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프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프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테살리아의 강신 페네이오스와 요정 크레우사 사이의 딸, 또는 아르카디아의 강신 라돈과 가이아, 스팀팔리스 사이의 딸, 스파르타 왕 아미클라스의 딸 등 여러 설이 존재한다. 가장 널리 알려진 이야기는 아폴론과 다프네의 이야기로, 에로스의 화살에 의해 아폴론은 다프네를 사랑하게 되고 다프네는 아폴론을 혐오하게 된다. 아폴론의 구애를 피해 도망치던 다프네는 아버지인 강의 신에게 월계수 나무로 변하게 해달라고 간청하고, 그 소원을 들어준 아버지에 의해 월계수 나무로 변한다. 아폴론은 다프네를 잊지 못하고 월계수 가지로 월계관을 만들어 몸에 걸치고 다녔다. 다프네는 아르테미스 다프나이아, 아폴론 다프네포로스 등과 관련된 신앙의 대상이었으며, 오페라, 조각, 회화 등 다양한 예술 작품의 소재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리아스 - 에우리디케
  • 드리아스 - 포모나
    포모나는 로마 신화에서 과일 나무, 정원, 과수원의 번성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과일 접시나 풍요의 뿔을 든 모습으로 묘사된다.
  • 아폴론 - 아드메토스
    아드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테살리아 페라이의 왕으로, 아폴론의 은혜로 아내 알케스티스의 희생을 통해 죽음을 면한 이야기와 아르고나우트 원정대 및 칼리돈 멧돼지 사냥 참여로 유명하며, 그의 이야기는 여러 예술 작품과 현대 문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 아폴론 - 키파리소스
    키파리소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아폴론 또는 실바누스와 관련된 사랑 이야기와 사이프러스 나무로 변신한 설화로 유명한 인물이며, 도시 창시자나 식물 속을 지칭하는 용어로도 쓰인다.
  • 나이아데스 - 에게리아
    에게리아는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님프 또는 작은 여신으로, 로마의 두 번째 왕 누마 폼필리우스의 배우자였으며, 지혜와 예언을 제공하고 로마의 법과 의식 제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전해진다.
  • 나이아데스 - 레테
    레테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망각을 상징하는 저승의 강으로, 죽은 자가 윤회를 위해 지상에서의 삶을 잊도록 하며, 플라톤, 하이데거를 비롯한 철학자들에게 영감을 주고, 여러 실제 강들의 이름과 연관되며, 문학과 예술 작품에서 망각의 의미로 활용되고, 한국 사회에서는 과거사 문제에 대한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다프네
기본 정보
폼페이의 프레스코화 아폴론과 다프네
폼페이에서 발견된 1세기 프레스코화, 아폴론과 다프네
소속나이아드
거주지테살리아
아르카디아
라코니아
숭배 대상월계수 요정
가족 관계
부모(1) 페네이오스와 크레우사
(2) 라돈과 가이아
(3) 라돈과 스팀팔리스
(4) 아미클라스
자녀알려진 자녀 없음
배우자없음
형제자매(1) 메니페, 스틸베, 힙세우스
(2, 3) 메토페

2. 가족 관계

다프네는 테살리아의 강신 페네이오스[3]와 요정 크레우사 사이의 딸, 또는 다른 아르카디아의 강신 라돈 (오론테스)[4] (대지)[5] 및 스팀팔리스 사이의 딸, 또는 마지막으로 아미클라스 왕의 딸로 여러 자료에서 주장된다.[6][7]

3. 신화

''아폴론과 다프네'', 1622–1625년 베르니니(1598–1680)가 제작한 대리석 조각상으로,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에서 영감을 얻었으며, 보르게세 미술관, 로마에 소장되어 있다. 다프네의 변신 초기 단계를 묘사하며, 그녀의 손가락은 월계수 가지로, 발가락은 땅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모습


다프네와 아폴론 신화의 가장 초기의 출처는 필라르쿠스이며, 니케아의 파르테니오스에 의해 인용되었다. 이후,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는 그의 작품 ''변신 이야기''에서 이 그리스 전설을 다시 이야기한다.

어느 날 아폴론은 활과 화살로 놀고 있던 에로스를 조롱했다. 그 일로 격분한 에로스는 상대방을 사랑하게 만드는 금 화살을 아폴론에게, 반대로 상대방을 혐오하게 만드는 납 화살을 근처에서 물놀이를 하고 있던 다프네에게 각각 쏘았다.

