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2015년 4월 23일 개통한 모노레일 방식의 도시 철도이다. 2006년 기본 계획이 확정되어 2009년 착공했으며,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용지역까지 운행한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호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2023년 어린이회관역이 어린이세상역으로 변경되었다. 무인 자동 운전으로 운행되며, 건설 및 운영 비용 절감을 위해 모노레일 방식을 채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모노레일 - 월미바다열차
    월미바다열차는 인천광역시 월미도를 순환하는 관광 모노레일로, 안전 문제와 부실 공사 논란으로 개통이 지연되었으나 재추진을 거쳐 2019년 10월 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며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대구 도시철도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경산시를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단계별 개통을 거쳐 현재 설화명곡역에서 하양역까지 운행하며 2호선, 3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향후 금호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
  • 20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동해선
    동해선은 부산에서 강원도, 북한 원산을 잇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에 건설이 시작되어 6.25 전쟁으로 동해북부선이 폐선되고 분단되었으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이 중단된 후 현재 동해남부선 일부 구간이 광역전철로 운행 중이며, 포항~영덕 구간이 개통되었다.
  • 201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평택선
    평택선은 경기도 평택시의 평택역과 포승역을 연결하는 17.3km의 철도 노선으로, 경부선, 서해선 등과 연결되어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 및 경부선 접근성을 높이며 ITX-마음 열차 등이 운행되고 총 5개의 역이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3호선
로마자 표기Sam Hoseon
고유 이름대구 도시 철도 3호선
3호선(3號線)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로고
로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호선의 모노레일
노선 종류궤도식 모노레일
운영 시스템대구 도시철도
운행 상태운영 중
기점칠곡경대병원역
종점용지역
역 수30
노선 수1
일일 승객 수74,031 (2018년)
개통일2015년 4월 23일
운영사대구교통공사
차량 기지범물차량사업소
사용 차량히타치 레일/우진산전 3000호대
노선 길이23.95 km
선로 수2
전철화 방식제3궤조집전식
속도70–100 km/h
노선 정보 (일본어)
노선 이름 (일본어)대구 도시철도 3호선
노선 색상 (일본어)#ffb300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로고
로고 (일본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호선의 모노레일
노선 종류 (일본어)궤도식 모노레일
기점 (일본어)칠곡경대병원역
종점 (일본어)용지역
역 수 (일본어)30
개통일 (일본어)2015년 4월 23일
운영사 (일본어)대구교통공사
노선 거리 (일본어)23.95 km
선로 수 (일본어)복선
전철화 방식 (일본어)직류 1500V
보선 장치 (일본어)ATP・ATO (무인 운전)
노선 정보 (한국어)
노선 이름 (한국어)대구 도시철도 3호선
노선명 (한국어)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로고
로고 (한국어)
대구 도시철도 3호선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열차
통칭 (한국어)대구 3호선
나라 (한국어)대한민국
종류 (한국어)모노레일
체계 (한국어)대구 도시철도
상태 (한국어)영업 중
기점 (한국어)칠곡경대병원역 (대구광역시 북구)
종점 (한국어)용지역 (대구광역시 수성구)
역 수 (한국어)30
개통일 (한국어)2015년 4월 23일
전 역사 개통 (한국어)2015년 4월 23일
소유자 (한국어)대구광역시
운영자 (한국어)대구교통공사
차량 기지 (한국어)칠곡차량사업소, 범물차량사업소
차량 (한국어)대구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영업 거리 (한국어)23.1km
실제 거리 (한국어)23.95km
선로 (한국어)2
전철화 (한국어)직류 1,500V
신호 방식 (한국어)ATP/ATO/TTC [수동운전/무인 반자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 (한국어)TTC/ATP/ATO 구간 70 km/h
설계 최고 속도 (한국어)100 km/h
제원 비고 (한국어)내용

2. 역사

2006년 10월 26일 기본계획이 확정되었고, 2015년 4월 23일 칠곡경대병원역에서 용지역까지 전 구간이 개통되어 영업을 시작하였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12]

2015년 7월 1일 수성못역, 서문시장역, 달성공원역에 대구지역 방언 안내방송을 시험 적용했으나, 2019년 5월 1일 삭제되었다. 2019년 1월 7일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의 환승역인 신남역이 청라언덕역으로 변경되었고, 2023년 8월 28일 어린이회관역이 '''어린이세상역'''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용지역에서 신매역까지 연장하여 대구 도시철도 2호선과 연결하는 계획이 있다.

