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메이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메이 고속도로는 도쿄와 나고야를 연결하는 일본의 주요 고속도로로, 1969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40년 내무성의 탄환도로 계획에서 시작되어, 도쿄-고베 간 도로 계획으로 재개되었으나, 주오 고속도로와의 경쟁 끝에 나고야-고베 구간은 메이신 고속도로로 사업화되었다. 이후 도쿄-나고야 간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법안이 통과되어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총 연장 346.7km로, 다수의 터널과 교량을 포함하며, 다양한 차선 및 최고 속도 제한이 적용된다. 3대 경제권을 연결하며 물류 수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지만, 교통량 증가로 혼잡이 심화되면서 신토메이 고속도로와 같은 대체 네트워크 구축이 추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즈오카현의 교통 - 도카이 여객철도 하마마쓰 공장
    도카이 여객철도 하마마쓰 공장은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에 위치한 철도 차량 기지로, 도카이도 신칸센 차량의 검수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하며 923계 "닥터 옐로", N700계, N700S계 전동차 등을 관리하고 1912년 창설되어 지역 사회와의 소통에도 힘쓰고 있다.
  • 시즈오카현의 교통 - 미시마 차량 사업소
    미시마 차량 사업소는 도카이도 신칸센 열차의 정기 검수 및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시설이며, 1966년 도쿄 운전소 미시마 파출소로 발족하여 검수고, 선로 등을 갖추고 N700A계 및 N700S계 신칸센 전동차를 유치한다.
  • 아이치현의 교통 - 메이신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는 1963년 개통된 일본 최초의 고속도로로 아이치현 고마키시에서 효고현 니시노미야시를 잇는, 국도 8호선과 21호선을 따라 건설되어 일본 유료 고속도로 건설의 시초가 된 도로이다.
  • 아이치현의 교통 - 주오 자동차도
    주오 자동차도는 도쿄에서 아이치현 고마키시까지 이어지는 본선과 후지요시다선으로 구성된 일본의 고속도로로, 건설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지만 현재는 수도권과 주부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교통축 역할을 하고 있다.
  • 중일본 고속도로 -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는 도쿄 도심에서 40~60km 떨어진 도시들을 연결하는 총연장 340.6km의 순환도로로, 수도권 3환상 도로망의 일부이며, 일부 구간은 개통되었으나 완전 개통을 위한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중일본 고속도로 - 메이신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는 1963년 개통된 일본 최초의 고속도로로 아이치현 고마키시에서 효고현 니시노미야시를 잇는, 국도 8호선과 21호선을 따라 건설되어 일본 유료 고속도로 건설의 시초가 된 도로이다.
도메이 고속도로
지도
노선 정보
노선 이름도메이 고속도로
로마자 표기Tōmei Kōsoku Dōro
영어 표기TOMEI EXPWY
다른 이름제1도카이 자동차도
노선 번호[[파일:JP Expressway E1.svg|32px]] 고속도로 E1호선의 일부
아시아 하이웨이 노선아시아 하이웨이 1호선
총 연장346.8 km
개통 년도1968년 (쇼와 43년) - 1969년 (쇼와 44년)
관리 주체유료
기점과 종점
기점도쿄도세타가야구 (도쿄IC)
주요 경유 도시가와사키시
요코하마시
후지시
시즈오카시
하마마쓰시
오카자키시
도요타시
나고야시
종점아이치현고마키시 (고마키IC)
연결 도로
연결되는 주요 도로기사 참조
연결되는 고속도로
연결되는 고속도로20px 수도고속도로 시부야 노선
[[File:JP Expressway E1.svg|20px|link=|alt=]] 메이신 고속도로
20px 나고야 고속도로 고마키 노선
20px 국도 41호선
기타 정보
표시[[파일:TOMEI EXP (E1).svg|130px|동명고속도로]]
주요 도시
주요 도시가와사키시
요코하마시
아쓰기시
후지시
시즈오카시
하마마쓰시
도요카와시
도요타시
나고야시
가스가이시

2. 역사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는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중요한 도로이며, 중일본고속도로(NEXCO 중일본)가 운영하는 도로 중 통행량이 가장 많은 구간이다.[8] 하루 10만 대 이상의 차량이 이용하는 구간도 있다.[8]

최초 구간은 1968년에 개통되었고, 전체 구간은 1969년에 완공되었다.[2] 도쿄도에서 고마키시까지의 구간은 메이신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교토, 오사카, 고베로 이어진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도카이도를 달리는 국도 1호선의 혼잡을 해소하고, 화물 수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11] 메이신 고속도로, 주오 고속도로에 이어 세 번째로 개통된 도시 간 고속도로이다.[11] 이 도로는 일본 경제의 중추 지역을 연결하며, 고도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했다.[11]

