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야스 (드라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쿠가와 이에야스 드라마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일대기를 그린 작품이다.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함께 3영걸로 칭송받는 이에야스는 어린 시절 인질 생활과 잇따른 전쟁을 겪고, 혼노지의 변, 세키가하라 전투 등을 거치며 난세를 종결하고 에도 막부를 개창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다. 마쓰다 요지, 다키타 사카에 등이 출연했으며,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을 원작으로 오산나이 미에코가 각본을 맡았다. 1983년 방영되어 평균 31.2%의 시청률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즈오카시 - 니혼다이라
니혼다이라는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에 위치한 우도산을 최고봉으로 하는 구릉 지대로, 지각 변동으로 형성되었으며 구노잔 도쇼구, 니혼다이라 유메 테라스 등의 명소와 시즈오카시도 이케다 니혼다이라선을 통해 접근 가능하다. -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소재로 한 작품 - 도쿠가와 이에야스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소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출생부터 사망까지의 일대기를 그린 26권의 소설로, 어린 시절 인질 생활과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협력을 거쳐 에도 막부를 세우고 일본의 태평성대를 이룩하는 과정을 담아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소재로 한 작품 - 사나다마루 (드라마)
2016년 NHK에서 방영된 타이가 드라마 사나다마루는 센고쿠 시대 사나다 가문을 배경으로 사나다 노부시게(사나다 유키무라)의 생애를 그린 드라마로, 사카이 마사토가 주연을 맡고 미타니 코키가 각본을 썼으며 50화로 구성되어 평균 시청률 16.6%를 기록했다. - 시즈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마루코는 아홉살
마루코는 아홉살은 1970년대 시즈오카현을 배경으로 초등학교 3학년 소녀 사쿠라 모모코의 일상을 그린 사쿠라 모모코 원작의 만화 및 애니메이션이다. - 시즈오카현을 배경으로 한 텔레비전 드라마 - 아빠 언니
시즈오카현 엔슈 출신 코바시 츠네코가 쇼와 시대에 세 자매와 함께 여성 잡지 출판사를 설립하여 『당신의 생활』을 간행하며 성공하는 과정을 그린 드라마 《아빠 언니》는 『생활의 수첩』과 오오하시 시즈코, 하나모리 야스지를 모티브로 전후 여성의 생활 부흥에 기여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드라마)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작 | 야마오카 소하치의 도쿠가와 이에야스 |
각본 | 오사나이 미에코 |
연출 | 오하라 마코토 외 |
음악 | 도미타 이사오 |
방송 기간 | 1983년 1월 9일 ~ 12월 18일 |
방송 횟수 | 50회 |
방송 채널 | NHK |
한국어 제목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출연 | |
주요 배역 | 다키타 사카에 오타케 시노부 야쿠쇼 코지 콘도 마사오미 가쓰노 히로시 이케가미 기미코 신 다쿠마 다나카 켄 에하라 신지로 나이토 다케토시 후지 마리코 다나카 미사코 다카오카 겐지 데라다 미노리 요시유키 가즈코 콘노 미사코 와카바야시 고 나쓰키 요스케 요이치 하야시 나리타 미키오 쓰가와 마사히코 류 라이타 나가토 히로유키 야치구사 카오루 가가 다케시 고바야시 게이주 다케다 테츠야 다케시타 케이코 나쓰메 마사코 오노에 다쓰노스케 1세 이시자카 코지 |
조연 | 히가시 데루미 이부키 고로 오쿠다 에이지 가가 마리코 가츠노 히로시 기타무라 가즈오 구메 아키라 하시즈메 준 하라 히데코 히라이즈미 세이 혼다 히로타로 만다 히사코 무라이 쿠니오 무라타 다케히로 가이가 시게미츠 다카하시 게이코 다쿠마 신 나카야마 진 아사오카 메구미 |
제작진 | |
제작 | NHK |
원작 | 야마오카 소하치 |
각본 | 오사나이 미에코 |
음악 | 도미타 이사오 |
나레이션 | 다테노 나오미츠 |
기타 | |
관련 작품 | 도쿠가와 이에야스 |
이전 작품 | 고개의 군상 |
다음 작품 | 산하 타오르다 |
2. 원작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원작이다.
이 작품은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까지를 배경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태어나기 전부터 그의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일대기를 그리고 있다.[3]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원작으로 하여, 이에야스의 생애를 충실히 묘사하고자 했다. 특히, 이에야스의 생모인 오다이 역에 오오타케 시노부를 캐스팅하는 등 대담한 배역이 이루어졌다.
3. 줄거리
야쿠쇼 코지는 오다 노부나가 역을 맡아 인기를 얻었으며, 이 작품을 통해 NHK에서도 주연을 맡게 되었다. 음악은 토미타 이사오가 담당하여 신시사이저와 남성 합창, 믹싱 음악을 조합하여 극의 분위기를 고조시켰다. 영상에서는 산속 시냇물이 대하로 흘러가는 과정을 통해 이에야스의 일대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다.
