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은 2008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지정되어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일원에 위치한 여러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구는 국제교육, 문화산업, 패션디자인, 첨단산업, 의료, 연구 개발 등 특화된 산업 분야를 육성한다. 국제 협력을 위해 다양한 해외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경제자유구역 - 인천경제자유구역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은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여 대한민국을 개방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경제 자유 구역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송도지구, 영종지구, 청라지구로 구성되어 각 지구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되었다.
  • 경상북도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경상북도 - 경상북도청신도시
    경상북도청신도시는 경상북도 안동시와 예천군에 걸쳐 조성되었으며, 2016년 경상북도청과 경상북도의회가 신청사로 이전한 신도시이다.
  • 대구광역시 -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공사는 도시가스 제조 및 공급, 천연가스 개발, 수송, 수출입을 주요 사업으로 하는 대한민국 공기업이며, 1983년 설립되어 천연가스 도입, 공급망 구축, 신재생에너지 사업 등을 수행하고, 1999년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었고, 2007년 시장형 공기업으로 지정되었다.
  • 대구광역시 - 한국부동산원
    한국부동산원은 부동산 시장 안정과 소비자 권익 보호를 위해 설립된 공공기관으로, 부동산 감정 평가에서 부동산 가격 공시 및 시장 관리 등으로 업무를 확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 [회사]에 관한 문서
개요
명칭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영문 명칭Daegu Gyeongbuk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DGFEZ)
유형경제 자유 구역 (정부 소유, 비영리)
설립일2008년
위치대구광역시 동구 동대구로 489
산업자동차, 항공, IT, 교육, 소프트웨어, 헬스케어, 그린 에너지
생산품연구 개발 센터, 공장, 주거 시설
직원 수128명

2. 역사

2008년 5월 6일 대한민국 중앙 정부에 의해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지정되었으며, 2008년 8월 13일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했다.[3]

3. 구성 지구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DGFEZ)은 대구광역시경상북도 일원에 위치한 여러 개의 지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지구는 특화된 산업 분야를 육성하고 있다.

사업지구위치개발계획관련 링크
대구혁신지구대구 동구국제교육 및 학술·연구 관련 산업공공기관 지방이전
국제문화산업지구대구 남구게임 및 문화 콘텐츠, 방송 미디어, 전시 산업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국제패션디자인지구대구 동구패션 디자인, 미디어, 첨단 IT 및 지식 관련 산업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대구 달성군전시, 지식기반서비스, 지능형 자동차 부품, 바이오산업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달성산업단지
성서5차첨단산업지구대구 달성군IT, 모바일, 전기·전자 및 정보 통신 산업성서산업단지
수성의료지구대구 수성구교육, 의료, 레저 휴양, 관광 산업대구한의대학교
구미디지털산업지구경북 구미시모바일, 전자 정보 산업, R&D 관련 산업구미국가산업단지
경산학원연구지구경북 경산시국제교육, 의료기기 산업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경북 영천시하이브리드 기계 소재·부품, 지능형 자동차 부품 산업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경북 영천시메카트로닉스, 유통 물류, 군수 산업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경북 포항시바이오·의료, 소재·부품, R&D 특화 및 산업 단지


3. 1. 대구 지역

대구 지역은 대구광역시 내 여러 지구를 경제 자유 구역으로 지정하여, 각 지구별 특화 산업 육성을 통해 국제 투자 유치와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사업지구위치개발계획관련 링크
대구혁신지구대구 동구국제교육 및 학술·연구 관련 산업공공기관 지방이전
국제문화산업지구대구 남구게임 및 문화 콘텐츠, 방송 미디어, 전시 산업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국제패션디자인지구대구 동구패션 디자인, 미디어, 첨단 IT 및 지식 관련 산업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대구 달성군전시, 지식기반서비스, 지능형 자동차부품, 바이오산업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달성산업단지
성서5차첨단산업지구대구 달성군IT, 모바일, 전기·전자 및 정보 통신 산업성서산업단지
수성의료지구대구 수성구교육, 의료, 레저 휴양, 관광 산업대구한의대학교


3. 1. 1. 대구혁신지구 (신서 메디테크 지구)

대구 동구 신서동에 위치한 대구혁신지구는 국제교육 및 학술·연구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지역이다.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에 따라 한국가스공사[14]를 포함한 12개 공공기관이 이전해온 대구혁신도시의 핵심 지역이다.

2009년 8월, 대한민국 보건복지부는 대구를 첨단 의료 복합 단지(메디밸리) 조성 지역으로 선정했다.[15] 메디밸리는 제약, 의료 기기, 임상 시험 분야를 특화하여 육성할 계획이며, 최소 5.6조 (46억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 규모: 4.22km2

3. 1. 2. 국제문화산업지구

대구 남구에 위치하며, 게임 및 문화 콘텐츠, 방송 미디어, 전시 산업을 육성한다. 2008년 4월 중앙 정부에 의해 문화 산업 진흥 지구로 지정되었다. 현재 이 지구에는 109개의 문화 기술(CT) 관련 회사가 있으며, 게임 콘텐츠 단지, 방송 미디어 센터, ICT 파크 타워 및 ICT 파크 쇼핑몰을 유치할 계획이다.