노선은 간토 지방에서 주부 지방에 걸쳐 도카이도와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경쟁을 피하고,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해 주택이나 밭을 최대한 피해 최단 거리가 되도록 계획되었다.[12] 이 도로는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후지가와 등 여러 대규모 하천을 횡단하는 것이 특징이다.[12]

'도메이 고속도로'라는 명칭은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고속도로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13] 도쿄IC에서 고마키IC까지의 직선 거리는 248.4km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의 연장 거리는 346.7km로 약 100km 정도 우회한다. 이는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 나고야역 간 거리와 거의 같다. 전 구간은 NEXCO 중일본이 관리·운영하며, 도로 색상은 스카이 블루이다.[14]

도메이 고속도로는 4단계에 걸쳐 부분 개통되었다.

개통 순서개통일개통 구간
1차1968년 4월도쿄IC - 아쓰기IC (35km), 후지IC - 시즈오카IC (40.3km), 오카자키IC - 고마키IC (53.3km)
2차1969년 2월시즈오카IC - 오카자키IC (131.6km)
3차1969년 3월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22.9km), 고텐바IC - 후지IC (37.8km)
4차1969년 5월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25.8km)



개통으로 도쿄 - 나고야 간 이동 시간은 기존 9시간 30분에서 5시간 미만으로 단축되었다.[11] 총 공사비 3.425조는 1990년에 상환 완료되었다.

개통 직후 도쿄IC는 도쿄도도 311호 환상 8호선과 국도 246호선을 통해 도심과 연결되어 정체가 발생했고, 1971년 수도고속 3호 시부야 선 연결로 더욱 악화되었다. 1972년에는 주오 고속도로와의 분기점이 개설되었고, 1974년에는 하마마쓰니시 인터체인지가 추가 개통되었다.

1980년대 후반, 도메이 고속도로의 교통량은 용량 한계를 넘어 정체가 빈번해졌다. 이에 따라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 개축,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간 6차선 확장, 요코하마IC 개량, 시즈오카IC - 야이즈IC 간 개축 등이 이루어졌다. 1971년 제2동명고속도로 계획은 1987년 제4차 전국 종합 개발 계획에 따라 본격화되었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대체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신토메이 고속도로(제2동명고속도로에서 개칭) 건설이 가속화되었고, 2012년 일부 구간 개통으로 도메이 고속도로의 혼잡은 감소했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동해도 메가로폴리스의 인구, 산업, 자동차 보유 대수 등을 고려할 때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개통 후, 공업 지대가 분산되었고, 농업은 상업적 농업으로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물류 측면에서는 트럭 수송의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기업의 재고 감소에도 기여했다. 도요타 자동차는 도메이 고속도로를 활용하여 저스트인타임 배송을 실현했고, 아쓰미 반도의 전조국화 재배 농가는 도쿄 시장으로 출하량을 늘렸다. 도쿄 중앙 도매 시장으로 운반되는 신선 식품의 양이 증가했고, 시미즈항은 참치 유통의 중요 거점으로 성장했다. 하마마쓰시는 내륙 컨테이너 기지를 통해 수출을 확대했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동해도 메가로폴리스 형성에 기여했으며, 이후 전국적인 산업 분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2. 1. 구상 및 법 정비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는 도카이도를 달리는 국도 1호선의 화물 수송량 증가로 인한 혼잡을 해소하고, 화물의 대량, 고속 수송 등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자동차 전용도로로 건설되었다.[11] 도시 간 고속도로에서 도메이 고속도로의 개통 순위는 메이신 고속도로, 주오 고속도로에 이어 세 번째이다. 노선은 관동 지방에서 중부 지방에 걸쳐 도카이도와 거의 평행하게 동서로 뻗어 있다. 용지 매입비와 건설비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주택이나 밭 등을 가능한 한 회피하여 도쿄 - 코마키 간을 최단 거리로 계획하고, 시가지 및 마을과의 단절을 최대한 피했다.[12]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노선 위치를 조정했다.

