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일로코스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일로코스주는 필리핀 루손 섬 북쪽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일로카노족이 거주해왔다. 1818년 일로코스주는 북일로코스주와 남일로코스주로 분리되었다. 이 지역은 담배 산업의 중심지였으며, 20세기에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이 되기도 했다. 현재는 농업, 어업, 수공업, 풍력 발전, 관광 등이 주요 산업이며, 방기 풍력 발전소와 파오아이 교회가 유명하다. 북일로코스주는 21개의 지방 자치체와 2개의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로카노어가 주요 언어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 - 필리핀의 역사
필리핀의 역사는 최소 70만 년 전 인류 거주 흔적부터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이주, 인도 문화 영향으로 형성된 왕국,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 지배, 그리고 1946년 독립 후 민주주의 국가로서 발전과 여러 도전에 직면한 현대까지를 포괄한다. - 일로코스 지방 - 팡가시난주
팡가시난주는 필리핀 루손섬에 위치하며 "소금의 장소"라는 뜻의 이름처럼 주요 소금 생산지이자 해양 무역 중심지였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 링가옌을 중심으로 행정 구역이 설정되어 현재 4개의 도시와 44개의 자치시로 구성,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진 주민들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 - 일로코스 지방 - 남일로코스주
남일로코스주는 필리핀 루손섬 북부 일로코스 지방에 위치한 주로, 스페인 식민 시대부터 역사를 거쳐 1818년 일로코스 지방 분리 후 현재의 주가 되었으며, 농업 중심 경제 발전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필리핀의 주 - 리살주
리살주는 1901년에 설립되어 필리핀 역사 속에서 행정 구역 변경을 거쳐 현재 1개의 시와 13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된 칼라바르존 지역의 주이며, 구릉지대와 산악지형, 라구나 데 바이 호숫가를 포함하고 메트로 마닐라와 인접하여 경제적으로 발전했지만 지역 간 발전 불균형 문제를 가진 곳이다. - 필리핀의 주 - 라구나주
라구나주는 필리핀 칼라바르존 지역에 위치하며 라구나 데 바이 호수에서 이름이 유래되었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부터 여러 역사적 사건을 거쳐 현재는 농업, 산업, 관광을 기반으로 경제를 발전시키고 있는 필리핀 국민 영웅 호세 리살의 출생지이다.
북일로코스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국가 | 필리핀 |
지역 | 일로코스 지방 |
설립일 | 1818년 2월 2일 |
중심지 | 라오아그 |
면적 | 3,504.3 제곱킬로미터 |
최대 고도 | 2,361 미터 |
최고 지점 | 시카푸 산 |
인구 (2020년) | 609,570 명 |
인구 밀도 | 170 명/제곱킬로미터 |
독립시 | 0 |
구성 도시 | 바탁 라오아그 |
자치시 | 아담스 바카라 바독 방기 반나 부르고스 카라시 쿠리마오 딩그라스 두말네그 마르코스 누에바에라 파구드푸드 파오아이 파수킨 피딕 피닐리 산니콜라스 사라트 솔소나 빈타르 |
바랑가이 수 | 559 |
하원 의원 선거구 | 일로코스노르테 주 선거구 |
시간대 | 필리핀 표준시 (PHT) |
UTC 오프셋 | +8 |
언어 | 일로카노어 필리핀어 영어 |
HDI (인간 개발 지수) | 0.82 (매우 높음) |
HDI 순위 | 3위 (2024년)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행정 | |
주지사 | 매튜 마노톡 (NP) |
부지사 | 세실리아 아라네타 (NP) |
지방 의회 | 일로코스노르테 주 의회 |
추가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역사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오래 전부터, 북일로코스, 남일로코스, 아브라, 라 유니온으로 구성된 광대한 지역이 존재했다. 일본과 중국 상인들은 금을 구슬, 도자기, 비단과 교환하기 위해 종종 이 지역을 방문했다. 이 지역의 오스트로네시아 주민들은 그들의 지역을 '사모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우리 언어"를 의미하는 '사오 미 토이(sao mi toy)'에서 유래되었다.
1571년, 스페인 정복자들은 마닐라를 장악하고 새로운 정복지를 찾기 시작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손자인 후안 데 살세도가 이 원정 중 하나를 이끌었다. 1572년 6월 13일, 살세도와 그의 부하들은 현재의 비간에 상륙한 후 라오아그, 쿠리마오, 바독으로 이동했다. 해안을 따라 항해하면서 그들은 현지인들이 조화롭게 살고 있는 수많은 보호된 만(''looc'')을 보고 이 지역을 ''일로코스''라고 불렀고, 그 사람들을 ''일로카노스''라고 불렀다.[11]
이 지역의 기독교화가 진행되면서 방대한 토지가 "bajo las campanas"라는 스페인 선교 정책에 따라 교회와 종탑 건설에 사용되었다. 타운 광장에서는 교회 종 아래에 주둔군을 보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었다. 야파야오족과 이스네그족과 같은 일로코스 지방에 살던 원주민들은 인구가 적지만 자원이 풍부한 산으로 서서히 밀려났다.[11]
스페인 식민화는 많은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의 학대 행위로 인해 많은 일로카노스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다. 주목할 만한 사건으로는 딩그라스 봉기(1589)와 페드로 알마산 봉기(산 니콜라스, 1660)가 있다. 1762년, 디에고 실랑은 일로카노를 해방시키기 위한 일련의 전투를 이끌었으나 아군의 오발로 사망하였고, 그의 미망인 가브리엘라가 대의를 이어받았으나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1807년, 피디그의 사탕수수(''바시'') 양조업자들은 정부의 와인 산업 독점에 항의하여 무기를 들고 일어섰다. 1898년, 교회는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가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혁명군과의 관계를 끊기를 거부하자 그를 파문했고, 그는 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818년 2월 2일, 일로코스를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의 두 개의 주로 나누는 왕령이 서명되었다.