원작이 방대하여 드라마 전개가 빨라지고, 일부 에피소드가 간략하게 처리되었다는 비판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제35회 "태합 죽다"에서는 관백 히데쓰구의 죽음과 히데요시의 죽음이 한 회에 모두 다루어졌다. 또한,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등장인물들의 최후가 언급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이 드라마가 방영된 해에, 인내심을 강조한 이에야스의 이미지와 더불어 연속 TV 소설 『오싱』, 타카노사토의 이야기가 함께 유행하며 "오싱, 이에야스, 타카노사토"라는 유행어가 생기기도 했다.
평균 시청률 31.2%, 최고 시청률 37.4%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전투 장면은 후지산 기슭과 고텐바에서 촬영되었는데, 도메이 고속도로 사고로 인해 엑스트라 수송에 차질이 생기자 현장 스탭들이 직접 잡병으로 분장하여 촬영을 진행하는 해프닝도 있었다.
3. 1. 이에야스의 출생과 성장
1543년 1월 31일(1542년 12월 26일) 미카와국 오카자키성(岡崎城)에서 마쓰다이라 히로타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미즈노 다다마사의 딸 오다이이다. 그러나 이에야스가 태어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오다이의 친정인 미즈노 가문이 오다 노부히데에게 복속하면서 마쓰다이라 가문과 적대관계가 되었다. 결국 오다이는 1544년 친정으로 돌려보내지고, 이에야스는 어머니와 생이별하게 된다.[3]
1547년, 이에야스는 오다 가문에 인질로 보내지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이마가와 가문에 납치되어 슨푸에서 인질 생활을 하게 되었다. 슨푸에서는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숙부인 셋사이 선사로부터 학문과 무예를 배웠다. 셋사이는 이에야스에게 "천하를 다스릴 자"라는 가르침을 주었다.[3]
1549년, 아버지 히로타다가 사망하고, 1555년에는 셋사이가 사망하면서 이에야스는 오케하자마 전투까지 이마가와 가문의 인질로 슨푸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이 시기에 오다 노부나가와도 교류하며, 훗날 천하 통일의 기반을 다지게 된다.[3]
3. 2. 오케하자마 전투와 독립
1560년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이마가와 요시모토가 오다 노부나가에게 패하고 전사하자, 이에야스는 이 기회를 틈타 독립을 결심한다.[3] 이마가와 가문으로부터 벗어나 오랜 거점이었던 오카자키성을 되찾고, 이후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을 맺는다.[3]
3. 3. 미카와 통일과 동맹 강화
미카와 일향종 폭동을 진압하고 미카와를 통일한 이에야스는 노부나가의 동맹 세력으로서 세력을 확장해 나간다.
3. 4. 쓰키야마도노 사건과 노부야스 할복
오다 노부나가의 의심을 산 이에야스는 정실 쓰키야마도노와 장남 노부야스를 잃는 비극을 겪었다.
3. 5. 혼노지의 변과 이후
1582년,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가신 아케치 미쓰히데에게 살해되었다.[3]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 소식을 접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와의 대립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세력을 확장하려 했지만, 결국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대립하게 된다.[3]
3. 6.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와 히데요시와의 관계
1584년, 오다 노부나가 사후,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격돌했다.[1] 이 전투에서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와 대등하게 맞섰으나, 결국 히데요시에게 신종하게 된다.[1]
3. 7. 히데요시 사후와 세키가하라 전투
1598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사망한 후, 도요토미 가문 내부에서는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3]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러한 혼란을 틈타 자신의 세력을 확장해 나갔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이시다 미쓰나리를 중심으로 한 서군을 격파하고 승리함으로써, 이에야스는 사실상 천하를 손에 넣게 되었다.[3]
3. 8. 에도 막부 개창과 오사카 전투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쇼군에 취임하여 에도 막부를 개창하였다.[3] 이는 센고쿠 시대를 끝내고 260여 년간 이어지는 에도 막부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 이후 오사카 전투에서 도요토미 가문을 멸망시켜, 에도 막부의 기틀을 다졌다.[3]
3. 9. 이에야스의 죽음과 도쿠가와 막부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1616년에 사망했지만, 그가 이룩한 도쿠가와 막부는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3] 이 드라마는 야마오카 소하치의 소설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원작으로 하며, 이에야스의 출생 전부터 그의 죽음까지를 그리고 있다. 도쿠가와 막부는 일본 역사상 가장 긴 평화 시대를 구가하게 된다.
