탈은 인도 구자라트주에 위치한 고대 인더스 문명 도시로, 1954년 발견되어 1955년부터 1960년까지 발굴되었다. "죽은 자의 언덕"이라는 뜻을 가진 로탈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구슬, 보석, 장신구 무역을 통해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와 교류했다. 도시 계획, 건축, 공예 기술이 발달했으며, 201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로탈의 멸망 원인으로는 자연재해, 특히 홍수가 지목된다.

2. 발견 및 발굴

로탈은 1954년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55년부터 1960년까지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다.[4]

로탈은 고대 시대에 구슬, 보석 및 귀중한 장신구 무역을 통해 서아시아와 아프리카의 먼 곳까지 닿는 중요한 무역 중심지였다. 구슬 제작 및 야금술에서 이들이 개척한 기술과 도구는 4000년 이상 동안 그 가치를 증명했다.[7]

로탈은 아흐메다바드 구의 돌카 탈루카에 있는 사락왈라 마을 근처에 위치해 있으며, 아흐메다바드-바브나가르 철도 노선의 로탈-부르키 기차역에서 남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다. 또한 아흐메다바드(85km), 바브나가르, 라지코트 및 돌카와 전천후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가장 가까운 도시는 돌카와 바고다라이다. 발굴된 지역 옆에는 고고학 박물관이 있으며,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하라파 시대의 골동품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다.

로탈 유적지는 2014년 4월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잠정 목록에 등재를 신청해 놓은 상태이다.[8][9]

2. 1.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의 역할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고대 유적 보존을 담당하는 인도 정부 산하 기관으로, 1954년 로탈을 발견했다. 로탈 발굴 작업은 1955년 2월 13일부터 1960년 5월 19일까지 진행되었다.[4]

ASI는 로탈이 사바르마티 강의 고대 물길과 도시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dock (maritime))를 통해 무역로를 가졌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무역로는 신드 (파키스탄)의 하라파 도시와 사우라슈트라 반도를 잇는 경로였다. 그러나 다른 고고학자들은 쿠푸(Khufu)의 와디 알-자르프(Wadi al-Jarf) (이집트)에 있는 홍해 항구가 더 오래되었으며, 로탈은 비교적 작은 마을이었고, 그 "부두"는 주로 관개용 저수지였다고 주장한다.[4][5]

인도 국립 해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India)는 고아에서 유공충(foraminifera) (해양 미화석)과 소금, 석고 결정을 직사각형 구조물에서 발견했는데, 이는 바닷물이 한때 그 구조물을 채웠고 분명히 조선소였음을 나타낸다.[6]

1961년 발굴이 재개되면서 고고학자들은 언덕의 북쪽, 동쪽 및 서쪽 측면에 참호를 파서 부두와 강을 연결하는 유입 채널과 ''널라''(협곡 또는 골짜기)를 발견했다. 발견물은 언덕, 마을, 시장 및 '부두'로 구성된다. 발굴된 지역 옆에는 고고학 박물관이 있으며, 인도에서 가장 유명한 하라파 시대의 골동품 컬렉션이 전시되어 있다.

2. 2. 로탈의 발견과 초기 발굴

1947년 인도 분할로 인해 모헨조다로하라파를 포함한 대부분의 인더스 문명 유적지가 파키스탄 영토가 되었다. 이에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인도 북서부 지역에서 새로운 탐사 및 발굴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많은 유적지를 발견했다.[10] 1954년부터 1958년까지 카치 (특히 돌라비라)와 사우라슈트라 반도에서 50개 이상의 유적지가 발굴되었다.[10] 이 과정에서 로탈은 1954년에 발견되었으며, 1955년 2월 13일부터 1960년 5월 19일까지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다.

인도 고고학 조사국에 따르면, 로탈은 사바르마티 강의 고대 물길과 도시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dock (maritime))를 가지고 있었으며, 신드 (파키스탄)의 하라파 도시와 사우라슈트라 반도를 잇는 무역로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일부 고고학자들은 로탈이 작은 마을이었고, "부두"는 관개용 저수지였다고 주장하며 이 해석에 이의를 제기한다.[4][5]

1961년, 고고학자들은 언덕의 북쪽, 동쪽, 서쪽 측면에 참호를 파서 부두와 강을 연결하는 유입 채널과 ''널라''(협곡 또는 골짜기)를 발견했다. 발견물은 언덕, 마을, 시장, '부두'로 구성된다.

3. 지리적 위치 및 환경

로탈은 현재 인도 구자라트 주 아마다바드 구 돌카 탈루카에 위치하며, 캄바트 만과 연결되는 사바르마티 강 유역에 자리 잡고 있다. 구자라트어로 "죽은 자의 언덕"을 뜻하는 로탈(લોથલgu)은 "Loth"와 "(s)thal"의 조합으로, 신드어로 같은 의미를 가진 모헨조다로와 비슷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11]

1947년 인도 분할 당시 모헨조다로하라파를 포함한 대부분의 인더스 문명 유적지는 파키스탄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인도 고고학 조사국은 인도 북서부 전역에서 새로운 탐사 및 발굴을 진행하여 50개 이상의 유적지를 발견했다. 로탈은 신드의 모헨조다로에서 670km 떨어져 있다.[10]

로탈은 주요 도시들에 비해 비교적 작은 크기(7ha)를 가졌지만,[9] 인더스 문명의 핵심 도시들이 쇠퇴한 후에도 오랫동안 번성했다. 그러나 열대성 폭풍과 홍수와 같은 지속적인 위협은 결국 도시의 쇠퇴를 초래했다. 지형 분석에 따르면 쇠퇴기에 이 지역은 건조해지거나 몬순 강우량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도시가 버려진 원인이 기후 변화와 자연 재해였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1]

3. 1. 고대 해상 무역로와의 연결

로탈은 사바르마티 강의 고대 물길을 통해 캄바트 만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 강은 신드 지역의 하라파 도시들과 사우라슈트라 반도를 잇는 무역로 역할을 했다.[12] 1942년에는 브로치에서 사라고왈라로 목재가 이 물길을 통해 운송되기도 했다.[11]

로탈 북서쪽에는 아라비아 해의 일부였던 카치 (참고: 돌라비라) 반도가 있다. 캄바트 만과의 근접성 때문에 로탈의 강은 해상로로 직접 접근할 수 있었다.