코레히도르 요새가 함락되고 일본 제국에 의한 필리핀 점령 이후, 북일로코스주 지역에는 소규모 게릴라 부대가 다수 결성되었으며, 일부는 강도 행위에 의존했다.[12] 로케 아블란 시니어 주지사는 필리핀 육군 펠리시아노 마담바 중위의 도움을 받아 일본군과 교전하고 다른 게릴라 부대를 하나의 공동 부대로 규합하기 위한 게릴라 부대를 조직할 수 있었다. 지도자들은 소식과 명령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특정 구역을 할당받았다.[12][13]
필리핀 독립이 인정된 후 10년 동안 담배 산업이 북일로코스주로 돌아왔다. 담배 독점 체제가 끝난 이후 필리핀인들이 현지에서 만든 시가에서 외국산 담배로 전환하기 시작하면서 일로코스 지역의 담배 생산량이 감소했다.[14] 그러나 막시모 솔리벤이 버지니아 담배가 일로코스 토양에서 잘 자라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사 연재물을 읽은 후, 사업가 해리 스톤힐은 산업 재건에 대규모 투자를 하여 1951년에 필리핀 담배 훈증 및 재건조 공사(PTFCRC)를 설립하고, 지역 1 전체의 농부들을 모집하여 담배를 생산하도록 설득했다.[17][15] 이듬해 라유니온주 하원 의원인 마누엘 T. 카세스는 "외국 잎담배 수입 제한" 법안을 제출했고, 이는 결국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 의해 공화국 법 698호로 서명되었다.[16] 이로 인해 스톤힐의 투자는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었고,[18] 새롭게 재건된 지역 산업은 번창했다.[17] 스톤힐은 1960년대에 탈세와 정부 관리 뇌물 수수 혐의로 10년 뒤 추방되었고, 이는 나중에 스톤힐 스캔들이라고 불리게 되었지만,[18] 담배 산업은 계속 성장했다.[15][18]
북일로코스주는 1965년 12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이 되면서, 그리고 1969년 부채 기반 인프라 지출로 인한 경제 위기와 1970년대 초 대규모 사회 불안을 겪으면서 두 번째 임기를 얻으면서 추가적인 중요성을 얻었다.[19][20] 헌법상 허용된 대통령 임기가 끝나갈 무렵, 그는 1972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21] 14년 동안 독재자가 되어 헌법적 권위주의 체제를 구축했다.[22] 그의 가족과 측근들은 1980년대에 약 50억에서 100억 미국 달러를 훔친 혐의를 받았으며,[23][24] 필리핀 경제가 급격히 쇠퇴했다.[25] 마르코스는 1986년 2월 시민 주도의 피플 파워 혁명에 의해 축출되었다.[26][27]
이 지역이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했다는 대중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마르코스 치하의 계엄령 시대 동안 북일로코스 지역에서 다양한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다.[11][28] 빈타르, 두말네그,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마을의 다양한 농부들이 고문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11][4] 방귀의 농부 8명과 빈타르의 원주민 3명이 1984년에 "살해"되었다.[4]
당시 마르코스 행정부에 대한 다양한 시위가 있었으며, 라오아그 광장의 아우로라 공원은 시위를 벌이기에 선호되는 장소 중 하나였다.[29] 라오아그 출신인 가톨릭 평신도이자 사회 운동가인 푸리피카시온 페드로는 치코강 댐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단체에서 자원봉사를 하다가[30]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회복 중 마르코스 행정부 군인들에게 살해당했다.[31][32] 데이비드 부에노는 인권 옹호자이자 Bombo Radyo Laoag 프로그램 진행자로, 자유 법률 지원 단체와 함께 일했으며, 1987년 10월 22일 군복 차림의 남자들에게 암살당했다.[33] 이는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수립된 민주 정부를 전복하려는 1986–87년 쿠데타와 일치하는 사건이었다. 부에노와 페드로는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의 벽에 처음으로 이름을 새긴 65명에 포함되었으며,[34] 페드로는 하느님의 종으로 지명될 필리핀 가톨릭교도들 중에 포함되었다.[35]
바타크 시는 도시로 전환하려는 ''공화국법 제9407호''에 의거하여 구성 도시가 되었다. 이 법은 2007년 6월 23일에 비준되었다.[36] 그러나 LCP가 시 승인 법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한 후, 시 지위는 2008년과 2010년에 두 번이나 상실되었다.[36] 시 지위는 필리핀 대법원이 2011년 2월 15일에 시 승인 법이 합헌이라고 판결한 후 재확인되었다.[36]
북일로코스주는 필리핀의 COVID-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지역 중 하나였으며, 2020년 3월 31일에 바타크와 파오아이에서 각각 남성 환자 1명과 스페인 여행에서 돌아온 전 상원의원 봉봉 마르코스를 포함하여 처음으로 3건의 COVID-19 사례를 보고했다.[36][37] 북일로코스주는 2021년에 사례가 급증했으며,[38] 2021년 8월에 보고된 급증은 바이러스의 델타 변이로 인한 것으로 알려졌다.[39]
2. 1. 초기 역사
스페인 사람들이 오기 오래 전부터, 북일로코스, 남일로코스, 아브라, 라 유니온으로 구성된 광대한 지역이 존재했다. 일본과 중국 상인들은 금을 구슬, 도자기, 비단과 교환하기 위해 종종 이 지역을 방문했다. 이 지역의 오스트로네시아 주민들은 그들의 지역을 '사모이(samtoy)'라고 불렀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우리 언어"를 의미하는 '사오 미 토이(sao mi toy)'에서 유래되었다.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71년, 스페인 정복자들은 마닐라를 장악하고 새로운 정복지를 찾기 시작했다.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의 손자인 후안 데 살세도가 이 원정 중 하나를 이끌었다. 1572년 6월 13일, 살세도와 그의 부하들은 현재의 비간에 상륙한 후 라오아그, 쿠리마오, 바독으로 이동했다. 해안을 따라 항해하면서 그들은 현지인들이 조화롭게 살고 있는 수많은 보호된 만(''looc'')을 보고 이 지역을 ''일로코스''라고 불렀고, 그 사람들을 ''일로카노스''라고 불렀다.[11]이 지역의 기독교화가 진행되면서 방대한 토지가 "bajo las campanas"라는 스페인 선교 정책에 따라 교회와 종탑 건설에 사용되었다. 타운 광장에서는 교회 종 아래에 주둔군을 보는 것이 드문 일이 아니었다. 야파야오족과 이스네그족과 같은 일로코스 지방에 살던 원주민들은 인구가 적지만 자원이 풍부한 산으로 서서히 밀려났다.[11]
스페인 식민화는 많은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의 학대 행위로 인해 많은 일로카노스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완전히 성공하지는 못했다. 주목할 만한 사건으로는 딩그라스 봉기(1589)와 페드로 알마산 봉기(산 니콜라스, 1660)가 있다. 1762년, 디에고 실랑은 일로카노를 해방시키기 위한 일련의 전투를 이끌었으나 아군의 오발로 사망하였고, 그의 미망인 가브리엘라가 대의를 이어받았으나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1807년, 피디그의 사탕수수(''바시'') 양조업자들은 정부의 와인 산업 독점에 항의하여 무기를 들고 일어섰다. 1898년, 교회는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가 에밀리오 아기날도 장군의 혁명군과의 관계를 끊기를 거부하자 그를 파문했고, 그는 필리핀 독립 교회를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
1818년 2월 2일, 일로코스를 일로코스 노르테와 일로코스 수르의 두 개의 주로 나누는 왕령이 서명되었다.
