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운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운수는 1996년 설립된 버스 운송 회사로, 2022년 기준 선진네트웍스 계열에 속해 있다. 김포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를 잇는 시내버스, 직행좌석버스,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맞춤형 버스 서비스도 제공한다. 과거에는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 중단되거나 다른 회사로 이관된 노선도 있다. 현재 현대자동차, 중통버스, 스카이웰 등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충정운수
충정운수는 금화산 고지대 지역을 운행하며 천연뜨란채아파트 주민, 경기대학교 및 인창고등학교 학생들의 주요 교통 수단인 서대문구의 마을버스 회사이다. - 1996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연일교통
연일교통은 1996년 4월 1일에 설립된 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회사이며, 서대문03번 노선을 운행하고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및 BYD eBUS-12 전기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과천여객
과천여객은 2016년 설립되어 과천운수로부터 양도받은 6번 노선을 포함, 총 4개의 도시형/따복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자일대우 레스타, 현대 그린시티 등 11대의 버스를 보유한 과천시 시내버스 운송 회사이다. - 경기도의 시내버스 기업 - 연천교통
연천교통은 2002년 설립되어 경기도 연천군에서 농어촌버스, 맞춤형 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6개 노선을 운영하는 버스 운송 업체이다. - 김포시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김포시의 교통 - 김포대교
김포대교는 1997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한강의 21번째 다리이다.
| 김포운수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김포운수 주식회사 |
| 원어 | Gimpo Trans |
| 창립 | 1996년 11월 20일 |
| 이전 회사 | 주식회사 김포운수 (2004. 12. 31)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향동로 20 |
| 인물 | 신재호, 정종운 (공동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서비스 | 시내버스 |
| 자본금 | 25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25,426,163,584원 (2020) |
| 영업이익 | -4,816,569,417원 (2020) |
| 순이익 | -3,493,086,290원 (2020) |
| 자산총액 | 12,613,998,602원 (2020.12) |
| 주주 | 신재호: 50.00% 신동완: 15.00% 온영삼: 13.75% 정종운: 10.00% 정은영: 4.00% 정구택: 3.93% 명동민: 3.00% 이강호: 0.32% |
| 모기업 | 선진네트웍스 |
| 종업원 | 450명 (2020.12) |
| 웹사이트 | 선진그룹 버스사업부문 |
2. 연혁
1996년 9월 9일 '''주식회사 김포운수'''로 설립된 이후, 여러 차례 본사 이전과 사명 변경, 지사 및 사업부 설치를 거쳤다.[1] 2016년부터는 굿모닝 버스와 경기도 공공버스를 신설하고, 기존 노선을 공공버스로 전환하는 등 노선을 확장했다.[1]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1996년 9월 9일 주식회사 김포운수로 설립되었다.[1] 2001년 3월 28일 본사를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 875 사우프라자 5층으로 이전하였다.[1] 2004년 3월 2일 본사를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양곡리 815로 이전하였다.[1] 2005년 1월 1일 사명을 '''주식회사 김포운수'''에서 '''김포운수 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1]2007년 5월 1일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410-175에 인천지사를 설치하였고,[1] 같은 해 6월 5일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 410-174에 시내버스사업부를 설치하였다.[1] 2007년 11월 14일 본사를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갈산리 29-5로 이전하였다.[1] 2011년 11월 25일 본사를 현재 위치인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대포리 30으로 이전하였다.[1]
