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일로코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일로코스주는 필리핀 루손 섬의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북쪽으로는 북일로코스주, 서쪽으로는 남중국해와 접한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필리핀 혁명, 미국 점령, 일본 점령, 마르코스 시대 등 복잡한 역사를 거쳤으며, 1901년 민정 수립 이후 필리핀의 행정 구역으로 자리 잡았다. 일로카노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일로카노어를 주로 사용하고, 로마 가톨릭교가 지배적인 종교이다. 농업이 경제의 기반이며, 쌀, 담배 등을 생산한다. 비간 역사 도시와 산타 마리아 교회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필리핀의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로코스 지방 - 팡가시난주
팡가시난주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하며 "소금의 장소"라는 뜻의 이름처럼 주요 소금 생산지이자 해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 링가옌을 중심으로 행정 구역이 설정되어 현재 4개의 도시와 44개의 자치시로 구성,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진 주민들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 - 일로코스 지방 - 라우니온주 (필리핀)
라우니온주는 필리핀 루손섬 북서부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아름다운 해변과 서핑 명소로 유명하며 농업, 관광업, 전통 산업이 발달했고 다양한 축제와 문화유산을 자랑한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남일로코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북부의 문화유산 안식처 |
위치 | 필리핀 |
소속 지역 | 이로코스 지방 (Region I) |
설립일 | 1818년 2월 2일 |
중심지 | 비간 |
총 면적 | 2,596.0 제곱킬로미터 |
면적 순위 | 81개 중 51위 |
인구 (2020년) | 706,009 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인구 순위 | 81개 중 43위 |
HDI | 0.70 (높음) |
HDI 순위 | 19위 (2019년)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ST) |
UTC 오프셋 | +8 |
ISO 코드 | PH-ILS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최대 도시 | 칸돈 |
행정 구역 | |
독립시 | 0 |
구성시 | 칸돈 비간 |
자치시 | 알ilem 바나요요 반타이 부르고스 카부가오 카오아얀 세르반테스 갈리무요드 그레고리오 델 필라르 리들리다 망싱갈 나그부켈 나르바칸 키리노 살세도 산 에밀리오 산 에스테반 산 일데폰소 산 후안 산 비센테 산타 산타 카탈리나 산타 크루즈 산타 루시아 산타 마리아 산티아고 산토 도밍고 시가이 시나이트 수그폰 수요 타구딘 |
바랑가이 수 | 768 |
하원 의원 선거구 | 일로코스수르 선거구 |
정치 | |
주지사 | 헤레미아스 C. 싱손 (NPC/빌레그) |
부주지사 | 라이언 루이스 V. 싱손 (라카스/빌레그) |
입법부 | 일로코스수르 지방 의회 |
지리 | |
최고점 | 카밍잉겔 산 |
최고점 높이 | 2,371 미터 |
언어 | |
사용 언어 | 일로카노어 캉카나에이어 필리핀어 영어 |
2. 역사
남일로코스 주의 역사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스페인 식민지 시대, 그리고 필리핀 독립 이후 시대로 구분된다.
스페인인들이 필리핀에 도착하기 전에는 북쪽의 방기에서 남쪽의 나마크파칸에 이르는 북서 루손의 해안 평원이 일로코스라고 불렸으며, ''사오 미 디토이''(sao mi ditoy)에서 유래된 삼토이(Samtoy)라는 고대 이름으로 불렸다.[4]
1572년 스페인 탐험가 후안 데 살세도가 비간에 도착하면서 스페인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다. 살세도는 비간을 빌라 페르난디나로 명명하고 북부 루손 전체를 자신의 엔코미엔다(토지 사유)로 선언했다.[5] 아우구스티노회 선교사들은 이 지역을 복음화하여 현재까지 남아 있는 본당과 교회를 세웠다.[5] 1818년 2월 2일 왕령에 따라 일로코스는 일로코스노르테주와 일로코스수르주로 분리되었다.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의 무보수 노동력 강요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아브라와 카가얀 계곡으로 이주했다. 19세기 전반기 남일로코스 주는 면화, 담배, 쪽(식물) 산업 발전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스페인 통치 초기부터 19세기 첫 10년 동안은 공물, 강제 노동, 독점에 대한 반란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대표적인 반란으로는 1762년부터 1763년까지 일어난 디에고 실랑과 마리아 호세파 가브리엘라 부부의 일로코스 반란(실랑 반란),[10] 1807년 9월 16일 토착 와인인 ''바시''에 대한 정부 독점에 반대하는 반란,[11] 1898년 3월 25일 이사벨로 아바야의 봉기[12] 등이 있다.
필리핀 혁명 당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지지했으며, 비간이 함락되자 반군은 주교 궁전을 본부로 삼았다. 마누엘 티니오는 미국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였으나, 1899년 12월 4일 제임스 파커 휘하의 미국 제45보병사단에 비간이 점령되었다. 그레고리오 델 필라르는 1899년 12월 2일 티라드 고개 전투에서 사망했다.