4. 등장인물
1983년 NHK 대하드라마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다키타 사카에 (아역: 마쓰다 요지) |
오다 노부나가 | 야쿠쇼 코지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다케다 데츠야 |
요도도노 | 나츠메 마사코 |
오다이 | 오타케 시노부 |
게요인 | 야치구사 가오루 |
쓰키야마도노 | 이케가미 기미코 |
도쿠가와 노부야스 | 다쿠마 신 |
유키 히데야스 | 호리 히데유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다토 마코토 → 가쓰노 히로시 |
다케치요 | 시마 에이지 |
도쿠히메 | 하세가와 마유미 → 다나카 미사코 |
가메히메 | 하라 히데코 |
오고 | 시라토 마리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 사카모토 료스케 |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 다나카 겐 |
마쓰다이라 요리노부 | 다카노 히루카즈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 곤도 마사토미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 후케 노리마사 |
이루하 히메 | 오카모토 마이 |
혼다 시게쓰구 | 나가토 히로유키 |
4. 1. 도쿠가와 가문
배역명 | 배우 |
---|---|
도쿠가와 이에야스 | 다키타 사카에 (아역: 마쓰다 요지) |
마쓰다이라 히로타다 | 곤도 마사토미 |
오다이 | 오타케 시노부 |
게요인 | 야치구사 가오루 |
쓰키야마도노 | 이케가미 기미코 |
도쿠가와 노부야스 | 다쿠마 신 |
유키 히데야스 | 호리 히데유키 |
도쿠가와 히데타다 | 다토 마코토, 가쓰노 히로시 |
도쿠가와 이에미쓰 | 시마 에이지 |
마쓰다이라 다다나오 | 사카모토 료스케 |
마쓰다이라 다다테루 | 다나카 겐 |
도쿠히메 | 하세가와 마유미, 다나카 미사코 |
가메히메 | 하라 히데코 |
스겐인 | 시라토 마리 |
마쓰다이라 다다요시 | 후케 노리마사 |
마쓰다이라 요리노부 | 다카노 히루카즈 |
4. 2. 도쿠가와 가신
- 혼다 시게쓰구: 나가토 히로유키[9]
- 이시카와 가즈마사: 에하라 신지로[9]
- 혼다 마사노부: 나이토 다케토시[9]
- 야규 무네노리: 나츠키 요스케[9]
- 혼다 마사즈미: 혼다 히로타로[9]
- 이타쿠라 가쓰시게: 센 야마모토[9]
- 도리이 타다요시: 미야구치 세이지[9]
- 이이 나오마사: 히라이즈미 세이[9]
- 이이 나오마사 (청년): 토요하라 코스케[9]
- 사카키바라 야스마사: 우치다 가쓰마사[9]
- 오쿠보 나가야스: 쓰가와 마사히코[9]
- 오쿠보 타다요: 오리모토 준키치[9]
- 오쿠보 타다카즈: 나카타 조지[9]
4. 3. 오다 가문
'''오다 노부나가'''
: 배역: 야쿠쇼 코지 (청년기: 이토 요이치)
: 이에야스의 맹우. 히데요시로부터는 ''''어대장''''(온타이쇼)이라고 불렸다. 무가 관위는 우대장, 우대신.
: ''''바보''''(오우케)라고 불리던 소년기에 오다 가문에 인질로 보내졌던 어린 '''타케치요'''(후의 이에야스)와 만나 친하게 지낸다. 탁월한 행동력과 선견지명으로 오와리의 일대 영주에서 천하인으로 올라간다. 그 언동과 처신은 날카롭고 시원하지만, 한편으로는 성격이 격렬하고 의심이 많은 면도 있다.
: 도쿠가와가 함부로 커지지 않도록, 고토쿠의 불평 편지를 근거로 쓰키야마도노와 노부야스의 모반을 의심하여 이에야스에게 두 사람을 처단하도록 난제를 던져 도쿠가와의 고사를 꾀했다.
: 천하 통일 직전, 교토 혼노지에서 아케치 미쓰히데의 습격을 받아 (혼노지의 변), 분전했지만 중과부적으로, 절에 불을 지르고 자결한다.
'''노히메'''
: 배역: 후지 마리코
: 노부나가의 정실, 사이토 도산의 딸. 노부나가의 좋은 이해자이지만, 남편이 차츰 고고한 존재가 되어가는 것에 위구심을 품고 있었다. 쓰키야마를 암살하는 것에 같은 전국 시대의 여자라는 이유로 마지막까지 반대했다. 혼노지의 변에서 노부나가와 운명을 함께 한다.
'''오루이'''
: 배역: 오다기리 카오루
: 노부나가의 측실, 노부타다, 노부오, 도쿠히메의 어머니.
'''미유키'''
: 배역: 미야마 유우코
: 노부나가의 측실, 노부타카의 어머니.
'''겐자부로의 어머니'''
: 배역: 아오키 마리코
: 노부나가의 측실.
'''오다 노부히데'''
: 배역: 이토 타카오
: 노부나가의 아버지. 싸움에 능숙하며 오다 가문의 판도를 급격히 확대시켰다. 미카와의 사람들에게는 동쪽의 이마가와 요시모토와 더불어 서쪽에서 미카와를 압박해오는 무서운 존재이다.
'''오이치'''
: 배역: 마노 아즈사
: 노부나가의 친 여동생. 아사이 나가마사에게 시집가 요도도노, 조코인, 코고를 낳았다. 후에 시바타 가쓰이에에게 재가한다.
