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프니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프니스는 시칠리아의 목동으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헤르메스와 님프의 아들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필멸자였다. 다프니스는 아르테미스를 섬기며 판 플루트를 연주하며, 나이아스의 사랑을 받았지만, 다른 여자를 사랑하여 시력을 잃거나 죽음을 맞이했다. 다프니스는 목가(牧歌)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또한, 다프니스는 켄타우로스와 님프의 이름으로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르메스의 자식 - 에우도로스
에우도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헤르메스와 폴리멜레 사이에서 태어난 인물이며, 일리아스에서 미르미돈 부대를 이끄는 빠르고 뛰어난 전사 지휘관으로 묘사된다. - 헤르메스의 자식 - 헤르마프로디토스
헤르마프로디토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헤르메스와 아프로디테 사이에서 태어난 양성의 신으로, 살마키스와의 결합 신화로 유명하며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숭배받고 문학과 예술에서 양성성 또는 여성성의 상징으로 묘사되었다.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변신 이야기
《변신 이야기》는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세계 창조부터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죽음까지의 역사를 3음보 6보격으로 구성한 서사시로, 신화 속 변신을 소재로 사랑과 인간의 열정을 다루며 신들의 우스꽝스러운 면모를 드러낸다. - 그리스 신화의 변신담 - 이오 (신화)
이오(Io)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제우스의 사랑을 받아 헤라의 질투로 암소로 변신하여 고통받는 방랑을 겪고, 이집트에서 원래 모습으로 돌아와 에파포스를 낳는 인물이다.
다프니스 | |
---|---|
기본 정보 | |
출생 | 기원전 3세기 시칠리아 |
사망 | 기원전 3세기 |
가족 | |
아버지 | 헤르메스 |
어머니 | 님프 |
형제자매 | 헤라클레스 (일부 설화) 파이몬 |
신화적 역할 | |
역할 | 시칠리아의 목동 목가시의 창시자 |
관련 인물 | |
연인 | 칼라테이아 킬레니아 에케나이스 노미아 |
2. 시칠리아의 목동
다프니스는 시칠리아의 목동으로, 아름다운 외모와 뛰어난 음악적 재능으로 유명했다. 그는 헤르메스와 님프 사이에서 태어났지만, 인간으로서 유한한 운명을 지녔다.[35]
다프니스는 월계수 덤불에 버려진 채 발견되었는데, 그를 발견한 목동들은 나무의 이름을 따서 '다프니스'라고 이름 지었다.[3] 그는 목가를 발명하고,[13] 쉬링크스 피리를 연주하며 목가적인 노래를 불렀다.[17]
다프니스는 나이아스와 사랑을 맹세했지만, 다른 여인과 사랑에 빠지면 눈이 멀게 된다는 예언을 받았다. 그러나 그는 시칠리아 공주의 유혹에 넘어가 맹세를 어기게 되었고, 결국 님프의 저주로 시력을 잃었다.[12][17][22]
2. 1. 탄생과 성장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와 님프의 아들로, 월계수 아래 버려졌다가 목동들에게 발견되어 '다프니스'라는 이름을 얻었다.[3] 헬리오스 소들의 형제인 소들을 돌보았으며, 헤르메스의 아들이 아닌 그의 연인이었다는 이야기도 있다.[4] 판에게서 판 플루트 연주를 배우고 연인 관계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5][6]다프니스는 아르테미스를 따라 사냥을 하고, 목가적인 노래와 판 플루트 연주로 그녀를 즐겁게 했다.[17] 나이아스 (에케나이스 또는 노미아)의 사랑을 받았으나, 다른 여자를 사랑하면 눈이 멀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그러나 술에 취해 왕의 딸에게 유혹당했고, 복수로 인해 눈이 멀게 되거나[3][7] 돌로 변하게 되었다.[8][9] 피리를 불고 목동의 노래를 부르며 위로하려 했지만, 결국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돌로 변하거나, 아버지 헤르메스에 의해 하늘로 올라갔다. 헤르메스는 그가 있던 자리에서 샘이 솟아나게 했고, 시칠리아인들은 이 샘에서 그를 기리는 제물을 바쳤다.