로탈은 인더스 문명의 핵심 도시인 모헨조다로하라파가 쇠퇴한 후에도 오랫동안 번성했다. 로탈의 엔지니어들은 조수 운동과 벽돌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도시를 건설했다. 캄바트 만은 가장 높은 조수 진폭을 가지고 있어, 강 하구를 통해 배를 통과시킬 수 있었기 때문에 로탈의 위치 선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

3. 2. 로탈의 지형 및 지질학적 특징

로탈은 현재 바다와 차단되어 있지만, 캄바트 만과의 근접성 덕분에 강을 통해 해상로로 직접 접근할 수 있었다. 로탈의 지형과 지질은 과거 해양 환경이었음을 보여준다.[11] 2004년 인도 과학자들이 ''Journal of the Indian Geophysicists Union''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로탈 근처에서 고대 강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바고바 강 지류의 북쪽 강 채널 침대의 고대 연장선으로 추정된다. 작은 채널 폭( 10m 에서 300m )은 도시에 강한 조수의 영향을 시사하며, 조수 해수가 도시까지 유입되었다. 이 강의 상류는 주민들에게 담수를 제공했다.[13]

인더스 문명이 쇠퇴한 후에도 로탈은 오랫동안 번성했지만, 열대성 폭풍과 홍수는 큰 파괴를 일으켰다. 지형 분석 결과, 쇠퇴기에 이 지역이 건조해지거나 몬순 강우량이 약화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도시가 버려진 원인은 기후 변화와 자연 재해 때문일 수 있다.[1]

4. 도시 계획 및 건축

경 홍수로 마을 기반과 정착지가 파괴된 후, 로탈은 인더스 문명의 더 큰 도시들과 유사한 계획도시로 재건되었다.[15] 로탈의 계획자들은 지속적인 홍수로부터 지역을 보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로탈의 도자기

4. 1. 도시 구조

로탈은 시타델(아크로폴리스)과 하부 마을로 나뉘었으며, 각 구역은 높이 1m~2m의 햇볕에 말린 벽돌 블록으로 구성되었다. 이 블록에는 두껍고 진흙과 벽돌 벽으로 된 20~30채의 집이 있었다.[15]

로탈의 하부 마을


도시 통치자들은 포장된 목욕 시설, 지하 및 지상 배수 시설(가마에서 구운 벽돌로 건설) 및 식수 우물이 있는 아크로폴리스에 거주했다. 아크로폴리스에는 도시 창고도 있었는데, 도시 동쪽 측면의 분지로 내려가는 경사로가 있었다. 하부 마을은 두 개의 구역으로 나뉘었다. 남북 주 간선 도로가 주요 상업 지역이었다. 이 도로에는 부유한 상인과 평범한 상인, 장인의 상점이 줄지어 있었다. 주거 지역은 시장 양쪽에 위치해 있었다. 하부 마을은 로탈 번영기 동안 주기적으로 확장되었다.

모든 건축물은 불에 구운 벽돌, 석회 및 모래 모르타르로 만들어졌으며, 햇볕에 말린 벽돌은 사용되지 않았다. 벽돌은 4000년이 지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모르타르 결합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16]

4. 2. 시타델(아크로폴리스)

도시 통치자들은 포장된 목욕 시설, 지하 및 지상 배수 시설(가마에서 구운 벽돌로 건설), 식수 우물이 있는 시타델에 거주했다.[15] 도시의 창고도 시타델에 위치해 있었다. 시타델의 중심부는 동서로 127.4m, 남북으로 60.9m 규모였다.[53] 주택이 지어진 직사각형 플랫폼 네 면은 두께 12.2m~24.4m, 높이 2.1m~3.6m의 진흙 벽돌 구조였다.[53]

목욕 플랫폼은 주로 2개의 방과 열린 안뜰이 있는 주택의 일부였으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벽돌은 연마되었다. 포장도로는 석회로 칠해졌고, 가장자리는 얇은 벽으로 몰딩 처리되었다. 통치자의 거주지는 43.92m2였고, 1.8m2의 목욕 플랫폼과 인접한 쪼그려 앉는 변소가 있었으며, 이는 부두로 배출되는 외부 배수구와 연결되어 있었다.[54]

4. 3. 하부 마을

하위 마을은 남북 주 간선 도로를 중심으로 상업 지역이 형성되었으며, 주거 지역은 시장 양쪽에 위치했다. 이 도로는 부유한 상인과 평범한 상인, 장인의 상점이 줄지어 있었다. 하위 마을은 로탈의 번영기 동안 주기적으로 확장되었다.[54]

하위 마을 시장은 폭 6m에서 8m의 주요 남북 거리에 있었다. 거리 양쪽에는 주거지와 작업장이 일렬로 건설되었지만, 벽돌로 지어진 배수 시설과 초기 주택은 현재 사라졌다. 거리는 일정한 폭을 유지했으며 홍수 이후 재건 기간 동안 침범당하지 않았다. 여러 개의 2칸짜리 상점과 구리 세공인 및 대장장인의 작업장이 있다.[54]

4. 4. 건축 자재 및 기술

모든 건축물은 불에 구운 벽돌, 석회 및 모래 모르타르로 만들어졌으며, 햇볕에 말린 벽돌은 사용되지 않았다. 벽돌은 4000년이 지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될 정도로 견고하며 모르타르 결합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16]

5. 경제 및 사회 문화

인더스 계곡 내 로탈 위치 및 인더스 문명 확장 범위(녹색).


로탈은 인더스 문명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기원전 3000년경 하라파인이 도착하기 전부터 캄바트 만 인근 강가의 작은 마을이었다. 토착민들은 구리 제품, 구슬, 반귀석 등을 생산하며 번영하는 경제를 유지했다. 이들은 흑적색 도기에서 운모질 적색 도기로 발전된 도자기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라파인들은 로탈의 항구, 면화와 쌀 재배 환경, 구슬 제조 산업에 매료되어 정착했고, 토착민들과 평화롭게 공존하며 그들의 생활 방식을 받아들였다.

