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그레나다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1934년 첫 국제 경기를 치렀다.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며 초창기 성공을 거두었지만,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2022년까지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CONCACAF 골드컵에는 세 차례 진출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으며, 카리브컵에서는 두 번 준우승을 차지했다. 주요 선수로는 캐심 랑가인, 리키 찰스 등이 있으며, 역대 감독으로는 루디 구텐도르프, 앤서니 모데스트 등이 있다.
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4년 영국령 가이아나(현 가이아나)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러 승리하며 역사를 시작했다. 초기에는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서 1960년대와 1970년대 초반에 걸쳐 여러 차례 우승하며 카리브해 지역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70년대 후반부터 CONCACAF 주관 대회 예선에 참가하기 시작했으며, 1989년 카리브컵에서는 결승에 진출하여 준우승을 차지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34년 10월 13일, 당시 영국령 가이아나였던 가이아나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러 2-1로 승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가이아나, 바베이도스, 세인트키츠 네비스와 각각 두 차례씩 경기를 가져 모두 승리하는 기록을 세웠다.
2. 역사
1990년대부터 그레나다는 꾸준히 카리브컵 본선과 FIFA 월드컵 예선에 도전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 참가를 시작으로 월드컵 본선 진출을 노렸으나, 번번이 예선 문턱을 넘지 못했다. 카리브컵에서는 1997년 카리브컵 4위 등 꾸준히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였다.
2000년대 후반 들어 그레나다는 CONCACAF 골드컵 본선 무대를 밟기 시작했다. 2008년 카리브컵 준우승을 통해 2009년 CONCACAF 골드컵에 처음으로 진출했으며, 이후 2011년과 2021년에도 본선에 참가했다. 비록 세 번의 골드컵 본선에서는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에서는 리그 B에서 우승하며 리그 A로 승격하는 등 꾸준히 북중미카리브 축구 무대에서 활동하고 있다.
2. 1. 초기 (1934-1989)
그레나다는 1934년 10월 13일, 당시 영국령 가이아나(현 가이아나)를 상대로 첫 국제 경기를 치러 2–1로 승리했다.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까지 영국령 가이아나, 바베이도스, 세인트키츠 네비스와 각각 두 번씩 경기를 치러 모든 경기에서 승리하는 기록을 세웠다.
1961년, 그레나다는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 처음 참가했다. 첫 경기에서는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게 6–3으로 패했지만, 이후 세인트루시아를 4–0, 도미니카를 8–1로 꺾으며 토너먼트 우승을 차지했다. 다음 해인 1962년에도 결승전에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1967년부터 1970년까지 4년 연속으로 이 대회에서 우승하며 지역 강호로 자리매김했다.
그레나다는 1979년 CFU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를 상대로 첫 공식 대회 경기를 치렀으나, 1, 2차전 합계 3–1로 패배했다. 1981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예선에도 참가했지만, 예선 라운드에서 가이아나에게 1, 2차전 합계 8–4로 패해 탈락했다. 1985년 CFU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는 두 경기 모두 패배하며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이후 그레나다는 CFU 선수권 대회의 후속 대회인 1989년 카리브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2–1로 패하며 준우승을 차지했다.
2. 2. 카리브컵과 월드컵 예선 (1990-2010)
그레나다는 1990년 카리브컵 본선에 진출했지만, 조별 리그에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에게 0-5로 크게 패하고 자메이카와 0-0으로 비겨 다음 라운드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4년 카리브컵 예선에서는 악명 높은 경기 끝에 탈락했는데, 상대 팀인 바베이도스가 다음 라운드 진출에 유리한 골득실과 연장전 승리를 위해 의도적으로 자책골을 넣는 일이 벌어졌다. 그레나다는 1997년 카리브컵에서는 준결승까지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세인트 키츠 네비스에게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199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1라운드에서 가이아나를 상대로 합계 8-1의 큰 점수 차로 승리하며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 하지만 다음 라운드에서 만난 아이티에게는 합계 1-7로 패배하며 탈락했다.
2002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바베이도스를 만나 합계 4-5로 아쉽게 탈락했다. 4년 뒤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다시 한번 1라운드에서 가이아나를 합계 8-1로 꺾고 통과했다. 그러나 다음 라운드 상대는 미국이었고, 합계 2-6으로 패배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에서는 2라운드에서 코스타리카를 만나 합계 2-5로 패하며 탈락했다. 이 시기 동안 그레나다는 카리브컵에서 준수한 성적을 거두기도 했지만,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는 데에는 계속해서 실패했다.