금 화살에 맞은 아폴론은 다프네에게 계속 구애했지만, 납 화살에 맞은 다프네는 아폴론을 완강히 거부했다. 쫓는 아폴론과 도망치는 다프네, 마침내 아폴론은 페네이오스 강가까지 다프네를 몰아넣었지만, 다프네는 아폴론의 구애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버지인 강의 신에게 자신의 몸을 변화시켜 달라고 간절히 소망했다.

그 소망을 들어준 아버지는 다프네의 몸을 월계수로 바꾸었다. 눈앞에서 월계수로 변해버린 다프네의 모습을 보고 아폴론은 몹시 슬퍼했다. 그리고 아폴론은 그 사랑의 영원한 증표로서 월계수 가지로 월계관을 만들어 영원히 몸에 걸치고 다녔다.[38] 히기누스에 따르면, 그녀의 소원을 들어준 것은 가이아이다.[35]

아르카디아 지방이나 엘리스 지방의 전승에 따르면, 피사 왕 오이노마오스의 아들 레우키포스가 다프네를 사랑했다. 그러나 다프네는 남자를 피했기 때문에 레우키포스는 여장을 하고 자신을 오이노마오스의 딸이라고 속여 접근했다. 다프네는 다른 여자들보다 신분이 높고 사냥 솜씨도 뛰어났기 때문에 곧 레우키포스를 마음에 들어했다. 그러나 아폴론 신은 화가 나서 다프네와 다른 여자들에게 라돈 강에서 수영하고 싶다는 강한 소망을 품게 했다. 하지만 레우키포스가 수영하려 하지 않자 여자들은 레우키포스의 옷을 벗겨 그가 남자라는 것을 알고는 칼로 죽였다.[39]

한편, 셀레우코스 1세는 안티오케이아 근교의 다프네 땅에 아폴론의 신전을 세웠는데, 그곳에는 다프네가 변신한 것으로 여겨지는 월계수가 있었다고 한다.[40]

테베의 예언자 테이레시아스의 딸로, 예언의 재능을 타고났다. 테베가 에피고노이와의 싸움에서 패배한 후, 에피고노이에 의해 델포이로 보내져 아폴론의 무녀가 되었다.[42]

3. 1. 아폴론과 다프네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Metamorphoses)』[8]에 따르면 아폴론의 열정은 큐피드가 아폴론의 궁술 실력을 비웃은 것에 대한 보복으로 시작되었다. 에로스는 아폴론에게 금 화살을 쏘아 사랑에 빠지게 하고, 다프네에게는 납 화살을 쏘아 아폴론을 혐오하게 만들었다.[9]

아폴론은 다프네를 쫓았지만, 다프네는 테살리아의 강신인 아버지 페네이오스에게 도움을 청했고,[10] 페네이오스는 다프네를 월계수 나무로 변하게 했다.[11] 아폴론은 다프네를 잊지 못하고 "네가 결코 될 수 없으니, 적어도 달콤한 월계수여, 너는 나의 나무가 될 것이다. 나의 유혹, 나의 머리카락, 나의 화살통에 너를 엮을 것이다."[12]라고 말했다.

아폴론(이미 월계관을 쓰고 있음)과 다프네, 안타키아 고고학 박물관


헬레니즘 시인 파르테니오스는 다프네가 인간 소녀이며, 아미클라스의 딸이라고 했다.[14] 사냥을 좋아하고 처녀로 남기로 결심한 다프네는 레우키포스에게 쫓기는데, 레우키포스는 소녀로 변장하여 다프네에게 접근했다. 아폴론은 이를 질투하여 다프네에게 레우키포스의 정체를 밝히도록 유도했고, 분노한 사냥꾼들은 레우키포스를 죽였다.[13][15] 다프네는 아폴론을 피해 도망치다 제우스에게 도움을 청해 월계수 나무로 변했다.[15] 파우사니아스도 이 이야기를 자신의 저서 《그리스 안내기》에 기록했다.[16]

히기누스에 따르면, 다프네는 강의 신 페네오스의 딸이며, 가이아에게 간청하여 월계수 나무로 변했다.[20] 필로스트라토스는 아시리아인들이 다프네가 아르카디아에서 안티오크 (현재 터키의 안타키아)로 변신한 장소를 언급한다고 말했다.[21]