도시와 시설의 균일한 조직은 하라파인들이 매우 규율 잡힌 사람들이었음을 보여준다.[17] 상업 및 행정 업무는 규정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시정 관리는 엄격했다. 대부분의 거리는 오랫동안 동일한 폭을 유지했으며, 불법 건축물은 건설되지 않았다. 주택 소유자들은 도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조를 소유했다. 배수구, 맨홀, 정화조는 만조 때 씻겨 나가 도시의 청결을 유지하는 폐기물을 강에 버렸다. 하라파인들은 예술과 회화에서 새로운 지방 스타일을 개척했는데, 자연 환경에서 동물을 현실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특징이다. 금속 제품, 금, 보석, 장신구는 로탈 사람들의 문화와 번영을 보여준다.

로탈은 모헨조다로하라파에서 구리, 처트, 반귀석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입하여 내륙 마을과 도시로 분배했다. 또한 청동 켈트, 물고기 갈고리, 끌, 창, 장신구를 대량 생산했다. 로탈은 구슬, 보석, 상아, 조개를 수출했다. 돌날 산업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켰으며, 미세한 처트는 라르카나 계곡이나 현대 카르나타카의 비자푸르에서 수입되었다. 바가트라브는 반귀석을, ''샹크'' 조개는 돌라비라와 벳 드와르카에서 수입되었다. 이러한 집약적인 무역 네트워크는 주민들에게 큰 번영을 가져다주었으며, 이집트, 바레인, 수메르까지 뻗어 있었다.[42] 로탈에서 발견된 전형적인 페르시아만 인장, 원형 버튼 인장은 이러한 무역 관계의 증거이다.[18]

로탈의 가마


고대 우물과 도시 배수 시설


로탈 통치자 집의 욕실-화장실 구조


로탈의 창고


인더스 문명의 쇠퇴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지만, 인도 고고학 조사단(ASI)이 수집한 고고학적 증거는 로탈의 멸망 원인이 홍수와 폭풍과 같은 자연 재해임을 시사한다. 강력한 홍수가 도시를 침수시켜 대부분의 가옥을 파괴하고 벽과 플랫폼을 심하게 손상시켰다. 사람들은 소형 선박을 수로에 넣기 위해 흐름 채널과 부두를 연결하는 얕은 새 입구를 건설했고, 대형 선박은 멀리 정박해야 했다. 가옥은 재건되었지만 홍수 잔해를 제거하지 않아 품질이 낮았고, 공공 하수구는 침투 항아리로 대체되었다. 정부가 제대로 조직되지 않아 공공 사업은 제대로 수리되거나 유지되지 못했으며, 심하게 손상된 창고는 제대로 수리되지 않아 재고가 홍수와 화재에 노출되었다. 도시 경제는 변모하여 무역 규모는 크게 감소했지만, 자원은 소량으로나마 이용 가능했다. 독립적인 사업은 무너지고, 수백 명의 장인이 동일한 공급업체와 재정 담당자를 위해 일하는 상인 중심의 공장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구슬 공장에는 10개의 거실과 넓은 작업 마당이 있었고, 구리 세공 공방에는 여러 장인이 작업할 수 있도록 5개의 용광로와 포장된 싱크대가 있었다.[20]

도시의 번영 쇠퇴, 자원 부족, 열악한 행정은 지속적인 홍수와 폭풍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고통을 증가시켰다. 토양 염분 증가는 작물을 포함한 생명체에 부적합한 토지를 만들었다. 이는 랑푸르, 로지, 루파르, 펀자브 지역의 하라파, 신드의 모헨조다로, 찬후다로 등 인접 도시에서도 증명된다. 대규모 홍수(기원전 1900년경)는 쇠퇴하는 도시를 완전히 파괴했다. 고고학적 분석에 따르면 분지와 부두는 실트와 잔해로 봉쇄되었고 건물은 지면과 평평해졌다. 홍수는 사우라슈트라, 신드, 남부 구자라트 전체 지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더스강수틀레지강 상류 지역에도 영향을 미쳐 수십 개의 마을과 읍이 휩쓸려 갔다. 인구는 내부 지역으로 도망쳤다.[21]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이 지역은 도시적 영향이 없는 훨씬 적은 수의 인구가 거주했지만 계속해서 사람이 살았다. 로탈로 돌아온 소수의 사람들은 도시를 재건하고 수리할 수 없었지만, 종교적 전통을 보존하며 부실하게 지어진 집과 갈대 오두막에서 살았다. 그들이 하라파인이라는 것은 묘지에서 그들의 유해 분석으로 입증되었다. 도시의 무역과 자원은 거의 완전히 사라졌지만, 사람들은 문자, 도자기, 식기 등에서 하라파 문명의 방식을 일부 유지했다. 이 즈음에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의 고고학자들은 펀자브와 신드에서 사우라슈트라와 사라스바티 계곡(기원전 1900–1700년)으로 대규모 난민 이동을 기록했다.[22] 수백 개의 열악한 정착지가 문맹률 증가, 덜 복잡한 경제, 단순한 행정, 빈곤으로 특징지어지는 완전히 탈도시화된 후기 하라파인 문화로 이어진다. 인더스 문명의 인장은 사용이 중단되었지만, 8.573그램(0.3024 온스) 단위의 무게 시스템은 유지되었다. 기원전 1700년에서 1600년 사이에 무역이 다시 부활했다. 로탈에서는 하라파 도자기인 그릇, 접시, 항아리가 대량 생산되었다. 상인들은 석재 칼날에 차석 대신 사암과 같은 지역 재료를 사용했고, 절두 사암 무게는 육면체 사암 무게를 대체했다. 정교한 그림 스타일은 물결선, 고리, 잎사귀로 축소되었다.