2. 3. 골드컵 진출과 현재 (2008-현재)
1989년 카리브컵 준우승 이후 19년 만인 2008년 카리브컵에서 다시 결승에 올랐으나, 개최국 자메이카에 0-2로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이 결과로 그레나다는 처음으로 2009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하지만 첫 본선 무대에서는 3전 전패를 기록하며 한 골도 넣지 못하고 10골을 실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2010년 카리브컵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했으나 또다시 자메이카에게 패배했다. 이 대회 성적으로 201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두 번째로 참가한 201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에서도 3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으며, 단 한 골만을 기록했다.
한편, FIFA 월드컵 지역 예선에서는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2010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코스타리카에 패하며 탈락했고, 2014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시드를 받고도 조 최하위에 머물렀다. 2018년 월드컵 예선에서는 3라운드에서 아이티에 패해 탈락했다.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는 퀴라소에 0-10으로 대패하며 역대 최다 점수 차 패배를 기록하기도 했다. 예선 결과 21위로 리그 B에 배정된 그레나다는 A조에서 벨리즈, 프랑스령 기아나, 세인트키츠 네비스와 경쟁했다. 그레나다는 이들을 상대로 4승 2무, 조 1위를 기록하며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 자격을 얻었고, 이와 함께 10년 만의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통산 3번째)을 확정지었다.
10년 만에 참가한 2021년 CONCACAF 골드컵 본선 무대에서도 3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이로써 그레나다는 2009년, 2011년, 2021년까지 총 세 번의 골드컵 본선에 진출했지만, 세 번 모두 조별리그에서 3전 전패로 탈락하며 북중미 축구의 높은 벽을 실감했다.
3. 대회 기록
1960년대에는 윈드워드 제도 토너먼트에 참가하여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1961년 대회에서는 첫 경기에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에 패했지만 이후 세인트루시아와 도미니카 연방을 큰 점수 차로 꺾고 우승했으며, 1962년에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을 결승에서 꺾고 2연패를 달성했다. 1967년부터 1970년까지는 4년 연속 우승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그레나다의 첫 공식 대회 참가는 1979년 CFU 선수권 대회 예선으로,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합계 3-1로 패배했다. 1981년 CONCACAF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는 가이아나에 패배하여 탈락했고, 1985년 CFU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도 1라운드를 통과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카리브컵(CFU 선수권 대회의 후신)에서는 더 나은 성적을 거두어 1989년 카리브컵 결승에 진출했으나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패해 준우승에 머물렀다.
FIFA 월드컵 예선에는 1982년 대회 예선에 처음 참가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으며, 이후에도 계속해서 예선 문턱을 넘지 못했다. CONCACAF 골드컵 본선에는 세 차례 진출했으나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2019-20 시즌 리그 B에서 우승하여 리그 A로 승격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2023-24 시즌에는 리그 A에서 부진하여 다시 리그 B로 강등되었다.
각 대회별 상세 기록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조할 수 있다.
3. 1. FIFA 월드컵
wikitext
FIFA 월드컵 | rowspan=19| | FIFA 월드컵 예선 | ||||||||||||
---|---|---|---|---|---|---|---|---|---|---|---|---|---|---|
년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1930 ~ 1978 | FIFA 미가맹 | FIFA 미가맹 | ||||||||||||
스페인 1982 | 예선 탈락 | 2 | 0 | 0 | 2 | 4 | 8 | |||||||
멕시코 1986 | 기권 | 기권 | ||||||||||||
이탈리아 1990 및 미국 1994 | 불참 | 참가 거부 | ||||||||||||
프랑스 1998 | 예선 탈락 | 4 | 2 | 0 | 2 | 9 | 8 | |||||||
대한민국 일본 2002 | 2 | 0 | 1 | 1 | 4 | 5 | ||||||||
독일 2006 | 4 | 2 | 0 | 2 | 10 | 7 | ||||||||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 | 3 | 1 | 1 | 1 | 12 | 5 | ||||||||
브라질 2014 | 6 | 1 | 1 | 4 | 7 | 14 | ||||||||
러시아 2018 | 4 | 1 | 0 | 3 | 3 | 7 | ||||||||
카타르 2022 | 4 | 1 | 0 | 3 | 2 | 5 | ||||||||
캐나다 멕시코 미국 2026 | 미정 | 2 | 0 | 1 | 1 | 2 | 5 | |||||||
모로코 포르투갈 스페인 2030 | 미정 | |||||||||||||
사우디아라비아 2034 | ||||||||||||||
총합 | - | 본선 진출 0/11 | - | - | - | - | - | - | 31 | 8 | 4 | 19 | 53 | 64 |
''*승부차기로 결정된 토너먼트 경기를 포함한 무승부.''