'''조코인'''
: 배역: 미우라 마유미
: 오이치의 차녀. 언니 요도기미의 의향을 받아 사자로서 오사카와 슨푸의 이에야스 사이를 왕래하며, 동서의 융화에 힘쓴다.
'''오다 우라쿠사이'''
: 배역: 야마모토 코이치
: 노부히데의 11남. 도요토미 가문에 섬기며 요도기미의 숙부로서 중책을 맡았지만, 도쿠가와에 내통한다는 의심을 받아 오사카 성을 퇴거, 이에야스에게 의탁한다.
'''오다 노부히로'''
: 배역: 이토 카츠히코
: 노부나가의 서형. 안쇼 성을 지키고 있었지만 타이겐 셋사이에 패하여, 타케치요와 인질 교환된다.
'''오다 노부타다'''
: 배역: 모리 아츠오 (유소년기: 쇼지 켄진)
: 노부나가의 장남. 혼노지의 변 당시, 니조고쇼에서 자결한다.
'''노부타다의 아내'''
: 노부타다의 측실, 산포시의 어머니.
: 배역: 후루사와 유미코
'''오다 노부오'''
: 배역: 타치카와 미키 (유소년기: 사쿠라이 사치오)
: 노부나가의 차남. 고마키·나가쿠테 전투에서 이에야스와 협력하여 히데요시와 싸우지만 히데요시에게 속아 이에야스에게 허락 없이 화해해 버린다.
: 국替え로 히데요시에게 불만을 품고 개역된다.
'''오다 노부타카'''
: 배역: 혼고 코지 (유소년기: 아키야마 코지로)
: 노부나가의 삼남.
'''오다 산포시'''
: 배역: 나가야마 준이치
: 노부나가의 친 손자, 노부타다의 장남.
'''오다 겐자부로'''
: 배역: 이토 히데카즈
: 노부나가의 5남. 형 노부타다와 운명을 함께 한다.
'''오다 노부히라'''
: 배역: 가토 마사유키
: 노부히데의 숙부.
'''오다 히코고로'''
: 배역: 이리에 마사노리
: 오와리 시모시군(下四郡)의 슈고다이(守護代).
'''아케치 미쓰히데'''
: 배역: 테라다 농
: 오다 가문의 중신. '''고레토'''(惟任)의 성을 하사받아 '''고레토 미쓰히데'''(惟任光秀)라고도 불린다. 무가 관위는 휴가노카미.
: 원래는 아시카가 요시아키를 섬겼으나 노부나가에게 귀순한다. 아즈치성을 방문한 이에야스의 접대역을 맡았지만 노부나가의 심기를 거스르게 되어 면박을 당하고, 모리 공격의 대장인 히데요시의 휘하에 들어갈 것을 명령받는다.
: 이 굴욕을 참지 못하고 돌연 모반을 일으켜 혼노지에서 노부나가를 쳐죽인다. 그 후 이에야스도 집요하게 쫓지만 도망친다.
: 중국에서 대반환해 온 히데요시에게 대패하고 결국은 패잔병 사냥을 하던 농민에게 살해당한다.
'''아케치 히데미쓰'''
: 배역: 오바야시 타케시
: 미쓰히데의 측근.
'''시바타 가쓰이에'''
: 배역: 카와구치 케이시 → 오야마 카츠미
'''니와 나가히데'''
: 배역: 류자키 마사루
'''타키가와 가즈마스'''
: 배역: 닛타 마사하루
'''이케다 쇼뉴'''
: 배역: 와자키 토시야
'''사쿠마 모리마사'''
: 배역: 미조로기 타다시
'''히라테 나카쓰카사'''
: 배역: 토우라 로쿠코
: 노부나가의 후견인. 노부나가를 간언하기 위해 자결한다.
'''히라테 히로히데'''
: 배역: 쿠보타 고로
'''하야시 사도'''
: 배역: 카츠베 노부유키
'''모리 란마루'''
: 배역: 토야 아유무
: 노부나가의 소년 시종.
'''호리 히데마사'''
: 배역: 엔도 세이지
'''쓰가와 요시후유'''
: 배역: 이케다 코
: 노부오의 가신.
4. 4. 도요토미 가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백성 출신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능력을 인정받아 출세하여 오다 가문의 가신이 되었다. 노부나가가 죽은 후, 아케치 미쓰히데를 제거하고 천하 통일을 달성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인품을 신뢰했지만, 속으로는 이에야스를 두려워하고 증오했다. 천하 통일 이후에는 조선 침략을 감행하거나, 측근이나 다이묘 숙청 등 비인도적인 만행을 저질렀다.[6] 히데요시는 죽음에 임박하여, 이에야스 등에게 히데요리를 부탁한다는 말을 남기고 죽는다.