1901년 9월 1일, 미국 점령 하에 남일로코스주에 민정이 수립되었고, 메나 크리솔로고가 초대 주지사가 되었다. 일본 제국군의 일부 부대가 1941년 12월 10일 민도로, 비간, 산타, 판단 및 카오아얀에 상륙했다.[1] 체르반테스에서는 야마시타 도모유키의 군대와 미국 제21보병연대 사이에 베상 고개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필리핀 게릴라가 일본 제국군을 상대로 거둔 가장 큰 승리였다.[1]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이전에는 반타이 사건과 플로로 크리솔로고 하원의원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 1970년 5월에는 "반타이 사건"이 발생하여 크리솔로고 가문의 사병 조직 '사카-사카'가 방화와 살인을 저질렀다.[21][22][15] 1970년 10월 18일에는 플로로 크리솔로고 하원 의원이 비간 대성당에서 예배를 드리던 중 암살당했다.[23] 자유 농민 연맹(FFF) 및 자유 노동자 연맹(FFW)과 같은 단체는 가톨릭 교회의 지원을 받으며 노동 권리를 위해 투쟁했다.[13]
1986년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축출되고 코라손 아키노가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 임시 혁명 정부가 수립되었다.[25][26] 호세 G. 부르고스 주니어(Jose G. Burgos Jr.)가 임시 주지사로 임명되었다.[27]
2020년 3월 15일, 남일로코스 주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지역 사회 격리에 들어갔다.[31] 2021년에는 여행 프로토콜을 의무화하는 행정 명령이 발령되었다.[33] 2022년 루손 지진으로 남일로코스 주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특히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비간의 문화 유적지가 큰 피해를 입었다.[34][35][36][37]
2. 1. 초기 역사
스페인인들이 도착하기 전, 북쪽의 방기에서 남쪽의 나마크파칸에 이르는 북서 루손의 해안 평원은 일로코스라고 불리는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서쪽으로는 서필리핀해, 동쪽으로는 북부 산맥 사이에 위치해 있다. 서쪽에는 모래땅이 펼쳐져 있고, 동쪽(마운틴 지방에서 이 지역을 구분하는 산 근처)에는 암석 지대가 있어 좁은 경작지를 형성한다. 산이 바다에 너무 가까이 다가와 고속도로가 산을 깎아 만들어졌다. 인구 증가와 토지 부족으로 인해 사람들은 절약하며 살았고, 그들은 지역 방언으로 ''로옥''이라고 불리는 작은 만 근처에 마을을 건설했다. 이러한 해안 거주민들은 "저지대에서 온 사람들"을 의미하는 ''일로코스''로 알려지게 되었다.[4] 이 지역은 일로카노어로 "우리의 언어"를 뜻하는 ''사오 미 디토이''(sao mi ditoy)에서 유래된 삼토이(Samtoy)라는 고대 이름으로 불렸다.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2년 스페인 탐험가 후안 데 살세도가 비간에 도착하면서 스페인의 식민 지배가 시작되었다. 살세도는 비간을 빌라 페르난디나로 명명하고, 북부 루손 전체를 자신의 엔코미엔다(토지 사유)로 선언했다. 그는 1574년 7월 사망할 때까지 비간의 엔코멘데로이자 일로코스의 부지사였다.[5]아우구스티노회 선교사들은 이 지역을 복음화하여, 현재까지 남아 있는 본당과 교회를 세웠다.[5] 3세기 후, 비간은 누에바 세고비아 대교구의 관할지가 되었다.
1818년 2월 2일 왕령에 따라 일로코스는 일로코스노르테주와 일로코스수르주로 분리되었다.
2. 2. 1. 원주민 개종
스페인 연대기 저술가 피가페타는 "일로코스는 모두 기독교인이며 가장 겸손하고 다루기 쉽다"고 기록했다.[6] 아우구스티누스 수도회는 1576년 산타, 1586년 타구린, 1586년 산타 루시아, 1587년 날바칸, 1591년 칸돈, 1590년 반타이에 교구를 설립했다. 1641년 비간에 교회를 지었는데, 117년 후 이 교회는 누에바 세고비아의 주교좌 성당이 되었다.2. 2. 2. 사회 제도
살세도의 ''엔코미엔다''는 선택된 집단에게 물려졌고, 이들은 카시케 제도, 지주 제도, 고리대금업으로 발전한 소작 제도를 지속했다.[2] 1762년에는 ''카일라네스''가 귀족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다.[2] 19세기 중반 인디고 붐 동안 비간은 ''메스티소'' 구역과 ''나투랄레스'' 구역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오늘날까지 뚜렷하게 구분된다.[2]2. 2. 3. 이주
스페인 식민주의자들의 무보수 노동력 강요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아브라와 카가얀 계곡으로 이주했다. 1908년부터 1946년까지 잉여 노동력은 하와이와 미국 서부 해안의 농장으로 이주했다. 이주가 절정에 달했을 때 일로코스 수르의 인구 밀도는 1제곱마일당 492명이었으며, 이는 마닐라를 제외하고 필리핀에서 가장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이었다. 1946년 미국 노동부에 의해 모집된 7,365명의 남성이 하와이로 간 마지막 노동 이주민 그룹이었으며, 비간은 모집 센터였다. 하와이 필리핀인의 80% 이상이 일로카노 출신이다.2. 2. 4. 경제적 번영