다프니스는 시케리아(시칠리아)의 양치기[11] 또는 소치기로,[12][13][14] 미소년 목동이며 헤르메스와 시케리아 님프의 아들이었다.[15] 헤르메스의 연인이었다는 설도 있으며,[12] 판이나 프리아포스에게 사랑받았다.[16] 시켈리아(시칠리아)의 헤라이온 산에서 태어났으며,[15] 이름은 월계수에서 유래되었다.[12][15] 님프들에게 길러져 많은 소떼를 돌보았고,[13] 그가 기른 소는 태양신 헬리오스 소의 형제라고 한다.[12] 목가를 발명하고 많은 시와 노래를 지었으며,[13] 아르테미스를 섬기며 쉬링크스 피리 연주와 목가로 사랑받았다.[17] 디오니소스 신자들에게 아르메니아의 호랑이를 견인구로 연결하는 법이나 지팡이에 포도 덩굴과 잎을 감아 장식하는 법을 가르쳤으며,[18] 갈대 피리, 굽은 지팡이(목장 지팡이), 야수를 쫓는 데 사용하는 뾰족한 막대기, 과일을 넣는 배낭 등을 만들어 목신 판에게 바쳤다.[19]
2. 2. 목가(牧歌)의 창시자
전설에 따르면,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와 요정의 아들이었지만,[3] 필멸자였다. 다프니스의 어머니는 갓난아기였던 다프니스를 월계수 아래에 버렸고, 그를 발견한 목동들은 그가 발견된 나무(그리스어 ''daphnē'')의 이름을 따서 다프니스라고 불렀다. 그가 어렸을 때 돌보았던 암소들은 헬리오스가 소유한 소들의 자매였다고 한다.[12] 그는 헤르메스의 아들이 아니라 그의 ''에로메노스''(사랑하는 연인)라고도 불렸다.[4] 어떤 판본에서는 다프니스가 신 판에게서 판 플루트를 연주하는 법을 배웠고, 결국 둘은 연인이 되었다고도 한다.[5][6]다프니스는 목가를 발명하여 많은 시와 노래를 지었으며,[13] 아르테미스의 추종자가 되어 사냥에 동행하고, 목가적인 노래를 부르고 판 플루트를 연주하며 그녀를 즐겁게 했다. 나이아스 (아마도 에케나이스나 노미아)가 그를 사랑했고, 그가 다른 여자를 사랑하면 눈이 멀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 그러나 그는 술에 취해 왕의 딸에게 유혹당했고, 복수로 이 요정은 그의 눈을 멀게 했고[3][7] 또는 그를 돌로 변하게 했다.[8][9]
피리를 불고 목동의 노래를 부르며 스스로를 위로하려 했던 다프니스는 곧 죽었다. 그는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돌로 변하거나, 아버지 헤르메스에 의해 하늘로 올려졌으며, 헤르메스는 그의 아들이 옮겨진 지점에서 물이 솟아나게 했다.
그 이후로 시칠리아인들은 이 샘에서 젊은이의 이른 죽음에 대한 속죄 제물을 바쳤다.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안은 그의 설명에서 스테시코로스를 따랐음에 틀림없다. 스테시코로스 역시 여자(헬렌)의 복수로 눈이 멀었고, 아마도 그의 철회에서 다프니스의 고통에 대해 노래했을 것이다. 테오크리토스는 다프니스의 실명, 나이스와의 사랑, 시적 경쟁에서 메날카스를 이긴 그의 승리, 아프로디테의 분노로 인한 제네아에 대한 그의 사랑,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의 고통을 겪으며 숲을 헤매는 그의 방황, 동정심에 감동한 아프로디테가 그를 구하려 했지만 너무 늦어 죽음, 그의 때 이른 죽음에 대한 자연과 모든 창조물의 깊은 슬픔(테오크리토스 i. vii. viii.)을 언급했다. 후대의 전설은 다프니스를 프리기아 영웅과 동일시하고 그를 마르시아스의 스승으로 만든다. 다프니스와 그의 이른 죽음에 대한 전설은 히아킨토스, 나르키소스, 리노스 및 아도니스의 전설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젊은 나이에 죽은 아름다운 청년들로, 봄의 무성한 식물 성장과 작열하는 여름 햇살 아래에서 갑작스럽게 시들어가는 것을 상징한다.[10]