역할 | 배우 |
---|---|
도요토미 히데요시 | 다케다 데쓰야 |
네네 | 요시유키 가즈코 |
오만도코로 | 스즈키 미츠에 |
요도도노 | 나츠메 마사코 |
도요토미 히데요리 | 고 리주 |
센히메 | 이시하라 마리코 |
이시다 미츠나리 | 카가 타케시 |
시마 사콘 | 카와즈 유스케 |
가타기리 가쓰모토 | 쿠메 아키라 |
구로다 간베이 | 이리카와 야스노리 |
아사노 요시나가 | 모리타 준페이 |
4. 4. 1. 오대로
; 마에다 도시이에
: 배역: 사가와 데쓰로
: 통칭 가가 다이나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오랜 친구였다.
: 히데요시 사후, 이시다 미쓰나리의 계략에 빠져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불화하게 되지만, 이에야스의 배려에 감격하여 죽기 전에 아들과 천하의 일을 맡긴다.
; 모리 데루모토
: 배역: 미키모토 신스케
: 통칭 아키 주나곤. 미쓰나리와 안코쿠지 에케이의 요청으로 서군의 총대장이 되지만, 이에야스 편이었던 의붓아들과 분가의 깃카와 히로이에의 반발에 부딪혀 출진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오사카성에 머물렀다. 세키가하라 전투 후에는 개역은 면했지만 영지는 으로 삭감되었다.
; 우키타 히데이에
: 배역: 하마다 미쓰오
; 우에스기 가게카쓰
: 배역: 요코이 도루
4. 5. 이마가와 가문
今川義元|이마가와 요시모토일본어: 배우: 나리타 미키오[9]
: 센고쿠 다이묘 이마가와 씨 당주. 이에야스의 첫 번째 주군. 무가 관위는 지부 다이후. '''고쇼 님'''이라고 존칭된다. 도카이 지방에 일대 세력을 구축하여 상락을 목표로 하지만, 오케하자마 전투에서 전사한다.
: 다케치요(이에야스)의 기량을 일찍부터 간파하고, 아끼면서도 경계했다. 자신의 조카인 세나와 결혼시켜 이에야스를 포섭하려 했다.
: 공가 취미를 가지면서도, 센고쿠 무장다운 호쾌함과 냉철한 지모를 겸비한 인물로 그려진다.
今川氏真|이마가와 우지자네일본어
: 배우: 하야시 요이치[9]
: 요시모토의 아들. 거만하고 경박한 기질로, 모토노부(이에야스)를 "미카와의 숙식 없는 자"라고 부르며 업신여겼다. 취미는 케마리.
: 아버지의 전사 후 당주가 되지만 그릇이 아버지에게 미치지 못해, 이마가와 가문을 지켜내지 못하고 만다.
太原雪斎|다이겐 셋사이일본어
: 배우: 고바야시 케이주[9]
: 요시모토의 군사. 이에야스의 글쓰기 스승을 맡았다. 유명한 선승이기도 하며, 이에야스의 인격 형성이나 종교관 등에 큰 영향을 주었다.
: 이마가와 가문의 정치・군사의 양면에서 요시모토를 보좌하여 실권을 잡고, 스스로 총대장으로 출진하기도 했다. "전쟁도 또한 자비, 싸우지 않으면 무도가 횡행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스스로를 "이마가와의 가신이 아니라 부처의 가신, 싸우는 가신입니다"라고 규정했다.
: 요시모토의 상락 직전에 병사했고, 그의 부재는 이마가와 가문의 장래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웠다.
4. 6. 다케다 가문
- 사토 케이 - 다케다 신겐 역
: 가이의 센고쿠 다이묘이자 뛰어난 전략가였다. 천하 통일을 목표로 상경길에 올랐다. 미카타가하라 전투에서 이에야스를 처참하게 격파했다. 이에야스는 이 패배를 부끄러워하여 자신의 처참한 모습의 초상화를 그리게 했다. 하마마츠성을 공격하려 했지만, 파타로의 피리 소리에 이끌려 밖으로 나온 순간 긴조에게 저격당해 그 상처로 사망한다.[9]
- 도도 신지 - 다케다 가쓰요리 역
: 신겐의 셋째 아들. 나가시노 전투에서 노부나가와 이에야스에게 패배하고, 이후 멸망에 몰렸다. 간자를 사용하여 쓰키야마와 노부야스를 포섭하려 했지만 실패했다.
- 이노우에 쇼분 - 야마가타 마사카게 역
: 다케다 가문의 숙로. 나가시노 전투에서 전사했다.
- 나마이 타케오 - 아나야마 바이세츠 역
: 가쓰요리를 따르지 못하고 이에야스에게 항복했지만, 그 일로 노부나가에게 비웃음을 받았다.
4. 7. 기타 인물
- 와카바야시 고 - 사나다 유키무라 역[11]: 낭인 무장의 리더격 인물이다. 오사카 겨울의 진에서는 사나다마루를 거점으로 도쿠가와 군을 농락하고, 오사카 여름의 진에서는 필사적으로 돌격하여 이에야스의 본진을 급습하는 등 이에야스를 몹시 괴롭혔다.