19세기 전반기 남일로코스 주는 면화, 담배, 쪽(식물) 산업 발전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필리핀 왕립 회사의 활동으로 섬유 산업이 발전하고, 담배 전매 폐지로 경제 발전이 가속화되었다.비간은 19세기에 유럽과 무역을 하였고, 쪽(식물)을 가득 실은 배가 섬유 공장으로 향했다. 그러나 독일에서 화학 염료가 발명되면서 이 산업은 쇠퇴하였다. 비간의 부유한 시민들은 집 안에 놋쇠와 철로 만든 조상, 식기류, 고급 상아, 상감 가구, 중국산 제품을 포함한 유럽 문명의 다른 유물들을 비치했다.[8]
2. 2. 5. 반란
스페인 통치 초기부터 19세기 첫 10년 동안은 공물, 강제 노동, 독점에 대한 반란이 빈번하게 일어났다. 1762년부터 1763년까지 일어난 일로코스 반란(실랑 반란)은 비간의 ''바바크낭''(귀족)과 ''알칼데-마요르''(지방 장관)를 겨냥했다. 디에고 실랑이 1763년 5월 28일 암살된 후, 그의 아내 마리아 호세파 가브리엘라는 1763년 9월 20일 체포되어 교수형에 처해질 때까지 투쟁을 이어갔다.[10] 1807년 9월 16일에는 토착 와인인 ''바시''에 대한 정부 독점에 반대하는 반란이 일어났으나, 정규군과 신병들이 반군을 격파했다.[11]1898년 3월 25일, 이사벨로 아바야는 스페인의 학대와 억압에 대응하여 칸돈에서 봉기를 시작하고 마을 광장에 붉은 깃발을 게양했다. 혁명 정부가 수립되었고, 여러 다른 반란이 뒤따랐다. 스페인군은 칸돈을 재점령하기 위해 충격 부대를 보냈고, 항복한 봉기의 지도자 및 참가자 대부분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12]
2. 3.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
필리핀 혁명 당시 에밀리오 아기날도를 지지했다. 비간이 함락되자 반군은 주교 궁전을 본부로 삼았다. 1898년 3월 21일, 칸돈 출신 마리아노 아코스타가 주 혁명 정부를 수립했다. 아기날도 장군이 홍콩에서 망명 생활을 마치고 돌아오자, 미국을 상대로 게릴라전을 벌일 마누엘 티니오를 파견했다. 비간은 1899년 12월 4일 제임스 파커 휘하의 미국 제45보병사단에 점령될 때까지 티니오의 본부였다. 그레고리오 델 필라르는 1899년 12월 2일 티라드 고개 전투에서 사망했다.2. 4. 미국 점령 시대
1901년 9월 1일, 미국 점령 하에 남일로코스주에 민정이 수립되었다. 말롤로스 회의 대표였던 메나 크리솔로고가 초대 주지사가 되었다.2. 5. 일본 점령 시대
일본 제국군의 일부 부대가 1941년 12월 10일 민도로, 비간, 산타, 판단 및 카오아얀에 상륙했다.[1] 체르반테스에서는 야마시타 도모유키의 군대와 미국 제21보병연대 사이에 베상 고개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필리핀 게릴라가 일본 제국군을 상대로 거둔 가장 큰 승리였다.[1] 게릴라들은 1945년 초 거의 6개월 동안 일련의 공격을 감행했다.[1]2. 6. 마르코스 시대
마르코스 독재 21년 동안 남일로코스 주의 역사는 제대로 기록되지 않았다.[13] 1972년 마르코스의 계엄령 선포 이전에 반타이 사건과 플로로 크리솔로고 하원의원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자유 농민 연맹(FFF) 및 자유 노동자 연맹(FFW)과 같은 단체는 가톨릭 교회의 지원을 받으며 노동 권리를 위해 투쟁했다.[13] 마르코스 계엄령 시대에 남일로코스 주에서 마르코스 독재 시절의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으며,[17][18] 정치범 수용소인 "디에고 실랑 캠프"가 있었다.[13][19][20]
1965년 대통령 선거에서 마르코스가 승리하면서, 그는 북부를 확고한 투표 블록으로 만들기 위해 정치적 통제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당시 가장 저명한 지역 "군벌"들과 동맹을 맺었다.[15] 여기에는 마르코스가 나중에 공공사업 및 고속도로부 장관으로 임명한 안토니오 라퀴자,[15] 마누엘 T. 케이스,[15] 플로로 크리솔로고 등이 포함되었다.[15][14] 특히 크리솔로고의 사촌이자 필리핀 경찰 범죄 수사국 대위였던 파비안 베르는 마르코스의 측근이 되었다.[14]
역사가 알프레드 맥코이는 크리솔로고 가문이 마르코스의 집권으로 부상한 정치 가문 중 하나이며, 마르코스가 권력을 굳건히 하자 일로코스 수르에서 정치적 라이벌을 제압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14] 또한 크리솔로고는 주민들이 "맨발"을 의미하는 ''사카-사카''라고 불렀던 사병을 만들었고,[14] 선거 사무소를 통제했으며,[14] 봉쇄를 통해 지방에서 생산되는 담배를 독점했다.[14]
1970년 5월 "반타이 사건"이 발생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마르코스는 이 사건을 조사하고 크리솔로고의 아들 빈센트 크리솔로고를 체포하라는 압력을 받았다.[13] 맥코이는 크리솔로고가 마르코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한편, 1969년 대통령 재선 캠페인 지원에 대한 대가로 더 많은 보상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마르코스가 이를 거절하자 크리솔로고는 마르코스와 베르가 일로코스 지방의 담배 독점에 참여한 사실을 폭로하겠다고 위협했다고 한다.[15][14][13]
