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해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해탈은 불교 용어로, 8해탈을 모두 경험하고 지혜로 번뇌를 끊어 더 이상 방일하지 않아도 되는 경지를 의미한다. 8해탈은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내무색상관외색해탈, 정해탈신작증구족주, 공무변처해탈, 식무변처해탈, 무소유처해탈, 비상비비상처해탈, 멸수상정해탈의 여덟 가지 해탈을 말한다. 중아함경,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담감로미론, 성실론 등 다양한 경론에서 구해탈에 대한 설명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교 용어 - 불멸기원
불멸기원은 석가모니의 입멸을 기원으로 하는 불교력의 연호로, 기원전 544년 설과 기원전 543년 설에 따라 계산에 차이가 있으며, 태음태양력을 기반으로 윤년과 윤달을 통해 태양력과의 차이를 조정하고, 동남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불교 관련 행사 및 휴일 표기에 사용된다. - 불교 용어 - 마음챙김
마음챙김은 불교 용어인 '사띠'와 '스므르티'에서 유래하여 현재 순간에 대한 자각과 수용을 의미하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신 건강 증진을 위해 심리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되고 다양한 분야에서 유사한 개념이 존재하나 상업화 및 윤리적 문제에 대한 비판도 있다.
구해탈 | |
---|---|
구해탈 (九解脫) | |
종류 | 수행법 |
내용 | 9가지의 뛰어난 선정([선정 (불교)|禪定]) |
참고 | 4선과 4무색정에 멸진정을 더한 것 |
상세 내용 | |
정의 |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에서 아라한이 증득하는 9가지의 뛰어난 선정([선정 (불교)|禪定]) |
구성 요소 | 4선 4무색정 멸진정 |
4선정 | 색계의 4가지 선정 |
4무색정 | 무색계의 4무색정 |
멸진정 | 무색계의 멸진정 또는 멸수상정이라고도 함. |
특징 | 번뇌를 소멸시키는 뛰어난 효능 |
관련 경전 | 아함경 구사론 성실론 대승의장 유가사지론 |
구해탈도의 단계 | 초선 제2선 제3선 제4선 공무변처정 식무변처정 무소유처정 비상비비상처정 멸진정 |
설명 | |
4선정 설명 | 욕계의 번뇌를 벗어나 색계의 선정을 증득하는 수행법 |
4무색정 설명 | 색계의 형상을 벗어나 무색계의 선정을 증득하는 수행법 |
멸진정 설명 | 상(想)과 수(受)의 작용을 소멸시켜 번뇌를 완전히 없애는 선정 |
참고 문헌 | |
한국어 | 한국불교학연구소, 《한국불교학》, 불교문화사, 1993년. 운허,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1989년. |
영어 | Buswell, Robert E., Jr.; Donald S. Lopez, Jr. (2013).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Rhys Davids, T.W. & William Stede (eds.) (1921-5). The Pali Text Society’s Pali–English Dictionary. Pali Text Society. |
외부 링크 |
2. 8해탈의 종류
8해탈은 물질적 탐욕을 극복하는 단계, 비물질적 세계를 경험하는 단계, 마음과 마음작용의 소멸을 경험하는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물질적 탐욕을 극복하는 단계에는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내무색상관외색해탈, 정해탈신작증구족주가 해당된다. 비물질적 세계를 경험하는 단계에는 공무변처해탈, 식무변처해탈, 무소유처해탈, 비상비비상처해탈이 있다. 마지막으로 마음과 마음작용의 소멸을 경험하는 멸수상정해탈이 있다.[31][32][33][34]
2. 1. (1) 내유색상관외색해탈
내유색상관외색해탈은 4선 중 초선과 제2선(第二禪)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대치하는 것이다. 바깥 대상의 색깔에 대하여 퍼렇게 어혈든[靑瘀] 색깔 등을 관하는 부정관을 닦아 마음 속에 있는 빛깔에 대한 탐욕을 버리는 것을 뜻한다. 탐욕을 떠난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2. (2) 내무색상관외색해탈
내무색상관외색해탈(內無色想觀外色解脫)은 4선 중 초선과 제2선에 의지하여 부정관(不淨觀)을 수행하여 현색탐(顯色貪)을 대치하는 것이다. 마음속에 있는 색깔에 대한 탐욕은 이미 없어졌지만 이 상태를 더욱 견고히 유지하기 위해 바깥 대상의 빛깔에 대하여 퍼렇게 어혈든[靑瘀] 빛 등을 관하는 부정관을 계속 닦는 것을 말한다. 탐욕을 다시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3. (3) 정해탈신작증구족주
제4선(第四禪)에 의지하여 정관(淨觀)을 수행하여 탐욕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체득하는 것이다. 부정관(不淨觀)을 버리고 바깥 대상의 색깔에 대하여 청정한 방면, 즉 아름다운 색깔을 주시하여도 탐욕이 일어나지 않고 그 상태를 '몸으로 완전히 체득하여 안주하는 것'을 말한다. 탐욕을 일으키지 않게 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4. (4) 공무변처해탈
4무색정 중 공무변처정에 의지하여 물질(색깔과 모양)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물질의 속박, 즉 물질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5. (5) 식무변처해탈