2. 3. 비극적인 사랑과 죽음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와 요정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었지만, 필멸자였다.[3] 아르테미스 여신의 추종자로서 사냥에 동행하고 목가적인 노래를 부르며 판 플루트를 연주하며 그녀를 즐겁게 했다. 나이아스 (아마도 에케나이스나 노미아)는 다프니스를 사랑하여 다른 여자를 사랑하면 눈이 멀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 그러나 다프니스는 술에 취해 왕의 딸에게 유혹당했고, 복수로 이 요정은 그의 눈을 멀게 하거나[3][7] 돌로 변하게 했다.[8][9]다프니스는 어느 님프를 사랑했고, 서로 사랑을 맹세했다. 상대의 이름은 파르테니오스에 따르면 에케나이스였으며[22], 세르비우스에 따르면 노미아였다.[20] 그 외에도 크세니아, 뤼케라는 설도 있다.[21] 하지만 님프는 다른 여성과 친밀한 관계가 되면 시력을 잃을 것이라고 예언했다. 후에 시켈리아의 어떤 공주가 다프니스를 짝사랑하여 그를 취하게 만들어 관계를 가졌다. 그 때문에 님프의 예언대로 시력을 잃었다.[12][17][22]
이설에 따르면 다프니스는 에로스를 굴복시키겠다(그 누구도 사랑하지 않겠다는 뜻[11])고 호언장담했기 때문에 아프로디테의 노여움을 사서, 자신의 말과는 반대로 사랑의 고통으로 쇠약해졌다. 헤르메스와 프리아포스는 다프니스의 고통을 보다 못해 그의 고민을 들어주기 위해 찾아왔지만, 다프니스는 마지막까지 아무 말 없이 세상을 떠났다.[28]
또한 고대 증언에 따르면 히메라 출신의 서정시인 스테시코로스는 맹인이 된 다프니스의 이야기를 노래했다.[12][23] 이는 다프니스의 수난 이야기를 주제로 하는 부콜리카(목동의 노래)의 효시라고 한다.[12]
2. 3. 1. 맹목(盲目)의 고통
나이아스 (아마도 에케나이스나 노미아)는 다프니스를 사랑했고, 그가 다른 여자를 사랑하면 눈이 멀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 그러나 다프니스는 술에 취해 왕의 딸에게 유혹당했고, 복수로 이 요정은 그의 눈을 멀게 하거나[3][7] 돌로 변하게 했다.[8][9]피리를 불고 목동의 노래를 부르며 스스로를 위로하려 했던 다프니스는 곧 죽었다. 그는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돌로 변하거나, 아버지 헤르메스에 의해 하늘로 올려졌다. 헤르메스는 그의 아들이 옮겨진 지점에서 샘이 솟아나게 했다.
그 이후로 시칠리아인들은 이 샘에서 젊은이의 이른 죽음에 대한 속죄 제물을 바쳤다.[10]
2. 3. 2. 사후(死後) 숭배
피리를 불고 목동의 노래를 부르며 스스로를 위로하려 했던 다프니스는 곧 죽었다. 그는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돌로 변하거나, 아버지 헤르메스에 의해 하늘로 올려졌으며, 헤르메스는 그의 아들이 옮겨진 지점에서 물이 솟아나게 했다.[10]그 이후로 시칠리아인들은 이 샘에서 젊은이의 이른 죽음에 대한 속죄 제물을 바쳤다.[10]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안은 그의 설명에서 스테시코로스를 따랐음에 틀림없다. 스테시코로스 역시 여자(헬렌)의 복수로 눈이 멀었고, 아마도 그의 철회에서 다프니스의 고통에 대해 노래했을 것이다. 테오크리토스는 다프니스의 실명, 나이스와의 사랑, 시적 경쟁에서 메날카스를 이긴 그의 승리, 아프로디테의 분노로 인한 제네아에 대한 그의 사랑, 이루어지지 않은 사랑의 고통을 겪으며 숲을 헤매는 그의 방황, 동정심에 감동한 아프로디테가 그를 구하려 했지만 (너무 늦어) 죽음, 그의 때 이른 죽음에 대한 자연과 모든 창조물의 깊은 슬픔(테오크리토스 i. vii. viii.)을 언급했다. 후대의 전설은 다프니스를 프리기아 영웅과 동일시하고 그를 마르시아스의 스승으로 만든다. 다프니스와 그의 이른 죽음에 대한 전설은 히아킨토스, 나르키소스, 리노스 및 아도니스의 전설과 비교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젊은 나이에 죽은 아름다운 청년들로, 봄의 무성한 식물 성장과 작열하는 여름 햇살 아래에서 갑작스럽게 시들어가는 것을 상징한다.[10]
다프니스의 죽음에 님프들은 눈물을 흘렸고, 어머니는 시신을 껴안고 울부짖었다. 어떤 가축도 물을 마시지 않고 풀을 먹지 않았다. 목축의 신 판이나 아폴론은 들을 떠났고, 보리 이삭은 열매를 잃었으며, 엉겅퀴 등 가시가 있는 풀과 나무만 자랐다.[26] 다프니스의 다섯 마리 사냥개 산노스, 포달고스, 람파스, 알키모스, 테온은 주인의 죽음을 슬퍼하며 죽어버렸다.[27]
3. 다른 다프니스
헤르메스와 님프의 아들로 여겨졌던 다프니스[35] 외에도, 다른 다프니스에 대한 이야기가 전해진다.