고고학적 특징


주요 작물은 쌀이었으며, 라기, 조와르 또한 로탈에서 인기가 있었다. 다양한 종류의 렌즈콩 또한 식단의 일부였다. 가축과 야생 동물을 포함한 많은 동물들의 뼈는 폭넓은 식문화를 보여준다.[41]

5. 1. 무역 네트워크

로탈은 주요 무역 중심지로서 모헨조다로하라파에서 구리, 처트, 반귀석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입하여 내륙 마을과 도시에 분배했다.[42] 또한 청동 켈트, 물고기 갈고리, 끌, 창, 장신구 등을 대량 생산했다. 로탈은 구슬, 보석, 상아, 조개 등을 수출했으며, 돌날 산업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켰다.[42] 미세한 처트는 라르카나 계곡이나 현대 카르나타카의 비자푸르에서 수입되었고, 바가트라브는 반귀석을, ''샹크'' 조개는 돌라비라와 벳 드와르카에서 수입되었다.[42]

이러한 집약적인 무역 네트워크는 주민들에게 큰 번영을 가져다주었으며, 이집트, 바레인, 수메르까지 뻗어 있었다.[42] 로탈에서 발견된 전형적인 페르시아만 인장, 원형 버튼 인장은 이러한 무역 관계를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이다.[18]

5. 2. 경제 체제

도시와 시설의 균일한 조직은 하라파인들이 매우 규율 잡힌 사람들이었음을 명백히 보여준다.[17] 상업 및 행정 업무는 규정에 따라 엄격하게 수행되었다. 시정 관리는 엄격하여 대부분의 거리는 오랫동안 동일한 폭을 유지했으며, 불법 건축물은 건설되지 않았다. 주택 소유자들은 도시 배수구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해 고형 폐기물을 보관하는 집수조를 소유했다. 배수구, 맨홀 및 정화조는 만조 때 씻겨 나가 도시의 청결을 유지하는 폐기물을 강에 버렸다.

하라파인들의 장비 대부분인 금속 도구, 무게, 측정기, 인장, 토기 및 장식품은 인더스 문명 전반에서 발견되는 균일한 표준과 품질을 가지고 있었다. 로탈은 주요 무역 중심지였으며, 모헨조다로하라파에서 구리, 처트 및 반귀석과 같은 원자재를 대량으로 수입하여 내륙 마을과 도시로 대량 분배했다. 또한 대량의 청동 켈트, 물고기 갈고리, 끌, 창 및 장신구를 생산했다. 로탈은 구슬, 보석, 상아 및 조개를 수출했다. 돌날 산업은 국내 수요를 충족시켰는데, 미세한 처트는 라르카나 계곡 또는 현대 카르나타카의 비자푸르에서 수입되었다. 바가트라브는 반귀석을 공급했고, ''샹크'' 조개는 돌라비라와 벳 드와르카에서 나왔다. 집약적인 무역 네트워크는 주민들에게 큰 번영을 가져다주었으며, 이 네트워크는 이집트, 바레인 및 수메르까지 국경을 넘어 뻗어 있었다.[42] 로탈의 무역 증거 중 하나는 전형적인 페르시아만 인장, 원형 버튼 인장의 발견이다.[18]

5. 3. 공예 기술

로탈은 구슬 세공과 야금술이 발달한 도시였다. 특히 구슬 세공 기술은 4000년이 넘도록 그 가치를 인정받을 정도로 뛰어났다. 로탈에서는 금속 제품, 금, 보석, 장신구 등이 제작되었으며, 사실적인 그림 기법이 발달하였다.[34]

로탈에서 제작된 금속 도구, 무게, 측정기, 인장, 토기, 장식품 등은 인더스 문명 전반에서 발견되는 유물들과 동일한 표준과 품질을 보였다.[31] 로탈은 주요 무역 중심지로서 모헨조다로하라파에서 구리, 처트, 반귀석 등을 수입하여 내륙 지역에 공급하였다. 또한 청동 켈트, 낚시 바늘, 끌, 창, 장신구 등을 대량 생산하여 구슬, 보석, 상아, 조개 등과 함께 수출하였다.[42] 무역망은 이집트, 바레인, 수메르까지 뻗어 있었으며,[42] 로탈에서 발견된 페르시아만 인장은 이러한 무역의 증거로 여겨진다.[18]

로탈의 구리는 다른 인더스 지역과 달리 비소가 섞이지 않은 순수한 금속이었다. 로탈의 장인들은 구리와 주석을 혼합하여 켈트, 화살촉, 낚시 바늘, 끌, 팔찌, 반지, 드릴, 창 등을 만들었다. 또한, 밀랍 주조 기술을 활용하고, 곡선 톱, 비틀린 드릴 등 새로운 도구를 발명하는 등 야금술이 상당히 발달하였다.[32]

로탈은 쿠치 만과 카티아와르 해안에서 많이 나는 소라고둥 껍데기를 이용하여 조개 가공 산업이 발달하였다. 게임 말, 구슬, 연고 용기, 소라고둥 껍데기, 국자, 상감 세공품, 플렉트럼, 브리지 등이 조개로 만들어졌다.[1] 상아 공방도 운영되었으며, 상아 인장, 상자, 빗, 막대, 상감 세공, 귀걸이 등이 제작되었다.[33]

로탈에서는 금 장신구도 많이 생산되었는데, 특히 지름 0.25mm 미만의 작은 금 구슬을 여러 줄로 엮은 목걸이가 유명했다. 직각 모서리가 있는 원통형, 구형, 벽옥 금 구슬은 구자라트 지역 여성들이 머리 장식에 사용하는 현대의 펜던트와 유사하다. 파이앙스, 활석으로 만든 장신구도 인기가 있었다.[34]

키쉬, 우르, 잘랄라바드, 수사 등 서아시아 지역에서 로탈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홍옥수 구슬, 원통형 구슬 등이 발견되었다. 로탈의 구슬 세공 기술은 캄바트 지역의 현대 장인들이 사용하는 기술과 동일할 정도로 정교했다.[35] 특히 마노의 이중 눈 구슬, 벽옥의 금 테두리 구슬, 홍옥수 구슬은 로탈 고유의 것으로 여겨진다. 활석으로 만든 미세 원통형 구슬도 유명했다.[34]

로탈에서는 213개의 인장이 발견되었는데, 대부분 짧은 뿔 황소, 산양, 호랑이, 혼합 동물 등이 새겨져 있었다. 짐을 포장하는 데 사용된 도장 인장은 로탈에서만 발견되는 특징적인 유물이다. 바레인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원형 인장에는 점프하는 가젤과 용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36]