- 이부키 고로 - 가토 기요마사 역: 무단파의 맹장이다. 호코인을 친어머니처럼 숭배하지만, 이시다 미쓰나리와는 사이가 좋지 않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힘이 없으면 태평이 무너진다고 판단하여 이에야스에게 적극적으로 협력한다. 이에야스와 도요토미 히데요리의 니조성 회견 시에는 히데요리 측으로 수행한다.
- 와타비키 가쓰히코 - 후쿠시마 마사노리 역: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인 맹장이다. 가토 기요마사와는 달리 감정만으로 이에야스에게 가담하지만, 후에 이에야스를 도운 것을 후회한다.
- 아리카와 히로시 - 오타니 요시쓰구 역: 무가 관위는 형부소보이다. 불치의 병에 시달려 얼굴을 흰 두건으로 가리고 있다. 이시다 미쓰나리의 친한 친구로, 미쓰나리의 요청으로 아군이 되도록 설득받았지만, 모리 가문이 아군에 붙지 않으면 할 수 없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 타자키 준 - 시마즈 요시히로 역: 사쓰마의 다이묘로 백전연마의 맹장이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의 퇴각 시 적진 돌파 수단으로 스테가마라는 결사항전의 전법을 사용하여 탈출에 성공, 이에야스를 감복시킨다.
- 오노에 다쓰노스케 - 다테 마사무네 역: 도호쿠의 영웅으로 천하를 얻으려는 야심을 품고 있으며, 이에야스의 생애 마지막 난관과 같은 인물이다. 무가 관위는 무쓰노카미이다. 두뇌가 명석하고 냉철한 책략가인 한편, 스페인 제국과의 교역을 요구하여 외교 사절을 파견하는 등 기우가 장대한 면모도 보인다.
- 이시자카 코지 - 나야 쇼안 (가공의 인물) 역: 미카와의 유력 향사에서 후에 사카이의 호상으로까지 성장했다. 다케노우치 숙녜의 후예를 칭하며 제사를 지내는 신관으로서 숭배받는 한편, 지모에도 뛰어나 이에야스의 군사적 존재로서 활약한다.
- 곤노 미사코 - 키노미 (가공의 인물) 역: 나야 쇼안의 양녀이다. 양아버지의 뜻을 받아 첩자로서 다양한 공작을 펼친다. 이시다 미쓰나리에 의해 제거된다.
- 무쓰미 고로 - 나오에 가네쓰구 역: 우에스기 가문의 가로이다.
- 호리우치 마사미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역: 고다이인의 조카이다. 원래는 히데요시의 양자였으나 고바야카와 가문을 잇는다.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서군을 배신하고 동군에 붙었다.
- 타키타 유스케 - 안코쿠지 에케이 역: 모리 가문 가신이다.
- 류 라이타 - 텐카이 역: 덴다이종의 승려이다. 자유롭게 방랑하며 수행의 여행을 하고 있다. 이에야스의 그릇을 일찍부터 알아보고, 좋은 상담 상대가 된다.
- 나카야마 진 - 차야 시로지로 기요노부 역: 사카이의 상인이다. 쇼안과 마찬가지로 이에야스가 천하인이 되어야 할 인물이라고 판단한다.
- 시노하라 다이사쿠 - 아시카가 요시아키 역: 무로마치 막부 마지막 쇼군이다. 노부나가의 지원으로 다시 입경했지만, 자신을 업신여기는 노부나가가 밉살스러워 비밀리에 각 다이묘들에게 노부나가 토벌령을 내렸지만, 후에 노부나가에게 발각되어 교토에서 추방당한다.
5. 제작진
분야 | 이름 | 비고 |
---|---|---|
원작 | 야마오카 소하치[4] | 도쿠가와 이에야스 |
각본 | 오산나이 미에코 | |
음악 | 토미타 이사오[4] | |
내레이션 | 타테노 나오미츠 | |
시대 고증 | 스즈키 케이조 | |
검술 지도 | 하야시 쿠니시로 | |
연주 | 신 실내악 협회 | |
테마 음악 연주 | NHK 교향악단 | |
테마 음악 지휘 | 아키야마 카즈요시 | |
코러스 | 게이오기주쿠 와그너 소사이어티 남성 합창단 | |
제자 | 와타나베 히로히데 | |
풍속 고증 | 이소메 아츠로 | |
격투 | 하야시 쿠니시로 | |
일본 전통 음악 작곡 | 키노야 쇼호 | |
춤 | 하나야기 쥬라쿠 사중 | |
囃子(하야시) | 카타타 사중 | |
노가쿠·고 지도 | 우메와카 노리아키 | |
노무·연주 | 우메와카회 | |
피리 지도·피리 연주 | 모치즈키 타이야 | |
비파 연주 | 나카타니 죠스이 | |
고식 총기 지도 | 모리시게 타미조 | |
향도 지도 | 오가와 시즈코 | |
다도 지도 | 니시하라 테루코 | |
인형 제작 | 후쿠다 케이스케 | |
매사냥 지도 | 사와다 마사히로 | 매 사냥꾼 역으로 본편 출연 |
협력 | 케마리 보존회, 다이혼잔 소지사, 레이바이인, 약왕원, 우에노 칸에이지 | |
제작 | 시부야 야스오 | |
미술 | 나이토 마사이치, 마키타 죠, 오시카 후미아키 | |
기술 | 사이토 마사오, 토츠카 켄코, 이시카와 야스히로 | |
효과 | 카시와바라 노부카즈, 시노토오 테츠오, 히라츠카 키요시 | |
조명 | 사노 테츠오, 오노데라 마사요시 | |
카메라 | 요시노 테루히사, 나카무라 카즈미 | |
음성 | 이와사키 노부오, 토요이즈미 토시오 | |
기록 | 이치카와 후데코 | |
연출 | 오하라 마코토, 카토 이쿠오, 마츠모토 모리마사, 카네토시 마사히데, 쿠니히로 카즈타카, 타카하시 코사쿠 |
6. 방영 목록
회 | 방송일 | 제목 | 연출 | 시청률 |
---|---|---|---|---|
1 | 1983년 1월 9일 | 다케치요 탄생|竹千代誕生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4.9% |
2 | 1983년 1월 16일 | 이별|離別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5.2% |
3 | 1983년 1월 23일 | 인질 약탈|人質略奪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3.0% |