2. 6. 1. 반타이 사건
1970년 5월, 이른바 "반타이 사건"이 발생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했다. 크리솔로고 가문의 사병 조직 '사카-사카'는 1969년 반타이의 전 시장을 암살했다.[21][22] 1970년 5월에는 1996년 선거에서 크리솔로고의 경쟁자였던 차비트 싱손을 지지한 주민들에 대한 보복으로 오라 에스테와 오라 센트로 마을을 불태웠다.[21][22] 불길에 휩싸여 사망한 노파도 있었다.[15] 여론은 마르코스가 이 사건을 조사하고 당시 ''사카-사카''의 지도자로 알려진 크리솔로고의 아들 빈센트를 체포하도록 강요했다.[13]2. 6. 2. 플로로 크리솔로고 암살
1970년 10월 18일, 플로로 크리솔로고 하원 의원은 비간 대성당에서 예배를 드리던 중 머리에 총을 맞아 사망했다.[23] 범인은 크리솔로고 의원 바로 뒤에서 총을 쏘고 도주했으며, 결국 잡히지 않아 이 사건은 미결로 남았다.[15]크리솔로고 의원의 사망으로 특별 선거는 열리지 않았고,[13] 그의 의석은 1972년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계엄령 선포로 의회가 해산될 때까지 공석이었다. 이후 1987년 마르코스가 축출되고 의회가 복원된 후에야 다시 채워졌다.[13][24]
1971년, 크리솔로고 가문은 이 지역에서 누리던 정치적 지배력을 잃고, 싱손 가문이 부상하게 되었다.[15] 이는 크리솔로고의 암살, 그의 아내 카멜링이 주지사 선거에서 차비트 싱손에게 패배, 그의 아들 빈센트가 비간 시장 선거에서 차비트의 형제에게 패배한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5]
2. 7. 현대사
1986년 2월 25일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축출되고 코라손 아키노가 필리핀의 새로운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25][26] 필리핀에는 임시 혁명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후 호세 G. 부르고스 주니어(Jose G. Burgos Jr.)가 임시 주지사로 임명되었다.[27]2020년 3월 15일, 남일로코스 주는 행정 명령 제14호를 통해 지역 사회 격리에 들어갔다.[31] 2021년에는 필리핀 지방 자치 단체 연합 등과 협력하여 제작된 내무 자치 정부 부서의 "육상, 항공 및 해상 여행에 대한 통일된 프로토콜"이 승인되었다.[32] 이후, 일로코스 수르 주지사 라이언 루이스 V. 싱손은 행정 명령 제22호[33]를 발령하여 주 내에서 시행할 여행 프로토콜을 의무화했다.
2022년 루손 지진으로 남일로코스 주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30초 이상 강력하게 지진이 감지되었다.[34] 총 32개 마을과 2개 시가 피해를 입었고, 가장 피해가 심한 곳은 비간이었다.[35]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비간의 문화 유적지, 특히 비간 대성당과 오래된 가옥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칼레 크리솔로고를 따라 몇몇 전선이 끊어졌다.[36][37]
2. 7. 1. 1986-87년 호세 부르고스 주니어 임시 혁명 정부
1986년 2월 25일 피플 파워 혁명으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축출되고 코라손 아키노가 필리핀의 새로운 대통령으로 취임하면서,[25][26] 필리핀에는 임시 혁명 정부가 수립되었다. 새로운 헌법이 비준되고 새로운 관리들이 선출될 때까지 신문 발행인 호세 G. 부르고스 주니어(Jose G. Burgos Jr.)가 임시 주지사로 임명되었다.[27]- 주지사: 루이스 신손
2. 7. 2.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2020년 3월 15일, 남일로코스 주는 행정 명령 제14호를 통해 지역 사회 격리에 들어갔다.[31] 이 명령은 일로코스 수르 출입 인원의 이동을 제한하고, 검문소 설치를 의무화했으며, 운송 및 여행 조건을 규정하고, 사회적 모임을 금지했다. 또한 유연/대체 근무 방식 또는 업무 중단을 권장하고, 관광을 중단하고, 매점매석을 금지하며, 사업체에 대한 규칙을 명시하고, 통행 금지령을 부과했다.[31]2021년에는 필리핀 지방 자치 단체 연합, 필리핀 주 연맹, 필리핀 시 연맹 및 필리핀 도시 연맹과 긴밀히 협력하여 제작된 내무 자치 정부 부서의 "육상, 항공 및 해상 여행에 대한 통일된 프로토콜"이 2021년 제101호 결의안[32]으로 승인되었다. 이후, 일로코스 수르 주지사 라이언 루이스 V. 싱손은 2021년 행정 명령 제22호[33]를 발령하여 주 내에서 시행할 여행 프로토콜을 의무화했다. 이 결의안은 [https://s-pass.ph/ 안전하고, 신속하며, 스마트한 통행(S-PaSS) 여행 관리 시스템]의 사용을 제도화했으며, 이 행정 명령은 주에 진입하거나 통과하려는 특정 여행자 분류에 속하는 사람들에게 의무적인 검사 요구 사항을 없앴다.