2. 3. 일본 점령
코레히도르 요새가 함락되고 일본 제국에 의한 필리핀 점령 이후, 북일로코스주 지역에는 소규모 게릴라 부대가 다수 결성되었으며, 일부는 강도 행위에 의존했다.[12] 로케 아블란 시니어 주지사는 필리핀 육군 펠리시아노 마담바 중위의 도움을 받아 일본군과 교전하고 다른 게릴라 부대를 하나의 공동 부대로 규합하기 위한 게릴라 부대를 조직할 수 있었다. 지도자들은 소식과 명령을 전달하는 시스템을 사용하여 특정 구역을 할당받았다.[12][13]2. 4. 필리핀 독립 이후
필리핀 독립이 인정된 후 10년 동안 담배 산업이 북일로코스주로 돌아왔다. 담배 독점 체제가 끝난 이후 필리핀인들이 현지에서 만든 시가에서 외국산 담배로 전환하기 시작하면서 일로코스 지역의 담배 생산량이 감소했다.[14] 그러나 막시모 솔리벤이 버지니아 담배가 일로코스 토양에서 잘 자라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사 연재물을 읽은 후, 사업가 해리 스톤힐은 산업 재건에 대규모 투자를 하여 1951년에 필리핀 담배 훈증 및 재건조 공사(PTFCRC)를 설립하고, 지역 1 전체의 농부들을 모집하여 담배를 생산하도록 설득했다.[17][15] 이듬해 라유니온주 하원 의원인 마누엘 T. 카세스는 "외국 잎담배 수입 제한" 법안을 제출했고, 이는 결국 엘피디오 키리노 대통령에 의해 공화국 법 698호로 서명되었다.[16] 이로 인해 스톤힐의 투자는 상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었고,[18] 새롭게 재건된 지역 산업은 번창했다.[17] 스톤힐은 1960년대에 탈세와 정부 관리 뇌물 수수 혐의로 10년 뒤 추방되었고, 이는 나중에 스톤힐 스캔들이라고 불리게 되었지만,[18] 담배 산업은 계속 성장했다.[15][18]2. 5. 마르코스 독재 정권 시기
북일로코스주는 1965년 12월 페르디난드 마르코스가 대통령이 되면서, 그리고 1969년 부채 기반 인프라 지출로 인한 경제 위기와 1970년대 초 대규모 사회 불안을 겪으면서 두 번째 임기를 얻으면서 추가적인 중요성을 얻었다.[19][20] 헌법상 허용된 대통령 임기가 끝나갈 무렵, 그는 1972년에 계엄령을 선포하고[21] 14년 동안 독재자가 되어 헌법적 권위주의 체제를 구축했다.[22] 그의 가족과 측근들은 1980년대에 약 50억에서 100억 미국 달러를 훔친 혐의를 받았으며,[23][24] 필리핀 경제가 급격히 쇠퇴했다.[25] 마르코스는 1986년 2월 시민 주도의 피플 파워 혁명에 의해 축출되었다.[26][27]이 지역이 마르코스 행정부를 지지했다는 대중의 인식에도 불구하고, 마르코스 치하의 계엄령 시대 동안 북일로코스 지역에서 다양한 인권 침해가 기록되었다.[11][28] 빈타르, 두말네그, 솔소나, 마르코스, 피디그 마을의 다양한 농부들이 고문을 받았다는 기록이 있으며,[11][4] 방귀의 농부 8명과 빈타르의 원주민 3명이 1984년에 "살해"되었다.[4]
당시 마르코스 행정부에 대한 다양한 시위가 있었으며, 라오아그 광장의 아우로라 공원은 시위를 벌이기에 선호되는 장소 중 하나였다.[29] 라오아그 출신인 가톨릭 평신도이자 사회 운동가인 푸리피카시온 페드로는 치코강 댐 프로젝트에 반대하는 단체에서 자원봉사를 하다가[30] 부상을 입고 병원에서 회복 중 마르코스 행정부 군인들에게 살해당했다.[31][32] 데이비드 부에노는 인권 옹호자이자 Bombo Radyo Laoag 프로그램 진행자로, 자유 법률 지원 단체와 함께 일했으며, 1987년 10월 22일 군복 차림의 남자들에게 암살당했다.[33] 이는 1986년 피플 파워 혁명 이후 수립된 민주 정부를 전복하려는 1986–87년 쿠데타와 일치하는 사건이었다. 부에노와 페드로는 필리핀의 반타요그 응 마가 바야니의 추모의 벽에 처음으로 이름을 새긴 65명에 포함되었으며,[34] 페드로는 하느님의 종으로 지명될 필리핀 가톨릭교도들 중에 포함되었다.[35]
2. 6. 현대
바타크 시는 도시로 전환하려는 ''공화국법 제9407호''에 의거하여 구성 도시가 되었다. 이 법은 2007년 6월 23일에 비준되었다.[36] 그러나 LCP가 시 승인 법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한 후, 시 지위는 2008년과 2010년에 두 번이나 상실되었다.[36] 시 지위는 필리핀 대법원이 2011년 2월 15일에 시 승인 법이 합헌이라고 판결한 후 재확인되었다.[36]북일로코스주는 필리핀의 COVID-19 팬데믹의 영향을 받은 지역 중 하나였으며, 2020년 3월 31일에 바타크와 파오아이에서 각각 남성 환자 1명과 스페인 여행에서 돌아온 전 상원의원 봉봉 마르코스를 포함하여 처음으로 3건의 COVID-19 사례를 보고했다.[36][37] 북일로코스주는 2021년에 사례가 급증했으며,[38] 2021년 8월에 보고된 급증은 바이러스의 델타 변이로 인한 것으로 알려졌다.[39]
3. 지리
북일로코스주는 루손 섬의 북쪽 끝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3,467.89km2이다. 북동쪽으로는 카가얀 주, 동쪽으로는 아파야오 주, 남동쪽으로는 아브라 주, 남서쪽으로는 일로코스 수르 주, 서쪽으로는 서필리핀해, 북쪽으로는 루손 해협과 접한다.
북일로코스주는 21개의 지방 자치체와 2개의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559개의 바랑가이로 세분된다. 이 지역에는 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가 있다.