2. 1. 건설 과정

2. 2. 개통 및 운영

날짜내용
2009년 7월 24일칠곡경대병원역 ~ 용지역 구간 착공[31][10]
2013년 10월 2일역명 확정[32][33]
2014년 6월 19일동절기 시운전 미비 지적에 따라 개통 시기를 2014년 12월에서 2015년 4월로 연기
2015년 1월 15일칠곡역, 매천농수산물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입구역 등 3개 역 역명을 각각 칠곡운암역, 매천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 등으로 변경[34]
2015년 2월 9일 ~ 2015년 4월 12일영업 시운전[35][11]
2015년 4월 18일 ~ 4월 20일개통 전 무료 시승 행사 진행
2015년 4월 21일 ~ 4월 22일마지막 영업 시운전
2015년 4월 23일칠곡경대병원역 ~ 용지역 전 구간 개통 및 영업 개시.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명덕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청라언덕역환승[12]
2015년 7월 1일수성못역, 서문시장역, 달성공원역 3개 역에 대구지역 방언 안내방송 시험 적용
2019년 1월 7일2호선과의 환승역인 신남역이 청라언덕역으로 변경
2019년 5월 1일수성못역, 서문시장역, 달성공원역 3개 역 대구지역 방언 안내방송 삭제
2023년 8월 28일어린이회관역을 어린이세상역으로 변경


3. 특징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이어 국내 두 번째로 국가 재정 지원을 받아 건설된 경전철이며, 모노레일 방식으로 건설되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건설과 함께 중구 달성로의 4차로를 6차로로 확장하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기존 6차로의 폭이 도로교통법을 위반하는 수준으로 좁아진 곳이 발생하여 영남일보가 문제를 제기하였으나,[25][26][27] 대구시는 이에 대한 답변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은 점검 결과 화재 경보기 등 여러 곳에서 부실공사 흔적을 발견했다고 지적하였다.[28] 대구도시철도공사는 궤도빔 조정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라고 해명하며 개통 전까지 보수를 완료하겠다고 밝혔고, 실제로 무료 시승 행사 전까지 보수를 마쳤다.

3. 1. 건설 및 운영 비용 절감

2005년에 발표된 예비타당성 조사는 결과가 좋지 않았으나, 대구광역시에서 예산 배정을 위해 노력하여 2006년에 예산이 배정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이어 국내 두 번째 국가재정 사업으로 건설된 경전철 사업이다. 모노레일로 추진하여 사업비와 사업 기간을 단축하였고, 기존 도시 철도에 비해 건설비는 50%, 운영비는 25% 절감된다고 밝혔다.[22]

3. 2. 기술적 특징

2006년 예산이 배정되어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이어 국내 2번째 국가재정 사업으로 건설된 경전철 사업이다. 사업비가 절감되고 사업 기간이 짧아지는 모노레일로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서 기존 도시 철도에 비해 건설비는 50%, 운영비는 25% 절감된다고 밝혔다.

일본 히타치 제작소가 차량 28편성(84량), 시스템을 수주했다. 차량 1편성은 히타치 제작소가 제작하고 양산은 우진산전에서 27편성을 제작하였다.[22] 오사카 모노레일, 유이 레일, 충칭 궤도교통 2호선 등과 마찬가지로 과좌식(跨座式)을 채용했다. 과좌식은 알웨그식(ALWEG式)을 기본으로 하여 궤도빔을 크게 하고, 대차의 스프링 장치에 공기 스프링을 사용하며, 바퀴는 고무 타이어이다.