2. 7. 3. 2022년 루손 지진
2022년 루손 지진으로 남일로코스 주는 심각한 피해를 입었으며, 남일로코스 주에서 30초 이상 강력하게 지진이 감지되었다.[34] 총 32개 마을과 2개 시가 피해를 입었고, 가장 피해가 심한 곳은 비간이었다.[35] 거의 100채의 가옥이 심하게 파손되었다.[35]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인 비간의 문화 유적지, 특히 비간 대성당과 오래된 가옥들이 피해를 입었으며, 칼레 크리솔로고를 따라 몇몇 전선이 끊어졌다.[36][37] 반타이의 반타이 교회에 있는 오래된 역사적인 종탑의 일부도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38]3. 지리
남일로코스 주는 루손 북부의 일로코스 지방 중앙에 자리한다. 북쪽으로는 북일로코스주, 북동쪽으로는 아브라주, 동쪽으로는 마운틴주, 남동쪽으로는 벵게트주, 남쪽으로는 라유니온주와 접하고, 서쪽으로는 남중국해를 마주하고 있다.[1] 면적은 2,596.00km²이며, 해발 고도는 10m에서 1,700m 사이이다.[1]
3. 1. 기후
일반적으로 기후는 에르난데스 기후 분류에 따라 건조하며, 건기는 10월부터 5월까지이다. 세르반테스의 최남단 지역은 연중 강수량이 고르게 분포되어 습윤하며, 수그폰의 남동부 지역은 강수량이 적다. 우기는 8월에 시작되며, 1월과 2월의 강수량이 가장 적다. 이 지역의 평균 기온은 27°C이며, 1월이 가장 춥다.3. 2. 행정 구역
남일로코스 주는 32개의 지방 자치체와 2개의 구성 도시 (칸돈, 비간)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선거구로 나뉜다. 이 지역에는 총 768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 | 선거구 | 인구 | 연간 성장률 | 면적 | 인구 밀도 | 바랑가이 수 | 좌표 | ||||
---|---|---|---|---|---|---|---|---|---|---|---|
colspan="2" | | (2020) | (2015) | km2 | sq mi | /km2 | /sq mi | |||||
알리렘 | 2구 | 7,361 | 6,695 | +1.8% | 119.33km2 | 약 119.32km2 | 62/km2 | 160/sq mi | 9 | ||
바나요요 | 2구 | 7,931 | 7,748 | +0.45% | 24.63km2 | 약 24.63km2 | 320/km2 | 830/sq mi | 14 | ||
반타이 | 1구 | 37,118 | 35,731 | +0.74% | 76.6km2 | 약 76.61km2 | 480/km2 | 1,200/sq mi | 34 | ||
부르고스 | 2구 | 12,793 | 12,224 | +0.89% | 44.38km2 | 약 44.39km2 | 290/km2 | 750/sq mi | 26 | ||
카부가오 | 1구 | 38,884 | 37,501 | +0.7% | 95.56km2 | 약 95.57km2 | 410/km2 | 1,100/sq mi | 33 | ||
칸돈 | 2구 | 61,432 | 60,623 | +0.26% | 103.28km2 | 약 103.29km2 | 590/km2 | 1,500/sq mi | 42 | ||
카오얀 | 1구 | 19,574 | 19,861 | -0.29% | 17.42km2 | 약 17.43km2 | 1,100/km2 | 2,800/sq mi | 17 | ||
세르반테스 | 2구 | 19,449 | 17,211 | +2.4% | 234.7km2 | 약 234.70km2 | 83/km2 | 210/sq mi | 13 | ||
갈리무요드 | 2구 | 10,244 | 10,748 | -0.9% | 34.4km2 | 약 34.39km2 | 300/km2 | 780/sq mi | 24 | ||
그리고리오델필라르 | 2구 | 4,472 | 4,875 | -1.7% | 41.66km2 | 약 41.67km2 | 110/km2 | 280/sq mi | 7 | ||
리드리다 | 2구 | 4,705 | 4,647 | +0.24% | 33.84km2 | 약 33.85km2 | 140/km2 | 360/sq mi | 11 | ||
마그싱갈 | 1구 | 31,308 | 30,792 | +0.32% | 84.98km2 | 약 84.98km2 | 370/km2 | 960/sq mi | 30 | ||
나그부켈 | 2구 | 5,465 | 5,259 | +0.74% | 43.12km2 | 약 43.12km2 | 130/km2 | 340/sq mi | 12 | ||
나르바칸 | 2구 | 46,234 | 44,006 | +0.96% | 122.21km2 | 약 122.22km2 | 380/km2 | 980/sq mi | 34 | ||
키리노 | 2구 | 9,306 | 8,573 | +1.6% | 240.1km2 | 약 240.09km2 | 39/km2 | 100/sq mi | 9 | ||
살세도 | 2구 | 11,110 | 11,288 | -0.3% | 103.44km2 | 약 103.60km2 | 110/km2 | 280/sq mi | 21 | ||
산에밀리오 | 2구 | 7,206 | 7,407 | -0.52% | 141.44km2 | 약 141.44km2 | 51/km2 | 130/sq mi | 8 | ||
산에스테반 | 2구 | 8,381 | 8,349 | +0.073% | 19.62km2 | 약 19.63km2 | 430/km2 | 1,100/sq mi | 10 | ||
산일데폰소 | 1구 | 8,190 | 7,787 | +0.98% | 11.35km2 | 약 11.34km2 | 720/km2 | 1,900/sq mi | 15 | ||
산후안 | 1구 | 26,674 | 26,411 | +0.19% | 64.37km2 | 약 64.36km2 | 410/km2 | 1,100/sq mi | 32 | ||
산비센테 | 1구 | 13,118 | 12,758 | +0.53% | 12.6km2 | 약 12.59km2 | 1,000/km2 | 2,600/sq mi | 7 | ||
산타 | 2구 | 14,992 | 15,340 | -0.43% | 109.1km2 | 약 109.09km2 | 140/km2 | 360/sq mi | 26 | ||
산타카탈리나 | 1구 | 14,493 | 13,945 | +0.74% | 9.68km2 | 약 9.69km2 | 1,500/km2 | 3,900/sq mi | 9 | ||
산타크루스 | 2구 | 41,366 | 39,868 | +0.71% | 88.78km2 | 약 88.78km2 | 470/km2 | 1,200/sq mi | 49 | ||
산타루시아 | 2구 | 25,966 | 25,402 | +0.42% | 49.72km2 | 약 49.70km2 | 520/km2 | 1,300/sq mi | 36 | ||
산타마리아 | 2구 | 30,006 | 30,321 | -0.2% | 63.31km2 | 약 63.30km2 | 470/km2 | 1,200/sq mi | 33 | ||
산티아고 | 2구 | 19,471 | 18,759 | +0.72% | 46.36km2 | 약 46.36km2 | 420/km2 | 1,100/sq mi | 24 | ||
산토도밍고 | 1구 | 29,041 | 27,975 | +0.72% | 55.49km2 | 약 55.48km2 | 520/km2 | 1,300/sq mi | 36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남일로코스 주의 인구는 706,009명이며, 인구 밀도는 270km2이다.[39]
1960년 인구 조사에서는 338,058명으로 집계되었으며, 당시 가구 현황은 다음과 같다.