도시 또는 지방 자치체 | 선거구 | 인구 | 면적 | 인구 밀도 | 바랑가이 총 수 | 좌표 |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
아담스 | 제1구 | 2,189 | 1,792 | 159.31 | 14 | 1 | style="text-align:center;" | | ||
바카라 | 제1구 | 33,496 | 32,215 | 65.32 | 513 | 43 | style="text-align:center;" | | ||
바독 | 제2구 | 32,530 | 31,616 | 76.68 | 424 | 31 | style="text-align:center;" | | ||
방기 | 제1구 | 15,019 | 14,672 | 112.98 | 133 | 14 | style="text-align:center;" | | ||
반나 | 제2구 | 19,297 | 19,438 | 92.73 | 208 | 20 | style="text-align:center;" | | ||
바탁 | * | 제2구 | 55,484 | 55,201 | 161.06 | 345 | 43 | style="text-align:center;" | | |
부르고스 | 제1구 | 10,759 | 9,777 | 128.90 | 84 | 11 | style="text-align:center;" | | ||
카라시 | 제1구 | 1,607 | 1,567 | 82.97 | 19 | 3 | style="text-align:center;" | | ||
쿠리마오 | 제2구 | 12,215 | 12,184 | 34.08 | 358 | 23 | style="text-align:center;" | | ||
딩라스 | 제2구 | 40,127 | 38,562 | 96.00 | 418 | 31 | style="text-align:center;" | | ||
두말네그 | 제1구 | 3,087 | 2,947 | 88.48 | 35 | 4 | style="text-align:center;" | | ||
라오아그 시 | † | 제1구 | 111,651 | 111,125 | 116.08 | 962 | 80 | style="text-align:center;" | | |
마르코스 | 제2구 | 18,010 | 17,777 | 72.77 | 247 | 13 | style="text-align:center;" | | ||
누에바에라 | 제2구 | 11,968 | 9,506 | 515.02 | 23 | 11 | style="text-align:center;" | | ||
파구드푸드 | 제1구 | 25,098 | 23,770 | 194.90 | 129 | 16 | style="text-align:center;" | | ||
파오아이 | 제2구 | 25,001 | 24,866 | 76.24 | 328 | 31 | style="text-align:center;" | | ||
파수킨 | 제1구 | 29,678 | 28,980 | 210.54 | 141 | 33 | style="text-align:center;" | | ||
피디그 | 제1구 | 22,475 | 21,497 | 216.20 | 104 | 23 | style="text-align:center;" | | ||
피닐리 | 제2구 | 17,626 | 17,300 | 89.48 | 197 | 25 | style="text-align:center;" | | ||
산 니콜라스 | 제2구 | 38,895 | 36,736 | 40.18 | 968 | 24 | style="text-align:center;" | | ||
사라트 | 제1구 | 25,186 | 25,212 | 57.39 | 439 | 24 | style="text-align:center;" | | ||
솔소나 | 제2구 | 24,851 | 24,121 | 166.23 | 149 | 22 | style="text-align:center;" | | ||
빈타르 | 제1구 | 33,339 | 32,220 | 614.35 | 54 | 33 | style="text-align:center;" | | ||
총계 | 609,588 | 593,081 | 3,467.89 | 176 | 559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
colspan="13" | |
북일로코스 주에는 21개의 자치단체와 2개의 시를 구성하는 559개의 바랑가이가 있다.
이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바랑가이는 라오아그 시에 있는 바랑가이 No. 1, 산 로렌조 ''(포블라시온)''으로 2010년 인구 조사에서 4,391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시를 제외하면 파수킨 자치 단체의 다빌라가 3,900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파수킨 자치 단체의 사파트이며, 인구는 32명에 불과하다.
3. 1. 행정 구역
북일로코스주는 21개의 지방 자치체와 2개의 구성 도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559개의 바랑가이로 세분된다. 이 지역에는 2개의 국회의원 선거구가 있다.도시 지방 자치체 | 선거구 | 인구 | 면적 | 인구 밀도 | 좌표 |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colspan=2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scope="col" style="border-top:none;" | | |||||
아담스 | 제1구 | 2,189 | 1,792 | 159.31 | 14 | 1 | |||
바카라 | 제1구 | 33,496 | 32,215 | 65.32 | 513 | 43 | |||
바독 | 제2구 | 32,530 | 31,616 | 76.68 | 424 | 31 | |||
방기 | 제1구 | 15,019 | 14,672 | 112.98 | 133 | 14 | |||
반나 | 제2구 | 19,297 | 19,438 | 92.73 | 208 | 20 | |||
바탁 | ∗ | 제2구 | 55,484 | 55,201 | 161.06 | 345 | 43 | ||
부르고스 | 제1구 | 10,759 | 9,777 | 128.90 | 84 | 11 | |||
카라시 | 제1구 | 1,607 | 1,567 | 82.97 | 19 | 3 | |||
쿠리마오 | 제2구 | 12,215 | 12,184 | 34.08 | 358 | 23 | |||
딩라스 | 제2구 | 40,127 | 38,562 | 96.00 | 418 | 31 | |||
두말네그 | 제1구 | 3,087 | 2,947 | 88.48 | 35 | 4 | |||
라오아그 시 | † | 제1구 | 111,651 | 111,125 | 116.08 | 962 | 80 | ||
마르코스 | 제2구 | 18,010 | 17,777 | 72.77 | 247 | 13 | |||
누에바에라 | 제2구 | 11,968 | 9,506 | 515.02 | 23 | 11 | |||
파구드푸드 | 제1구 | 25,098 | 23,770 | 194.90 | 129 | 16 | |||
파오아이 | 제2구 | 25,001 | 24,866 | 76.24 | 328 | 31 | |||
파수킨 | 제1구 | 29,678 | 28,980 | 210.54 | 141 | 33 | |||
피디그 | 제1구 | 22,475 | 21,497 | 216.20 | 104 | 23 | |||
피닐리 | 제2구 | 17,626 | 17,300 | 89.48 | 197 | 25 | |||
산 니콜라스 | 제2구 | 38,895 | 36,736 | 40.18 | 968 | 24 | |||
사라트 | 제1구 | 25,186 | 25,212 | 57.39 | 439 | 24 | |||
솔소나 | 제2구 | 24,851 | 24,121 | 166.23 | 149 | 22 | |||
빈타르 | 제1구 | 33,339 | 32,220 | 614.35 | 54 | 33 | |||
총계 | 609,588 | 593,081 | 3,467.89 | 176 | 559 | scope="col" style="font-style:italic;" | | |||
colspan="13" | |
3. 2. 바랑가이
북일로코스 주에는 21개의 자치단체와 2개의 시를 구성하는 559개의 바랑가이가 있다.이 지역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바랑가이는 라오아그 시에 있는 바랑가이 No. 1, 산 로렌조 ''(포블라시온)''으로 2010년 인구 조사에서 4,391명의 인구를 기록했다. 시를 제외하면 파수킨 자치 단체의 다빌라가 3,900명으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인구가 가장 적은 곳은 파수킨 자치 단체의 사파트이며, 인구는 32명에 불과하다.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북일로코스주의 인구는 609,588명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180명이다.
