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스터블 백조 장신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1965년 던스터블 수도원 터에서 발굴된 중세 시대의 리버리 배지(귀족 가문이나 지지 세력을 나타내는 장신구)로, 금과 흰색, 붉은색 법랑으로 제작되었다. 1400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런던 또는 파리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 백조는 랭커스터 왕가의 상징으로 사용되었으며,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16세기 수도원 해산 당시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영국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중세 잉글랜드 귀족 사회와 장미 전쟁 등 당시 정치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지 - 김일성 배지
김일성 배지는 김일성의 초상이 담긴 배지로, 북한 주민이 의무적으로 착용하며 사회적 지위와 충성심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표식이다. - 배지 - 모장 (표장)
모표는 군대, 경찰, 공무원, 민간 조직에서 소속과 지위를 나타내기 위해 모자에 부착하는 배지로, 각 조직은 고유한 디자인을 사용하며 군대의 경우 소속 부대와 계급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다. - 고니속 - 혹고니
혹고니는 유라시아 원산의 대형 물새로, 흰색 깃털과 주황색 부리, 검은 혹이 특징이며, 호전적인 성향과 강한 영역 의식을 가지고 있어 사람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고, 유럽에서 식용으로 사육되었으며 현재는 왕실 보호를 받지만 북아메리카 등지에서는 침입종으로 관리된다. - 고니속 - 흑고니
오스트레일리아 고유종인 흑고니는 검은 깃털과 붉은 부리를 가지며 흰색 날개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목적인 초식성 새로, 관상용으로 전 세계에 도입되어 대한민국에서도 발견된다. - 금붙이 - 시은좌
시은좌는 기독교 예배에서 신성한 임재와 은혜를 구하는 특별한 의자 또는 공간으로, 구약성경의 언약궤 덮개에서 유래되었으며, 부흥 운동을 통해 널리 퍼져 신앙적인 결심을 촉구하고 기도를 이끄는 역할을 하며 설교 묵상과 공동체 의식 강화에 기여한다. - 금붙이 - 아가멤논 마스크
아가멤논 마스크는 하인리히 슐리만이 미케네 유적에서 발견한 금으로 제작된 장례용 가면으로, 아가멤논의 것이라고 명명되었으나 현재는 트로이 전쟁 시대보다 앞선 시대의 것으로 추정된다.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 | |
---|---|
작품 정보 | |
명칭 |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 |
종류 | 브로치 |
발견 장소 | 잉글랜드 베드퍼드셔 던스터블 |
발견 좌표 | 51°54′30″N 0°31′30″W |
재료 | 금 에나멜 보석 |
크기 | 높이 |
소장 | 대영박물관 |
등록 번호 | AF.2084 |
2. 중세 시대의 리버리 배지
중세 시대 귀족들은 가문의 문장이나 상징을 담은 리버리 배지를 제작하여 가신, 기사와 같은 추종자, 그리고 동맹에게 수여하였다. 이 배지는 착용자의 소속을 밝히고 지지하는 세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38][3] 특히 14세기 중반부터 15세기 말까지 잉글랜드는 서자 봉건제 아래 장미 전쟁과 같은 극심한 왕위 다툼과 파벌 간의 갈등이 끊이지 않았던 시기였다. 이러한 정치적 혼란 속에서 리버리 배지는 신분의 높고 낮음을 떠나 자신이 속한 파벌을 드러내는 중요한 상징물로 부각되었다.[39][4]
리버리 배지는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와 같이 귀금속과 보석으로 화려하게 만들어진 고급 형태부터, 천이나 납과 같은 저렴한 재료로 대량 생산된 형태까지 매우 다양했다. 고급 배지는 주로 가문의 핵심 인물이나 중요한 동맹에게 주어졌지만, 저렴한 배지는 때로는 오늘날의 정치 캠페인 홍보물처럼 매우 폭넓게 배포되기도 했다. 하지만 격렬한 파벌 대립 속에서 특정 가문의 배지를 착용하는 것은 때로는 위험한 일이기도 했다. 잘못된 장소에서 상대 파벌의 배지를 달고 있다가는 공격을 받거나 심각한 봉변을 당할 수 있었으며,[47][8][48][9] 이는 당시 리버리 배지가 지닌 정치적 무게감을 보여준다.