2010년 5월, 다쏘 시스템(Dassault Systèmes)이 대구 ICT 파크에 R&D 센터를 열었다. 이 R&D 센터는 고급 선박 설계를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면적은 0.07km2이다.

3. 1. 3. 국제패션디자인지구 (이시아폴리스)

국제패션디자인지구(이시아폴리스)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하며, 패션 디자인, 미디어, 첨단 IT 및 지식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 이시아폴리스는 상업, 산업, 주거 기능을 결합한 패션 중심 지구이다.

이시아폴리스에는 롯데아울렛, 의류 소매점, 식당, 기타 엔터테인먼트 시설(CGV 영화관)이 있다. 이 지구에는 대구경북섬유센터(DTC), 한국패션텍스타일폴리텍대학(CKTFP), 한국패션산업연구원(KRIFI)을 포함한 수많은 패션 기반 연구 개발/교육 기관도 있다.[8] 대구국제학교는 2010년 9월에 개교하여 이시아폴리스의 일부가 되었다.[8]

3. 1. 4. 대구테크노폴리스지구

대구 달성군에 위치하며, 전시, 지식기반서비스, 지능형 자동차부품, 바이오산업을 육성한다. 동북아시아의 선도적인 첨단 과학 도시로 설계되었으며, 연구 개발(R&D), 교육, 첨단 친환경 제조를 결합한다. 자동차, 녹색 에너지, 전자, 통신 산업 등 융합 산업을 전문으로 하는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을 비롯한 다양한 국립 연구소와 대학교 분교가 이 지구 내에 위치해 있다.[10]

2011년 1월, 중앙 정부로부터 연구 개발 특구로 지정되었다.[10] 2010년에 1단계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첫 번째 입주 기관으로 문을 열었다.[11]

2012년 5월 기준으로, 두 건의 상당한 투자가 이루어졌다. 현대모비스의 자회사인 현대 IHL은 9500만달러 (1185억) 규모의 1단계 투자를 완료(2012년 4월)하고 자동차용 LED 램프 제조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12] 나카무라 토메 정밀공업은 1970만달러 (246억)를 투자하여 2012년 말까지 완공될 예정인 공장을 건설했다.[13]

면적은 7.27km2이다.

3. 1. 5. 성서5차첨단산업지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IT, 모바일, 전기·전자 및 정보 통신 산업을 육성한다. 삼성 LED와 스미토모 화학(일본)은 LED 핵심 소재(사파이어 웨이퍼) 생산을 위한 합작 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4,600억 원(4.25억달러)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5] Stion(미국)은 CIGS 박막 태양광 PV 셀 제조업체로, 2012년 봄 성서 지구에 3억 2,000만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6]

2011년 1월, 성서산업단지는 대구 연구 개발 특구로 재지정되었으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DG-FEZ)에서는 제외되었다.[4] 규모는 1.47km2이다.

3. 1. 6. 수성의료지구

수성의료지구는 대구 수성구에 있으며 교육, 의료, 레저 휴양, 관광 산업을 육성한다. 동서양 의학을 연결하는 한국 한의학 중심지 역할을 하며, 이 지구를 대체 의학 연구의 메카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외국 병원, 의과대학, 의료 관광 시설 및 연구 개발(R&D) 제조 업체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

면적1.79km2
위치대구 수성구


3. 2. 경북 지역

경북 지역에는 구미시, 경산시, 영천시, 포항시 등지에 여러 산업 지구가 조성되어 있다.

사업지구위치개발계획관련 링크
구미디지털산업지구경북 구미시모바일, 전자정보산업, R&D 관련 산업구미국가산업단지
경산학원연구지구경북 경산시국제교육, 의료기기산업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경북 영천시하이브리드 기계소재·부품, 지능형 자동차부품 산업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경북 영천시메카트로닉스, 유통물류, 군수 산업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경북 포항시바이오·의료, 소재·부품, R&D 특화 및 산업단지


3. 2. 1. 구미디지털산업지구

경북 구미시에 있으며, 모바일, 전자 정보 산업, R&D 관련 산업을 육성한다. 구미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전자 및 IT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경북 구미시
개발 계획모바일, 전자정보산업, R&D 관련 산업
관련 링크구미국가산업단지


3. 2. 2. 경산학원연구지구

경산학원연구지구는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하며, 국제 교육 및 의료기기 산업을 육성한다.[7] 건설 장비 제조 및 R&D, 의료기기 제조 시설을 갖추고, 이 지역의 대규모 사립 교육 기관 클러스터와 협력하여 운영될 예정이다.[7]

면적6.47km2
위치경상북도 경산시


3. 2. 3.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는 경북 영천시에 위치하며, 하이브리드 기계 소재·부품, 지능형 자동차 부품 산업을 육성한다.