3. 2. CONCACAF 골드컵
골드컵 본선에는 3번(2009년, 2011년, 2021년) 출전하였으나, 3번의 대회 모두 조별리그에서 전패하며 탈락했다.CONCACAF 선수권 대회 & 골드컵 기록 | ||||||||
---|---|---|---|---|---|---|---|---|
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63년 ~ 1973년 | 영국의 일부 | |||||||
1977년 | 불참 | |||||||
1981년 | 예선 탈락 | |||||||
1985년 | 기권 | |||||||
1989년 | 불참 | |||||||
1991년 | ||||||||
1993년 | 예선 탈락 | |||||||
1996년 | ||||||||
1998년 | ||||||||
2000년 | ||||||||
2002년 | ||||||||
2003년 | ||||||||
2005년 | ||||||||
2007년 | ||||||||
2009년 | 조별 리그 | 12위 | 3 | 0 | 0 | 3 | 0 | 10 |
2011년 | 조별 리그 | 11위 | 3 | 0 | 0 | 3 | 1 | 15 |
2013년 | 예선 탈락 | |||||||
2015년 | ||||||||
2017년 | ||||||||
2019년 | ||||||||
2021년 | 조별 리그 | 16위 | 3 | 0 | 0 | 3 | 1 | 11 |
2023년 | 예선 탈락 | |||||||
합계 | 조별 리그 | 3/27 | 9 | 0 | 0 | 9 | 2 | 36 |
- '''무'''에는 승부차기까지 간 경기도 포함된다.
3. 3. CONCACAF 네이션스리그
2019-20 CONCACAF 네이션스리그 예선에서 21위를 기록하여 리그 B에 편입된 그레나다는 A조에서 벨리즈, 프랑스령 기아나, 세인트키츠 네비스와 경쟁하게 되었다. 첫 경기에서 세인트키츠 네비스를 2-1로 꺾었고, 벨리즈와의 2차전에서도 2-1로 승리했다. 프랑스령 기아나와의 3차전에서는 0-0 무승부를 기록했으나, 이어진 4차전에서는 1-0으로 승리했다. 세인트키츠 네비스와의 5차전에서 0-0으로 비겼지만, 벨리즈와의 최종전에서 3-2로 승리하며 4승 2무, 조 1위를 차지했다. 이 결과로 차기 시즌 리그 A 승격과 함께 2011년 CONCACAF 골드컵 이후 10년 만에 통산 3번째 CONCACAF 골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2022–23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리그 A D조에 속했으나 4경기에서 1무 3패(4득점 17실점)로 조 4위에 머물렀다. 2023–24 CONCACAF 네이션스 리그에서는 리그 A B조에서 4경기 1무 3패(2득점 13실점)를 기록하며 조 4위로 리그 B 강등이 확정되었다.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기록 | |||||||||||||||||||
---|---|---|---|---|---|---|---|---|---|---|---|---|---|---|---|---|---|---|---|
리그 | rowspan="7" | | 결선 | |||||||||||||||||
시즌 | 디비전 | 조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강 | 결선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선수 명단 | |
2019–20 | B | A | 6 | 4 | 2 | 0 | 8 | 4 | 승격 | 미국 2021 | 출전 자격 없음 | ||||||||
2022–23 | A | D | 4 | 0 | 1 | 3 | 4 | 17 | 잔류 | 미국 2023 | 진출 실패 | ||||||||
2023–24 | A | B | 4 | 0 | 1 | 3 | 2 | 13 | 강등 | 미국 2024 | |||||||||
2024–25 | B | B | 미정 | 2025 | 출전 자격 없음 | ||||||||||||||
합계 | — | — | 14 | 4 | 4 | 6 | 14 | 34 | — | 합계 | 0 회 우승 | — | — | — | — | — | — | — |
3. 4. 카리브컵
카리브컵에는 총 6번 본선에 진출했다. 이 중 1989년 카리브컵과 2008년 카리브컵에서는 준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모든 국제 대회를 통틀어 그레나다 축구 역사상 가장 좋은 성적이다. 또한 1997년 카리브컵과 2010년 카리브컵에서는 4강에 오르는 등 총 4번의 대회에서 4강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다.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1989 | 준우승 | 2위 | 3 | 1 | 1 | 1 | 4 | 3 | 4 |
1990 | 조별리그 | 5위 | 2 | 0 | 1 | 1 | 0 | 5 | 1 |
1991 | 불참 | ||||||||
1992 | 예선 탈락 | ||||||||
1993 | |||||||||
1994 | |||||||||
1995 | |||||||||
1996 | |||||||||