4 | 1983년 1월 30일 | 인내 무한|忍従無限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7.4% |
5 | 1983년 2월 6일 | 인질 교환|人質交換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6.0% |
6 | 1983년 2월 13일 | 시련의 때|試練の時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5.5% |
7 | 1983년 2월 20일 | 첫 출진|初陣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6.2% |
8 | 1983년 2월 27일 | 오케하자마|桶狭間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5.9% |
9 | 1983년 3월 6일 | 오카자키 입성|岡崎入城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3.0% |
10 | 1983년 3월 13일 | 미카와 잇코 잇키|三河一向一揆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4.5% |
11 | 1983년 3월 20일 | 흥망의 성|興亡の城일본어 | 카네토시 마사히데 | 29.9% |
12 | 1983년 3월 27일 | 인생의 기로|人生の岐路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6.1% |
13 | 1983년 4월 3일 | 미카타가하라 전투|三方ヶ原合戦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28.0% |
14 | 1983년 4월 10일 | 아버지와 아들|父と子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0.2% |
15 | 1983년 4월 17일 | 음모|陰謀일본어 | 카네토시 마사히데 | 27.3% |
16 | 1983년 4월 24일 | 무정의 바람|無情の風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3.3% |
17 | 1983년 5월 1일 | 무혈의 승리|無血の勝利일본어 | 쿠니히로 카즈타카 | 27.8% |
18 | 1983년 5월 8일 | 모반 발각|謀叛発覚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3.2% |
19 | 1983년 5월 15일 | 나가시노 전투|長篠の戦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4.7% |
20 | 1983년 5월 22일 | 난제|難題일본어 | 카네토시 마사히데 | 32.4% |
21 | 1983년 5월 29일 | 노부야스 추방|信康追放일본어 | 가토 이쿠오 | 29.2% |
22 | 1983년 6월 5일 | 낙화유정|落花有情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7.5% |
23 | 1983년 6월 12일 | 아즈치로 가는 길|安土への道일본어 | 카네토시 마사히데 | 35.0% |
24 | 1983년 6월 19일 |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1.4% |
25 | 1983년 6월 26일 | 이가 넘기|伊賀越え일본어 | 35.1% | |
26 | 1983년 7월 3일 | 다음에 부는 바람|次に吹く風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6.9% |
27 | 1983년 7월 10일 | 코마키 나가쿠테 전투|小牧長久手の戦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8.9% |
28 | 1983년 7월 17일 | 가즈마사 출분|数正出奔일본어 | 쿠니히로 카즈타카 | 27.7% |
29 | 1983년 7월 24일 | 미카와의 긍지|三河の意地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0.6% |
30 | 1983년 7월 31일 | 양웅 대면|両雄対面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27.1% |
31 | 1983년 8월 7일 | 아내가 아닌 어머니|妻ならぬ母일본어 | 카네토시 마사히데 | 24.4% |
32 | 1983년 8월 14일 | 이에야스 에도 입성|家康江戸入り일본어 | 쿠니히로 카즈타카 | 24.5% |
33 | 1983년 8월 21일 | 전운이 움직이다|戦雲動く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3.5% |
34 | 1983년 8월 28일 | 소용돌이 속의 사람|渦中の人일본어 | 가토 이쿠오 | 29.1% |
35 | 1983년 9월 4일 | 태합 서거|太閤死す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28.4% |
36 | 1983년 9월 11일 | 분열의 싹|分裂の芽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9.6% |
37 | 1983년 9월 18일 | 궁조 맹조|窮鳥猛鳥일본어 | 타카하시 코사쿠 | 29.8% |
38 | 1983년 9월 25일 | 기회는 무르익다|機は熟す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1.3% |
39 | 1983년 10월 2일 | 세키가하라 전야|関ヶ原前夜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27.7% |
40 | 1983년 10월 9일 | 세키가하라|関ヶ原일본어 | 29.2% | |