가구 현황 | 수 |
---|---|
총 가구 수 | 64,446 |
전기 사용 가구 | 2,974 |
라디오 소유 가구 | 3,227 |
수도관 사용 가구 | 7,379 |
샘물/펌프 사용 가구 | 25,137 |
취사에 전기, 등유, 가스 사용 가구 | 310 |
4. 1. 주민
남일로코스 주는 일로카노가 주로 거주하며, 이들은 오스트로네시아 계통의 세 번째로 큰 민족 집단에 속한다. 한 스페인 연대기 작가는 일로카노족에 대해 "그들은 매우 소박하고, 가정적이며 평화로우며, 체격이 크고 매우 강하다. 그들은 매우 문명화되어 있다. 그들은 매우 깨끗한 민족이며, 특히 여성들은 집을 매우 깔끔하고 청결하게 유지한다."라고 기록했다.미겔 데 로아르카는 1582년경 일로카노족이 농부로서 잠발레뇨족만큼 지적이라고 기록했다. 이들의 주요 직업은 농업이다.
후안 데 메디나 신부는 1630년에 원주민들이 '가장 겸손하고 다루기 쉬우며, 둥지나 큰 정착지에서 산다'고 언급했다.
4. 2. 언어
일로카노어는 이 지역 원주민 대다수가 사용하는 주요 언어이며, 인접한 라 우니온은 2012년부터 이를 공용어로 인정했다.[40] 이 언어는 일로카노인이 정착한 카가얀 계곡(제2지역), 코르디예라 행정 구역, 중앙 루손(제3지역)의 인접 지역에서 일로카노인과 비(非)일로카노인 거주자 사이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된다. 일로카노어는 또한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 (특히 속스르젠의 일부 지역)에서도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곳에서 일로카노인들은 20세기 초부터 상당한 거주민이었다.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며, 2022년 기준 1,100만 명의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언어는 캘리포니아와 하와이를 포함한 미국에서도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다.[41] 필리피노/타갈로그어와 영어도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이해되며, 비즈니스, 교육 및 미디어에서 활용된다.4. 3. 종교
인구의 75%가 로마 가톨릭교를 믿으며, 아글리파얀 교회 또한 5%의 신도로 상당한 소수 종교이다. 그 외 침례교, Iglesia ni Cristo 등 기독교 교회들이 있으며, 2024년 중반 기준 8%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 80개 이상의 로칼 또는 카필랴와 바랑가이 예배당이 있으며, 칸돈 시티 및 일로코스 수르 북부의 두 개 하위 지구가 있다. 감리교,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 기타 복음주의 기독교 신자들과 무슬림도 있다.5. 경제
남일로코스주의 경제는 농업에 기반을 두고 있다. 주민들은 주로 쌀, 옥수수, 채소, 뿌리 작물, 과일과 같은 식량 작물을 생산하며, 담배, 면화, 호랑이풀과 같은 비식량 작물도 재배한다.[42][43] 특히 버지니아 잎 담배는 주요 현금 작물이다.[45]
농작물로는 쌀, 옥수수, 담배, 과수 등이 주를 이루며, 고구마, 카사바, 사탕수수, 양파도 재배한다.
가내 수공업도 활발하여 직조, 가구 제작, 보석 세공, 도자기 제작, 대장장이, 식품 가공 등이 이루어진다. 나르바칸에는 한때 직조공에게 실을 공급하던 NDC 섬유 공장이 있었다. 비간에서는 항아리 및 슬리퍼 제작, 산 비센테에서는 가구, 캐비닛, 조각상 제작, 산 에스테반에서는 절구와 절구공이 제작, 산타에서는 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인구 증가, 토양 비옥도 감소, 긴 파종 및 수확 기간으로 인해 많은 주민들이 제조업과 무역에 종사하고 있다. 많은 일로카노인들은 일로카노 직물을 팔기 위해 카가얀 계곡, 중부 평야 및 민다나오로 간다.