2016년 10월 15일 굿모닝 버스 G6000번(김포 한강신도시 ~ 홍대입구역)을 신설하였고,[1] 2017년 1월 31일 굿모닝 버스 G6001번(김포 한강신도시 ~ 여의도환승센터)을 신설하였다.[1] 2020년 3월 1일 G6001번이 굿모닝 버스에서 직행좌석버스(경기도 준공영제 노선)로 변경되어 호수마을5단지후문 ~ 당산역 구간으로 운행하게 되었다.[1]
2020년 11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직행좌석) G6002번(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과 G6004번(금빛마을 ~ 가좌역, 홍대입구역)을 신설하였다.[1] 2020년 12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직행좌석) G6005번((대포리차고지) 홈플러스·삼림조합 ~ 서울시청)을 신설하였다.[1] 2021년 1월 1일 6427번, 8000번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1]
2. 2. 노선 확장 및 공공버스 전환
2016년 10월 15일 굿모닝 버스 G6000번(김포 한강신도시 ~ 홍대입구역) 노선을 신설하였다.[1]2017년 1월 31일 굿모닝 버스 G6001번(김포 한강신도시 ~ 여의도환승센터) 노선을 신설하였다.[1]
2020년 3월 1일 굿모닝 버스 G6001번이 직행좌석버스(경기도 준공영제 노선)로 변경되었고, 운행 구간도 호수마을5단지후문 ~ 당산역 구간으로 변경되었다.[1]
2020년 11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직행좌석) G6002번(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G6004번(금빛마을 ~ 가좌역, 홍대입구역) 노선을 신설하였다.[1]
2020년 12월 1일 경기도 공공버스(직행좌석) G6005번((대포리차고지) 홈플러스.삼림조합 ~ 서울시청) 노선을 신설하였다.[1]
2021년 1월 1일 6427번, 8000번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1]
3. 현황
Gimpo Transportation영어는 선진네트웍스 계열의 김포시 시내버스 회사이다.[1] 2022년 1월 기준으로 광역급행버스 2개 노선, 직행좌석버스 13개 노선, 시내일반버스 9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버스는 총 191대를 보유하고 있다.[1]
| 구 분 | 노선 수 | 보유 대수 |
|---|---|---|
| 광역급행버스 | 2개 | 32대 |
| 직행좌석버스 | 13개 | 83대 |
| 일반좌석버스 | 0개 | 0대 |
| 시내일반버스 | 9개 | 76대 |
| 총 합 | 24개 | 191대 |
4. 운행 노선
김포운수는 김포시를 기반으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도시형버스'''는 김포시와 서울, 인천을 연결하며, 60번, 60-3번, 1002번 등이 주요 노선이다.[1] [2]
'''맞춤형버스'''는 특정 지역 및 시간대에 맞춰 운행하여 시민들의 편의를 제공한다. 1번, 3번, 4번, 7번, 8번 등 다양한 노선이 있으며, 주말이나 통학 시간에만 운행하는 노선도 있다.[1]
'''직행좌석버스'''는 김포시와 서울 주요 지역을 빠르게 연결한다. 1004번, G6000번, G6001번, G6002번, G6004번, G6005번, 6427번, 8000번, 8600번, 8600A번, 8601번, 9008번 등이 있다.
'''광역급행버스(M버스)'''는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며, M6117번과 M6427번이 김포시를 경유하여 서울 주요 지역으로 운행한다. M6117번은 신동아교통에서 양도받았으며, M6427번은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4. 1. 도시형버스
김포운수한국어는 김포시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일반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노선번호 | 기점 | 종점 | 주요 경유지 | 비고 |
|---|---|---|---|---|
| 60 | 검단단봉초교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검단사거리역, 사우역.김포고, 풍무역, 고촌역, 개화역광역환승센터, 송정역, 발산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 강화운수로부터 양도[1] |
| 60-3 | 대명항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구래역, 마산역, 장기역, 사우역(김포고), 풍무역, 고촌역, 개화역광역환승센터, 송정역, 발산역,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 | [2] |
| 69 | 유현마을 신동아아파트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풍무역, 고촌역, 개화역, 송정역, 발산역, 당산역 | 강화운수로부터 양도, 폐선 |