에드워드 3세 시기에는 주로 토너먼트나 궁정 행사 등에서 사용되었던 리버리 배지는 리처드 2세 치세에 이르러 점차 정치적 파벌의 상징으로 변모하면서 사회적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49][14] 영주들이 지급한 배지를 단 가신들이 위세를 부리며 불법적인 행동을 일삼는 경우가 잦아지자, 의회는 여러 차례 배지의 발행과 착용을 규제하려는 시도를 했다.[50][15] 1388년에는 국왕을 포함한 모든 배지 발행을 금지하자는 급진적인 주장까지 제기될 정도였다.[51][16] 이후 몇 차례 법률 제정을 통해 배지 사용을 제한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53][18] 큰 효과를 거두지 못했고, 헨리 4세 즉위 후에도 규제 시도는 계속되었다.[54][19] 결국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헨리 7세 시대에 이르러서야 국왕 외 인물의 리버리 배지 사용이 크게 제한되고 가신들에 한해 착용이 허용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2. 1. 리버리 배지의 형태와 종류
리버리 배지는 중세 시대 귀족들이 가신이나 기사 등 추종자들에게 자신의 상징 문양을 넣어 수여한 장신구이다. 추종자들은 이 배지를 착용하여 소속을 나타내거나 지지하는 세력을 표현했으며, 때로는 동맹 관계의 표시로 선물하기도 했다. 이러한 배지는 재질과 형태에 따라 크게 고급 배지와 저렴한 배지로 구분된다.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중세 시기 사용된 리버리 배지 중 현존하는 희귀한 고급 배지의 사례이다.[38] 이처럼 금, 보석, 법랑 등으로 정교하게 제작된 배지는 주로 옛 그림 속에서만 찾아볼 수 있으며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것은 드물다.[3]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를 제작한 귀족은 가족, 가까운 친척, 중요한 정치적 동맹, 혹은 측근 가신 등 핵심적인 추종자들에게만 이 배지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가 당대 최고 수준의 리버리 배지는 아니었다. 예를 들어, 1397년 작성된 리처드 2세의 장신구 목록에는 진주로 사슴을 장식하고 에메랄드로 풀밭을 묘사한 최고급 흰사슴 문양 배지가 기록되어 있다.[41] 또한, 부르고뉴 공작 선량공 필리프가 1435년에 받은 리처드의 사슴 배지에는 진주 22개, 첨정석 2개, 사파이어 2개, 루비 1개, 그리고 큰 다이아몬드가 박혀 있었다고 전해진다.[42] 내셔널 갤러리가 소장한 15세기 초상화에 등장하는 요크가의 존 돈 경 부부가 착용한, 화려한 보석으로 장식된 사자 모양 펜던트 역시 최고급 배지의 예시이다.[40][5] 던스터블 백조 배지는 이러한 최고급 배지들과 비교했을 때 장식 면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저렴한 형태의 배지는 훨씬 더 많이 제작되어 널리 배포되었으며, 때로는 오늘날의 정치 캠페인 배지나 티셔츠처럼 대량으로 배부되기도 했다.[4] 이러한 저렴한 배지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1483년 리처드 3세는 아들 에드워드의 웨일스 공 책봉을 기념하여 자신의 상징인 멧돼지 문양을 면직물의 일종인 퓨스티언 천에 새긴 배지를 13,000개 이상 주문했다.[43][10] 이는 당시 인구를 고려할 때 상당한 수량이었다. 리처드 3세의 멧돼지 배지는 천 외에도 납, 은, 금 도금 구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작되었다.[44][11] 리처드 3세의 근거지였던 요크셔 미들햄성에서는 그가 글로스터 공작 시절 가신에게 주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리 합금 멧돼지 배지가 발견되기도 했다.[45][12] 영국 박물관에는 납을 평평하게 눌러 백조 모양을 돋을새김한 배지도 소장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순례자들이 주로 착용하던 순례자 배지와 유사한 형태의 값싼 금속 배지이다.[46][13]