폭 2.98m, 길이 15.1m의 모노레일은 무인 자동 운전으로 운행되며, 운행 중 비상 정지 등 이례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관사 면허를 가진 운행 관리원이 항시에 탑승한다.[23]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지역을 통과할 때에는 차량 내부에서 바깥이 보이지 않도록 자동 창문 흐림 장치[24]가 작동된다.[23]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의해서 흐려지는 시스템이다.

정거장은 도시 미관을 고려하여 열차의 길이보다 짧게 설계되었다.[29]

외형과 달리 배경은 거의 히로시마 고속 교통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과 유사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30] 자동열차운전장치(ATO)에 의한 무인 자동 운전이 실시되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차량의 최전방에는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하고 있다.

3. 3. 기타


  • 2005년 발표된 예비타당성 조사는 결과가 좋지 않았으나, 대구광역시에서 예산 배정을 위해 노력하여 2006년 예산이 배정되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에 이은 국내 2번째 국가재정 사업으로 건설된 경전철 사업이다. 사업비가 절감되고 사업 기간이 짧아지는 모노레일로 추진하였다. 이에 따라서 기존 도시 철도에 비해 건설비 50%, 운영비 25% 절감된다고 밝혔다.

  • 일본 히타치 제작소가 차량 28편성(84량), 시스템을 수주했다. 차량 1편성은 히타치 제작소가 제작하고 양산은 우진산전에서 27편성을 제작하였다.[22] 오사카 모노레일, 유이 레일, 충칭 궤도교통 2호선 등과 마찬가지로 과좌식(跨座式)을 채용했다. 과좌식은 알웨그식(ALWEG式)을 기본으로 하여 궤도빔을 크게 하고, 대차의 스프링장치에 공기스프링을 사용하며, 바퀴는 고무타이어이다.

  • 폭 2.98m, 길이 15.1m의 모노레일은 무인자동운전으로 운행되며, 운행 중 비상정지 등 이례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관사 면허를 가진 운행관리원이 항시에 탑승한다.[23]

  •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는 지역을 통과할 때에는 차량 내부에서 바깥이 보이지 않도록 자동 창문 흐림 장치[24]가 작동된다.[23] 미리 지정된 위치에 의해서 흐려지는 시스템이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건설과 함께 중구 달성로의 4차로 도로를 6차로로 확장하였다.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건설로 인해 기존 6차로 도로의 폭이 도로교통법을 위반하는 수준으로 좁아진 곳이 생기게 되었음을 영남일보가 지적하였다.[25][26][27] 이에 대하여 대구시는 답변을 내 놓지 않고 있다.

  •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의 점검 결과, 화재 경보기 등 여러 곳의 부실공사 흔적이 있다고 지적하였다고 한겨레가 보도하였다.[28] 이에 대해 대구도시철도공사는 궤도빔을 더 곧게 조정하는 과정에서 빠졌다. 개통 전까지 보수를 하겠다고 하였고, 무료 시승 행사가 있었던 18일 전까지 보수를 마쳤다.

  • 정거장은 도시 미관을 고려하여 열차의 길이보다 짧게 설계되었다.[29]

4. 운영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칠곡경대병원역용지역 사이를 운행하며, 모든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한다.[21] 자동열차운전장치(ATO)에 의한 무인 자동 운전이 실시되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최전방에 탑승한다. 3량 1편성으로 구성된 3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며, 칠곡차량사업소범물차량사업소 두 곳의 차량기지가 운영된다.

4. 1. 열차 운행

칠곡경대병원행과 용지행이 주로 운행되며, 1호선, 2호선과는 달리 심야 주박역을 운영하지 않고 모든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한다.[21] 차량기지는 칠곡차량사업소, 범물차량사업소 두 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칠곡차량사업소에서 3호선 모든 열차의 경·중검수 및 내부 관리를 실시하고 있고, 범물차량사업소에서는 주박용 차량기지로 검수나 내부 관리 등은 하지 않고 주박 시간에 열차가 머무르는 용도로 운영된다.

