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덤불해오라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덤불해오라기는 1789년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이 처음 학명을 부여한 조류로, 현재는 Botaurus 속으로 분류된다. 담수 늪과 습지에 서식하며, 갈대밭에 둥지를 짓고 4~6개의 연한 청록색 알을 낳는다. 덤불해오라기는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여러 지역에 분포하며, 한국에서는 여름 철새로 관찰된다. 곤충, 물고기, 양서류 등을 먹고 살며,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환경부 적색 목록에서 준위협종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싱가포르의 새 - 바다제비
    바다제비는 몸길이 13~25cm의 작은 바닷새로, 검은색 부리와 흑갈색 깃털을 가지며, 한국의 독도 등에서 번식하고 어류와 갑각류를 먹으며, 슴새류와 쥐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본에서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싱가포르의 새 - 붉은배새매
    붉은배새매는 동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동남아시아에서 월동하는 수리과의 철새로, 수컷은 회색 등과 흰색 배, 붉은색 눈을, 암컷은 적갈색 가슴과 노란색 눈을 가지며, 평지나 낮은 산의 삼림에 서식한다.
  • 브루나이의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브루나이의 새 - 팔색조
    팔색조는 물총새과에 속하며 일곱 가지 색깔의 깃털을 가진 철새로, 동북아시아에서 번식하고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스리랑카의 새 - 쏙독새
    숲쏙독새는 쏙독새목 쏙독새과에 속하며 회색 몸통과 검은 줄무늬 머리, 독특한 울음소리를 내는 야행성 새로, 수컷은 흰색, 암컷은 붉은색 목덜미 반점을 가지며 인도와 스리랑카에서 번식한다.
  • 스리랑카의 새 - 구관조
    구관조는 찌르레기과에 속하며 사람의 말을 흉내 내는 능력으로 애완동물로 인기가 높고 인도 동부에서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필리핀 등지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가 감소하여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덤불해오라기 - [생물]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분류
상태관심 필요 (LC)
생물학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사다새목
아목사기아목 (Ardeae)
사기과 (Ardeidae)
아과산카노고이아과 (Botaurinae)
요시코이속 (Ixobrychus)
요시코이 (I. sinensis)
학명Ixobrychus sinensis
학명 명명자Gmelin, 1789년
명칭
한국어덤불해오라기, 요시코이
영어Chinese little bittern, Yellow bittern
외형
덤불해오라기 수컷
덤불해오라기 수컷
덤불해오라기 암컷
덤불해오라기 암컷
분포
B. sinensis 분포도
B. sinensis 분포도 [[파일:Ixobrychus sinensis map.svg|center|300px]] 노란색: 번식 범위, 초록색: 연중 서식 범위, 파란색: 비번식 범위
식별자
위키생물종Ixobrychus sinensis
분류군 식별자Q888536

2. 분류

덤불해오라기는 1789년 요한 프리드리히 그멜린이 그의 개정 및 확장판인 ''자연의 체계''에서 ''Ardea sinensis''라는 학명으로 처음 기술하였다.[2] 그멜린은 영국의 조류학자 존 래덤이 그의 책 ''A General Synopsis of Birds''에 포함시킨 "중국 해오라기"를 기반으로 기술하였는데, 래덤은 중국 그림 컬렉션을 참고하였다.[3]

덤불해오라기는 이전에는 ''Ixobrychus'' 속에 속해 있었다. 그러나 2023년에 발표된 해오라기과(Ardeidae)의 분자 계통 발생 연구에 따르면, ''Ixobrychus''는 측계통군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단일 계통군 속을 만들기 위해 ''Ixobrychus''는 1819년 영국의 박물학자 제임스 프랜시스 스티븐스가 소개한 ''Botaurus'' 속으로 병합되었다.[4][5][6] ''Botaurus''는 덤불해오라기를 뜻하는 중세 라틴어이다. 종소명 ''sinensis''는 신 라틴어로 "중국산의"라는 뜻이다.[7] 덤불해오라기는 단형종으로,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5]

3. 분포 및 서식지

덤불해오라기는 인도, 인도네시아, 오만, 캄보디아, 싱가포르, 스리랑카, 솔로몬 제도, 태국,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파키스탄, 파푸아뉴기니, 팔라우, 방글라데시, 필리핀, 브루나이, 베트남, 마셜 제도, 말레이시아, 미크로네시아 연방, 몰디브, 라오스,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10]

주로 담수 늪, 습지, 호수, 연못, 논 등에서 발견되며, 특히 갈대밭을 선호한다.[10][12][14] 일본에서는 여름 철새이지만, 혼슈 중부 이남에서는 월동하기도 한다.