3. 2. 4. 영천하이테크파크지구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하며, 메카트로닉스, 유통 물류, 군수 산업을 육성한다. 현대자동차를 비롯한 인근 자동차 제조업체에 부품 및 재료를 공급하는 자동차 부품 단지가 있는 제조 산업 단지이다. 보잉 항공전자 유지보수, 수리 및 정비 시설(BAMRO)이 건설되어 2014년 말 완공될 예정이었다.[16] BAMRO는 대한민국 공군(ROKAF)의 F-15K 슬램 이글[17] 항공전자 부품을 정비할 예정이다.

  • 규모: 2.3km2

3. 2. 5. 영천산업지구

경상북도 영천시에 위치한 영천산업지구는 자동차 부품, 항공 전자, 물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지구이다. 구미에서 울산까지 이어지는 오토 밸리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북 하이브리드 기술원과 경북 차량용 임베디드 기술연구원이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18][19]

2012년 9월 기준으로, 여러 외국 기업들이 영천산업지구에 투자했다. 다이셀 주식회사(일본)는 2011년 12월 에어백 인플레이터 공장 설립을 위해 3600만달러를 투자했고,[18] 포레시아(프랑스)는 시트 프레임 공장 건설에 2100만달러를 투자했다.[19]

  • 규모: 1.67km2

3. 2. 6.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경북 포항시에 위치하며, 바이오·의료, 소재·부품, R&D 특화 및 산업 단지를 조성한다. 포항시는 울진에서 경주에 이르는 대한민국 동해안 에너지 클러스터의 중심에 있으며, 이 클러스터 내에는 국내 최대 규모의 풍력 발전 및 원자력 단지가 운영되고 있다.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연료 전지 연구 및 생산, 풍력 발전, 연구 개발 기관 및 기업을 유치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유일의 가속기 연구소([http://paleng.postech.ac.kr/ PAL])가 POSTECH 인근에 위치해 있다.

규모는 3.75km2이다.

4. 국제 협력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DGFEZ)은 해외 여러 기관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여 국제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있다. 주요 협력 기관은 다음과 같다.

기관명
하이델베르크 기술 단지
고등 전문 경제 구역 공사(ZonesCorp)
구자라트 비탈 혁신 도시(GVIC)
MEMS 산업 그룹
소피아 앙티폴리스
바르셀로나 자치 대학교
세계 무역 센터 덜레스 공항
중관춘 과학 단지


5. 비판 및 논란

(원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이전 답변과 동일하게 빈칸으로 둡니다.)

참조

[1] 뉴스 DGFEZ decided to make 2014 a quantum jump of investment attraction http://news.dgfez.go[...] dgfez eNewsMaker 2014-03-05
[2] 뉴스 DGFEZ Strives to Become Hub in Northeast Asia http://www.koreaitti[...] Korea IT Times 2009-07-08
[3] 뉴스 Daegu Gyeongbuk Free Economic Zone Authority, Choi Byung Rok is inaugurated as Commissioner http://iij.co.kr/pri[...] Iij.co.kr 2011-08-13
[4] 뉴스 DGFEZ adjusts districts http://news.dgfez.go[...] dgfez eNewsMaker 2011-01-07
[5] 웹사이트 Invest Daegu - KOREA http://www.ikjournal[...] 2022-01-14
[6] 뉴스 US solar firm to invest $320 mil. in Daegu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2-05-06
[7] 웹사이트 "Developing DGFEZ's Gyeongsan District | DGFEZ Blog" http://dgfez.com/201[...] Dgfez.com 2013-03-07
[8] 뉴스 Daegu International School begins Monda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0-08-17
[9] 뉴스 Dassault Systèmes to Open R&D Center in Korea in April http://www.3ds.com/c[...] 3ds.com 2010-03-12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ikjournal[...] 2022-01-14
[11] 웹사이트 S0104 http://www.dgist.ac.[...]
[12] 뉴스 Daegu Attracts Hyundai Investment in Auto Parts http://www.energyplu[...] Trade Daegu 2011-03-16
[13] 웹사이트 Invest Daegu - KOREA http://www.investkor[...]
[14] 웹사이트 ▒▒▒ eGovFrame Potal 온라인 지원 포탈 ▒▒▒ http://english.daegu[...]
[15] 웹사이트 2 cities win bid to build medical complexes http://joongangdaily[...] 2010-03-26
[16] 뉴스 Boeing Holds Groundbreaking for BAMRO http://www.koreaitti[...] Korea IT Times 2013-12-04
[17] 뉴스 Boeing to Establish Avionics Maintenance, Repair and Overhaul Center in Korea http://boeing.mediar[...] Boeing.mediaroom.com 2012-09-03
[18] 뉴스 First Foreign Investment Company in FEZ, Daicel Makes History http://invest.gb.go.[...] Invest.gb.go.kr 2012-08-08
[19] 웹사이트 http://www.investk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