2. 2. 리버리 배지의 정치적 의미
리버리 배지는 중세 잉글랜드 귀족들이 가신이나 지지자들에게 소속과 충성을 나타내기 위해 수여한 상징물이었다. 착용자는 이 배지를 통해 자신이 섬기는 가문이나 지지 세력을 드러냈으며, 때로는 동맹의 표시로 선물하기도 했다. 특히 14세기 중반부터 15세기 말까지 장미 전쟁과 같은 극심한 정치적 갈등이 있었던 서자 봉건제 시기에는, 신분의 높고 낮음을 막론하고 많은 이들이 자신이 지지하는 파벌의 배지를 착용했다. 이는 파벌 간의 대립을 시각적으로 드러내고 때로는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었다.[39][4]그러나 리버리 배지 착용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위험을 초래하기도 했다. 1377년, 당시 섭정이자 인기가 없었던 존 곤트의 가신 존 스윈튼 경은 곤트의 배지가 달린 리버리 칼라를 착용하고 런던을 지나다 반감을 품은 군중에게 공격받았다. 그는 말에서 끌어내려지고 배지를 빼앗겼으며, 런던 시장의 개입으로 간신히 화를 면했다.[47][8] 20년 후, 곤트의 아들 헨리 4세가 리처드 2세를 폐위시키고 왕위에 올랐을 때, 여전히 리처드의 배지를 착용한 가신을 발견하고 투옥시킨 일도 있었다.[48][9] 런던의 템스강 바닥에서 다수의 리버리 배지가 발견되는데, 이는 정치적 격변기에 신변의 위협을 느낀 사람들이 급히 버린 것으로 추정된다.[48][9]
리버리 배지는 본래 에드워드 3세 시대에는 토너먼트 수상이나 궁정 행사 기념 등 비교적 정치색이 옅은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리처드 2세 치세에 이르러 파벌의 상징으로 변질되면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49][14] 영주들은 자신의 사병들에게 배지를 지급하여 위세를 과시했지만, 배지를 단 수하들이 그 권위를 등에 업고 지역 주민을 괴롭히거나 불법 행위를 저지르는 일이 잦았다. 이러한 폐단으로 인해 의회는 리버리 배지 사용을 규제하고자 여러 차례 시도했다.[50][15]
1384년 의회는 영주들의 무분별한 배지 발행을 비판했으며, 1388년에는 국왕을 포함한 모든 리버리 배지를 폐지하자는 주장까지 제기되었다.[51][16] 의회는 배지를 착용한 자들이 "너무나 오만하게 날뛰며 주변 시골에서 다양한 종류의 강탈을 무모하게 자행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배지가 불법 행위를 조장한다고 지적했다.[52][17] 리처드 2세는 하원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배지를 포기하겠다고 밝혔으나, 귀족들로 구성된 상원은 자신들의 특권을 지키려 했기에 문제는 쉽게 해결되지 않았다. 1390년에는 베너릿 기사 이하 계급의 배지 발행을 금지하고, 에스콰이어 이상만 착용하도록 하는 법이 제정되었다.[53][18]
하지만 이러한 법률은 제대로 지켜지지 않았고, 리처드 2세 역시 신분이 낮은 자신의 직속 부대원들에게 배지를 계속 지급하는 등 규제를 무시하는 모습을 보였다.[19] 1399년 리처드 2세가 폐위되고 헨리 4세가 즉위한 후, 의회는 다시 한번 국왕만이 배지를 발행할 수 있고 에스콰이어 이상만 착용 가능하다는 법을 통과시켰다.[54][19] 그럼에도 리버리 배지의 남용은 쉽게 근절되지 않았으며, 결국 헨리 7세가 강력한 정책을 시행하여 국왕 외 인물의 리버리 배지 사용을 대폭 금지하고, 주로 가신들만 착용하도록 제한하면서 리버리 배지 관행은 점차 쇠퇴했다.