로마 가톨릭과 아글리파야 교회는 이 지역의 두 주요 종교이다.
북일로코스주에 있는 주요 로마 가톨릭 교회는 다음과 같다.
- 파오아이 교회 - 199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성 윌리엄 대성당 (라오아그) - 가라앉는 종탑으로 유명하다.
- 산타 모니카 교회 (사라트) - 일로코스 지방에서 가장 큰 교회로 기록되었다.
- 바카라 교회 - 1983년 루손 지진으로 강도 VII(로시-포렐 척도 기준)의 피해를 입어 파괴되었고,[41] 1984년에 재건 및 재개관했다.
북일로코스주는 두 개의 아글리파이 신전(아글리파야 교회)의 고향이며, 그 중 하나는 교회의 첫 번째 최고 지도자인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가 묻힌 곳이다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국립 신전). 여호와의 증인 신도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 교회(INC)의 신도도 소수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곳에는 2개의 교구(바탁 및 라오아그)가 있다. 각 교구에는 60개 이상의 지역과 바랑가이 예배당이 있다. INC는 5-6%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민다나오 무역상과 이민자에 의해 신봉되기도 한다.
일로카노어는 이 지역 원주민 다수의 주요 언어이며, 라 유니온은 2012년부터 이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했다.[42] 카가얀 밸리와 코르디예라 행정 지역, 중부 루손의 주요 지역에서 일로카노인과 비일로카노인 주민 간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 (특히 속스아르겐의 일부 지역)에서도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43] 필리피노/타갈로그어와 영어도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이해되며, 비즈니스, 교육 및 미디어에서 활용된다.
일로카노어, 필리피노(국가 언어) 및 영어 외에도 북일로코스주에는 이스나그어, 이테그어, 아프누탐어등 다른 두 개의 토착 언어가 있다. 아프누탐어는 유네스코의 ''세계의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따르면 필리핀의 15개 멸종 위기 언어 중 하나로 등재되어 있다.[44]
4. 1. 종교
로마 가톨릭과 아글리파야 교회는 이 지역의 두 주요 종교이다.
북일로코스주에 있는 주요 로마 가톨릭 교회는 다음과 같다.
- 파오아이 교회 - 1993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성 윌리엄 대성당 (라오아그) - 가라앉는 종탑으로 유명하다.
- 산타 모니카 교회 (사라트) - 일로코스 지방에서 가장 큰 교회로 기록되었다.
- 바카라 교회 - 1983년 루손 지진으로 강도 VII(로시-포렐 척도 기준)의 피해를 입어 파괴되었고,[41] 1984년에 재건 및 재개관했다.
북일로코스주는 두 개의 아글리파이 신전(아글리파야 교회)의 고향이며, 그 중 하나는 교회의 첫 번째 최고 지도자인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가 묻힌 곳이다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국립 신전). 여호와의 증인 신도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 교회(INC)의 신도도 소수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곳에는 2개의 교구(바탁 및 라오아그)가 있다. 각 교구에는 60개 이상의 지역과 바랑가이 예배당이 있다. INC는 5-6%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다. 이슬람교는 민다나오 무역상과 이민자에 의해 신봉되기도 한다.
4. 2. 언어
일로카노어는 이 지역 원주민 다수의 주요 언어이며, 라 유니온은 2012년부터 이 언어를 공용어로 인정했다.[42] 카가얀 밸리와 코르디예라 행정 지역, 중부 루손의 주요 지역에서 일로카노인과 비일로카노인 주민 간의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다. 민도로, 팔라완, 민다나오 (특히 속스아르겐의 일부 지역)에서도 소수 언어로 인정받고 있으며, 2022년 기준으로 필리핀에서 세 번째로 널리 사용되는 언어이다.[43] 필리피노/타갈로그어와 영어도 이 지역에서 사용되고 이해되며, 비즈니스, 교육 및 미디어에서 활용된다.일로카노어, 필리피노(국가 언어) 및 영어 외에도 북일로코스주에는 이스나그어, 이테그어, 아프누탐어등 다른 두 개의 토착 언어가 있다. 아프누탐어는 유네스코의 ''세계의 소멸 위기 언어 지도''에 따르면 필리핀의 15개 멸종 위기 언어 중 하나로 등재되어 있다.[44]
5. 경제
'''출처:''' 필리핀 통계청[63]
== 주요 산물 및 산업 ==
북일로코스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품과 산업이 발달했다.
- 농업 — 쌀, 옥수수, 마늘, 콩류, 뿌리 작물, 담배, 기타 과일 및 채소
- 어업 — 틸라피아 및 기타 어류
- 축산업 — 돼지 및 소
- 가내 수공업 — 직조, 가구, 도자기, 철물
- 제조업 및 식품 가공 — 소금, 엠파나다, 바고옹, 파티스, 바시(이로카노 전통 와인), 식초, 롱가니사, 치차론, 바그넷, 치차콘(콘익), 보석, 의류, 시리얼 가공, 포장, 기계화된 가공 장비
- 풍력 발전 — 루손섬 북서쪽 모퉁이에 위치한 북일로코스주는 풍력 발전에 이상적인 곳이다. 현재 북일로코스주에는 25 메가와트 규모의 풍력 발전 단지가 있으며, 더 많은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가 계획 중이다.