자동열차운전장치(ATO)에 의한 무인 자동 운전이 실시되지만, 비상시 대응을 위해 차량의 최전방에는 운전사 자격을 가진 직원이 탑승하고 있다.

4. 2. 차량

3호선 차량은 3000계로 불린다. 3량 1편성으로 28편성, 총 84량이 운행된다. 히타치 궤도 시스템 표준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히타치 레일이 시제편성을 제작하고, 나머지 27편성은 우진산전에서 제작하였다.[2] 1차분은 일본에서 직접 제작되었고, 나머지는 현지에서 제작되었다. 초기 편성과 후기 편성은 차체 도색이 다르다.

4. 3. 차량기지

칠곡경대병원행과 용지행이 주로 운행되며, 1, 2호선과는 달리 심야 주박역을 운영하지 않고 모든 열차가 전 구간을 운행한다.[21] 칠곡차량사업소, 범물차량사업소 두 곳을 운영하고 있으며, 칠곡차량사업소에서 3호선 모든 열차의 경·중검수 및 내부관리를 실시하고 있고, 범물차량사업소는 주박용 차량기지이므로 검수나 내부관리 등은 하지 않고 주박 시간에 열차가 머무르는 용도로 운영된다.

5. 역 목록

역 번호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역간 거리영업 거리소재지
312칠곡경대병원Chilgok Kyungpook Nat'l Univ. Medical Center漆谷慶大病院-0.0대구광역시북구
313학정Hakjeong鶴亭0.8km0.8km
314팔거(국립농관원·통계청)Palgeo(NAQS·KOSTAT)八莒(國立農管院·統計廳)0.8km1.6km
315동천Dongcheon東川0.7km2.3km
316칠곡운암Chilgok·Unam漆谷雲岩0.8km3.1km
317구암(과학대·보건대입구)Guam(Taegu Science Univ.·Daegu Health College)鳩岩(科學大·保健大入口)0.7km3.8km
318태전Taejeon太田0.7km4.5km
319매천Maecheon梅川0.9km5.4km
320매천시장Maecheon Market梅川市場1.1km6.5km
321팔달Paldal八達0.8km7.3km
322공단Gongdan工團0.9km8.2km서구
323만평Manpyeong萬坪0.8km9km
324팔달시장Paldal Market八達市場0.6km9.6km북구
325원대Wondae院垈0.6km10.2km서구
326북구청(대구 아이엠뱅크파크)Buk-gu Office北區廳0.8km11km
327달성공원Dalseong Park達城公園1km12km중구
328서문시장(동산병원)Seomun Market(Dongsan Hospital)西門市場(東山病院)0.7km12.7km
329청라언덕(신남·척탑병원)Cheongna Hill靑蘿언덕2호선0.7km13.4km
330남산(계명네거리)Namsan(Keimyungnegeori)南山0.8km14.2km
331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Myeongdeok(2·28 Democracy Movement Hall)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1호선0.6km14.8km남구
332건들바위Geondeulbawi건들바위0.9km15.7km
333대봉교Daebonggyo大鳳橋0.7km16.4km
334수성시장Suseong Market壽城市場0.8km17.2km수성구
335수성구민운동장Suseong District Stadium壽城區民運動場1km18.2km
336어린이세상Children's World어린이世上0.8km19km
337황금(국립대구박물관)Hwanggeum黃金0.7km19.7km
338수성못(TBC)Suseongmot(TBC)壽城池0.8km20.5km
339지산Jisan池山1.2km21.7km
340범물(더봄연합내과)Beommul凡勿0.8km22.5km
341용지Yongji龍池0.7km23.2km



공단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 명덕역, 수성못역에서는 차내 안내방송이 한국어, 영어 외에 중국어일본어로도 제공된다.

