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는 1996년 5개 국립대학교 총장들이 설립한 5개국립대협의회에서 시작하여, 1991년 10개 대학으로 확대, 명칭 변경된 협의체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경북대학교, 부산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남대학교, 강원대학교, 충북대학교, 전북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등 10개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대학은 지역 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며, 의과대학, 법학전문대학원, 사범대학 등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교류 협정을 통해 학생 교류, 공동 연구 등을 진행하며, 2023년에는 공동 연구 시설 설립 계획을 발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교육 단체 - 프로젝트 위기
    프로젝트 위기는 백진우가 2014년에 설립한 교육 운동 단체로, 획일적인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자신을 위한 공부'를 강조하며 교육 개혁을 위해 콘퍼런스 개최, 다큐멘터리 제작, 교육 미디어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대한민국의 교육 단체 -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는 법학전문대학원 설치·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설립된 법인으로, 전국 법학전문대학원 간의 협력 및 발전을 도모한다.
  • 1996년 설립된 단체 - 한국농구연맹
    한국농구연맹(KBL)은 1996년 창립되어 대한민국 프로 농구 리그를 주관하며, 농구 기술 향상 연구, 선수 및 지도자 교육, 농구 보급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기관이다.
  • 1996년 설립된 단체 - 자유기업원
    자유기업원은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자유주의 경제 이념 연구 및 홍보 기관으로, 자유인상 수여 등을 통해 자유주의 확산에 기여하지만, 과거 전국경제인연합회 지원과 역사교과서 국정화 지지 등으로 독립성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전북대학교
    전북대학교는 1947년 설립되어 전북특별자치도에 여러 캠퍼스를 둔 거점국립대학교로, 다양한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QS 아시아 대학 평가에서 우수한 순위를 기록했다.
  • 대한민국의 국립 대학 - 서울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는 1946년 경기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9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초등교육 교사 양성을 목표로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4년제 국립대학교이다.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개요
명칭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원어 명칭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
설립 및 운영
결성1996년
유형임의 단체
형태협의회
활동 지역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목적
목적대학 발전 논의
조직 및 인원
회원10개 대학 총장
회원 목록서울대학교
부산대학교
경북대학교
전남대학교
충남대학교
전북대학교
충북대학교
강원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
제주대학교
활동 인원10
주요 인물
회장김일환 (제주대 총장)
기타
웹사이트거점국립대학교 학점교류시스템

2. 역사

1996년 '''5개국립대협의회'''가 설립된 것이 시작이다. 이후 가입 대학이 많아져 정원이 10개 대학 총장으로 증가하였고, '''국가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4]

과거에는 대한민국에 1991년까지 10개의 국립대학교밖에 없었기 때문에, "거점국립대학교"라는 용어는 단순히 지역 국립대학교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대부분의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기존의 지역 전문대학들을 통합하여 설립되었다. 광복 이후, 주요 도시와 도(道) 소재의 국립대학교들이 합류했다. 다른 대학교들에 비해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지역 사회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들을 갖추는 경향이 있다.

3. 소속 대학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총 10개 대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학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행정구역 명칭을 사용한다.(단, 경상국립대학교는 예외)[5]

[1][2]

3. 1. 수도권

Veritas Lux Meala[8]


3. 2. 강원도

Inquirere Veritatem Ex Praxela[8]


3. 3. 경상도

교명약어설립위치학부대학원교원표어비고
경북대학교KNU1946 국립대구사범대학대구31,4746,9092,996세계를 주도하는 첨성인, 미래를 선도하는 경북대[6]
부산대학교PNU1946 국립부산대학부산26,6118,4233,393학생의 미래가 있는 대학, 국민으로부터 사랑받는 대학[8]
경상국립대학교GNU1948 도립진주초급농과대학경남19,3122,6942,504미래가 있는 대학, 다 함께 행복한 대학[8]


3. 4. 전라도

교명약어설립위치학부대학원교원표어비고
전남대학교JNU1952년 광주농과대학광주27,0545,2631,260진리로 세상을 밝힌다[7]
전북대학교JBNU1947년 이리농과대학전북23,3054,1032,583알찬대학, 따뜻한동행THE Best Glocal University영어[7]


3. 5. 충청도

교명약어설립위치학부대학원교원표어비고
충남대학교CNU1952 도립충남대학교대전25,4755,6272,601위대한 미래를 위한 새로운 출발[7]
충북대학교CBNU1951 도립청주초급농과대학충북17,6873,6891,922충북이 그대의 방패가 되리니, 그대는 정의로움으로 전진하라
Nova aperiola
[8]