도쿄 기점에서 누마즈까지는 내륙을 통과하여 국도 246호선과 대체로 평행하게 달린다.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경쟁은 가능한 한 피하도록 하였다. 특히 아타미, 하마나코 부근에서는 차이가 매우 크다. 단, 시즈오카현에서는 도카이도 신칸센과 6곳에서 교차한다. 아이치현에서는 내륙을 통과하며, 오카자키 부근을 제외하고는 국도 1호선에서 크게 벗어나 코마키에 이른다. 붉은색 테두리의 도시는 중심부 통과를 피했다.


결과적으로 노선은 요코하마, 후지사와, 오다와라, 누마즈, 하마마츠, 나고야 등의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지 않고, 아타미, 미시마를 거치지 않고 고텐바를 거치는 등 도요카와 - 나고야 간도 해안을 피해 내륙에 노선을 통과시켰다.[12] 이로 인해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국도 1호선과 위치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다. 도쿄 기점에서 누마즈까지는 내륙을 통과하는 국도 246호선과 대체로 평행하며, 이후 하마마츠 부근까지 국도 1호선과 평행한다. 이보다 도카이도 신칸센도카이도 본선을 피해 다테야마, 미카니를 통과하여 오카자키 부근에서 국도 1호선과 평행하며, 이후 내륙을 통과하여 나고야시 동쪽 끝, 카스가이, 코마키에 이르러 메이신 고속도로에 연결된다.

이 도로는 앞서 건설된 메이신 고속도로의 기술과 경험을 도입하여 건설되었지만, 직선 구간이 많은 메이신 고속도로와 달리 도메이 고속도로는 90%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카이도의 특징은 큰 하천을 여러 번 건너는 것이며, 도메이 고속도로에서도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사카와가와, 후지가와, 아베가와, 오이가와, 텐류가와, 하마나호 등 여러 대규모 하천을 횡단하는 것이 노선의 특징이다.

'도메이 고속도로'라는 명칭은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고속도로라는 의미이다. '고속도로'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현재 신동명 고속도로, 도메이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 메이신 고속도로뿐인데, 이는 도메이 고속도로·메이신 고속도로의 계획·건설 과정에서 민간에서 널리 '고속도로'라는 통칭이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정착되었기 때문이다.[13]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과 관련해서는 고속자동차국도법과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 두 가지 법률이 제정되었다. 법령에 따른 노선명은 도쿄IC - 고마키IC 구간은 '''제일동해자동차도'''이며, 고마키 분기점 - 고마키IC 구간은 '''중앙자동차도 니시노미야선'''과 제일동해자동차도의 중복 구간이다.

1966년(쇼와 41년) 7월까지의 근거 법령은 다음과 같다.

  •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建設法): 1960년(쇼와 35년) 7월 25일 공포 시행. 1966년(쇼와 41년) 7월 1일에 폐지되었다.

노선명기점주요 경과지종점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도쿄도요코하마시 부근, 시즈오카시 부근, 하마마쓰시 부근, 도요하시시 부근나고야시 부근


  •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 시행령(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建設法施行令): 1962년(쇼와 37년) 5월 30일 공포 시행. 1966년(쇼와 41년) 7월 1일에 폐지되었다.



내무성 토목국이 전시 상황에 계획한 자동차 국도망. 이미 도메이 고속도로의 원형이 구상되어 있다.


도메이 고속도로의 계획은 1940년(쇼와 15년) 내무성의 탄환도로 계획에서 시작되었다. 이 계획은 전쟁 상황 악화로 중단되었지만, 1951년(쇼와 26년) 당시 수상이던 요시다 시게루의 지시에 따라 도쿄 - 고베 간 도로 계획으로 재개되었다.

이와 거의 동시에, 같은 도쿄 - 고베 간을 아카이시 산맥(남알프스)을 경유하여 관통하는 주오 고속도로가 계획되어 도메이 고속도로와 경쟁하게 되었고, 어느 쪽을 채택할 것인가를 놓고 큰 논쟁이 벌어졌다. 그러나 두 안 모두 나고야 - 고베 간은 별다른 차이가 없고 경제적 효과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구간만 우선 사업화하기로 결정했다. 이것이 메이신 고속도로이다.

남은 도쿄 - 나고야 간은 법적 정비 측면에서 주오 고속도로가 앞섰다. 1957년(쇼와 32년) 4월, 주오 고속도로 건설의 근거 법인 국토개발종관자동차도건설법이 시행되어 도메이 고속도로 계획은 중단될 위기에 처했다.[23]

이 기간 동안에도 국도 1호선의 교통량은 점차 증가하여 한계에 다다랐다. 많은 교통량을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이 필수적이었고, 이는 중의원 의원 엔도 사부로 등이 지지했다. 엔도는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을 위한 법안을 의원입법으로 국회에 제안했고, 1960년(쇼와 35년) 7월에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이 성립되었다.