- 관광
- 도기
== 방기 풍력 발전소 ==
1996년 미국 국립 재생 에너지 연구소(NREL)의 연구에 따라, 2005년 NorthWind Power Development Corp.는 필리핀에서 풍력 발전 부지로 방기를 선정하여 방기 풍력 발전소의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45] 루손 그리드에 연결된 이 프로젝트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풍력 발전소였으며,[46] 일로코스 노르테 전력 수요의 40%를 공급하고,[47] 방기의 주요 관광 명소가 되었다.[48] 2017년 아얄라 그룹의 상장 에너지 플랫폼인 AC 에너지는 노스윈드와 방기 풍력 발전소의 지배 지분을 인수했다.[49]
5. 1. 주요 산물 및 산업
북일로코스주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품과 산업이 발달했다.- 농업 — 쌀, 옥수수, 마늘, 콩류, 뿌리 작물, 담배, 기타 과일 및 채소
- 어업 — 틸라피아 및 기타 어류
- 축산업 — 돼지 및 소
- 가내 수공업 — 직조, 가구, 도자기, 철물
- 제조업 및 식품 가공 — 소금, 엠파나다, 바고옹, 파티스, 바시(이로카노 전통 와인), 식초, 롱가니사, 치차론, 바그넷, 치차콘(콘익), 보석, 의류, 시리얼 가공, 포장, 기계화된 가공 장비
- 풍력 발전 — 루손섬 북서쪽 모퉁이에 위치한 북일로코스주는 풍력 발전에 이상적인 곳이다. 현재 북일로코스주에는 25 메가와트 규모의 풍력 발전 단지가 있으며, 더 많은 풍력 에너지 프로젝트가 계획 중이다.
- 관광
- 도기
5. 2. 방기 풍력 발전소
1996년 미국 국립 재생 에너지 연구소(NREL)의 연구에 따라, 2005년 NorthWind Power Development Corp.는 필리핀에서 풍력 발전 부지로 방기를 선정하여 방기 풍력 발전소의 상업 운전을 시작했다.[45] 루손 그리드에 연결된 이 프로젝트는 동남아시아 최초의 풍력 발전소였으며,[46] 일로코스 노르테 전력 수요의 40%를 공급하고,[47] 방기의 주요 관광 명소가 되었다.[48] 2017년 아얄라 그룹의 상장 에너지 플랫폼인 AC 에너지는 노스윈드와 방기 풍력 발전소의 지배 지분을 인수했다.[49]
6. 문화와 예술
6. 1. 주요 예술가
북일로코스주는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수많은 예술가들을 배출했는데, 아마도 가장 유명한 인물은 필리핀 혁명 시대의 활동가이자 지도자인 후안 루나로, 그는 바독에서 태어났다.
민속 예술 분야에서 필리핀은 또한 피닐리 출신의 마그달레나 가마요를 인정하는데, 그녀는 이아벨 직조 전통을 보존하여 텍스타일 직조 분야의 국립 생존 보물로 인정받고 있다.
6. 2. 다밀리
산 니콜라스는 도자기 제품으로 유명하며, 이 지역의 일로카노어로 도자기를 뜻하는 단어인 ''다밀리''라고 불린다.[53] 산 니콜라스의 도자기 전통은 필리핀 문화예술위원회(Philippine National Commission for Culture and the Arts)의 살아있는 전통 학교(School of Living Traditions) 프로그램의 일부로 지정되었다.[54]6. 3. 이나벨
북일로코스주는 부드러우면서도 튼튼하고, 일로카노 문화와 경험에서 파생된 다양한 패턴 디자인으로 유명한 ''이나벨'' 직조 전통의 중심지이다.[55][56]6. 4. 요리
필리핀 요리 역사가인 도린 페르난데스는 쓴맛이 일로카노 요리에 독특하게 두드러진다고 지적하며, 동료 음식 평론가인 에딜베르토 알레그레의 말을 인용하여 쓴맛이 나는 "북일로코스 신비"는 쓴맛이 특징인 파피탄으로 가장 잘 나타나며, 이는 고기를 사용한 킬라윈의 변형이라고 언급했다.[3]7. 정부
매튜 마노톡이 주지사이며, 부주지사는 세실리아 아라네타-마르코스이다. 주 의원은 제1구에 로돌포 크리스티안 G. 파리냐스, 사울 A. 라조, 프랭클린 단테 A. 레스피시오, 도널드 G. 니콜라스, 포르티아 파멜라 R. 살렌다가 있으며, 제2구에는 라파엘 살바도르 C. 메디나, 메델도르프 M. 가오아트, 알라딘 T. 산토스, 지안카를로 안젤로 S. 크리소스토모, 조나단 O. 토랄바가 있다.
PCL 회장은 핸디 T. 라오이며, ABC 회장은 엘머 C. 파이로그나, SK 연맹 회장은 마. 프릴라 라젤 G. 사이모이다.
국회의원은 산드로 마르코스(제1구)와 에우제니오 안젤로 M. 바르바 (제2구)이다. 이들의 임기는 2022년 6월 30일부터 2025년 6월 30일까지이다.
8. 관광
북일로코스주는 관광지로, 호텔, 리조트 및 카지노인 포트 일로칸디아가 위치해 있다. 1981년과 1983년 사이에 필리핀 관광청에 의해 지어진 스페인-모로코 빌라는 건축가 조지 라모스에 의해 설계되었다.[57] 파오아이 호수의 골프 코스는 1977년 마르코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게리 플레이어에 의해 설계되었다.[57]
또한 주목할 만한 곳으로는 라 파스 사구, 북쪽의 말라카냥, 보제아도르 곶 등대, 방기 풍력 발전소, 파구푸드의 사우드 해변, 바람과 파도에 의해 조각된 초기 플리오세 석회질 사암 카푸르푸라완 부르고스 지층 등이 있다.[58]
9. 주요 출신 인물
- 마르코스 가문: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제10대 필리핀 대통령. 독재 정권으로 필리핀을 통치했으나, 이후 실각하여 망명지인 미국 하와이주에서 객사했다. 유해는 1993년 필리핀으로 귀환한 후 북일로코스주 내의 페르디난드 E.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의 영묘에 안치되어 있었으나[61], 2016년 마닐라의 영웅 묘지에 매장되었다.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미망인
- 봉봉 마르코스 - 제17대 필리핀 대통령,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아들
- 리자 아라네타 마르코스 - 봉봉 마르코스의 부인
- 이메 마르코스 - 상원의원,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
- 아임 마르코스 -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
- 산드로 마르코스 - 봉봉과 리자 마르코스의 아들
- 로이 시마투 장군 - 2017-2022년 환경천연자원부 장관, 2002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 롤란도 아바디야 - 필리핀 경찰 장교, 쿠데타 음모자, 북일로코스 부지사 (1988-1992)
- 리나벨 빌라리카 - 필리핀 정치인, 불라칸 메이카우아이안 시장, 헨리 빌라리카의 부인
-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 필리핀 독립 교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최고 주교
- 아르테미오 리카르테 - 필리핀 혁명 및 필리핀-미국 전쟁 중 필리핀 장군. "필리핀 육군의 아버지"로 여겨짐
- 로돌포 비아존 - 1992년 6월 30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1998년 6월 3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상원의원
- 아킬리노 "네네" 피멘텔 주니어 - 마르코스 행정부 치하 계엄령 시기 필리핀 정치인이자 인권 변호사,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카가얀 데 오로 전 시장
- 이사벨 오르테가 - 배우
- 만스 카르피오 - 필리핀의 세컨드 젠틀맨, 변호사,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의 남편
- 파비안 C. 베르 - 전 필리핀군 장군이자 참모총장.