3. 6. 제주도

교명약어설립위치학부대학원교원표어비고
제주대학교JNU1952 제주초급대학제주13,4922,2091,609기본에 충실한 대학, 미래를 준비하는 대학[8]


4. 특징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지역 사회 발전과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4. 1. 의학 교육 기관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모두 의과대학을 운영하고 있으며, 치의학, 한의학, 약학, 수의학 등 다양한 의학 교육 기관을 보유하고 있다.[1] 부산대학교는 국내 유일의 한의학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1]

기관학교설립위치
의과대학서울대학교1946년서울 종로구
치과대학1962년서울 관악구
약학대학1950년서울 관악구
수의과대학1937년서울 관악구
치의학대학원2005년서울 종로구
의과대학경북대학교1952년대구 중구
치과대학1979년대구 북구
약학대학2011년대구 북구
수의과대학1954년대구 북구
의과대학부산대학교1955년경남 양산시
치과대학1981년경남 양산시
한의과대학2008년경남 양산시
약학대학1953년부산 금정구
치의학전문대학원2005년경남 양산시
한의학전문대학원2008년경남 양산시
의과대학충남대학교1968년대전 중구
약학대학1979년대전 유성구
수의과대학1982년대전 유성구
의과대학전남대학교1952년광주 동구
치과대학1981년광주 북구
약학대학1982년광주 북구
수의과대학1952년광주 북구
치의학전문대학원2005년광주 북구
의과대학강원대학교1997년강원 춘천시
약학대학1982년강원 춘천시
수의과대학1988년강원 춘천시
의과대학충북대학교1987년충북 청주시
약학대학1956년충북 청주시
수의과대학1989년충북 청주시
의과대학전북대학교1970년전북 전주시
치과대학1978년전북 전주시
약학대학2020년전북 전주시
수의과대학1951년전북 전주시
의과대학경상국립대학교1980년경남 진주시
약학대학2011년경남 진주시
수의과대학1955년경남 진주시
의과대학제주대학교1998년제주 제주시
약학대학2020년제주 제주시
수의과대학1955년제주 제주시

[1]

4. 2. 법학전문대학원

경상국립대학교를 제외한 9개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로스쿨은 국내 최대 규모(입학 정원 150명)이다.[1]

국가거점국립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현황[1]
학교설립위치입학 정원
서울대학교2009년서울 관악구150명
부산대학교2009년부산 금정구120명
경북대학교2009년대구 북구120명
전남대학교2009년광주 북구120명
충남대학교2009년대전 유성구100명
전북대학교2009년전북 전주시80명
충북대학교2009년충북 청주시70명
강원대학교2009년강원 춘천시40명
제주대학교2009년제주 제주시40명


5. 협력

국가거점국립대학교는 상호 간 교류 협정을 맺고 있다. 교환 학생은 정규 학기 및 계절 학기에 참여할 수 있으며, 온라인 학점 교류도 가능하다. 매년 체육 대회를 개최하기도 하며, 국가거점국립대학교 소식지를 발간한다.

2023년 8월, 10개 대학은 양자역학, 재충전 배터리, 생명공학 분야에 중점을 둔 공동 연구 시설을 설립하고, 소속 교직원 및 연구자들의 협력을 지속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하며 협력을 재확인했다.[3]

참조

[1] 웹사이트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제주에서 대학 발전 논의 https://www.usline.k[...] 2016-02-21
[2] 웹사이트 거점국립대학교 학점교류시스템 https://www.knu10.or[...]
[3] 뉴스 Flagship national universities to cooperate to solve Korea's challenges https://koreajoongan[...] 2023-08-17
[4] 문서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5] 뉴스 거점국립대총장협의회, 제주에서 대학 발전 논의 http://www.usline.kr[...] U's Line 2016-02-21
[6] 문서 2018년 기준 자료임
[7] 문서 2019년 기준 자료임
[8] 문서 2022년 기준 자료임
[9] 링크 2010 교육과학기술부공용차량 운영현황 http://www.mest.go.k[...]
[10] 문서 서울대학교 법인화 이후 서울대학교 총장은 공무원 신분이 아니다.
[11] 문서 "[[직할시]] 승격을 염두에 두었다는 말도 있으나 당시 도에서 분리된 독립시의 개념은 특별시가 전부였으며 직할시 개념은 [[1963년]]에야 등장했다. 결정적으로 부산시는 부산대학교 개교 3년 후인 무려 1949년부터 줄기차게 특별시 승격을 중앙에 요청했기 때문에, 염두에 둔 것은 특별시 승격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