5. 1. 구조

3호선의 모든 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이 가능하다.[3][4] 대구 도시철도의 모든 역에는 열차가 지상을 운행하기 때문에 승객들이 쉴 수 있는 실내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계절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이 가동된다.[3][4]

역 번호역 이름한글한자환승거리 (km)총 거리 (km)위치
312칠곡경북대병원칠곡경대병원漆谷慶大病院0.00.0북구
313학정학정鶴亭0.80.8
314팔거팔거
(국립농업과학원·통계청)
八居
(國立農業科學院·統計廳)
0.81.6
315동천동천東川0.72.3
316칠곡운암칠곡운암漆谷雲岩0.83.1
317구암구암
(과학대·보건대입구)
鳩岩
(科學大·保健大入口)
0.73.8
318태전태전太田0.74.5
319매천매천梅川0.95.4
320매천시장매천시장梅川市場1.16.5
321팔달팔달八達0.87.3
322공단공단工團0.98.2
323만평만평萬坪0.89.0
324팔달시장팔달시장八達市場0.69.6서구
325원대원대院岱0.610.2
326북구청북구청北區廳0.811.0
327달성공원달성공원達城公園1.012.0중구
328서문시장서문시장
(동산병원)
西門市場
(東山病院)
0.712.7
329청라언덕청라언덕靑蘿언덕0.713.4
330남산남산
(계명네거리)
南山
(啓明네거리)
0.814.2
331명덕명덕
(2·28민주운동기념회관)
明德
(2·28民主運動紀念會館)
0.614.8
332건들바위건들바위건들바위0.915.7남구
333대봉교대봉교大鳳橋0.716.4
334수성시장수성시장壽城市場0.817.2수성구
335수성구민운동장수성구민운동장壽城區民運動場1.018.2
336어린이회관어린이회관어린이會館0.819.0
337황금황금黃金0.719.7
338수성못수성못
(TBC)
壽城못
(大邱放送)
0.820.5
339지산지산池山1.221.7
340범물범물凡勿0.822.5
341용지용지龍池0.723.2


5. 2. 목록

거리영업
거리소재지312칠곡경대병원Chilgok Kyungpook Nat'l Univ. Medical Center漆谷慶大病院-0.0대구광역시북구313학정Hakjeong鶴亭0.80.8314팔거(국립농관원·통계청)Palgeo(NAQS·KOSTAT)八莒(國立農管院·統計廳)0.81.6315동천Dongcheon東川0.72.3316칠곡운암Chilgok·Unam漆谷雲岩0.83.1317구암(과학대·보건대입구)Guam(Taegu Science Univ.·Daegu Health College)鳩岩(科學大·保健大入口)0.73.8318태전Taejeon太田0.74.5319매천Maecheon梅川0.95.4320매천시장Maecheon Market梅川市場1.16.5321팔달Paldal八達0.87.3322공단Gongdan工團0.98.2서구323만평Manpyeong萬坪0.89.0324팔달시장Paldal Market八達市場0.69.6북구325원대Wondae院垈0.610.2서구326북구청(대구 아이엠뱅크파크)Buk-gu Office北區廳0.811.0327달성공원Dalseong Park達城公園1.012.0중구328서문시장(동산병원)Seomun Market(Dongsan Hospital)西門市場(東山病院)0.712.7329청라언덕(신남·척탑병원)Cheongna Hill靑蘿언덕2호선0.713.4330남산(계명네거리)Namsan(Keimyungnegeori)南山0.814.2331명덕(2·28민주운동기념회관)Myeongdeok(2·28 Democracy Movement Hall)明德(2·28民主運動紀念會館)1호선0.614.8남구332건들바위Geondeulbawi건들바위0.915.7333대봉교Daebonggyo大鳳橋0.716.4334수성시장Suseong Market壽城市場0.817.2수성구335수성구민운동장Suseong District Stadium壽城區民運動場1.018.2336어린이세상Children's World어린이世上0.819.0337황금(국립대구박물관)Hwanggeum黃金0.719.7338수성못(TBC)Suseongmot(TBC)壽城池0.820.5339지산Jisan池山1.221.7340범물(더봄연합내과)Beommul凡勿0.822.5341용지Yongji龍池0.723.2