파우사니아스는 파르나소스 산의 님파이(요정) 중 한 명인 다프니스(Δαφνίς|다프니스grc)를 언급하며, 그녀가 가이아의 명으로 델포이의 가장 오래된 신탁소에서 예언자 역할을 했다고 기록했다.[32]
아르카디아 지방의 폴로에 산에 사는 켄타우로스 중에도 다프니스가 있었다. 그는 헤라클레스가 에뤼만토스의 멧돼지를 잡기 위해 폴로스의 곁에 머물렀을 때, 술을 두고 다른 켄타우로스들과 다투다 살해당했다.[29]
3. 1. 켄타우로스 다프니스
'''다프니스'''는 아르카디아 지방의 폴로에 산에 사는 켄타우로스 중 한 명이다. 헤라클레스가 에뤼만토스의 멧돼지를 잡기 위해 켄타우로스 폴로스의 곁에 머물렀을 때, 술을 두고 다른 켄타우로스들과 다투게 되었다.[29] 네펠레는 아이들을 돕기 위해 폭우를 내렸지만,[30] 다프니스는 아르게이오스, 암피온, 힙포티온, 오레이오스, 이소프레스, 멜랑카이테스, 테레우스, 두폰, 프릭소스 등과 함께 헤라클레스에게 살해당했다.[31]3. 2. 님프 다프니스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와 님프의 아들로 여겨졌으나,[35] 사실 다프니스 자신은 언젠가는 죽어야 할 운명이었다.지리학자 파우사니아스는 다프니스(Δαφνίς|다프니스grc)라는 산의 님프에 대해 언급하면서 다음과 같이 적었다. "델포이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이야기가 전해지며, 아폴론의 신탁에 관해서는 더욱 그렇다. 그들은 가장 초기에 신탁 자리는 게(가이아, 대지)의 소유였으며, 그녀가 예언자로 산 파르나소스 산의 님파이(요정) 중 한 명인 다프니스를 임명했다고 말한다." (파우사니아스, 『그리스의 묘사』, 10.5.5, 번역: 존스).