2. 2. 설계 및 건설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는 도카이도를 달리는 국도 1호선의 화물 수송량 증가로 인한 혼잡을 해소하고, 화물의 대량, 고속 수송 등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자동차 전용도로로 건설되었다.[14][15] 도시 간 고속도로에서 도메이 고속도로의 개통 순위는 메이신 고속도로, 주오 자동차도에 이어 세 번째이다.[11] 노선이 커버하는 범위는 메이신 고속도로와 함께 일본 경제의 중추 지역이며,[16] 개통 당시 산업적으로 가장 높은 발전을 이룬 지역을 관통했기 때문에 도메이 고속도로는 이들 지역의 기능 강화와 확대에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고,[17] 나아가 일본의 고도경제성장 전반부를 지탱하고 견인했다.[18]

노선은 간토 지방에서 주부 지방에 걸쳐 도카이도와 거의 평행하게 동서로 종관한다. 용지 매입비와 건설비를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주택이나 밭 등을 가능한 한 회피하여 도쿄 - 코마키 간을 최단 거리가 되도록 계획하고, 아울러 시가지 및 마을의 단절을 최대한 회피했다.[12]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과 경쟁하지 않도록 노선 위치의 조정이 이루어졌다.[11] 결과적으로 노선은 요코하마시, 후지사와시, 오다와라시, 누마즈시, 하마마쓰시, 나고야시 등의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지 않고, 아타미시, 미시마시를 거치지 않고 고텐바시를 거치는 등 도요카와시 - 나고야 간도 해안을 피해 내륙에 노선을 통과시켰다.[12] 이로 인해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국도 1호선과 위치적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도쿄 기점에서 누마즈까지는 내륙을 통과하는 국도 246호선과 대체로 평행하며, 이후 하마마쓰 부근까지 국도 1호선과 평행한다. 이후 도카이도 신칸센과 도카이도 본선을 피해 다테야마, 미카와를 통과하여[19] 오카자키 부근에서 국도 1호선과 평행하며 이후는 내륙을 통과하여 나고야시 동쪽 끝, 가스가이시, 코마키에 이르러 메이신 고속도로에 연결된다.

이 도로는 앞서 건설된 메이신 고속도로의 기술과 경험을 도입하여 건설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직선이 많은 메이신 고속도로와 달리 도메이 고속도로는 9할까지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20] 또한 도카이도의 특징으로 대하천의 횡단이 다양하게 있으며, 도메이 고속도로에서도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사카와가와, 후지가와, 아베가와, 오이가와, 텐류가와, 하마나호 등 여러 대규모 하천을 횡단하는 것이 노선의 특징이다.[21]

「도메이 고속도로」라는 명칭은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고속도로라는 의미이다.[22] 또한 「고속도로」라는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현재 신도메이, 도메이 고속도로와 신메이신, 메이신 고속도로뿐이지만, 이는 도메이 고속도로·메이신 고속도로의 계획·건설 과정에서 민간에서 널리 「고속도로」라는 통칭이 사용되어 일반적으로 정착하고 친숙한 명칭이 되었다는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여 채택된 것이다.[13] 이들은 도쿄IC - 코마키IC 간의 도로명(통칭명)이며, 법령에 따른 노선명은 이와 다르다.

도쿄IC에서 코마키IC까지의 직선 거리는 248.4km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의 연장 거리는 346.7km로 약 100km나 우회하고 있다(도카이도 신칸센의 도쿄역 - 나고야역과 거의 같은 거리).

전 구간을 NEXCO 중일본이 관리·운영하고 있다. 도로 색상은 스카이 블루()이다.[14]