1997 | 4강 | 4위 | 4 | 1 | 1 | 2 | 6 | 8 | 4 |
1998 | 예선 탈락 | ||||||||
1999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3 | 10 | 3 |
2001 | 예선 탈락 | ||||||||
2005 | |||||||||
2007 | |||||||||
2008 | 준우승 | 2위 | 5 | 2 | 1 | 2 | 8 | 11 | 7 |
2010 | 4강 | 4위 | 5 | 1 | 2 | 2 | 3 | 4 | 5 |
2012 | 예선 탈락 | ||||||||
2014 | |||||||||
2017 | |||||||||
합계 | 6회 진출(6/19) | 준우승(2회) | 22 | 6 | 6 | 10 | 24 | 41 | 24 |
4. 선수
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은 국내 리그 선수들과 잉글랜드, 미국, 벨기에 등 해외 리그에서 활동하는 선수들로 구성된다. 현재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 명단과 역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기록을 보유한 유명 선수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현재 선수 명단
다음 선수들은 2024년 10월 11일과 14일에 퀴라소와의 2024–25 CONCACAF 네이션스 리그 B 경기에 소집되었다.[1]''2024년 10월 14일, 퀴라소와의 경기 이후의 출장 및 골 기록 기준''
번호 | 포지션 | 선수명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클럽 |
---|---|---|---|---|---|---|
GK | Reice Charles-Cook | 1994년 4월 8일 | 9 | 0 | 웰링 유나이티드 | |
GK | 제러미 리처드슨 | 1998년 3월 3일 | 4 | 0 | 파라다이스 | |
GK | 채드 필립 | 2000년 8월 9일 | 2 | 0 | FC Camerhogne | |
DF | 에런 피어 | 1993년 2월 17일 | 22 | 1 | 슈루즈버리 타운 | |
DF | Benjamin Ettienne | 2003년 3월 13일 | 21 | 0 | 퀸스 파크 레인저스 | |
DF | Josh Gabriel | 1999년 11월 30일 | 16 | 0 | ZFC Meuselwitz | |
DF | Kayden Harrack | 2003년 11월 5일 | 15 | 0 | 모컴 | |
DF | 도렐 피어 | 1999년 5월 5일 | 8 | 1 | 파라다이스 | |
DF | 라힘 그리피스 | 2001년 5월 12일 | 4 | 0 | 퀸스 파크 레인저스 | |
DF | Kane Vincent-Young | 1996년 3월 15일 | 2 | 0 | 무소속 | |
DF | 델로이 필립 | 2005년 2월 1일 | 0 | 0 | Shamrock FC | |
MF | Kwazim Theodore | 1996년 1월 12일 | 43 | 1 | St. David's FC | |
MF | Shavon John-Brown | 1995년 4월 13일 | 41 | 4 | 센트럴 밸리 푸에고 | |
MF | 스테폰 에이브러햄 | 1999년 12월 29일 | 18 | 0 | 파라다이스 | |
MF | Regan Charles-Cook | 1997년 2월 14일 | 10 | 1 | 오이펜 | |
MF | 대리어스 존슨 | 2000년 3월 15일 | 10 | 0 | 피닉스 라이징 | |
MF | 이선 텔레스퍼드 | 2003년 11월 13일 | 9 | 0 | FC Camerhogne | |
MF | Ashley Charles | 1999년 5월 15일 | 7 | 0 | 브롬리 | |
MF | 데이미언 바커 존 | 2004년 12월 7일 | 2 | 0 | 피닉스 라이징 | |
FW | Saydrel Lewis (주장) | 1997년 11월 27일 | 39 | 8 | 파라다이스 | |
FW | Romar Frank | 1996년 9월 28일 | 29 | 1 | 캐머호그네 | |
FW | Jermaine Francis | 2002년 3월 15일 | 10 | 0 | 바넷 | |
FW | 비제이 발신 | 2005년 7월 20일 | 1 | 0 | 세인트 존스 |
4. 2. 유명 선수


그레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역사상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한 선수는 캐심 랑가인으로, 2004년부터 2016년까지 총 72경기에 출전하여 6골을 기록했다. 최다 득점 기록은 리키 찰스가 보유하고 있으며, 그는 1995년부터 2011년까지 71경기에 출전하여 37골을 넣었다.[1]
이 외에도 앤서니 모데스트는 67경기에 출전하여 13골을 기록하며 팀의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현역 선수 중에서는 '''자말 찰스'''가 17골로 키슨 베인과 함께 역대 득점 공동 2위에 올라 있다. 또한 제이슨 로버츠, 섄던 밥티스트 등도 그레나다를 대표하는 선수로 언급된다.