3. 백조 배지의 상징과 의미
백조가 배지(badge)로 널리 사용된 배경에는 중세 유럽의 백조 기사 전설이 있다. 이 전설은 여러 귀족 가문이 백조를 자신들의 상징으로 삼는 계기가 되었으며, 잉글랜드에서는 특히 드 보훈 가문을 거쳐 랭커스터 왕가의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55] [20]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제작된 리버리 배지(Livery badge)의 희귀하고 매우 정교한 사례로 평가받는다.[3]
리버리 배지는 특정 인물이나 가문의 문장을 나타내는 상징물로, 이를 착용함으로써 소속감이나 충성심을 드러내는 역할을 했다. 특히 14세기 중반부터 15세기 말까지 사생 봉건주의(Bastard feudalism)가 성행했던 잉글랜드에서는 이러한 배지가 널리 사용되었다. 이 시기는 리처드 2세의 폐위와 장미 전쟁 등으로 정치적 갈등이 격화되었던 때로, 리버리 배지는 각 파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수단이었다.[4]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와 같이 값비싼 재료와 정교한 세공으로 만들어진 배지는 해당 가문의 수장이나 가족, 또는 매우 가까운 고위 측근들만이 착용할 수 있었다. 물론 이 장신구에도 루비 눈과 같은 보석 장식은 없는데, 이는 한스 멤링의 초상화에 그려진 존 던 경 부부가 착용한 사자 펜던트나[5] 1397년 리처드 2세의 보물 목록에 기록된 몇몇 최고급 배지에서 볼 수 있는 극도의 사치에는 미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윌턴 이중 제단화''에 그려진 리처드 2세 자신의 흰 사슴 배지에는 천사들이 착용한 배지에는 없는 진주 장식이 뿔 끝에 달려 있으며, 보물 목록에 따르면 에메랄드로 만든 풀밭 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6] 1435년 부르고뉴 공작 필리프 3세가 소유했던 리처드의 사슴 배지에는 진주 22개, 스피넬 2개, 사파이어 2개, 루비 1개, 그리고 거대한 다이아몬드가 박혀 있었다고 전해진다.[7]
반면, 천이나 값싼 금속으로 만든 저렴한 형태의 배지는 훨씬 더 많은 수의 지지자나 고용인에게 널리 배포되었다. 이는 오늘날의 정치 캠페인 배지나 티셔츠와 유사하게 사용되기도 했으나, 때로는 위험을 초래하기도 했다. 1377년, 곤트의 존의 봉신 중 한 명인 존 스윈턴 경은 곤트의 백조 배지를 단 리버리 칼라를 착용하고 런던을 지나가다가 반(反)곤트 성향의 군중에게 습격당해 말에서 끌어내려지고 배지를 빼앗기는 봉변을 당했다.[8] 또한 리처드 2세를 폐위시킨 헨리 4세는 리처드의 리버리 배지를 계속 착용한 하인을 투옥하기도 했다. 런던 템스강 바닥에서 발견된 다수의 리버리 배지들은 당시 정치적 상황 변화에 따라 급하게 버려진 것들로 추정된다.[9] 1483년 리처드 3세는 아들 에드워드의 웨일스 공 서임식을 위해 자신의 문장인 멧돼지가 새겨진 천 배지 13,000개를 주문하기도 했는데, 이는 당시 인구를 고려할 때 엄청난 수량이었다.[10] 멧돼지 배지는 납, 은,[11] 금박을 입힌 구리 등 다양한 재질로도 제작되었다.[12] 대영 박물관에는 납으로 만든 평평한 백조 배지도 소장되어 있는데, 이는 당시 흔했던 순례자 배지와 유사한 형태의 저렴한 금속 배지이다.[13]
원래 에드워드 3세 시대의 토너먼트나 궁정 축제 등 비교적 평화로운 행사에서 시작된 리버리 배지 문화는 그의 손자인 리처드 2세 시대에 이르러 심각한 사회 문제로 비화되었다.[14] 귀족들이 자신들의 사병(私兵)처럼 거느린 봉신들에게 배지를 달게 하여 위세를 과시하고, 이를 이용해 지역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며 때로는 폭력을 행사하는 일이 잦았기 때문이다. 의회는 이러한 리버리 배지의 폐해를 막기 위해 여러 차례 규제를 시도했다.[15] 1388년 의회에서는 왕을 포함한 모든 영주의 배지를 폐지하자는 급진적인 주장까지 나왔다.[16] 그 이유는 배지를 착용한 자들이 "너무나 오만하게 날뛰며 주변 시골에서 다양한 종류의 강탈을 무모하게 자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지에서 영감을 받은 대담함이 그들이 이러한 일을 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17] 리처드 2세는 잉글랜드 하원의 요구에 따라 자신의 배지를 포기하겠다고 제안했지만, 잉글랜드 상원의 귀족들이 반대하여 무산되었다. 결국 1390년에는 기사 계급 이하의 영주는 배지를 발행할 수 없고, 지주 계급 이하는 배지를 착용할 수 없다는 제한적인 조치만 내려졌다.[18] 그러나 리처드 2세는 통치 말기에 오히려 배지 발행을 남발했으며, 특히 그의 사병 조직인 "체셔 궁수"는 악명이 높았다. 1399년 리처드 2세가 폐위된 후, 새로운 왕 헨리 4세는 왕만이 배지를 발행할 수 있으며, 지주 이상의 신분에게만, 그것도 왕의 면전에서만 착용할 수 있도록 법으로 규제했다.[19] 최종적으로 헨리 7세가 강력한 정책을 통해 왕 이외의 귀족들이 리버리 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거의 근절시키면서, 리버리 배지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단순한 장신구를 넘어, 중세 후기 잉글랜드의 복잡한 정치·사회적 상황 속에서 가문의 정체성, 충성심, 그리고 때로는 갈등과 폭력까지 상징했던 리버리 배지 시스템의 중요한 단면을 보여주는 유물이라 할 수 있다.