4무색정 중 식무변처정에 의지하여 허공(공간)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허공의 속박, 즉 허공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6. (6) 무소유처해탈
4무색정 가운데 무소유처정에 의지하여 마음[識]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마음[識]의 속박, 즉 마음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7. (7) 비상비비상처해탈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은 4무색정 중 비상비비상처정에 의지하여, '마음[識]에 대한 생각을 완전히 버린 상태' 즉 무소유심(無所有心)을 다시 완전히 버리는 것을 말한다. 있음과 없음에 대한 마음의 한계를 벗어나는 것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2. 8. (8) 멸수상정해탈
멸진정(滅盡定)에 의지하여 '일체의 마음[心]과 마음작용[心所]'이 소멸된 적정(寂靜)의 상태에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마음과 수 상(想) 등의 마음작용의 한계 또는 시끄러움을 벗어난 고요한 상태이므로 해탈이라 이름한다.[31][32][33][34] '일체의 마음과 마음작용'이란 부파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과 6식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한다. 대승불교의 교학에 따르면 6식 모두와 제7 말나식의 염오한 부분 및 이 마음들과 상응하는 모든 마음작용을 뜻한다.3. 경론별 설명
8해탈은 초기 불교 경전뿐만 아니라 부파불교 및 대승불교의 여러 논서에서도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 중아함경: 제51권 제195경 〈아습패경〉에서는 8해탈을 몸으로 체험하고 지혜로 번뇌를 끊은 구해탈(俱解脫) 비구는 더 이상 방일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한다.[1]
-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구해탈(俱解脫)을 번뇌장(煩惱障)과 해탈장(解脫障) 두 가지 장애에서 모두 벗어난 상태로 정의한다.[19] 멸진정을 얻는 과정에서 유루(有漏)와 무루(無漏)의 마음이 모두 해탈을 얻는다고 설명한다.[19]
- 아비달마구사론: 해탈의 차이에 근거하여 두 종류를 설정하였는데, 오로지 반야(慧)에 의해 번뇌의 장애를 떠난 성자를 '혜해탈'로, 선정(定)을 획득함에 따라 해탈의 장애마저 떠난 성자를 '구해탈'로 설정하였다.
- 아비담감로미론: 멸진정을 얻는 것을 구해탈이라고 정의한다.[35] 8지(地)의 욕심을 끊고 멸진정을 얻은 신증아나함과 구해탈 아라한을 언급한다.[35][36]
- 성실론: 멸진정을 얻지 못한 이를 혜해탈, 얻은 이를 구해탈로 구분한다.[37][38]
3. 1. 중아함경
《중아함경》 제51권 제195경 〈아습패경〉(阿濕貝經)에서는 8해탈(解脫)을 몸으로 체험하고 지혜로 번뇌를 끊은 俱解脫|구해탈중국어 비구는 더 이상 방일하지 않아도 된다고 설명한다.[1]俱解脫|구해탈중국어 비구는 8해탈을 몸으로 체험하여 성취하고, 지혜로써 모든 번뇌가 이미 다하였음을 안다. 이러한 비구는 이미 방일함이 없으므로 방일하지 않아도 된다.[1]
3. 2.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는 구해탈(俱解脫)을 번뇌장(煩惱障)과 해탈장(解脫障) 두 가지 장애에서 모두 벗어난 상태로 정의한다.[19] 멸진정을 얻는 과정에서 유루(有漏)와 무루(無漏)의 마음이 모두 해탈을 얻는다고 설명한다.[19]구해탈(俱解脫)의 보특가라는 혜해탈이나 견지나 혹은 신증으로 몸으로써 8해탈을 빠짐없이 증득하고, 또한 지혜로 모든 번뇌를 다한 이를 말한다. 이들은 혜해탈이나 견지 혹은 신증을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다.[19]
먼저 아라한과를 얻고 뒤에 멸정을 얻는 이는 혜해탈을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다. 이는 이름을 버리고 이름을 얻을 뿐, 도를 버리고 도를 얻는 것은 아니다. 신승해 등을 버리고 신증을 얻는 것과 같다.[19]
먼저 멸정을 얻고 뒤에 아라한과를 얻는 이는 신증을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다. 이는 이름을 버리고 이름을 얻으며, 도를 버리고 도를 얻는 것이다. 이름을 버린다는 것은 신증의 이름을 버리는 것이고, 이름을 얻는다는 것은 구해탈의 이름을 얻는 것이다. 도를 버린다는 것은 수도를 버리는 것이고, 도를 얻는다는 것은 무학도를 얻는 것이다.[19]
무상정등보리를 증득한 보살은 진지(盡智)일 때에 견지를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다. 이는 이름을 버리고 이름을 얻으며, 도를 버리고 도를 얻는 것이다. 이름을 버린다는 것은 견지의 이름을 버리는 것(보살의 수위(修位)를 견지라 함)이고, 이름을 얻는다는 것은 구해탈의 이름을 얻는 것(모든 부처님은 모두 구해탈임)이다. 도를 버린다는 것은 수도를 버리는 것이고, 도를 얻는다는 것은 무학도를 얻는 것이다.[19]
서방의 논사는 “보살의 배우는 지위[學位]는 먼저 멸정을 일으키고 뒤에 보리를 얻는 것이므로 그는 신증을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 것이다”라고 말한다.[19]
가습미라국의 여러 논사들은 “34념(念)58)에서 보리를 얻기 때문이고 배우는 지위에서는 아직 멸정을 일으키지 못하기 때문에 진지(盡智)일 때에 반드시 견지를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 것이다”라고 말한다.[19]