  • 도쿄도 세타가야구 요가(도쿄IC)
  • 아이치현 코마키시 오아자 무라나카마쓰바라(코마키IC)
  • 총연장: 346.7 km
  • 도로구조령
  • 제1종 제1급 (요코하마마치다IC - 하스네나카이IC・오카자키IC - 코마키IC)
  • 제1종 제2급 (도쿄IC - 요코하마마치다IC・고텐바IC - 오카자키IC)
  • 제1종 제3급 (하스네나카이IC - 고텐바IC)
  • 설계속도
  • 120 km/h (요코하마마치다IC - 하스네나카이IC・오카자키IC - 코마키IC)
  • 100 km/h (도쿄IC - 요코하마마치다IC・고텐바IC - 오카자키IC)
  • 80 km/h (하스네나카이IC - 고텐바IC)
  • 차선폭원: 3.6 m
  • 도로폭원: 24.9 m - 32.1 m
  • 차선수: 편도 2 - 4차선, 왕복 4 - 8차선 (일부, 추가차선(가속차선, 합류차선)으로 8차선 구간 있음. 주요 예시는 다이와 터널, 고텐바 분기점 부근 구간)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과 관련해서는 고속자동차국도법과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의 두 법률이 제정되었다.[23] 법령(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 별표, 고속자동차국도의 노선을 지정하는 정령 별표)에 따른 노선명은 도쿄IC - 고마키IC 구간은 '''제일동해자동차도'''이며, 고마키 분기점 - 고마키IC 구간은 '''주오 자동차도 니시노미야선'''과 제일동해자동차도의 중복 구간이다.[24]

1966년(쇼와 41년) 7월까지의 근거 법령은 상기 법령과 다르다. 이하, 당시의 법령을 열거한다.

  •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建設法): 1960년(쇼와 35년) 7월 25일 공포 시행.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은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의 예정 노선망에 포함되는 형태로 1966년(쇼와 41년) 7월 1일에 폐지되었다.[25] 노선명은 "○○자동차도"가 아니라 "간선자동차국도"라는 다른 예를 찾아볼 수 없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종점 위치는 그 후의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의 "고마키시"와 달리 "나고야시 부근"으로 되어 있지만, 그 경위에 대해서는 도쿄·고베 간의 고속도로 계획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노선명기점주요 경과지종점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도쿄도요코하마시 부근, 시즈오카시 부근, 하마마쓰시 부근, 도요하시시 부근나고야시 부근


  •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 시행령(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建設法施行令) (그 후의 "고속자동차국도의 노선을 지정하는 정령"에 해당[26]): 1962년(쇼와 37년) 5월 30일 공포 시행. 본 법률은 1966년(쇼와 41년) 7월 1일에 폐지되었다.[27] 경과지는 합병 전의 요시하라시와 시미즈시가 포함되며, 기점은 세타가야구가 아니라 시부야구이다.




참고로, 도메이 건설과 관련된 법령은 1966년(쇼와 41년) 7월에 폐지된 동해도간선자동차국도건설법을 근거로 했기 때문에,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건설법(구 국토개발종관자동차도건설법) 제5조에 의한 건설선의 기본 계획은 고시되지 않았다. 계획 초기부터 국토개발종관자동차도건설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메이신 고속도로, 주오 자동차도와의 차이점이다.[28]

국도 1호선(도쿄 - 나고야 구간)의 교통량 변화. 교통량의 급증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메이 고속도로 설계의 기본이 된 것은 건설성이 1959년(쇼와 34년)부터 1961년(쇼와 36년)에 걸쳐 조사하여 정리한 「동해도 간선 자동차 국도 조사 보고서」이다. 조사는 극심한 정체를 보이는 국도 1호선의 현황 조사,[29] 개량 구간 및 우회도로 건설 검토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래도 정체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자동차 전용도로 조사도 고려되었다.[30] 결과적으로 국도 1호선의 현황으로 미루어 고속자동차국도 건설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되어 이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진행하였고, 1961년(쇼와 36년) 10월에는 정리하여 도로심의회에 보고했다.[31]

보고서에 따르면, 유료도로로 할 경우의 수익성은 1962년도에 착공하여 건설 기간을 7년으로 하고 1969년도부터 개통한다고 가정할 경우, 1969년(쇼와 44년)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15,594대로 산출되었다. 여기에 미래의 증가를 고려하면 개통 후 21년에 상환을 완료할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직접적인 경제 효과로서 주행 편익, 시간 편익, 교통사고 감소 효과 외에 간접 효과로서 연도 지역의 인구와 산업의 증가 및 공장 등의 재고 감소가 기대된다. 이 중 일반도로에서 도메이 고속도로로 전환되는 교통량에 의한 직접 효과는 235억 엔으로 추정되며, 이것만으로도 10년도 채 되지 않아 건설비 상당액의 편익이 있다. 즉, 도메이 고속도로는 막대한 투자를 하더라도 건설할 가치가 있는 경제적 가치가 있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기점은 그 후의 세타가야구와 달리 시부야구 요요기하치만(도쿄도도 제317호선) 연결부로 되어 있으며, 이후 도쿄도도 제318호선, 도쿄도도 제311호선 각 교차점에 인터체인지를 설치할 예정이었다. 조사 시점에서 도쿄도 내에서 도메이 고속도로와 연결되는 교통 체계 방침이 미확정이었기 때문에 일단 결정한 것이며, 이것이 확정되면 이 계획에 맞추기로 했다. 종점은 법률상 나고야시 부근이지만, 기술적인 사정으로 고마키시가 되었다. 그 연장은 356km이며, 건설비용은 2,442억 엔이다. 구체적인 조사에 의해 과거에 대략 추산된 1,700억 - 1,900억 엔[32]보다 크게 증가했다.