3. 1. 백조 기사 전설과 랭커스터 왕가

백조가 배지(badge)로 널리 사용된 것은 백조 기사 전설 때문이다. 이 이야기는 오늘날 라하르트 바그너의 오페라 로엔그린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구 프랑스어 chansons de geste|샹송 드 제스트fro 십자군 연대기는 이 전설을 제1차 십자군의 영웅 고드프루아 드 부용(1100년 사망)의 조상들과 연관시켰다. 고드프루아 드 부용 자신은 직계 후손이 없었지만, 그의 가문은 유럽 귀족들 사이에 많은 후손을 두었고, 이들 중 다수가 백조를 가문의 문장이나 상징으로 사용하게 되었다.
영국에서 백조를 가문의 문장으로 사용한 대표적인 예는 드보운 가문이다. 이들은 소위 보운 백조를 문장 배지로 사용했는데, 이 백조는 목에 사슬이 달린 왕관을 걸고 있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1380년, 메리 드 보훈(1394년 사망)이 훗날 헨리 4세가 되는 헨리 볼링브록과 결혼하면서, 백조 문양은 랭커스터 왕가에 의해 채택되어 1세기 이상 사용되었다.[55] [20] 특히 왕관과 사슬이 달린 백조는 랭커스터 왕가와 밀접하게 연관되었으며, 이는 1390년부터 리처드 2세가 자신의 리버리 배지로 사용하기 시작한 흰 사슴 문양의 왕관과 사슬을 연상시킨다.[56] [21] 실제로 리처드 2세의 1397년 보물 목록에는 자신의 흰 사슴 배지 외에도, 목에 금 사슬을 두른 백조 배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물목, 흰 법랑을 입히고 목에 금사슬이 달린 금제 백조, 무게 2 온스, 값 46 실링 8 데나리우스"로 기록되어 있으며,[57] [22] 리처드 2세가 정치적 화해의 표시로 그의 삼촌들과 배지를 교환했음을 시사한다.
1399년 헨리 4세가 왕위에 오른 후, 백조 상징은 그의 아들이자 후계자인 헨리 5세(당시 웨일스 공)에게 이어졌다. 헨리 5세의 웨스트민스터 사원 무덤에도 백조 문양이 새겨져 있다. 백조 문양은 다음 세대로 계승되어 헨리 6세의 아들인 웨스트민스터의 에드워드(랭커스터 공작)도 사용하였으나, 그는 1471년 튜크스베리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하지만 그의 어머니인 앙주의 마거릿은 1459년에 "체셔의 모든 젠트리"에게 백조 리버리 배지를 줄 것을 요구하며, 장미 전쟁 중에도 랭커스터 왕가의 권리를 포기하지 않았음을 분명히 했다. 그녀가 만들려 했던 백조 배지의 정확한 형태는 알려져 있지 않다.[58] [23]
랭커스터 왕가 외에도 다른 가문들이 백조 문양을 사용했는데, 이는 종종 랭커스터 가문에 대한 지지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워릭 백작 보샹 가문은 랭커스터 파벌의 주요 지지자로서 백조 문양을 사용했다. 메리 드 보훈의 여동생인 엘리노르 드 보훈은 에드워드 3세의 막내아들이자 역시 랭커스터 지지자였던 우드스톡의 토머스와 결혼했으며, 그의 후손인 스태퍼드 남작 가문도 백조 배지를 사용했다. 메리와 엘리노르는 거대한 보훈 영지의 공동 상속인이었기 때문에, 이 영지의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은 여러 세대에 걸쳐 계속되었다.[59] [24] 보훈 가문의 상속권을 주장하고 나아가 왕위까지 넘보려 했을 가능성이 있는 제2대 버킹엄 공작 헨리 스태포드는 자신이 보샹 가문, 엘리노르 드 보훈, 우드스톡의 토머스, 그리고 곤트의 존 모두와 연결된 후손임을 강조하기 위해 왕관과 사슬이 달린 백조를 자신의 배지로 사용했다. 그는 1483년 리처드 3세에 의해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3. 2. 다른 가문의 백조 배지