'''최다 출장 선수'''
순위 | 선수 | 출장 | 골 | 기간 |
---|---|---|---|---|
1 | 캐심 랑가인 | 72 | 6 | 2004–2016 |
2 | 리키 찰스 | 71 | 37 | 1995–2011 |
3 | 앤서니 모데스트 | 67 | 13 | 1996–2011 |
4 | 패트릭 모데스트 | 53 | 6 | 1996–2015 |
5 | 제이슨 벨폰 | 51 | 0 | 2013–현재 |
6 | 키슨 베인 | 49 | 17 | 2002–2015 |
마크 마샬 | 49 | 0 | 2004–2015 | |
8 | 어바인 스미스 | 40 | 0 | 2011–2021 |
9 | 샤논 필립 | 39 | 0 | 2008–2018 |
콰짐 테오도어 | 39 | 1 | 2017–현재 |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골 | 출장 | 비율 | 기간 |
---|---|---|---|---|---|
1 | 리키 찰스 | 37 | 71 | 0.52 | 1995–2011 |
2 | 자말 찰스 | 17 | 38 | 0.45 | 2015–현재 |
키슨 베인 | 17 | 49 | 0.35 | 2002–2015 | |
4 | 데니스 레니 | 14 | 28 | 0.50 | 1999–2008 |
5 | 앤서니 모데스트 | 13 | 67 | 0.19 | 1996–2011 |
6 | 키스 플레처 | 7 | 6 | 1.17 | 1990–2000 |
제이크 레니 | 7 | 32 | 0.22 | 2008–2017 | |
세이드렐 루이스 | 7 | 37 | 0.19 | 2017–현재 | |
9 | 조슈아 아이작 | 6 | 11 | 0.55 | 2021–현재 |
덴론 프레데릭 | 6 | 19 | 0.32 | 2009–2018 | |
클라이브 머레이 | 6 | 20 | 0.30 | 2011–2015 | |
패트릭 모데스트 | 6 | 53 | 0.11 | 1996–2015 | |
카심 랑게인 | 6 | 72 | 0.08 | 2004–2016 |
5. 역대 감독
- 루디 구텐도르프 (1976)
- 카를로스 카바냐로 (1986–87)
-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다 루스 (2000)
- 프랭클린 심슨 (2002)
- 앨리스터 데 벨로테 (2004)
- 앤서니 모데스트 (2007–08) (선수 겸 코치)
- 노리스 윌슨 (2008–09)
- 토미 테일러 (2009–10)
- 프랭클린 심슨 (2010–11)
- 마이크 아담스 (2011–12)
- 앨리스터 데 벨로테 (2012)
- 클라크 존 (2013–14)
- 앤서니 모데스트 (2014–15)
- 호르헤 아논 (2015)
- 앤드루 먼로 (2016)
- 애슐리 폴크스 (2017–2018)
- 셜리 조셉 (2018–2019)
- 앤드루 먼로 (2019–2020)
- 마이클 핀들리 (2021–2022)
- 앤서니 모데스트 (2022–2023)
- 테리 코너 (2023–현재)[2]
참조
[1]
웹사이트
GSMNT 23-Member Squad
https://www.facebook[...]
Grenada Football Association (GFA)
[2]
웹사이트
Grenada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