6. 문화
1970년 8월 22일에 설립된 일로코스수르 박물관에는 일로카노족의 삶에 영향을 미친 그림, 수백 년 된 조각품, 조각 가구, 스페인, 유럽 및 중국 문화의 유물 등 문화재들이 소장되어 있다.[1]
필리핀 역사와 종교 관련 소장품으로는 크리솔로고 컬렉션이 있는데, 여기에는 가보, 수 세기 된 "산토스"(나무 또는 상아로 만든 종교 조각상), 기타 상아 조각상, 비엔나 가구, 대리석 탁자, 고대 조각 침대, 희귀한 중국 도자기, 단지 및 항아리, 램프, 무슬림 황동 제품, 스페인 및 멕시코 동전 등이 있다.[1]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의 기념품을 포함한 시퀴아 컬렉션도 크리솔로고 컬렉션과 견줄 만하다.[1] 그러나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비간에서 화재 발생 우려로 시퀴아 저택에 있던 유물은 안전을 위해 마닐라로 옮겨졌다.[1]
7. 유네스코 세계유산
유네스코는 남일로코스주의 두 유적지를 세계 유산 목록에 등재했다.[8]
7. 1. 비간 역사 도시
비간은 거의 4세기나 된 도시로, 한때 카비그비간(Kabigbigaan)으로 알려졌다. 이는 강둑에서 자라는 크고 화려한 잎을 가진 굵고 곧게 서는 식물인 비가(biga)에서 유래했으며, 나중에 비간(Vigan)으로 변경되었다. 스페인 사람들은 페르디난드 2세를 기려 빌라 페르난디나(Villa Fernandina)라고 불렀다.1574년 스페인 정복자 후안 데 살세도는 비간을 일로코스(Ylocos)의 수도로 설립했다. 당시 마닐라보다 인구가 많은 8,000명이었던 이 마을은 살세도가 도착하기 전 말레이 문명의 중심지였다. 이 도시는 비교적 번성하여, 근처 판단 카오아얀(Caoayan) 항구를 통해 항아리, 비단, 도자기를 가져온 중국 및 일본과 무역을 했다.
19세기에 비간은 유럽과 무역을 했고, 쪽으로 가득 찬 배가 섬유 공장으로 향했다. 독일에서 화학 염료가 발명되면서 이 산업은 사라졌다. 비간의 부유한 시민들은 집 안에 놋쇠와 철로 만든 조상, 식기류, 고급 상아, 상감 가구, 중국산 제품을 포함한 유럽 문명의 다른 유물들을 비치했다.[8]
199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비간 유산 도시가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이 유적지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16세기에 건설된 비간은 아시아에서 계획된 스페인 식민 도시의 가장 잘 보존된 사례이다. 건축물은 필리핀, 중국, 유럽의 문화적 요소들이 융합되어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문화와 도시 경관을 만들어냈다."[46]
7. 2. 산타 마리아 교회
1993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 목록에 필리핀 바로크 양식 교회가 등재되었는데, 그 중 하나가 남일로코스 주의 산타 마리아 교회였다.[8] 유네스코는 "교회의 독특한 건축 양식은 중국과 필리핀 장인들이 유럽 바로크 양식을 재해석한 것이다."라고 설명한다.[8]8. 주요 인물
- 식스토 브릴란테스 - 필리핀 선거관리위원회의 21대 위원장
- 페드로 부카네그 - 시인이자 "일로카노 문학의 아버지"
- 호세 부르고스 - 사제이자 곰부르사의 순교자 중 한 명
- 마르셀리노 크리솔로고 - 필리핀 정치인, 시인, 작가, 극작가
- 윌리엄 다르 - 제45대 농업부 장관, 원예가
- 이사벨로 데 로스 레예스 - "필리핀 민속학의 아버지", "필리핀 노동 운동의 아버지",[48] 필리핀 독립 교회 설립자[49]
- 레오나 플로렌티노 - 페미니스트, 시인, 극작가, "필리핀 여성 문학의 어머니"
- 엘피디오 키리노 - 제6대 필리핀 대통령
- 가브리엘라 실랑 - 혁명 지도자
- 호세 마리아 시손 - 필리핀 공산당 창립 의장
- 루이스 싱손 - 현 주지사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9-19
[2]
웹사이트
Mount Camingingel
https://peakvisor.co[...]
2021-06-08
[3]
웹사이트
Gender and Special Population Groups; Provincial Human Development Index
http://openstat.psa.[...]
2021-01-12
[4]
웹사이트
Purchase and Delivery of a Delivery van for the Botika ti Probinsya ti Ilocos Sur Office
http://www.ilocossur[...]
2010-07-07
[5]
웹사이트
Purchase and Delivery of Materials for the Construction of New Steel Bleachers and Repair of Existing Steel Bleachers
http://www.ilocossur[...]
2010-07-07
[6]
웹사이트
Bringing home the Pigafetta manuscripts
https://www.rappler.[...]
2019-10-16
[7]
웹사이트
History of Ilocos Sur {{!}} Province of Ilocos Sur
https://mis.ilocossu[...]
2023-09-04
[8]
웹사이트
The Countryside in Figures Ilocos Sur
https://rsso01.psa.g[...]