백조 배지는 랭커스터 왕가 외에 다른 가문에서도 사용되었다. 백조는 워릭 백작 보샴 가문의 문장(crest)이었으며, 토마스 드 보샴, 워릭 백작 12세(1401년 사망)는 랭커스터 파벌의 주요 지지자였다.[24] 메리 드 보훈의 여동생인 엘레오노르 드 보훈은 1376년 에드워드 3세의 막내아들이자 역시 랭커스터파의 주요 인물이었던 우드스톡의 토마스, 글로스터 공작 1세(1397년 사망)와 결혼했다. 이 결혼을 통해 글로스터 공작의 후손인 스태퍼드 남작 가문 역시 백조 배지를 사용하게 되었다.[24]메리와 엘레오노르는 거대한 보훈 영지의 공동 상속인이었기 때문에, 이 영지의 소유권을 둘러싼 분쟁은 다음 세기 후반까지 이어졌다. 그들의 후손들은 백조 배지를 사용함으로써 보훈 가문의 혈통을 계속 주장하려 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 시기에는 장미 전쟁으로 인해 많은 후손들이 사망했다.[24]
버킹엄 공작 2세 헨리 스태퍼드는 보샴 가문, 엘레오노르 드 보훈, 우드스톡의 토마스, 곤트의 존의 후손으로, 왕관과 사슬이 달린 백조를 자신의 배지로 사용했다. 그는 보훈 영지를 차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했으며, 왕위를 차지하려는 계획까지 세웠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그는 1483년 리처드 3세에 의해 처형되었다.[24]
4.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140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과 법랑으로 만들어진 백조 모양의 리버리 배지이다. 흰색 법랑을 입체적으로 조각하는 en ronde bosse|엉 롱드 보스프랑스어 기법으로 만들어졌으며, 현재 대영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장신구는 프랑스의 베리 공작 장이 사용했던 백조 문양 장신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베리 공작은 성스러운 가시 유물함이나 ''골데네스 뢰슬''과 같이 당대 최고의 흰색 법랑 작품들을 주문한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장신구 역시 그의 의뢰로 파리에서 제작되어 선물 등의 형태로 잉글랜드로 전해졌을 가능성이 있다.[25] 혹은 잉글랜드 왕족, 예를 들어 헨리 4세나 그의 아들(미래의 헨리 5세)이 의뢰했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파리에서 제작되었을 수 있지만,[25] 당시 런던의 금세공인들이 왕실을 위해 유사한 작품을 제작했다는 기록도 있어 런던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26][27] 제작 시기는 여러 정황상 "1400년경"으로 폭넓게 추정된다.[28]
이 장신구는 1965년, 던스터블에 위치했던 던스터블 수도원 터의 발굴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수도원 해산 이후 건물 파괴 시 남겨진 잔해 속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32] 발견 이후 1966년 대영박물관이 구입하였으며,[34][35] 현재 박물관 40호실에 전시되어 있다.