논노스는 다프네의 거처를 오론테스 강 근처로 설정하고, 가이아가 다프네를 삼켰다고 말한다.[22] 사모사타의 루키아노스는 아폴로가 다프네와 히아킨토스를 가장 큰 사랑이라고 부르며 둘 다 잃은 것을 후회한다고 말한다.[23] 에로스는 제우스에게 다프네가 아폴로에게 반하지 않았다고 언급한다.[24]

어느 날 아폴론은 활과 화살로 놀고 있던 에로스를 조롱했다. 에로스는 금 화살을 아폴론에게, 납 화살을 다프네에게 쏘았다. 아폴론은 다프네에게 구애했지만, 다프네는 아폴론을 거부했다. 다프네는 아버지인 강의 신에게 자신의 몸을 변화시켜 달라고 소망했고, 그 소망을 들어준 아버지는 다프네의 몸을 월계수로 바꾸었다. 아폴론은 월계수 가지로 월계관을 만들어 영원히 몸에 걸치고 다녔다.[38]

셀레우코스 1세는 안티오케이아 근교의 다프네 땅에 아폴론의 신전을 세웠는데, 그곳에는 다프네가 변신한 것으로 여겨지는 월계수가 있었다고 한다.[40]

3. 2. 레우키포스와 다프네



파우사니아스는 자신의 저서 《그리스 안내기》(2세기)에 파르테니오스의 이야기를 기록했다.[16] 그에 따르면, 레우키포스는 피사 왕자의 아들이었는데, 다프네가 모든 남자를 피했기 때문에 공개적인 구애 시도는 모두 실패했다.[16] 레우키포스는 머리를 기르고 여자 옷을 입은 뒤, 자신이 왕자의 딸이라고 소개하여 다프네에게 접근했다. 그는 다프네 무리 중 최고위 사냥꾼이었기에 다프네와 좋은 친구가 되었다.[17] 아폴론 역시 다프네를 사랑했지만,[18] 레우키포스가 사랑에 성공한 것을 질투했다. 그러나 소녀들이 호수에서 목욕을 할 때, 그들은 마지못해 옷을 벗은 레우키포스를 발가벗겼고, 그의 성별이 드러나자 창과 단검으로 그를 죽였다.[19]

4. 다프네와 관련된 신들

5. 다프네 신앙

5. 1. 아르테미스 다프나이아 신전

아르테미스 다프나이아는 고대 시대에 스파르타 국경 근처 크나카디온 산 기슭에 위치한 힙소이[27]라는 곳에 라케다이몬인들 사이에 신전을 가지고 있었으며,[28] 그녀만의 신성한 월계수 나무를 가지고 있었다.[29]

5. 2. 아폴론 다프네포로스 신전

에레트리아에서 기원전 7세기와 6세기에 발굴된 신전[30]의 정체성은 비문에서 "월계수 운반자 아폴론", 또는 "다프네를 데려가는" 아폴론인 ''아폴론 다프네포로스''(Apollo Daphnephoros)로 확인되었으며, 이곳은 "시민들이 맹세해야 하는 장소"였다.[31]