노선은 확정 후의 도메이 고속도로와 거의 일치하지만, 야이즈 - 도요카와 간에는 3개의 노선이 있어 이 시점에서는 압축되지 않았다. 차선 수는 도쿄 제3 인터체인지(환상 8호선 연결)에서 마쓰다까지 왕복 6차선이며, 우선 4차선을 건설하고 토지만 완성 형태로 매입한다. 그 외는 완성 형태의 4차선 단면이다. 이러한 건설성의 조사를 계승하여 일본도로공단(이하, 공단)이 다시 조사에 착수했다. 이하 공단에 의한 조사이다.

건설성의 조사는 직선 중심의 종래의 선형이었고, 메이신 고속도로 건설에서 경험한 건설비용 실적이 건설비 산출에 반영되어 있지 않았으며, 또한 짧은 구간에 대한 비교 선형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 조사만으로 도메이 고속도로의 정비 계획을 확정하는 것은 부족하다는 점에서, 1961년(쇼와 36년)부터 다시 공단에 의해 조사가 실시되어, 결과적으로 3,425억 엔이라는 건설비 예산이 나타났다. 또한 도메이 고속도로의 특징인 곡선 중심의 선형을 대폭 채택하고, 건설성 조사 후 주택 단지화, 공업 단지화된 지역을 피하기 위해 노선 수정을 실시했다.

도메이 고속도로의 기점은 건설성 안의 시부야구 요요기하치만에서 세타가야구 세타마치로 변경되었다. 6차선 구간은 당초 환상 8호선 연결부에서 마쓰다 사이였지만, 공단은 이것을 아쓰기로 단축했다.


기점은 도메이 고속도로의 도로 규격으로 도심부까지 진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건설성 안의 시부야구에서 세타가야구의 환상 8호선 외곽까지 후퇴했다. 최종적인 기점 위치는 수도고속 3호 시부야선의 연결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또한, 비용 대비 효과 확인 및 차선 수, 인터체인지 위치를 계획하는 데 있어 추정 교통량을 산출했다. 1969년(쇼와 44년) 도메이 고속도로 개통 당시 교통량은 도쿄의 일일 환산 33,000대를 정점으로 아쓰기까지가 2만 대 이상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또한 개통 후 10년 이내 도쿄 - 아쓰기 간의 추계는 2배 이상 증가한다는 예상에서 도쿄 - 아쓰기 간은 왕복 6차선, 그 외는 왕복 4차선으로 했다. 단, 당초 정비 계획에서는 도쿄 - 오이마쓰다 간을 왕복 6차선으로 했지만, 오다와라아쓰기 도로가 계획됨에 따라 아쓰기 - 오이마쓰다 간은 왕복 4차선으로 축소되었다.

참고로, 1시간당 교통 용량은 6차선 7,000대, 4차선 4,600대이며, 이것을 기준으로 연평균 1일 교통 용량을 산출한 경우, 왕복 6차선 구간에서 88,000대, 왕복 4차선 구간에서 48,000대이다. 이 정도의 교통 용량이라면 도메이 고속도로는 무리 없이 차량을 소통시킬 수 있다. 실제로 전선 개통 15년 후인 1984년(쇼와 59년)의 추정 교통량은 이 범위에 들어온다. 그러나 개통 후 얼마 되지 않아 이 교통 용량으로는 압도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건설대신으로부터 일본도로공단에 내려진 시행 명령은 다음 순서로 이루어졌다. 1962년(쇼와 37년) 5월 30일(도쿄 - 시즈오카 구간), 같은 해 9월 17일(도요카와 - 코마키 구간), 1963년(쇼와 38년) 10월 25일(시즈오카 - 도요카와 구간을 포함한 도쿄 - 코마키 구간 전 구간).[34]