4. 1. 제작 시기와 장소
전문가들은 이 장신구의 정확한 제작 시기를 "약 1400년"으로 추정하는데,[28][62] 이는 장신구의 양식만으로는 제작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28] 백조 목에 걸린 왕관 달린 사슬 목걸이를 고려할 때, 가장 이른 제작 시점은 미래의 헨리 4세와 메리 드 보훈이 결혼한 1380년 이후로 볼 수 있다.[28][62] 그러나 헨리 4세가 왕위에 오른 1399년 이후, 그의 아들인 웨일스 공 헨리 5세가 이 백조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한 시기가 더 유력한 제작 시점으로 여겨진다.[28][62]제작 시기의 상한선, 즉 terminus ante quem|테르미누스 안테 퀨la을 정하는 것은 더 어렵다. 흰색 법랑을 입체적으로 조각하는 en ronde bosse|엉 롱드 보스프랑스어 기법은 1430년대 이후 유행이 줄어들었으므로[30][64], 이보다는 이른 시기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64] 또한, 1413년 헨리 5세가 왕위를 계승한 이후 1454년까지 웨일스 공 자리가 비어 있었기 때문에, 이 장신구는 1413년 이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4] 부리에 사용된 붉은색 법랑과 같이 여러 색상을 추가하는 어려운 기술은 1400년경 파리에서 완성된 기법이다.[29][63]
제작 장소로는 프랑스 파리와 잉글랜드 런던 두 곳이 거론된다. 파리가 제작 장소일 가능성은 장 1세 드 베리 공작과의 관련성 때문이다. 그는 1400년경 유사한 백조 문양 장신구를 사용했으며, 대영박물관에 소장된 성스러운 가시 유물함이나 루브르 박물관의 골데네스 뢰슬과 같이 en ronde bosse|엉 롱드 보스프랑스어 기법으로 만들어진 뛰어난 흰색 법랑 작품들을 주문한 인물이다.[25][60] 만약 베리 공작이 이 장신구를 주문했다면 거의 확실히 파리에서 제작되어 선물 등의 형태로 잉글랜드로 전해졌을 것이다.[25][60] 잉글랜드 왕족이 의뢰했을 경우에도 파리에서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25]
반면, 런던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당시 런던의 금세공인들이 왕실을 위해 흰색 법랑 작품을 제작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으며[26][61],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있는 일부 유물함도 런던에서 제작되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있다.[26] 또한 잉글랜드에 남아있는 다른 작은 보석류 중 일부는 런던의 현지 장인이나 당시 런던에서 활동했던 외국인 금세공인이 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27][61]
4. 2. 역사적 배경과 의의
던스터블은 런던에서 북쪽으로 약 약 48.28km 떨어진 곳에 위치하며, 고대 도로인 와틀링 가도와 이크닐드 가도가 만나는 교차점으로 중세 시대 교통의 요지였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 때문에 고위 귀족들이 자주 왕래하였고, 적어도 1340년대까지는 토너먼트가 자주 열렸다. 장미 전쟁 시기인 1459년과 1461년에는 랭커스터 군대가 이곳에 주둔하기도 했다.[65][31]이 장신구는 16세기 잉글랜드 종교개혁 당시 단행된 수도원 해산 과정에서 던스터블 수도원이 파괴될 때 남겨진 잔해 속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정된다.[66][32] 수도원이 해체될 때까지는 지상에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 금 자체의 가치를 고려할 때 누군가 급히 숨겼을 가능성도 제기된다.[67][33] 1965년 던스터블 수도원 터 발굴 과정에서 세상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고, 1966년 영국 박물관이 5000GBP에 구입하였다. 구입 비용 중 666GBP는 예술 기금(당시 NACF)의 지원금이었으며,[68][34] 나머지는 자선 단체인 필그림 트러스트와 시티오브런던의 전통적인 금공예 길드인 워십풀 컴퍼니 오브 골드스미스의 기부로 마련되었다.[69][35] 현재 영국 박물관 40호실에 전시되어 있다.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1400년경 프랑스의 베리 공작 장이 사용했던 백조 문양 장신구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베리 공작은 성스러운 가시 유물함이나 ''골데네스 뢰슬''과 같이 흰색 에나멜을 사용한 당대 최고의 작품들을 의뢰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장신구 역시 그의 의뢰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그렇다면, 장신구는 파리에서 제작되어 선물 등의 형태로 잉글랜드로 전해졌을 것이다.[25] 잉글랜드 왕족이 의뢰했을 경우에도 파리에서 제작되었을 수 있지만, 당시 런던의 금세공인들이 왕실을 위해 흰색 에나멜 작품을 제작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현재 루브르 박물관에 소장된, 흰색 en ronde bosse프랑스어 에나멜 조각이 다수 포함된 유물함 역시 런던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6] 잉글랜드에는 런던에서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작은 보석들이 일부 남아 있으며, 이는 현지 금세공인이나 런던에서 활동했던 외국인 금세공인에 의해 만들어졌을 수 있다.[27]
전문가들은 이 장신구의 제작 시기를 "1400년경"으로 폭넓게 추정한다.[28] 이는 장신구의 양식만으로는 정확한 제작 연대를 특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백조 문양이 왕가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장 이른 시점은 미래의 헨리 4세와 메리 드 보훈의 결혼 이후로 볼 수 있다. 특히 헨리 4세가 왕위를 차지한 1399년 이후, 그의 아들(미래의 헨리 5세)이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했을 시기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여러 색상의 에나멜을 결합하는 고난도의 en ronde bosse프랑스어 기법은 1400년경 파리에서 완성되었으며,[29] 1430년대 이후로는 유행이 점차 줄어들었다는 점(terminus ante quemla)도 시기 추정에 고려된다.[30] 또한, 1413년 헨리 5세가 왕위에 오른 후 1454년까지 웨일스 공 작위가 공석이었다는 점도 제작 시기와 관련된 중요한 맥락이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 때, 던스터블 백조 장신구는 중세 후기 잉글랜드 귀족 사회의 상징 체계와 정치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유물로 평가받는다.