6. 문화적 묘사

아폴론과 다프네의 석고 조각, 영국, 16세기 후반. 다프네의 손가락은 잎으로 표현되었으며, 아폴론은 어깨에 화살통을 매고 있어 식별할 수 있다

  • ''다프네''(1598), 야코포 페리와 야코포 코르시의 오페라, 대본은 오타비오 리누치니
  • ''라 다프네''(1608), 마르코 다 갈리아노의 오페라, 오타비오 리누치니의 대본
  • 디 다프네/Die Dafnede(1627), 마르틴 오피츠의 대본으로, 하인리히 쉬츠가 쓴 오페라(분실), 리누치니의 대본 번역
  • ''다프네''(1938),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오비디우스와 에우리피데스의 기록을 바탕으로 한 전설
  • 이 주제의 유명한 묘사로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조각상인 ''아폴론과 다프네''가 있다.
  • WEBTOON 코믹스 ''로어 올림푸스''에서 다프네는 패션 모델이자 요가 강사, 소셜 미디어 인플루언서로, 저승신 타나토스와 데이트한다.
  • ''스파르타의 딸''(2021), 클레어 M. 앤드루스의 젊은 성인 역사 판타지 소설, 아폴론과 다프네의 이야기를 재해석했다. 다프네는 스파르타의 젊은 전사로, 올림포스와 모든 그리스를 구하기 위해 아폴론과 함께해야 한다.[32]
  • 클래식
  • * 《다프네》(''La Dafne'', 1608년, 갈리아노 마르코 다)
  • * 《아름다운 소녀, 다프네(피리의 낙원)》(''Doen Daphne d'over schoone Maeght'', 1648년, 작곡: 야코프 판 에이크)
  • * 《아폴로와 다프네》(''Apollo e Dafne "La terra e liberata"'', 1710년, 작곡: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오페라
  • * 《다프네》(''Dafne'', 1597년경, 작곡: 야코포 페리): 세계 최초의 오페라로 여겨진다.
  • * 《플로린도와 다프네》(''Der beglueckte Florindo und Die verwandelte Daphne'', 1708년, 작곡: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 《다프네》(''Dafne'', 1709년, 작곡: 에마누엘 아스토르가)
  • * 《다프니스와 아글라에》(''Daphnis et Egle'', 1753년, 장-필리프 라모)
  • * 《다프니》(''Dafni'', 1928년, 작곡: 무레이 주세페)
  • * 《다프네(''Daphne'', 1937년, 작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 《다프네》(''Daphne'', 발표년도 불명, 작곡: 하인리히 쉬츠)
  • 조각
  • *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 작가: 잔 로렌초 베르니니)
  • 회화
  • * 《아폴론과 다프네》(1480년경, 작가: 피에로 델 폴라이우올로)
  • *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 작가: 니콜라 푸생)
  • * 《아폴론과 다프네》(발표년도 불명, 작가: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 * 《아폴론과 다프네》(1845년, 작가: 테오도르 샤세리오)[41]

6. 1. 문학


  • 클래식
  • * 《다프네》(''La Dafne'', 1608년, 갈리아노 마르코 다)
  • * 《아름다운 소녀, 다프네(피리의 낙원)》(''Doen Daphne d'over schoone Maeght'', 1648년, 야코프 판 에이크)
  • * 《아폴로와 다프네》(''Apollo e Dafne "La terra e liberata"'', 1710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오페라
  • * 《다프네》(''Dafne'', 1597년경, 야코포 페리): 세계 최초의 오페라로 여겨진다.
  • * 《플로린도와 다프네》(''Der beglueckte Florindo und Die verwandelte Daphne'', 1708년,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
  • * 《다프네》(''Dafne'', 1709년, 에마누엘 아스토르가)
  • * 《다프니스와 아글라에》(''Daphnis et Egle'', 1753년, 장-필리프 라모)
  • * 《다프니》(''Dafni'', 1928년, 무레이 주세페)
  • * 《다프네》(''Daphne'', 1937년,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 * 《다프네》(''Daphne'', 발표년도 불명, 하인리히 쉬츠)
  • 조각
  • *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 잔 로렌초 베르니니)
  • 회화
  • * 《아폴론과 다프네》(1480년경, 피에로 델 폴라이우올로)
  • *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 니콜라 푸생)
  • * 《아폴론과 다프네》(발표년도 불명,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
  • * 《아폴론과 다프네》(1845년, 테오도르 샤세리오)[41]

6. 2. 오페라

야코포 페리가 작곡한 《다프네》(''Dafne'')는 1597년경에 만들어졌으며, 세계 최초의 오페라로 여겨진다. 1608년에는 갈리아노 마르코 다의 《다프네》(''La Dafne'')가 발표되었다.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1708년에 《플로린도와 다프네》(''Der beglueckte Florindo und Die verwandelte Daphne'')를, 1710년에는 《아폴로와 다프네》(''Apollo e Dafne "La terra e liberata"'')를 작곡했다. 1709년에는 에마누엘 아스토르가의 《다프네》(''Dafne'')가, 1753년에는 장-필리프 라모의 《다프니스와 아글라에》(''Daphnis et Egle'')가 발표되었다. 1928년에는 무레이 주세페의 《다프니》(''Dafni'')가, 1937년에는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다프네(''Daphne'')가 작곡되었다. 하인리히 쉬츠 또한 《다프네》(''Daphne'')를 작곡했으나, 발표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6. 3. 미술

야코포 페리가 작곡한 《다프네》(Dafne)는 1597년경 만들어졌으며, 세계 최초의 오페라로 여겨진다. 갈리아노 마르코 다의 《다프네》(La Dafne)는 1608년에,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의 《아폴로와 다프네》(Apollo e Dafne "La terra e liberata")는 1710년에 작곡되었다. 1708년에는 헨델의 《플로린도와 다프네》(Der beglueckte Florindo und Die verwandelte Daphne)가 작곡되었다. 에마누엘 아스토르가는 1709년에 《다프네》(Dafne)를 작곡했다. 장-필리프 라모의 《다프니스와 아글라에》(Daphnis et Egle)는 1753년에, 무레이 주세페의 《다프니》(Dafni)는 1928년에 작곡되었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1937년에 오페라 《다프네》(Daphne)를 작곡했다. 하인리히 쉬츠 또한 《다프네》(Daphne)를 작곡했으나, 발표년도는 불명이다.