그러나 명령은 가장 먼저 내려졌지만, 그 시점에서 노선이 확정된 것은 아니었다.[35] 특히 상술한 마쓰다 - 야마키타 구간의 노선이 확정된 것은 1964년(쇼와 39년) 8월이다.[36] 시행 명령이 내려졌다고 해서 곧바로 공사에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조사 결과를 고려하여 최종적인 노선 위치를 결정하고,[35] 중심 말뚝 설치, 설계 협의, 용지 매입을 거쳐서야 비로소 공사에 착수하였다.[37]

도메이 고속도로와 도카이도 신칸센의 단면 비교도
[38][39][40] 도메이 고속도로의 토지 매입 면적이 얼마나 광대한지는 도카이도 신칸센과 비교하면 이해할 수 있다. 차량만 비교하는 경우 자동차보다 신칸센의 크기가 더 크다. 그러나 신칸센은 상하행선을 합쳐 2개의 선로만 있으면 되지만, 도메이 고속도로는 상하행선 각각 2개씩, 총 4차선이 필요하며, 마주 오는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중앙분리대와 고장 차량을 주차하기 위한 갓길이 필요하다. 따라서 토지 취득 면적은 신칸센을 훨씬 상회하며, 토지 매입비 비교에서는 신칸센(515km) 598억 엔,[41] 도메이 고속도로(350km)는 925억 엔[42]이다. 또한 터널도 신칸센은 1개로 충분하지만, 왕복 분리형인 도메이 고속도로는 2개가 필요하다.[43]

지형도를 포함한 노선을 지역 관계자들에게 발표(노선 발표)한 후, 여러 협의를 거쳐 토지 취득에 들어간다.[37] 토지가 확보되면 도로는 완성된 것과 같다고 말해진다.[44] 그러나 토지가 확보되지 않으면 노선 계획은 그림의 떡이며, 기한 내에 확보하지 못하면 예정된 개통일에 맞추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세금 감면 조치에 영향을 미치는 등 여러 가지 불편이 발생한다.[45][46] 따라서, 서명을 받기 위해 지주의 감정을 헤아리면서 감정을 불필요하게 자극하지 않도록 일을 처리하고, 기한 내 취득을 목표로 했다.[47] 이하, 매입 사례를 제시한다.

고속도로 토지 매입에서는 매입 가격과 지주가 생각한 가격이 다를 경우 격렬한 갈등이 발생했다.[48] 그것을 피하기 위해 지역 주민을 조직화하여 그 대표와 협상하는 등의 대책을 세웠지만,[49] 그래도 돈이 관련되는 일이기 때문에 내부 분열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았고, 그 때문에 지주들을 하나로 묶는 대표의 고생도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가이시시의 경우, 도카이도 신칸센의 토지 매입에 2년을 소비하고, 국도 1호선의 토지 매입에 8개월이 걸린 지역에 도메이 고속도로 측이 협상에 들어갔다. 가격 협상은 예상대로 난항을 거듭했고, 온갖 방법을 동원하여 타협에 이르렀지만, 이 기간 동안 지주회 회장이 세 명이나 바뀌었다.[50] 또한, 갈등이 심각하고 협상에 전혀 진전이 없는 경우, 지방자치단체장에게 중재를 요청하여 해결을 모색했다.[51][52]

앞서 언급했듯이, 토지 매입은 시간과의 싸움이기도 했다. 하야마시에서는 1966년(쇼와 41년) 3월 이후, 공단의 단가 발표에 불만을 가진 지주와의 협상이 결렬되었고, 조세특례제한법의 감면 조치가 적용되는 최종 마감 3일 전에 열린 지주 총회에서는 모인 약 200명이 관계 지주의 총의로서 공단의 매입 가격에는 전혀 응할 수 없다고 하여, 점점 불안한 분위기가 감돌기 시작했다. 그래서 공단은 지주회를 상대로 하는 것을 그만두고 각 지주와의 직접 협상에 나섰다. 그리고 맞이한 마지막 날, 공단은 가격을 재조정하여 시장실에서 지주회 회장을 불러 협의한 결과, 회장은 공단 가격을 승낙하고, 즉시 시민회관에 대기 중인 지주들에게 발표하고, 유선 방송으로 각 지주에게 개별 서명을 요청했다. 그러나, 이에 응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일부 지주들을 방해하는 자의 소행도 있어서 자정이 되어도 10% 정도의 서명만 얻을 수 있었다. 그래도 공단은 포기하지 않고 특별반을 편성하여 밤샘 개별 설득 작업을 한 결과, 새벽에 서명하러 온 사람이 나타나, 최종적으로 관계 지주들이 공단 사무실을 방문하여, 마침내 완료되었다.[53] 또한, 세타가야구에서는 도영 기누타 녹지공원(현・기누타 공원)과 구영 종합 체육관의 토지를 취득하는 데 있어서 도쿄도 의회와 구의회의 승인이 필요하여 단기간 취득이 어려워 보였다. 그러나 도구 관계자들의 노력으로 매우 드물게 단기간에 도의회의 의결에 이르렀다.[54]