41 | 1983년 10월 16일 | 쇼군 이에야스|将軍家康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1.3% |
42 | 1983년 10월 23일 | 세계의 바람|世界の風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8.8% |
43 | 1983년 10월 30일 | 연판장의 꿈|連判状の夢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0.1% |
44 | 1983년 11월 6일 | 소동의 근원|騒動の根일본어 | 가토 이쿠오 | 29.6% |
45 | 1983년 11월 13일 | 거성의 외침|巨城の呼び声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30.3% |
46 | 1983년 11월 20일 | 노년의 결단|老いの決断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0.2% |
47 | 1983년 11월 27일 | 오사카 겨울의 진|大坂 冬の陣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0.6% |
48 | 1983년 12월 4일 | 오사카 여름의 진|大坂 夏の陣일본어 | 마오리마사 마츠모토 | 29.5% |
49 | 1983년 12월 11일 | 낙성|落城일본어 | 가토 이쿠오 | 31.3% |
50 | 1983년 12월 18일 | 태평으로의 기도|泰平への祈り일본어 | 오하라 마코토 | 33.1% |
평균 시청률 31.2% - 시청률은 비디오 리서치 (간토 지방)를 기준으로 함.[8] |
- NHK 종합 텔레비전: 매주 일요일 20시 00분 - 20시 45분
- (재방송) NHK 종합 텔레비전: 매주 토요일 13시 25분 - 14시 10분[13]
- 제1회는 45분 확대 방송.
- 최종회는 40분 앞당겨 방송 및 45분 확대 방송.
7. 평가
이 드라마는 기존에 노련한 모략가로 그려지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태평성대를 갈망하는 구도자적인 새로운 인물상으로 제시하여 평가를 받았다.[14] 야쿠쇼 코지, 타키타 사카에, 오오타케 시노부, 다케다 테츠야 등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가 돋보였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오다 노부나가를 연기한 야쿠쇼 코지는 이 작품을 통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하지만, 야마오카 소하치의 원작 소설 자체가 방대하여 드라마 전개가 빠르고, 각 에피소드가 축약되어 내용의 깊이가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었다. 예를 들어, 제35회 "태합 죽다"에서는 관백 히데쓰구의 죽음과 히데요시의 죽음이 한 회에 모두 다루어져 내용 전개가 지나치게 빠르다는 지적이 있었다. "첫 회부터 총집편을 보는 것 같다", "좀 더 차분한 묘사를 원한다"는 의견이 신문에 실리기도 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평균 시청률 31.2%, 최고 시청률 37.4%를 기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4] 또한, 이 해에 인내심을 가진 이에야스와 더불어, 같은 해에 방송된 연속 TV 소설인 오싱의 끈기, 그리고 당뇨병을 극복하고 31세에 요코즈나가 된 타카노사토를 합쳐 "오싱, 이에야스, 타카노사토"라는 유행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徳川家康 番組エピソード
https://www2.nhk.or.[...]
NHK
2019-11-12
[2]
웹사이트
徳川家康とは
https://kotobank.jp/[...]
kotobank
2020-11-12
[3]
웹사이트
大河ドラマ 徳川家康
https://www6.nhk.or.[...]
NHK
2019-11-12
[4]
웹사이트
冨田勲プロフィール
https://columbia.jp/[...]
2023-12-30
[5]
웹사이트
長身(185センチメートル)で面長の「最も家康に似ていない俳優滝田栄」が家康役に決定した。
https://toyokeizai.n[...]
AERA dot.
2024-03-16
[6]
웹사이트
豊臣秀吉役の武田鉄矢さんは、小山内さんのイチ押しですぐ決まったんだそうですが
https://books.google[...]
松村邦洋今度は「どうする家康」を語る
2024-03-16
[7]
웹사이트
発表の1週間前に「出演はムリ」となってしまって。で、あわてて誰か新人でいこうって。
https://books.google[...]
松村邦洋今度は「どうする家康」を語る
2024-03-16
[8]
웹사이트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www.videor.co[...]
[9]
문서
沢田は翌年の大河ドラマ『[[山河燃ゆ]]』に出演している。
[10]
문서
[[岸田森]]の予定だったが、死去(病死)のため変更。
[11]
문서
[[沖雅也]]の予定だったが、沖が死去(飛び降り自殺)のため変更。なお、若林はこの4年後の1987年度大河ドラマ『[[独眼竜政宗_(NHK大河ドラマ)|独眼竜政宗]]』でも再び真田幸村を演じた。
[12]
문서
タイトル音楽は1話から5話までのものと、6話以降のものとは別のバージョンになっている。
[13]
문서
一部放送日時の変更あり。
[14]
문서
「テレビ視聴率季報(関東地区)」ビデオリサーチ。
[15]
웹사이트
ビデオリサーチ NHK大河ドラマ 過去の視聴率データ
http://www.videor.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