| 1002 | 완정사거리 | 서울시청.서소문청사 | 서구 영어마을, 풍무역, 고촌역, 개화역광역환승센터, 송정역, 발산역, 양천향교역, 증미역, 올림픽대로, 노들로, 국회의사당, 여의도순복음교회, 마포대교, 마포역, 공덕역, 충정로역, 광화문역, 시청역 | 김포교통에서 양도 |
4. 2. 맞춤형버스
김포운수는 특정 지역 및 시간대에 맞춰 맞춤형 노선을 운영하여 시민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1]| 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
| 1 | 학운공단 - 이젠 - 양촌산업단지 입구 - 검단 - 불로동 - 홈플러스·산림조합 - 산호아파트앞 - 김포초교 - 사우역·김포고[1] |
| 1-1 | 갈산사거리 - 애기봉입구 (주말에만 운행)[1] |
| 3 | 오리정 - 매수리마을9단지 - 마송 - 마송초교 - 흥신리 - 김포한강신협 - 구래역 - 힐스테이트·경남아너스빌 - 뉴고려병원 - 우미린·반도유보라 - 장기고 - 수정마을 - 전원마을1단지 - 운양고 - 샘재마을 - 걸포공원후문 - 걸포오스타3단지 - 김포우리병원 - 북변환승센터·구 터미널 - 사우역·김포고[1] |
| 3-1 | 군하리 - 갈산리마을회관 - 고양리마을회관 - 석정초교 - 송마리보건진료소 - 대명초교 - 대명항 (주말에만 운행)[1] |
| 4 | 대포리차고지 - 이젠 - 학운4산단 - 양촌산단 - 학운보건진료소 - 학운2산단[1] |
| 4-1 | 양곡차고지 - 현대프리미엄아울렛 (주말에만 운행)[1] |
| 4-2 | 양촌읍(양촌읍행정복지센터) - 학운리(학운2산업단지공원) (통학시간대 운행)[1] |
| 7 | 다도박물관 - 개곡리보건진료소 - 귀전공단 - 하성종점 - 마곡사거리 - 전류포구 - 봉성리 - 누산리 - 신발산교차로 - 한강한라비발디 - e편한세상·롯데캐슬정문 - 풍경마을래미안 - 운양역 - 한신더휴테라스 - 걸포공원후문 - 오스타파라곤3단지 - 김포우리병원 - 북변환승센터 - 사우역·김포고교 (평일·주말에만 운행)[1] |
| 7-2 | (← 김포대입구 ← 문수산성 ← 김포대입구 ←) - 다도박물관 - 개곡리보건진료소 - 귀전공단 - 태산가족공원 - 마곡사거리 - 수참리·산림조합유통센터 - 누산삼거리 - 곡촌마을3단지 - 양곡주공7단지 - 구래역 (주말에만 운행)[1] |
| 8 | 모담마을 → 전원마을 → 대우푸르지오아파트 → 반도유보라2차 → 운양역 → 하늘빛마을 → 한신더휴테라스 → 한옥마을·아트빌리지 → 모담마을 (평일·주말에만 운행)[1] |
| 8-1 | 모담마을 - 전원마을 - 대우푸르지오아파트 - 한강로사거리 - 청송2·3단지 - 장기역 - 뉴고려병원 - 마산동행정복지센터 - 솔터고교 - 한강센트럴블루힐 - 구래리차고지 (평일에만 운행)[1] |
4. 3. 직행좌석버스
김포운수한국어는 김포시와 서울특별시 주요 지역을 빠르게 연결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노선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
| 1004번 | 완정사거리 | 풍무역, 고촌역, 올림픽대로, 노들로,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 광화문역, 시청역 | 서울시청.서소문청사 |
| G6000번 | 고창마을, KCC | 장기역, 운양역,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합정역, 홍대입구역, 서강대학교 | 서강대학교 |
| G6001번 | 호수마을5단지후문 | 장기역, 걸포북변역, 사우역,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 당산역(2호선) |
| G6002번 | 유현마을.신동아아파트 | 풍무역.트레이더스, 사우고등학교.김포시청, 사우역.풍년마을, 올림픽대로, 가양역.마포중고등학교, 등촌역.강서보건소, 염창역.서울도시가스,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경방타임스퀘어.신세계백화점 |
| G6004번 | 금빛마을 | 마산역, 롯데마트.캐널시티, 제2자유로(무정차), DMC역, 홍대입구 | 홍대입구 |
| G6005번 | 감정동홈플러스.산림조합 | 걸포북변역, 사우역.김포고, 풍무역, 고촌역, 올림픽대로, 당산역, 여의도환승센터, 마포역, 공덕역 | 광화문 |
| 6427번 | 호수마을이편한세상.한가람우미린 | 구래역, 마산역, 장기역.주공아파트, 운양역,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구반포역, 고속터미널역, 논현역, 강남역 | 강남역 |
| 8000번 | 대명항 | 장기역, 김포한강로, 등촌역, 염창역, 당산역(삼성래미안APT)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
| 8600번 | 휴먼시아9단지 | 구래역, 마산역,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 운양역,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당산역(2호선), 여의도환승센터, 마포역, 공덕역, 광화문역 | 서울시청.서소문청사 |
| 8600A번 | 휴먼시아9단지 | 구래역, 마산역, 장기역.김포고용복지플러스센터, 운양역, 양천향교입구 | 발산역 |
| 8601번 | 모아엘가2차.한강센트럴블루힐 | 마산역, 장기역, 김포한강로, 올림픽대로, 당산역(2호선), 여의도환승센터, 마포역, 공덕역, 광화문역 | 서울시청.서소문청사 |