로탈에서는 손잡이가 있거나 없는 볼록한 그릇, 넓은 림이 있는 작은 항아리 등 새로운 형태의 토기가 발견되었다. 로탈의 예술가들은 자연 환경 속 동물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새로운 그림 기법을 도입했다. 예를 들어, 부리에 물고기를 문 새가 나무에 앉아 있고, 여우와 같은 동물이 아래에 서 있는 그림은 판차탄트라의 여우와 까마귀 이야기를 연상시킨다.[38] 또한, 목마른 까마귀와 사슴 그림에서는 동물의 특징과 움직임, 감정 등이 섬세하게 표현되었다.[38]

로탈에서는 테라코타 게임 조각, 동물 형상, 피라미드, 성과 같은 물체 등도 발견되었다. 인간과 동물의 사실적인 묘사는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세심한 관찰을 보여준다. 테라코타 모델에서는 개와 황소 종의 차이점이 나타나며, 바퀴가 달리고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동물 형상은 장난감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40]

6. 과학 기술

로탈의 엔지니어들은 배수 시설을 위해 코벨 지붕과 가마에서 구운 벽돌 앞치마를 오수관이 정화조로 들어가는 플랫폼 벽돌 면 위에 설치했다.[26] 측면 배수 벽 홈에 설치된 나무 스크린은 고체 폐기물을 걸러냈다. 우물은 반경 방향 벽돌로 만들어졌으며 지름 2.4m, 깊이 6.7m이다. 로탈은 지하 배수관, 침전실, 정화조, 고체 폐기물 검사 실로 구성된 완벽한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었다. 배수관의 규모는 고고학자들이 거리 배치, 주택 및 목욕 시설 조직에 대한 많은 단서를 얻는 데 도움이 되었다.

주요 하수구는 평균 깊이 20cm~46cm, 외부 치수 86 × 68 × 33 cm였다. 로탈의 벽돌 제조업자들은 벽돌 제조에 논리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했는데, 구조물 두께에 대해 신중하게 설계하여 동일 층과 교대 층에서 헤더와 스트레처를 사용했다. 고고학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벽돌이 세 면에서 1:0.5:0.25 비율이었고, 치수는 25mm 로탈 척도의 큰 눈금의 정수 배수였다고 추정한다.[26]

4개의 구멍이 있는 주요 배수관에 배치된 벽돌 블록. 고체 폐기물을 걸러내는 그물을 설치했다.

6. 1. 측정 및 도량형

로탈은 통합되고 선형인 세 가지 측정 척도 중 하나를 제공했는데, 이는 인더스 문명에서 가장 작은 십진법 분할을 가지고 있었다. 로탈의 상아 척도는 두께 6mm, 너비 15mm, 사용 가능한 길이 128mm이지만, 46mm에서만 27개의 눈금이 보인다. 눈금선 사이의 거리는 1.7mm이다(작은 크기는 정밀한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로탈의 10개 눈금 총합은 ''아르타샤스트라''의 ''angula''와 거의 같다.[24] 로탈 장인들은 연마하기 전에 가장자리를 무디게 함으로써 석재 무게의 내구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25]

두 가장자리에 각각 4개의 슬릿이 있는 두꺼운 고리 모양의 조개 물체는 주택 정렬, 도로 또는 토지 측량과 같은 평면 표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나침반 역할을 했다. S.R. 라오는 이 물체가 각도 측정, 어쩌면 별의 위치 측정, 따라서 육분의와 같은 항해에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3]

6. 2. 도구 및 장비

로탈 장인들은 석재 무게의 내구성과 정확성을 보장하기 위해 연마하기 전에 가장자리를 무디게 하는 등 주의를 기울였다.[25] 이들은 곡선 톱과 비틀린 드릴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발명했다. 두 개의 가장자리에 각각 4개의 슬릿이 있는 두꺼운 고리 모양의 조개 물체는 평면 표면의 각도를 측정하는 나침반 역할을 했다. S.R. 라오는 이 물체가 각도 측정, 어쩌면 별의 위치 측정, 따라서 육분의와 같은 항해에도 사용되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3]

로탈은 하라파모헨조다로와 함께 통합되고 선형인 세 가지 측정 척도 중 하나를 제공한다. 로탈의 상아 척도는 인더스 문명에서 가장 작은 십진법 분할을 가지고 있다. 척도는 두께가 6mm, 너비가 15mm이며 사용 가능한 길이는 128mm이지만, 46mm에서만 27개의 눈금이 보인다. 눈금선 사이의 거리는 1.7mm이다(작은 크기는 정밀한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나타낸다). 로탈의 10개의 눈금의 총 합은 ''아르타샤스트라''의 ''angula''와 거의 같다.[24]

로탈의 엔지니어들은 배수 시스템을 위해 코벨 지붕과, 오수관이 정화조로 들어가는 플랫폼의 벽돌 면 위에 가마에서 구운 벽돌의 앞치마를 제공했다. 측면 배수 벽의 홈에 삽입된 나무 스크린은 고체 폐기물을 막았다. 우물은 반경 방향의 벽돌로 지어졌으며, 지름은 2.4m이고 깊이는 6.7m이다. 그것은 지하 배수관, 침전실, 정화조, 그리고 고체 폐기물 검사 실로 이루어진 완벽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었다. 배수관의 규모는 고고학자들에게 거리의 레이아웃, 주택 및 목욕 시설의 조직에 대한 많은 단서를 제공했다.