비스바덴 박물관 소장 알

3. 1. 한국의 덤불해오라기

한국에서는 여름 철새로, 전국 각지의 습지에서 관찰된다. 1918년 이동조류 조약에 따라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16][17]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환경부 적색 목록에는 준위협종(NT)으로 분류되어 있다.

4. 형태

몸길이는 31cm에서 38cm이며, 날개 편 길이는 53cm이다. 윗면은 갈색, 아랫면은 옅은 황색이다. 작은 덮깃, 중간 덮깃, 큰 덮깃은 옅은 갈색이고, 첫째 날개덮깃과 날개깃은 검다. 홍채는 노란색이며, 부리는 오렌지색을 띤 노란색이다.

어린 새는 아랫면이 흰색이며, 온몸에 갈색 세로줄이 있다. 수컷은 이마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푸른 기운이 도는 검은색이며, 목에서 가슴까지 불분명한 옅은 갈색 세로줄이 1개 있다. 암컷은 이마에서 머리 꼭대기까지 붉은 갈색이며, 이마에 어두운 색의 세로줄이 있는 개체도 있고, 목에서 가슴까지 불분명한 갈색 세로줄이 5개 있다.

5. 생태

덤불해오라기는 단독 또는 쌍으로 생활하며, 주로 해 질 녘이나 새벽녘에 활동하는 박명박모성이다. 습원, 호수, 연못, , 등에 서식하며, 특히 갈대밭에 주로 서식하는 것이 이름의 유래이다. 트인 장소에는 나타나지 않고 갈대밭을 낮게 날아다니며 먹이를 찾는다. 위험을 느끼면 위를 쳐다보며 목을 뻗고 정지하거나 좌우로 흔들어 의태한다.[15]

물속의 물고기를 포식하기 위해 목을 뻗고 있다.


주로 어류, 양서류, 곤충, 갑각류 등을 먹는다. 물가나 식물 줄기 사이에서 먹이를 매복하고 있다가, 지나가는 먹이를 목을 뻗어 포식한다.[15]

5. 1. 번식

번식 형태는 난생이다. 줄기나 잎을 묶어 만든 접시 모양의 둥지에 3-7개의 알을 낳는다. 일본에서는 5-8월에 번식한다. 암수 교대로 알을 품으며, 포란 기간은 17-20일이다. 새끼는 부화 후 약 15일 만에 둥지를 떠난다.

6. 보전 상태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는 IUCN 적색 목록에 최소관심종(LC)으로 등재되어 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군 감소가 우려된다. 일본 환경성 적색 목록에는 준위협종(NT)으로 등재되어 있다.

7. 인간과의 관계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참조

[1] iucn "''Ixobrychus sinensis''" 2021-10-25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Georg Emanuel Beer
[3] 서적 A General Synopsis of Birds https://www.biodiver[...] Printed for Leigh and Sotheby
[4] 학술지 Ultraconserved elements resolve the phylogeny and corroborate patterns of molecular rate variation in herons (Aves: Ardeidae) 2023
[5] 웹사이트 Ibis, spoonbills, herons, Hamerkop, Shoebill, pelica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4-08-20
[6] 학술지 Sixty-fifth Supplement to the American Ornithological Society’s Check-list of North American Birds 2024
[7]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Christopher Helm
[8] 서적 A photographic guide to birds of Sri Lanka http://archive.org/d[...] London : New Holland 2008
[9] 웹사이트 Ixobrychus sinensis, Yellow bittern https://www.thainati[...] 2024-04-01
[10] 웹사이트 HeronConservation » Yellow Bittern https://www.heroncon[...] 2024-04-01
[11] 서적 Phillipps Field Guide To The Birds Of Borneo http://archive.org/d[...] John Beaufoy Publishing 2010-01-07
[12] 서적 The birds & bats of Palau http://archive.org/d[...] Honolulu, HI : Mutual Pub. 2008
[13] 웹사이트 Yellow Bittern https://singaporebir[...] 2024-04-01
[14] 웹사이트 Yellow Bittern https://animalia.bio[...] 2024-04-01
[15] 웹사이트 Yellow Bittern (Ixobrychus sinensis) – Planet of Birds https://planetofbird[...] 2024-04-01
[16] 웹사이트 List of Birds Protected by the Migratory Bird Treaty Act (2023) {{!}} FWS.gov https://www.fws.gov/[...] 2024-04-01
[17] 웹사이트 10.13 List of Birds Protected by the Migratory Bird Treaty Act. https://www.ecfr.gov[...] 2024-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