참조
[1]
문서
BM Highlights
[2]
문서
Stratford says "pink"; Cherry (2010), 26, says "red".
[3]
문서
BM Highlights
[4]
문서
Steane, 132–134
[5]
문서
Campbell, Lorne, 380
[6]
웹사이트
Miscellaneous gold objects
http://www.history.a[...]
[7]
문서
Campbell, Marian in Alexander & Binski, 524
[8]
웹사이트
Richard II's life and reign
http://www.history.a[...]
[9]
문서
Steane, 132
[10]
문서
Cherry (2003), 204
[11]
뉴스
BBC article on silver boar badge
https://www.bbc.co.u[...]
[12]
문서
Cherry (2003), 204; no. 69
[13]
문서
Cherry (2003), 203; no. 68a
[14]
문서
Given-Wilson, 123. See also Castor's "Introduction" for a wider survey of the retainer issue and its recent historiography.
[15]
문서
Given-Wilson, 126
[16]
문서
Brown, 117
[17]
문서
Given-Wilson, 125
[18]
문서
Brown, 117
[19]
문서
Given-Wilson, 126. For the Cheshire retinue, Castor, 10-14.
[20]
문서
Stratford; Cherry (2003), 204
[21]
문서
BM database
[22]
문서
Stratford
[23]
문서
Cherry (2003), 205; he mistakenly calls Edward "Henry"
[24]
문서
Stratford
[25]
문서
By John Cherry in his original article on the jewel in 1969. See Platt, 183, and Steane, 131. However, Cherry's later, briefer, references do not mention this theory.
[26]
웹사이트
Tableau of the Trinity
http://www.louvre.fr[...]
2011-06-15
[27]
문서
Stratford
[28]
문서
BM Highlights and collection database, all three Cherry works etc.
[29]
문서
Tait, 26
[30]
문서
Tait, 26
[31]
문서
Platt, 183
[32]
문서
Matthews, 22-23
[33]
문서
BM database
[34]
웹사이트
Art Fund page
http://www.artfund.o[...]
[35]
문서
BM database
[36]
문서
BM Highlights
[37]
인용
[38]
문서
BM Highlights
[39]
인용
[40]
인용
[41]
웹사이트
Miscellaneous gold objects
http://www.history.a[...]
Stratford
[42]
인용
[43]
인용
[44]
뉴스
BBC article on silver boar badge
https://www.bbc.co.u[...]
[45]
인용
[46]
인용
[47]
웹사이트
Richard II's life and reign
http://www.history.a[...]
Stratford
[48]
인용
[49]
인용
[50]
인용
[51]
인용
[52]
인용
[53]
인용
[54]
인용
[55]
인용
[56]
데이터베이스
BM database
[57]
문서
Stratford
[58]
인용
[59]
문서
Stratford
[60]
인용
[61]
문서
Stratford
[62]
문서
BM Highlights and collection database, all three Cherry works etc.
[63]
인용
[64]
인용
[65]
인용
[66]
인용
[67]
데이터베이스
BM database
[68]
웹사이트
Art Fund page
http://www.artfund.o[...]
[69]
데이터베이스
BM data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