이 다프니스는 파르나소스 산 주변에 사는 님페이다. 여행가 파우사니아스에 따르면, 대지모신 가이아의 명으로 델포이의 가장 오래된 신탁소인 가이아의 신탁소의 여성 예언자가 되었다.[32]
4. 문화적 묘사
다프니스는 헤르메스와 요정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월계수 아래 버려졌다가 목동들에게 발견되어 '다프니스'라는 이름을 얻었다.[3] 그는 헬리오스 소들의 자매인 암소들에게 양육되었으며, 헤르메스의 에로메노스(사랑하는 연인)로 불리기도 했다.[4] 판에게서 판 플루트 연주법을 배웠고, 둘은 연인 관계가 되기도 했다.[5][6]
다프니스는 아르테미스의 추종자로서 사냥과 목가적인 노래, 판 플루트 연주로 그녀를 즐겁게 했다. 나이아스 (에케나이스 또는 노미아)의 사랑을 받았으나, 다른 여자를 사랑하면 눈이 멀 것이라는 예언을 받았다. 그는 술에 취해 왕의 딸에게 유혹당했고, 요정의 복수로 눈이 멀거나[3][7] 돌로 변했다.[8][9] 피리와 노래로 슬픔을 달래려 했으나, 절벽에서 떨어지거나 돌이 되거나, 아버지 헤르메스에 의해 하늘로 올라갔다. 헤르메스는 그가 옮겨진 곳에 샘을 솟아나게 했고, 시칠리아인들은 이 샘에서 그를 기리는 제사를 지냈다.[10]
클라우디우스 아일리안은 스테시코로스를 따라 다프니스가 여자의 복수로 눈이 멀었다고 전한다. 테오크리토스는 다프니스의 실명 대신 나이스와의 사랑, 시 경연 승리, 아프로디테의 분노, 숲 속 방황, 죽음과 그에 대한 슬픔을 노래했다. 후대 전설은 다프니스를 마르시아스의 스승으로 여기기도 한다. 다프니스의 전설은 히아킨토스, 나르키소스 등 일찍 죽은 아름다운 청년들의 이야기와 유사하며, 봄의 성장과 여름의 시듦을 상징한다.[10]
4. 1. 회화
- 다프니스는 테오크리토스의 첫 번째 《목가》의 주제이며, 그의 죽음을 묘사하고 있다.[1]
- 베르길리우스의 다섯 번째 《목가》는 목동이 부르는 두 개의 노래를 담고 있는데, 하나는 다프니스의 죽음을 애도하고 다른 하나는 그가 신으로서 하늘에 받아들여지는 것을 축하한다.[2] 그의 열 번째 《목가》에서 그는 친구인 시인 코르넬리우스 갈루스가 아르카디아에서 사랑으로 죽어가는 모습을 상상하며, 《목가》 1장의 일부를 모델로 삼았다.[2]
4. 2. 조각
참조
[1]
서적
δάφνη
http://stephanus.tlg[...]
Oxford University Press
1940
[2]
서적
Daphni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12-06-16
[3]
간행물
Daphnis
[4]
문서
Varia Historia 10.18
https://www.perseus.[...]
[5]
서적
Not the Classical Ideal: Athens and the Construction of the Other in Greek Art
https://books.google[...]
Brill Publications
2021-11-22
[6]
문서
Homilies 5.16
https://books.google[...]
[7]
문서
4.84.1
https://penelope.uch[...]
[8]
문서
Metamorphoses 4.275 ff
[9]
문서
Daphnis
[10]
간행물
Daphnis
[11]
문서
ギリシア・ローマ神話辞典 p.146b
[12]
문서
アイリアーノス『ギリシャ奇談集』10巻18
[13]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84・3
[14]
문서
テオクリトス『エイデュリア』第1歌
[15]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84・2
[16]
문서
テオクリトスのエピグラム(『ギリシア詞華集』9巻338による引用)
[17]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84・4
[18]
문서
ウェルギリウス『牧歌』第5歌29行-34行
[19]
문서
テオクリトスのエピグラム(『ギリシア詞華集』6巻177による引用)
[20]
문서
セルウィウス『ウェルギリウス「牧歌」注解』第8歌68行
[21]
웹사이트
Daphnis
https://www.theoi.co[...]
Theoi Project
2023-03-05
[22]
웹사이트
パルテニオス、29話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23-03-05
[23]
문서
セルウィウス『ウェルギリウス「牧歌」注解』第5歌20行
[24]
문서
テオクリトス『エイデュリア』第8歌93行への古註
[25]
문서
オウィディウス『変身物語』4巻275行
[26]
문서
ウェルギリウス『牧歌』第5歌20行以下
[27]
웹사이트
アイリアーノス『動物の特性について』11巻13話
https://topostext.or[...]
ToposText
2023-03-05
[28]
문서
テオクリトス『エイデュリア』第1歌77行-103行
[29]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12・4
[30]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12・6
[31]
문서
シケリアのディオドーロス、4巻12・7
[32]
문서
パウサニアース、10巻5・5
[33]
서적
δάφνη
http://stephanus.tlg[...]
Oxford University Press
1940
[34]
서적
Daphni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2012-06-16
[35]
간행물
Daphn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