| 9008번 | 휴먼시아9단지 | 구래역, 마산역, 장기역, 걸포북변역, 사우역.김포고, 풍무역, 고촌역, 부천터미널, 송내역 | 부천소방서 |
4. 4. 광역급행버스 (M버스)
국토해양부의 광역급행버스 노선5. 과거 운행 노선
- 마을버스
| 노선 번호 | 노선 경로 | 비고 |
|---|---|---|
| ●중국어 1번 | 김포터미널 - 김포고 - 보건소 - 문화체육공원 - 장릉입구 - 풍무홈플러스 - 수행마을 - 양도마을 - 당곡고개 - 신동아A - 유현초등학교 | 고촌교통에서 운행 중. |
| ●중국어 1-3번 | 김포터미널 - 김포우리병원 - 한전앞 - 교육청 - 등기소 - 원마트 - 장릉입구 - 수행마을 - 중앙승가대학 | 고촌교통에서 운행 중. |
| ●중국어 52번 | 길훈A - 장릉 - 시청 - 여성회관 - 칠성아파트 - 김포고 - 우체국 - 한전앞 - 김포서초교 - 삼환A - 신화A - 한국A - 희영A - 구두물입구 - 신안실크밸리 | 금파산업에서 운행 중. |
| ●중국어 55번 | 건영A - 삼보,진흥A - 보건소 - 청구한라A - 사우고앞 - 원마트 - 시청 - 여성회관 - 김포고 - 농장마을신안A - 김포중 - 우체국앞 - 구경찰서 - 현충탑입구 - 산호아파트앞 - 오스타파라곤 - 샘재 - 전원마을월드A - 지경 - 김포2동사무소 - 청송마을현대A - 장기지구 | 선진운수에서 운행 중. |
| ●중국어 57번 | 김포터미널 - 걸포동 - 샘재 - 일성트루웰 - 지경 - 대촌 - 재촌 - 장기동 - 운양동 - 걸포동 - 걸포중앙공원 - 김포터미널 | 금파산업에서 운행 중. |
- 도시형버스
| 노선 번호 | 노선 경로 | 비고 |
|---|---|---|
| ●중국어 김포공영버스 | 양곡 7단지를 기점으로 하여 학운5리, 쇄암리 일대를 운행 | 2022년 1월 6일 마을버스로 전환 후 서정마을버스로 이관 |
| ●중국어 9번 | 검단 - 불로동 - 홈플러스 김포점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2009년 10월에 60번에 통폐합. 선진상운으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
| ●중국어 9-1번 | 김포이젠 - 양촌산업단지 입구 - 검단 - 불로동 - 홈플러스 김포점 - 북변아파트단지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선진상운으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운행 중지. |
| ●중국어 53번 | 김포버스터미널 - 김포경찰서 - 구두물 - 외옹주물 - 고창초등학교 - 장기중학교 - 석모리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60-1번 | 양곡지구 - 장기지구 - 수정마을 - (우회도로)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구 631번, 8000번으로 전환 |
| ●중국어 60-2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누산리 - 지경 - 나진교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강화교통으로 노선 이관, 초지대교를 건너 강화군 길상면 온수리까지 연장 운행. |
| ●중국어 66번 | 검단 - 당하동 - 백석동 - 검암역 - 공촌동 - 계산역 - 신대진아파트 - 상야동 - 하야동 - 개화역 - 송정역 | 강인여객 300번 개통으로, 2002년 7월 성민버스 (현 도원교통)로 이관. 2002년 12월 김포운수 66번 변경, 영등포역까지 단축. 이후 송정역까지 추가 단축. 2010년 9월 신동아교통으로 매각. |
| ●중국어 67번 | 유현마을 신동아아파트 - 길훈4차아파트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
| ●중국어 68번 | 홈플러스 김포점 - 북변동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
| ●중국어 80번 | 오류동 신동아아파트 - 유현사거리 - 길훈4차아파트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
| ●중국어 81번 | 뉴고려병원 - 장기지구 - 지경 - 나진교 - 북변동 - 김포고등학교 - 길훈4차 - 수행마을 - 풍무동 - 유현사거리 - 장기동 - 계양역 - 귤현역 - 킹스빌타운 - 박촌역 - 임학역 - 계산역 - 계산삼거리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갈산역 - 한국GM - 부평구청역 - 부평시장역 - 동아아파트 - 부원중학교 - 부평역 - 국민은행앞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83번 | 김포고등학교 - 김포 한전 - 지경 - 누산리 - 양곡 - 대능리 - 학운리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84번 | 마전지구 - 불로동 - 홈플러스 김포점 - 김포 한전 - 김포고등학교 - 사우지구 - 김포보건소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86번 | 누산리 - 양곡 - 구래리 - 유현1리 - 학운2리 - 양촌산업단지 - 향동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98번 | 장기지구 - 청송마을 - 김포고등학교 - 고촌 - 평교다리 - 상야동 - 부천테크노파크 - 부천터미널 소풍 - 복사골문화센터 - 송내역 - 상동시장 - 부천대학 | 2011년 11월에 9008번으로 전환,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로 변경. |