야코프 판 에이크는 1648년에 《아름다운 소녀, 다프네(피리의 낙원)》(Doen Daphne d'over schoone Maeght)을 작곡하였다.

조각 작품으로는 잔 로렌초 베르니니의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가 있다.

회화 작품으로는 피에로 델 폴라이우올로의 《아폴론과 다프네》(1480년경), 니콜라 푸생의 《아폴론과 다프네》(1625년), 조반니 바티스타 티에폴로의 《아폴론과 다프네》, 테오도르 샤세리오의 《아폴론과 다프네》(1845년) 등이 있다.[41]

6. 4. 웹툰

다프네를 소재로 한 웹툰은 아직까지 알려진 바가 없다.

7. 갤러리



참조

[1]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2] 웹사이트 10.7.8 http://www.perseus.t[...]
[3]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3] 서적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4] 웹사이트 8.20.1 http://www.perseus.t[...]
[4] 웹사이트 10.7.8 https://www.perseus.[...]
[4] 서적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topostext.or[...]
[4] 서적 Thebaid https://topostext.or[...]
[4]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5] 서적 Lycophron https://topostext.or[...]
[5] 서적 First Vatican Mythographer
[6] 기타 Olympian Odes
[7] 서적 Erotica Pathemata https://topostext.or[...]
[8] 서적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9] 기타 Translation, line 456, Loeb Classical Library
[10] 서적 Metamorphoses http://www.perseus.t[...]
[11] 웹사이트 The Metamorphoses http://www.tkline.fr[...] 2017-11-17
[12] 서적 Oxford World's Classics: Ovid: Metamorphos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11
[13] 서적 Parthenius of Nicaea: the poetical fragments and the Erōtika pathēmata 1999
[14] 문서 King Amyclas is also the father of another of Apollo's lover, Hyacinthus.
[15] 서적 1999
[16] 웹사이트 8.20.2 http://www.perseus.t[...]
[17] 웹사이트 8.20.3 http://www.perseus.t[...]
[18] 웹사이트 10.7.8 http://www.perseus.t[...]
[19] 웹사이트 8.20.4 http://www.perseus.t[...]
[20] 서적 Fabulae https://topostext.or[...]
[21] 서적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www.sacred-t[...]
[22] 서적 Dionysiaca https://topostext.or[...]
[23]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lucianofsamos[...]
[24] 서적 Dialogues of the Gods http://lucianofsamos[...]
[25] 간행물 TWO LOVES I HAVE : DIOSCORUS, APOLLO, DAPHNE, HYACINTH. http://www.jstor.org[...] Peeters Publishers 2007
[26]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2009
[27] 간행물 The Extent of Spartan Territory in the Late Classical and Hellenistic Periods 2000
[28] 웹사이트 3.24.8 http://www.perseus.t[...]
[28] 서적 Historiae Deorum Gentilium Basel 1548
[28] 웹사이트 Gründliches mythologisches Lexikon http://www.textlog.d[...] 1770
[29] 서적 The Gods of the Greeks 1951
[30] 문서 Built over 8th century walls and apsidal building beneath the naos, all betokening a Geometric date for the sanctuary.
[31] 간행물 A Temple in Eretria 1895-07
[31] 서적 Eretria. Fouilles et Recherches I, Temple d'Apollon Daphnéphoros, Architecture Bern 1968
[31] 서적 Pythian Oracle
[32] 웹사이트 DAUGHTER OF SPARTA https://www.lbyr.com[...]
[33] 서적 ギリシア神話
[34] 서적 変身物語
[35] 서적 203話
[36] 서적 パウサニアス、10巻7・8
[37] 서적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38] 서적 変身物語
[39] 서적 パウサニアス、8巻20・2-4
[40] 서적 ギリシア記
[41] 웹사이트 西洋絵画の洗練・豪奢・官能を体現する テオドール・シャセリオーの大規模個展 https://crea.bunshun[...] 文藝春秋 2017-02-11
[42] 서적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ロス、4巻66・5-66・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