대구 도시철도 모든 역에는 승객들이 쉴 수 있는 실내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며, 계절에 따라 냉난방이 가동된다.[3][4] 차내 안내는 기본적으로 한국어영어로 제공되지만, 공단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 명덕역, 수성못역에서는 중국어일본어로도 안내된다.

6. 문제점 및 사건 사고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여러 문제점과 사건 사고를 겪었다. 2018년에는 폭설과 폭우, 강풍 등으로 인해 전동차가 멈춰서는 사고가 여러 차례 발생했다.[1][2][3]

6. 1. 사건 사고

참조

[1] 웹사이트 DTRO Operation index http://www.dtro.or.k[...] 2019-12-03
[2] 웹사이트 Daegu Urban Railway Line 3 https://www.railway-[...] Verdict Media Limited
[3] 웹사이트 2013 공공용물 제개정 명칭 공고 http://www.daegu.go.[...] 2013-12-26
[4] 웹사이트 2013 공공용물 제개정 명칭 공고 http://www.daegu.go.[...] 2013-12-26
[5] 문서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6] 문서 February 28th Democracy Movement Hall
[7] 문서 Taegu Broadcasting Corporation
[8] 웹사이트 도시철도 3호선 차량 내· 외부 디자인 확정 http://www.daegu.go.[...]
[9] 웹사이트 安全・快適な「市民の足」を提供する、日立のモノレールプロジェクト:日立の社会イノベーション事業 http://www.hitachi.c[...]
[10] 뉴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4일 기공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11]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9일부터 시운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12] 뉴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동호동~범물동 23.95km 운행 http://news.donga.co[...] dongA.com 2015-04-23
[13] 웹사이트 http://www.daegu.go.[...]
[14] 웹사이트 http://www.daegu.go.[...]
[15] 문서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16] 웹사이트 外国人住民のための大邱生活案内(日本語版) http://www.daegu.go.[...] 대구광역시 2015-04-24
[17] 문서 Taegu Broadcasting Corporation
[18] 웹사이트 도시철도 3호선 차량 내· 외부 디자인 확정 http://www.daegu.go.[...]
[19] 문서 모노레일의 종류
[20] 문서 러시아워
[21] 문서 회차선 부재
[22] 웹사이트 대구 모노레일 프로젝트 http://www.mlit.go.j[...]
[23] 뉴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전동차 '승무원 없이' 운행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08-07-31
[24] 문서 Mist Window
[25] 뉴스 대도시철도 3호선 아래 ‘좁아진 車路’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5-01-03
[26] 뉴스 도시철도 3호선에 뺏긴 도로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5-01-03
[27] 뉴스 버스보다 좁은 도로 대구 11곳…경차도 차선 물고 달려 http://www.yeongnam.[...] 영남일보 2015-02-06
[28] 뉴스 레일 연결 볼트 빠져 있고…화재감지기 작동 않고…곧 개통 대구지하철 3호선 ‘안전 구멍’ http://www.hani.co.k[...] 한겨레 2015-03-31
[29] 문서 정거장과 열차 길이 차이
[30] 문서 일본 54번 국도와 유사한 풍경
[31] 뉴스 대구 도시철도 3호선 24일 기공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32]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28개역 이름 확정 http://www.imaeil.co[...] 매일신문 2013-10-15
[33] 문서 염색공단역 변경
[34] 웹사이트 대구시, 도시철도 3호선 역명 등 16개소 명칭 확정 http://www.daegu.go.[...]
[35] 뉴스 대구도시철도 3호선 9일부터 시운전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5-02-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