근기가 둔한 이로서 아직 멸정을 얻지 못했다면 진지를 얻을 때에 구해탈을 이룰 수 없다. 따라서 신승해를 버리고 구해탈을 얻는 이는 없다.[19]
장애[障]에는 두 종류가 있으니 첫째는 번뇌장(煩惱障)59)이요, 둘째는 해탈장(解脫障)이다. 두 장애에서 마음이 해탈[心解脫]하기 때문에 구해탈이라고 한다.[19]
만일 먼저 아라한과를 얻고 뒤에 멸정을 얻는 이면 그는 해탈장에서 어떠한 마음이 해탈[心解脫]하는가? 유루인가, 무루인가? 라는 질문에 어떤이는 유루의 마음은 진지를 얻을 때에 이미 해탈하였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유루ㆍ무루의 마음이 다 같이 해탈하게 된다. 왜냐하면 해탈에는 두 가지가 있기 때문이니, 첫째는 세간에 행하는 해탈[行世解脫]이요, 둘째는 몸에 있는 해탈[在身解脫]이다. 그가 아직 멸정을 얻지 못했을 때에 들고 나는 선정의 마음은 세간에 행할 수 없고 세간에 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에도 있을 수 없지만 만일 멸정을 얻고 나서 들고 나는 선정의 마음은 세간에 행할 수 있고 몸에 있기 때문에 해탈이라 한다. 이 때문에 유루ㆍ무루의 두 가지 마음이 다 같이 해탈하게 된다.[19]
3. 3. 아비달마구사론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해탈의 차이에 근거하여 두 종류를 설정하였는데, 오로지 혜(慧)에 의해 번뇌의 장애를 떠난 성자를 '혜해탈'로 설정하였으며, 선정(定)을 획득함에 따라 해탈의 장애마저 떠난 성자를 '구해탈'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해탈의 장애는 정장(定障)이라고도 하는데, 멸진정에 들어가는 것을 장애하는 무부무기성(無不無記性)인 저열한 무지(無知)인 불염오무지를 말한다.3. 4. 아비담감로미론
《아비담감로미론》에서는 멸진정을 얻는 것을 구해탈이라고 정의한다.[35] 8지(地)의 욕심을 끊고 멸진정을 얻은 신증아나함과 구해탈 아라한을 언급한다.[35][36]3. 5. 성실론
《성실론》에서는 멸진정을 얻지 못한 이를 혜해탈, 얻은 이를 구해탈로 구분한다.[37][38]참조
[1]
서적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2]
서적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3]
불학사전
俱解脫
불학사전
2022-08-21
[4]
불학사전
倶解脫
불학사전
2022-08-21
[5]
불학사전
俱解脫補特伽羅
불학사전
2022-08-21
[6]
서적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7]
서적
아비달마대비바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8]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9]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10]
불교사전
九次第定(구차제정)
불교사전
2022-08-21
[11]
불교사전
俱解脫(구해탈)
불교사전
2022-08-21
[12]
시공 불교사전
구해탈[俱解脫]
시공 불교사전
2022-08-21
[13]
불광대사전
俱解脫
불광대사전
2022-08-21
[14]
DDB
倶解脫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1
[15]
DDB
八解脫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1
[16]
DDB
九次第定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2022-08-20
[17]
경전
대연경
https://tripitaka.cb[...]
남전장부경전
2022-08-24
[18]
경전
디가 니까야
초기불전연구원
2015
[19]
서적
비니관요
https://tripitaka.cb[...]
만속장경, CBETA
2022-08-24
[20]
불광대사전
九無學
불광대사전
2022-08-21
[21]
경전
중아함경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22]
경전
중아함경
https://kabc.dongguk[...]
2022-08-21
[23]
서적
아비담감로미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24]
서적
아비담감로미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25]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26]
서적
아비달마구사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27]
시공 불교사전
구무학[九無學]
시공 불교사전
2022-08-21
[28]
불광대사전
九無學
불광대사전
2022-08-21
[29]
서적
성실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30]
서적
성실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31]
불교사전
八解脫(팔해탈)
불교사전
2022-08-21
[32]
시공 불교사전
팔해탈[八解脫]
시공 불교사전
2022-08-21
[33]
불광대사전
八解脫
불광대사전
2022-08-21
[34]
불학사전
八解脫
불학사전
2022-08-21
[35]
서적
아비담감로미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CBETA
2022-08-21
[36]
서적
아비담감로미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37]
서적
성실론
http://tripitaka.cbe[...]
대정신수대장경. T32, No. 1646, CBETA
2022-08-21
[38]
서적
성실론
https://kabc.dongguk[...]
2022-08-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