평균적으로 주요 하수구는 깊이가 20cm에서 46cm이고 외부 치수는 86 × 68 × 33 cm이다. 로탈의 벽돌 제조업자들은 구조물의 두께에 대해 신중하게 설계된, 벽돌 제조에 논리적인 접근 방식을 사용했다. 그들은 동일한 층과 교대 층에서 헤더와 스트레처로 사용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벽돌이 세 면에서 1:0.5:0.25의 비율이었고, 치수는 25mm의 로탈 척도의 큰 눈금의 정수 배수였다고 추정한다.[26]

7. 종교 및 매장 풍습

로탈의 쌍둥이 매장


로탈 사람들은 봉인에 묘사된 뿔 달린 신으로 추정되는 불의 신을 숭배했으며, 사적 및 공적 불 제단의 존재는 그들의 영적 신념을 보여준다.[27] 고고학자들은 베다교와 관련된 여러 증거를 발견했다. 동물 숭배의 증거도 나타나지만, 다른 하라파 도시에서 나타나는 어머니 여신 숭배는 아니다. 전문가들은 종교적 전통의 다양성이 존재한다고 여기지만, 인더스 시대의 바다 여신이 숭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지역 주민들 또한 바다 여신인 '바누바티 시코타리마타'를 숭배하는데, 이는 고대 항구의 전통과 역사적 과거와의 연관성을 시사한다.[28][29]

고고학자들은 기원전 2000년까지 이 관행이 중단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탄소 연대 측정으로 밝혀졌다. 이 관행은 가끔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탈 시민들은 화장을 했을 것으로도 여겨진다. 화장 후 매장은 하라파, 메히, 담-부티와 같은 다른 인더스 유적지에서도 발견되었다.[30]

7. 1. 종교적 다양성

로탈 사람들은 봉인에 묘사된 뿔 달린 신으로 추정되는 불의 신을 숭배했다. 종교 의식이 열린 사적인, 공적인 불 제단의 존재는 그들의 영적 신념을 보여준다. 고고학자들은 금 펜던트, 테라코타 케이크와 도자기의 탄 재, 소의 유해, 구슬 및 고대 베다교와 관련된 가바마야나 희생의 관행을 나타낼 수 있는 기타 징후를 발견했다.[27] 동물 숭배도 증거로 나타나지만, 다른 하라파 도시에서 증거로 나타나는 어머니 여신 숭배는 아니다. 전문가들은 이것을 종교적 전통의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징후로 여긴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더스 시대의 어머니 여신과 연관된 바다 여신이 숭배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지역 주민들 또한 바다 여신인 '바누바티 시코타리마타'를 숭배하며, 이는 고대 항구의 전통과 바다로의 접근이라는 역사적 과거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28][29]

7. 2. 매장 풍습

로탈 사람들은 봉인에 묘사된 뿔 달린 신으로 추정되는 불의 신을 숭배했다. 종교 의식이 열린 사적인, 공적인 불 제단의 존재는 그들의 영적 신념을 더욱 증명한다. 고고학자들은 금 펜던트, 테라코타 케이크와 도자기의 탄 재, 소의 유해, 구슬 및 고대 베다교와 관련된 가바마야나 희생의 관행을 나타낼 수 있는 기타 징후를 발견했다.[27] 동물 숭배도 증거로 나타나지만, 다른 하라파 도시에서 증거로 나타나는 어머니 여신 숭배는 아니다. 전문가들은 이것을 종교적 전통의 다양성이 존재한다는 징후로 여긴다. 그러나, 일반적인 인더스 시대의 어머니 여신과 연관된 바다 여신이 숭배되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오늘날, 지역 주민들 또한 바다 여신인 '바누바티 시코타리마타'를 숭배하며, 이는 고대 항구의 전통과 바다로의 접근이라는 역사적 과거와의 연관성을 시사한다.[28][29]

그러나 고고학자들은 또한 이 관행이 기원전 2000년까지 중단되었다는 것을 발견했다(이는 탄소 연대 측정 유해의 매장 시간 차이로 결정되었다). 이 관행은 단지 가끔 일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로탈 시민들이 추정 인구 15,000명 중 단 17개에 불과한 적은 수의 무덤이 발견된 점을 고려할 때, 로탈 시민들은 또한 고인의 화장을 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화장 후 매장은 하라파, 메히, 담-부티와 같은 다른 인더스 유적지에서 발견되었다.[30]

8. 야금술 및 장신구

로탈의 구리는 다른 인더스 계곡의 구리 세공인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비소가 없는, 유난히 순수한 금속이었다. 이 도시는 아라비아 반도에서 온 것으로 추정되는 잉곳을 수입했다.[31]

로탈은 대량의 금 장신구를 생산했는데, 가장 매력적인 품목은 지름이 0.25mm 미만인, 목걸이로 사용된 5줄의 금 미세 구슬이었다. 직각 모서리가 있는 원통형, 구형, 벽옥 금 구슬은 구자라트 여성들이 머리 땋기에 사용하는 현대식 펜던트와 유사하다. 제단에서 회수된 구멍이 있는 큰 원반은 베다 사제들이 착용하는 ''루크마''와 비교된다. 파이앙스활석으로 만든 스터드, 톱니바퀴 모양 및 하트 모양 장신구가 로탈에서 인기가 있었다. 얇은 구리선으로 만든 이중 나선형 반지는 현대 힌두교인들이 결혼식에 사용하는 금선 반지와 유사하다.[34]

8. 1. 금속 가공 기술

로탈의 노동자들은 켈트, 화살촉, 낚시 바늘, 끌, 팔찌, 반지, 드릴, 창 등을 제조하기 위해 주석과 구리를 혼합했지만, 무기 제조는 비중이 적었다. 그들은 밀랍 주조 기술을 따르고 새와 동물을 주조하기 위해 여러 조각으로 된 틀을 사용하는 등, 첨단 야금술을 사용했으며,[31] 당시 다른 문명에서는 알려지지 않은 곡선 톱과 비틀린 드릴과 같은 새로운 도구를 발명했다.[32]

8. 2. 조개 가공

로탈은 쿠치 만과 카티아와르 해안 근처에서 발견되는 고품질의 소라고둥 껍데기가 풍부했기 때문에 조개 가공의 중심지 중 하나였다.[31] 수출과 현지 소비를 위해 게임 말, 구슬, 연고 용기, 소라고둥 껍데기, 국자, 상감 세공품 등이 만들어졌다. 플렉트럼과 브리지와 같은 현악기 부품도 조개로 만들어졌다.[1]

8. 3. 상아 공예

엄격한 정부 감독 아래 상아 공방이 운영되었으며, 코끼리 사육이 제안되었다.[33] 발굴 과정에서 상아 인장, 상자, 빗, 막대, 상감 세공, 귀걸이 등에 사용된 톱질된 상아 조각들이 발견되었다.[33]