- 솔레다드 살바도르 - 종교 활동가이자 운동가 (1957–1985)
9. 1. 정치인
- 마르코스 가문: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 제10대 필리핀 대통령. 독재 정권으로 필리핀을 통치했으나, 이후 실각하여 망명지인 미국 하와이주에서 객사했다. 유해는 1993년 필리핀으로 귀환한 후 북일로코스주 내의 페르디난드 E. 마르코스 대통령 센터의 영묘에 안치되어 있었으나[61], 2016년 마닐라의 영웅 묘지에 매장되었다.
- 이멜다 마르코스 - 영부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의 미망인
- 봉봉 마르코스 - 제17대 필리핀 대통령,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아들
- 리자 아라네타 마르코스 - 봉봉 마르코스의 부인
- 이메 마르코스 - 상원의원,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
- 아임 마르코스 -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
- 산드로 마르코스 - 봉봉과 리자 마르코스의 아들
- 로이 시마투 장군 - 2017-2022년 환경천연자원부 장관, 2002년 필리핀군 참모총장
- 롤란도 아바디야 - 필리핀 경찰 장교, 쿠데타 음모자, 북일로코스 부지사 (1988-1992)
- 리나벨 빌라리카 - 필리핀 정치인, 불라칸 메이카우아이안 시장, 헨리 빌라리카의 부인
-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 - 필리핀 독립 교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최고 주교
- 아르테미오 리카르테 - 필리핀 혁명 및 필리핀-미국 전쟁 중 필리핀 장군. "필리핀 육군의 아버지"로 여겨짐
- 로돌포 비아존 - 1992년 6월 30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1998년 6월 3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상원의원
- 아킬리노 "네네" 피멘텔 주니어 - 마르코스 행정부 치하 계엄령 시기 필리핀 정치인이자 인권 변호사,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카가얀 데 오로 전 시장
- 이사벨 오르테가 - 배우
- 만스 카르피오 - 필리핀의 세컨드 젠틀맨, 변호사,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의 남편
- 파비안 C. 베르 - 전 필리핀군 장군이자 참모총장.
- 솔레다드 살바도르 - 종교 활동가이자 운동가 (1957–1985)
9. 2. 종교 지도자
필리핀 독립 교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최고 주교는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이다.9. 3. 군인
마르코스 가문은 북일로코스 주 출신의 유력 가문으로, 필리핀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제10대 필리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그의 부인 이멜다 마르코스는 영부인으로 활동했다. 이들의 아들 봉봉 마르코스는 제17대 필리핀 대통령이며, 그의 부인 리자 아라네타 마르코스가 영부인이다. 페르디난드 마르코스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 이메 마르코스는 상원의원으로 활동하고 있다.로이 시마투 장군은 2002년 필리핀군 참모총장을 지냈으며,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환경천연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롤란도 아바디야는 필리핀 경찰 장교이자 코라손 아키노에 대한 쿠데타를 시도한 인물로,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북일로코스 부지사를 지냈다.
아르테미오 리카르테는 필리핀 혁명과 필리핀-미국 전쟁 당시 필리핀 장군으로, "필리핀 육군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파비안 베르는 필리핀군 장군이자 참모총장을 역임했다.
9. 4. 기타
북일로코스주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마르코스 가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는 제10대 필리핀 대통령이며, 이멜다 마르코스는 그의 부인이다. 봉봉 마르코스는 제17대 필리핀 대통령으로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아들이다. 리자 아라네타 마르코스는 봉봉 마르코스의 부인이다. 이메 마르코스는 상원의원이며, 페르디난드와 이멜다 마르코스의 딸이다. 산드로 마르코스는 봉봉과 리자 마르코스의 아들이다.
- 로이 시마투 장군은 2017년부터 2022년까지 환경천연자원부 장관을 역임했고, 2002년 필리핀군 참모총장을 지냈다.
- 롤란도 아바디야는 필리핀 경찰 장교이자 쿠데타 음모자로, 1988년부터 1992년까지 북일로코스 부지사를 역임했다.
- 리나벨 빌라리카는 필리핀 정치인으로, 불라칸 메이카우아이안 시장이며, 헨리 빌라리카의 부인이다.
- 그레고리오 아글리파이는 필리핀 독립 교회의 공동 설립자이자 초대 최고 주교였다.
- 아르테미오 리카르테는 필리핀 혁명 및 필리핀-미국 전쟁 중 필리핀 장군으로, "필리핀 육군의 아버지"로 여겨진다.
- 로돌포 비아존은 1992년 6월 30일부터 1995년 6월 30일까지, 1998년 6월 30일부터 2010년 6월 30일까지 필리핀 상원의원을 역임했다.
- 아킬리노 "네네" 피멘텔 주니어는 마르코스 행정부 치하 계엄령 시기 필리핀 정치인이자 인권 변호사였으며, 1980년부터 1984년까지 카가얀 데 오로 전 시장이었다.
- 이사벨 오르테가는 배우이다.
- 만스 카르피오는 필리핀의 세컨드 젠틀맨이자 변호사이며, 사라 두테르테 부통령의 남편이다.
- 파비안 C. 베르는 전 필리핀군 장군이자 참모총장이었다.
- 솔레다드 살바도르는 종교 활동가이자 운동가(1957–1985)였다.
참조
[1]
웹사이트
List of Provinces
http://www.nscb.gov.[...]
National Statistical Coordination Board
2013-09-26
[2]
웹사이트
Gender and Special Population Groups; Provincial Human Development Index
http://openstat.psa.[...]
2021-01-12
[3]
서적
Tikim : essays on Philippine food and culture
https://www.worldcat[...]
2020
[4]
웹사이트
Damili
http://museoilocosno[...]
2001-03-16
[5]
간행물
How Mother Nature Restructured 'Earthquake' Baroque Churches in the Philippines
https://www.esquirem[...]
2020-04-10
[6]
간행물
Paoay Church in Ilocos Norte: The Stunning Historical Icon of the North
https://primer.com.p[...]