| ●중국어 101번 | 김포보건소 → 김포고등학교 → 누산리 → 수참 → 하성 → 개곡리 → 갈산리 → 석정리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장기지구 → 김포고 → 김포보건소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102번 | 김포보건소 → 김포고등학교 → 누산리 → 양곡 → 대곶면 → 대명항 → 석정리 → 갈산리 → 개곡리 → 하성 → 수참 → 장기지구 → 김포고등학교 → 김포보건소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605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장기지구 - 청송마을 - 일산대교 - 킨텍스 - 대화역 | |
| ●중국어 631번 | 장기지구 - 지경 - 나진교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2012년 5월 60-1번으로 번호 변경, 양곡지구와 김포이젠으로 연장. 2013년 1월 48번 국도 우회도로로 변경. |
| ●중국어 841번 | 귤현현대아파트 - 귤현역 - 계양역 - 신동아파트 - 오류동마을 - 유현사거리 - 원당사거리 - 검단지구 - 불로지구 - 김포고등학교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
| ●중국어 841-1번 | 검단1동주민센터 - 마전초등학교 - 동아아파트 - 청마마을 - 원당사거리 - 유현마을 - 사우고.김포시청 - 김포고등학교 - 나진교 - 풍경마을 - 하늘빛마을 | 선진버스로 노선 이관, 현재 운행 중지. |
- 일반좌석버스
| 노선 번호 | 노선 경로 | 비고 |
|---|---|---|
| ●중국어 6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누산리 - 지경 - 나진교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1대로 운행, 2010년에 60-3번에 통폐합. 강화운수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
| ●중국어 7번 | 대명항 - 대곶면 - 양곡 - 장기지구 - 지경 - 나진교 - 김포한전 - 김포고등학교 - 장곡 - 고촌 - 개화역 - 송정역 - 발산역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영등포역 | 2008년 7월 631번에 통폐합, 631번은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 강화운수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
- 직행좌석버스
| 노선 번호 | 노선 경로 | 비고 |
|---|---|---|
| ●중국어 3100번 | 양곡터미널 ↔ 양곡주공7단지 ↔ 신양초등학교 ↔ 한가람마을 ↔ 복합환승센터 ↔ 솔터마을 ↔ 은여울마을 ↔고창마을.KCC ↔ 청송2.3단지 ↔ 전원, 수정마을 ↔ 북변환승센터 ↔ 김포고 ↔ 고촌 ↔ 올림픽대교 ↔ 양화대교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동교동삼거리 ↔ 현대백화점 신촌점 (가변차로) ↔ 지하 신촌역 ↔ 신촌기차역 | 2014년 7월 16일부로 폐선, 강화운수로부터 양도받은 노선. |
| ●중국어 7000번 | 뉴고려병원 - 장기지구 - 초당마을 - 청송마을 - 북변터미널 - 김포고등학교 - 고촌 - 올림픽대로 - 당산역 - 여의도 버스 환승센터 - 마포대교 - 마포역 - 광화문역 - 시청역 | 현재 8600번으로 운행 중. |
| ●중국어 9004번 | 대명항 - 양곡 - 전원마을 - 김포고등학교 - 개화역 - 송정역 - 강서보건소 - 등촌역 - 염창역 - 당산역 | 구 9000번· 9100번, 2012년 5월 폐선 |
6. 보유 차종
| 제조사 | 차종 |
|---|---|
| 현대자동차 | 현대 카운티 |
| 현대자동차 | 현대 그린시티 |
|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
| 현대자동차 | 현대 유니시티[2] |
| 현대자동차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
| 현대자동차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
| 현대자동차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프라임 |
| 현대자동차 | 현대 일렉시티 |
| 현대자동차 | 현대 일렉시티 더블데커 |
| 중통버스 | 중통 아데오나 EV |
| 스카이웰 | 스카이웰 리오네 EV |
| 볼보버스 | 볼보 B8RLE |
| MAN | MAN 라이온스 시티 |
| MAN | MAN 라이온스 더블데커 |
참조
[1]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2-03-22
[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