9. 예술

붉은 점토 도기 조각


로탈 고고학 박물관의 인장 복제품


로탈은 홍옥수 구슬, 원통형 구슬 등 다양한 형태의 구슬을 제작했으며, 이는 키쉬, 우르 (현대 이라크), 잘랄라바드 (아프가니스탄), 수사 (이란) 등 서아시아 전역에서 인기를 얻었다.[35] 보석세공인들은 다양한 색상의 돌을 선택하여 다양한 모양과 크기의 구슬을 생산했다. 로탈 구슬 제작자들의 기술은 4,000년이 넘도록 개선되지 않을 정도로 발전했으며, 캄바트 지역의 현대 제작자들은 동일한 기술을 따른다. 마노의 이중 눈 구슬, 벽옥의 금 테두리 구슬, 홍옥수 구슬 등은 로탈 고유의 것으로 여겨진다. 활석 (녹니석)의 미세 원통형 구슬은 매우 유명했다.[34]

9. 1. 인장



로탈에서는 213개의 인장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모든 인더스 유적지 중 세 번째로 많은 양이다. 인장 조각가들은 짧은 뿔의 황소, 산양, 호랑이, 코끼리-황소와 같은 혼합 동물을 조각하는 것을 선호했다. 거의 모든 인장에는 짧은 인타글리오 조각이 새겨져 있다. 구멍이 뚫린 단추에 구리 고리가 삽입된 도장 인장은 매트, 꼬인 천, 끈과 같은 포장재의 인상과 함께 화물을 봉인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로탈에서만 확인되었다. 통치자와 소유자의 인장과 함께 수량적 설명이 상품에 찍혔다. 이곳에서 발견된 독특한 인장은 바레인에서 온 것으로, 점프하는 가젤 옆에 용의 모티프가 있는 원형 인장이다.[36]

9. 2. 도기 및 회화

로탈은 손잡이가 있거나 없는 볼록한 그릇과 넓은 림이 있는 작은 항아리라는 두 가지 새로운 유형의 도기를 제공하는데, 이들은 모두 운모질 적색 도기 시대에 발견되었으며 동시대 인더스 문화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로탈의 예술가들은 새로운 형태의 사실적인 그림을 도입했다.[37] 그림은 동물을 자연 환경 속에서 묘사한다. 한 큰 용기에는 예술가가 부리에 물고기를 물고 나무에 쉬고 있는 새를 묘사하고, 여우와 같은 동물이 아래에 서 있는데, 이 장면은 ''판차탄트라''의 여우와 까마귀 이야기와 유사하다.[38] 예술적 상상력은 신중한 묘사를 통해 제안되는데, 예를 들어 하늘에서 다리를 든 여러 마리의 새는 비행을, 반쯤 열린 날개는 임박한 비행을 암시한다. 15cm x 5cm 크기의 작은 항아리에는 목마른 까마귀와 사슴의 이야기가 묘사되어 있는데, 사슴은 항아리의 좁은 입구에서 물을 마실 수 없었지만 까마귀는 돌을 항아리에 떨어뜨려 성공했다. 동물의 특징은 뚜렷하고 우아하며, 움직임과 감정은 사지의 위치와 얼굴 특징으로 제안된다.[38]

9. 3. 테라코타

로탈에서는 테라코타 게임 조각, 동물 형상, 상아 손잡이가 있는 피라미드, 성과 같은 물체들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집트 하트셉수트 여왕의 체스 세트와 유사하다.[39] 인간과 동물의 사실적인 묘사는 해부학적 및 자연적 특징에 대한 세심한 연구를 시사한다. 째진 눈, 날카로운 코, 사각형 수염을 가진 남성의 흉상은 수메르 인물, 특히 마리의 석조 조각상을 연상시킨다. 남성과 여성 이미지에서는 근육질과 신체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테라코타 모델은 말, 개, 황소 종의 차이점도 식별한다.[40] 바퀴가 있고 머리를 움직일 수 있는 동물 형상은 장난감으로 활용되었을 수 있다.

10. 멸망과 이후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이 수집한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로탈의 멸망 원인은 홍수나 폭풍과 같은 자연 재해 때문이었을 것으로 보인다.

11. 유적 보존 현황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유적을 보호하기 위해 초기 단계의 주변 벽, 부두 및 많은 주택을 흙으로 덮었지만,[43] 염분 침투, 비와 햇빛에 장기간 노출, 폭우 등으로 인해 유적의 잔해가 점차 훼손되고 있어 보존에 대한 심각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1. 1. 보존 문제

염분 침투와 장기간의 비와 햇빛 노출로 인해 유적의 잔해가 점차 훼손되고 있다. 이 지역의 폭우는 햇볕에 말린 진흙 벽돌 구조물의 잔해를 손상시켰다. 정체된 빗물은 벽돌과 진흙에 이끼 층을 만들었다. 실트 침전으로 인해 도크의 흘수(배가 물에 잠기는 깊이)는 3m에서 4m로 줄어들었고, 염분 퇴적물은 벽돌을 부식시키고 있다. 관계자들은 모세관 현상에 의한 염분 침투를 지적하며, 복구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균열이 나타나고 기초가 약해지고 있다고 말한다.[44]

12. 도크(Dockyard) 논쟁

로탈에서 발견된 사다리꼴 모양의 구운 벽돌 구조물은 도시 동쪽에 있으며, 주요 강 수로에서 떨어져 있어 실트(silt) 퇴적을 피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구조물은 남북 길이가 평균 215m, 동서 너비가 35m이다.[45] 구조물 북쪽에는 폭 7m, 깊이 0.9m의 입구가 남아 있고, 남쪽에는 나무 문으로 막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1m 정사각형의 소실문(suluce gate) 또는 배수구가 있다.[4]

이 구조물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dock (maritime))인지, 아니면 관개용 저수지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이 구조물이 무역로의 사바르마티 강 고대 물길과 도시를 연결하는 부두였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일부 고고학자들은 크기가 작고, 우물이 두 개밖에 없다는 점 등을 들어 관개용 저수지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기원전 2000년에 강이 흐름을 바꾸었을 때, 폭 7m, 길이 2km의 운하가 새로운 강줄기로 파였다.[45] 화물 이동을 위해 부두 서쪽 팔에 220m 길이의 진흙 벽돌 부두가 건설되었고, 창고와 아크로폴리스로 이어지는 경사로가 있었다. 창고는 원래 64개의 입방형 블록으로 구성되었으나, 홍수로 인해 12개만 남고 나머지는 파괴되었다.[47]

로탈의 기술자들은 조수 운동과 벽돌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캄바트 만(Gulf of Khambhat)의 높은 조수 진폭을 활용해 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위치를 선정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 입구는 폭이 12.8m이고 반대편에도 다른 입구가 있었으며, 외부 벽면에 오프셋(offset)을 제공하여 물의 압력에 대응했다. 만조 시 2.1m에서 2.4m의 물 흐름은 배가 들어갈 수 있게 했을 것이고, 과도한 물은 남쪽 팔에 폭 96.5m, 높이 1.7m인 출구 채널을 통해 유출되었다.