[7]
문서
New Age Dates of the Kapurpurawan Rock Formation in Burgos, Ilocos Norte based on Foraminifera Assemblage
[8]
논문
The place of the dead, the time of dictatorship: Nostalgia, sovereignty, and the corpse of Ferdinand Marcos
2021-08
[9]
웹사이트
Batac City
http://museoilocosno[...]
2021-11-12
[10]
뉴스
AC Energy to take control of three Ilocos wind farms
https://www.bworldon[...]
2021-11-12
[11]
웹사이트
The Solid North myth: an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dissent and human rights during the Marcos Regime in Regions 1 and 2, 1969-1986
https://www.ukdr.upl[...]
2022-05-22
[12]
서적
The fateful years: Japan's adventure in the Philippines, 1941-45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01
[13]
서적
The fall of the Philippines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04
[14]
뉴스
Tabacalera: 130 years of cigars and Philippine history
https://www.philstar[...]
2024-03-26
[15]
웹사이트
A ghost from the past – the Stonehill scandal
https://www.philstar[...]
[16]
논문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Journal, June 1951
https://repository.m[...]
1951-06
[17]
웹사이트
Tobacco History
https://www.nta.da.g[...]
2024-03-26
[18]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19]
논문
IMF Stabilization Program and Economic Growth: The Case of the Philippines
1992
[20]
논문
Exchange Rate Movements in the Philippines
[21]
서적
Ferdinand Marcos and the Philippines: The Political Economy of Authoritarianism
https://books.google[...]
Praeger Publishers
1997
[22]
논문
Metaphorizing Martial Law: Constitutional Authoritarianism in Marcos's Rhetoric (1972–1985)
[23]
서적
Philippine political economy
Central Book Supply
2008
[24]
뉴스
Hail to the thief
https://www.economis[...]
2016-11-12
[25]
뉴스
The best of times? Data debunk Marcos's economic 'golden years'
https://news.abs-cbn[...]
[26]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Philippine Political Protest
https://www.official[...]
2018-12-10
[27]
서적
Kasaysayan, The Story of the Filipino People Volume 9:A Nation Reborn.
Asia Publishing Company Limited
[28]
웹사이트
Ilocanos remember dark days of martial law, vow to continue fight
https://www.bulatlat[...]
2012-10-02
[29]
뉴스
Youth activism in Ilocos Norte in the 70s - Ilocos Sentinel
https://www.ilocosse[...]
2021-11-12
[30]
웹사이트
MARTYRS & HEROES: PEDRO, Purificacion A.
http://www.bantayog.[...]
2016-07-13
[31]
웹사이트
Human Rights Martyrs of the Word
https://www.bulatlat[...]
2003-12-14/20
[32]
논문
No Way to Go But Onwards! Philippine Religious Resist Marcos Repression
http://religion.lib.[...]
Christian Conference of Asia
1983-03
[33]
서적
The Politics of NGOs in Southeast Asia
Routledge
[34]
웹사이트
A Tribute to Human Rights Lawyer David Bueno (1988)
http://www.bantayog.[...]
2021-11-02
[35]
웹사이트
Philippines
http://newsaints.fai[...]
[36]
뉴스
Ilocos Norte lists first coronavirus cases
https://www.rappler.[...]
2021-10-19
[37]
뉴스
Despite earlier denials, former Sen. Bongbong Marcos tests positive for COVID-19
https://ph.news.yaho[...]
2021-10-19
[38]
뉴스
Ilocos Norte bans returning residents anew amid virus surge
https://newsinfo.inq[...]
2021-10-19
[39]
뉴스
Ilocos Norte confirms increase in cases caused by Delta variant
https://www.ptvnews.[...]
2021-10-19
[40]
웹사이트
Philippines Census Of Population of all LGUs 1903-2007
https://archive.or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7-02-07
[41]
웹사이트
Laoag Earthquake - 17 August 1983
http://earthquake.ph[...]
Phivolcs
2011-01-02
[42]
웹사이트
Iloko La Union's official language
https://www.philstar[...]
2023-09-23
[43]
웹사이트
Language of the Month April 2022: Ilocano
https://languagemuse[...]
2023-09-23
[44]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9-02-23
[45]
뉴스
Giant windmills energize Ilocos Norte
https://www.philstar[...]
2005-10-13
[46]
웹사이트
First wind farm for Southeast Asia | WWF
https://wwf.panda.or[...]
2022-01-11
[47]
뉴스
Ilocos Norte's Windmills: Tourism and Energy Giants
https://manilastanda[...]
2020-03-08
[48]
웹사이트
AC Energy Corporation - NorthWind
https://www.acenergy[...]
2021-10-19
[49]
웹사이트
AC Energy Takes Control of Northwind
https://www.acenergy[...]
2021-10-19
[50]
웹사이트
About Culture and Arts
http://www.ncca.gov.[...]
2022-01-11
[51]
웹사이트
Botong and Puruganan: Rediscovering the two 'Moderns' │ GMA News Online
https://www.gmanetwo[...]
2012-10-19
[52]
웹사이트
GAMABA: Magdalena Gamayo
https://ncca.gov.ph/[...]
2021-11-12
[53]
웹사이트
Damili
http://museoilocosno[...]
2001-03-16
[54]
웹사이트
San Nicolas town in Ilocos Norte banks on heritage for development
https://lifestyle.in[...]
2014-12-14
[55]
웹사이트
The Inabel of Ilocos: Woven Cloth for Everyday
https://narrastudio.[...]
[56]
웹사이트
Art of the Loom: Weaving the Story That is the Binakul – Yuchengco Museum
https://yuchengcomus[...]
2013-12-09
[57]
간행물
Fort Ilocandia
2004
[58]
논문
New age assignment of the Kapurpurawan Rock Formation Calcarenite in Burgos Ilocos Norte Based on Planktonic Foraminiferal Assemblage
https://www.research[...]
2017
[59]
뉴스
REBEL RUNS CAMPAIGN FROM JAIL
https://www.chicagot[...]
1988-01-15
[60]
서적
Closer than Brothers: Manhood at the Philippine Military Academy
Anvil Publishing
[61]
뉴스
フィリピンのイメルダ夫人に「靴ケーキ」、85歳の誕生日祝う
https://jp.reuters.c[...]
ロイター通信社
2014-07-06
[62]
웹인용
Philippines Census Of Population of all LGUs 1903-2007
https://archive.org/[...]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7-02-07
[63]
웹인용
Poverty incidence (PI):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12-28
[64]
문서
2000
[65]
문서
2003
[66]
문서
2006
[67]
문서
2012
[68]
문서
2015
[69]
문서
2018
[70]
문서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