2024-04-08
[9]
웹사이트
The Politics of Ethnicity among Ilokanos in Hawaii
https://www.hawaii.e[...]
2023-06-20
[10]
웹사이트
Diego Silang and Maria Josefa Gabriela Silang {{!}} Vigan.ph
https://www.vigan.ph[...]
2015-06-14
[11]
웹사이트
Basi Revolt Of September 16, 1807 - The Philippines Today
https://thephilippin[...]
2018-12-18
[12]
웹사이트
History - Candon City Official Website
https://candoncity.g[...]
2022-11-28
[13]
간행물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0-01-01
[14]
문서
Global Populism: A Lineage of Filipino Strongmen from Quezon to Marcos and Duterte
Quezon City
2017
[15]
웹사이트
Solid North: Not gold and honey but blood and money #2
https://thebaguiochr[...]
2022-06-07
[16]
서적
Revolutionary Struggle in the Philippines
Palgrave Macmillan
1989
[17]
웹사이트
Ilocanos remember dark days of martial law, vow to continue fight
https://www.bulatlat[...]
2012-10-02
[18]
문서
Dark Legacy: Human Rights Under the Marcos Regime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2001
[19]
웹사이트
About Us | Police Regional Office 1
https://pro1.pnp.gov[...]
[20]
웹사이트
Zacarias Agatep- Bantayog ng mga Bayani
https://bantayogngmg[...]
2023-05-25
[21]
웹사이트
Blood and money, not gold and honey, birthed Solid North
https://www.rappler.[...]
2022-06-26
[22]
뉴스
Tobacco enriches, corrupts northern Philippines
https://www.arabnews[...]
2013-06-23
[23]
뉴스
CLOSE MARCOS AIDE SLAIN IN PHILIPPINES
https://www.nytimes.[...]
2013-06-23
[24]
웹사이트
ROSTER of Philippine Legislators (from 1907 to 2019)
https://hrep-website[...]
[25]
뉴스
Aquino Proclaims Interim Government
https://www.nytimes.[...]
1986-03-26
[26]
뉴스
'Freedom Constitution' Gives Aquino Free Reign[sic]
https://www.chicagot[...]
1986-03-26
[27]
서적
A Changeless Land: Continuity and Change in Philippine Politics
[28]
뉴스
Executive Order No. 12, Series of 2020, Office of the Governor, Province of Ilocos Sur
https://www.facebook[...]
2020-03-12
[29]
뉴스
Executive Order No. 13, Series of 2020, Office of the Governor, Province of Ilocos Sur
https://www.facebook[...]
2020-03-13
[30]
뉴스
Classes suspended in Ilocos Sur until April 12 due to COVID-19
https://pia.gov.ph/n[...]
2020-03-13
[31]
뉴스
Executive Order No. 14, Series of 2020, Office of the Governor, Province of Ilocos Sur
https://www.facebook[...]
2020-03-16
[32]
뉴스
Resolution No. 101 Series of 2021, Inter-Agency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https://www.official[...]
2021-02-26
[33]
뉴스
Executive Order No. 22, Series of 2021, Office of the Governor, Province of Ilocos Sur
https://www.facebook[...]
2021-03-09
[34]
뉴스
Powerful 7.1 magnitude earthquake strikes northern Philippines, strongly felt in Manila
https://www.reuters.[...]
2022-07-27
[35]
뉴스
100 bahay sa Ilocos Sur, totally damaged sa magnitude 7 na lindol; restoration sa heritage sites, aabutin pa ng isang taon
https://rmn.ph/100-b[...]
2022-08-01
[36]
뉴스
Look: State of Vigan City roads, buildings after magnitude 7.3 earthquake
https://www.topgear.[...]
2022-07-27
[37]
뉴스
Heritage structures, churches damaged by 7.3 quake
https://newsinfo.inq[...]
2022-07-27
[38]
뉴스
Strong Abra quake damages Vigan Cathedral, Bantay Bell Tower in Ilocos Sur
https://mb.com.ph/20[...]
2022-07-27
[39]
웹사이트
Philippines Census Of Population of all LGUs 1903-2007
https://archive.or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7-02-14
[40]
웹사이트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s://www.philstar[...]
2023-09-23
[41]
웹사이트
Language of the Month April 2022: Ilocano
https://languagemuse[...]
2022-04-30
[42]
웹사이트
A Review of the Agriculture Sector in Ilocos Region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psa.gov.ph/co[...]
2023-09-04
[43]
웹사이트
Statistical Tables {{!}}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 Republic of the Philippines
https://psa.gov.ph/s[...]
2023-09-04
[44]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4155
https://lawphil.net/[...]
[45]
웹사이트
Republic Act No. 7171 : REPUBLIC ACTS - PHILIPPINE LAWS STATUTES and CODES
https://laws.chanrob[...]
[46]
웹사이트
Historic City of Vigan
https://whc.unesco.o[...]
[47]
웹사이트
Baroque Churches of the Philippines
https://whc.unesco.o[...]
[48]
간행물
"Sukimátem": Isabelo de los Reyes Revisited
http://www.philippin[...]
2002
[49]
서적
Communism in the Philippines : An Introductio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2002
[50]
웹인용
Philippines Census Of Population of all LGUs 1903-2007
https://archive.or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7-02-14
[51]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52]
safesubst
[53]
safesubst
[54]
safesubst
[55]
safesubst
[56]
safesubst
[57]
safesubst
[58]
safesubs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