창고 맞은편에는 중요한 공공 건물이 있었는데, 상부는 완전히 사라졌다. 도시 전체는 여러 번의 홍수와 폭풍에 대비해야 했고, 부두와 도시 주변 벽은 효율적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나 번영이 증가하면서 로탈 사람들은 시스템에 대한 과신으로 인해 벽과 부두 시설을 유지하지 못했고, 기원전 2050년의 홍수로 구조에 심각한 약점이 드러났지만 제대로 해결되지 않았다.[42]

12. 1. 도크 주장 측

인도 고고학 조사국(ASI)은 로탈이 무역로의 사바르마티 강 고대 물길과 도시를 연결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부두(dock (maritime))였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 무역로는 신드(파키스탄)의 하라파 도시와 사우라슈트라 반도를 연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4][5]

인도 국립 해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India)는 고아에서 발견한 유공충(foraminifera) (해양 미화석)과 소금, 석고 결정들을 통해 바닷물이 한때 이 직사각형 구조물을 채웠으며, 이곳이 조선소였음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6]

12. 2. 관개용 저수지 주장 측

일부 고고학자들은 로탈이 비교적 작은 마을이었고, "부두"는 주로 관개용 저수지였다고 주장한다.[4][5] 이들은 쿠푸(Khufu)의 와디 알-자르프(Wadi al-Jarf) (이집트)에 있는 홍해 항구가 더 오래되었으며, 그 건설 시기를 기원전 2580년에서 기원전 2550년 사이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은 "입구"의 크기가 외해 선박의 흘수를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내륙 선박을 사용하여 다른 곳에 정박된 외해 선박으로 상품을 운송해야 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도시에는 단 두 개의 우물(부두 남쪽 가장자리에 하나, 아크로폴리스에 다른 하나)이 있다는 점을 들어, 이 구조물이 채소 관개, 목욕 장소, 강 배 하역을 위한 부두로 사용되었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4][49]

레쉬닉은 인도 국립 해양 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Oceanography, India)가 직사각형 구조에서 발견한 유공충(해양 미화석)과 소금, 석고 결정(해수 증발로 인한)이 홍수로 인해 남겨졌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4][6]

분지 주변에서 발견된 5개의 돌 무게가 닻인지 샤두프 무게인지, 부두에서 나온 기수 조개 껍질의 출처,[50][51] 5개의 테라코타 모형 보트와 바레인에서 온 원형 페르시아 만 인장 역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52]

12. 3. 추가 논쟁

분지 주변에서 발견된 다섯 개의 돌 무게가 닻인지 샤두프 무게인지에 대한 논쟁, 부두에서 나온 기수 조개 껍질의 출처,[50][51] 다섯 개의 테라코타 모형 보트와 바레인에서 온 원형 페르시아 만 인장 역시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52]

참조

[1] 웹사이트 Where does history begin? https://www.cntravel[...] 2017-10-19
[2] 서적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웹사이트 World's First Port Discovered in Red Sea http://www.hic-mena.[...] 2022-02-22
[4] 간행물 The Harappan "Port" at Lothal: Another View https://www.jstor.or[...] 1968
[5] 문서 Leshnik, "The Harappan 'Port' at Lothal"
[6] 웹사이트 Foraminifera as an additional tool for archaeologists – Examples from the Arabian Sea https://www.research[...] 2015-09-25
[7] 웹사이트 Excavations – Important – Gujarat http://asi.nic.in/as[...]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011-10-25
[8] UNESCO UNESCO https://whc.unesco.o[...]
[9] 웹사이트 Archaeological remains of a Harappa Port-Town, Lothal https://whc.unesco.o[...] 2021-09-16
[10] 서적 Rajasthan and Gujarat Handbook: The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Footprint Travel Guides 2006-10-26
[11]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2]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3] 웹사이트 Paleoenvironments around Lothal http://www.igu.in/8-[...] Journal of the Indian Geophysics Union (Vol. 8, No. 1)
[14]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5]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6]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tatic.panora[...] 2014-04-25
[17]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18] 문서 Bridget, F. Raymond Allchin, ''The rise of civilization in India and Pakistan''
[19]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0]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1]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2]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3]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4]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5]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6]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7]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8]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29] 백과사전 India http://www.britannic[...] Encyclopædia Britannica Premium Service 2006-04-06
[30]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1]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2]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3]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4]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5]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6]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7]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8]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39]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0] 웹사이트 Excavation Sites in Gujarat –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http://asi.nic.in/as[...] 2018-06-01
[41] 서적 The Story of Our Food https://books.google[...] Universities Press 2003
[42]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3] 뉴스 Ancient Lothal crumbling under modern neglect http://www.indianexp[...] 1998-12-14
[44] 웹사이트 Harappan mound needs the kiss of life http://www.indianexp[...] 2006-10-27
[45]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6]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7]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48] 서적 Lothal C.H. Beck
[49] 간행물 The Harappan "Port" at Lothal: Another View 1968
[50] 웹사이트 Stone anchors of India: Findings, Classification and Significance https://www.research[...] 2014-01
[51] 웹사이트 Indian Archaeology 1961-62 A Review http://nmma.nic.in/n[...]
[52] 웹사이트 Shipping and Maritime Trade of the Indus People https://www.penn.mus[...] Expedition Magazine 1965
[53]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54]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55] 서적 Lothal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56]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57] 서적 The Story of Our Food https://books.google[...] Universities Press 200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