종교 시설의 매입에는 어려움이 따랐다. 네 마을이 공유하는 신사를 예가 공법으로 이전시킨 사례가 있었는데, 氏子 측은 공단 제시액의 3배를 요구하여 협상은 난항을 거듭했다. 최후의 수단으로 토지수용법에 의한 결정을 공단이 압박하자, 氏子 측은 신사 이전을 수용에 끌어들이는 것은 지역의 수치라고 하여 협상은 타결되었다.[55] 이 토지 수용은 최후의 수단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의 토지 매입에서는 어쩔 수 없이 행사한 예가 있다. 어떤 협상에서 끝까지 승낙하지 않은 지주 몇 명에 대해 시장이 오전 9시부터 다음 날 오전 2시까지 17시간에 걸쳐 설득하여 타결된 사람을 제외한 나머지 1명에 대해서는 공단의 타결 가격에 불만을 품고 끝까지 서명을 거부하고, 게다가 7조 엔의 5억 배라는 천문학적인 가격을 제시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수용법을 적용한 것이다.[56]

이러한 토지 매입과 공사에 따른 보상비만으로 공사비 전체의 30%(924억 9,300만 엔)가 소요되었다.[32]

패전 후 일본은 세수가 극도로 적어 세금만으로 고속도로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래서 미국을 본떠 도로 건설 자금을 차입으로 충당하고, 상환 방법으로 도로를 유료화하여 통행료 수입으로 상환하는 방법이 모색되었다. 도로는 원래 공공재이므로 세금으로 건설하여 무료로 통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유료화하여 통행료를 받는다는 것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일이었다. 이러한 도로 건설 방식으로 일본도로공단이 설립되었는데, 명신, 도메이, 중앙 고속도로의 공단 건설은 당시 세수가 적었던 일본에서 선택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었다.[57] 따라서 도메이 고속도로는 처음부터 유료도로로 계획되었고, 일본도로공단이 건설하여 개통 후 통행료 수입으로 차입금을 상환하게 되었다.[58]

도메이 고속도로의 예상 사업비는 3,425억 엔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도메이 고속도로 전 구간 개통에 대한 총 사업비 3,425억 엔과 동일하며, 이처럼 대규모 공사임에도 불구하고 예산 범위 내에서 지출을 억제하는 데 성공했다. 이 3,425억 엔이라는 사업비에 대해, 1962년도(쇼와 37년도)의 일본 전체 총 도로 투자액이 약 4,000억 엔이었던 것으로 보아 도메이 고속도로 사업의 규모가 얼마나 컸는지 알 수 있다. 1km당 공사비는 9.8억 엔으로, 이를 미국의 2.25억 엔, 서독의 3.5억 엔, 프랑스의 1.8억 엔과 비교하면 약 3배에 달한다. 이는 일본의 특수한 상황 때문으로, 지반이 연약하고, 평지 면적에 비해 산지가 많으며, 인구 밀도가 높아 토지 이용이 고도화되어 있는 것이 비용 증가 요인으로 꼽힌다.

일본도로공단은 이 거액의 자금 조달을 위해 명신 고속도로에 이어 국제부흥개발은행(세계은행)의 차관을 강력히 요청했다. 이는 공단이 시행하는 다른 도로 건설 계획과 합치면 정부 예산, 재정투융자 계획으로 최대한의 투자를 해도 여전히 자금 부족에 직면하기 때문이다.

1962년(쇼와 37년) 12월, 대장대신 다나카 가쿠에이가 미국을 방문하여 세계은행 총재와 회담한 결과, 사업비 7500만달러의 차관(명신 고속도로에 이은 제3차 차관)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어서, 도요카와 - 고마키 구간의 제4차 차관 5000만달러, 시즈오카 - 도요카와 구간의 제5차 차관 7500만달러, 도쿄 - 시즈오카 구간의 제6차 차관 1억달러 등 총 4차례에 걸쳐 차입하여 총 3억달러(고정환율제, 1080억)를 조달했다. 따라서 도메이 고속도로의 총 건설 비용의 32%가 외화에 의존하게 되었다. 명신 고속도로의 외화 의존율이 약 25%였던 것에 비해, 도메이 고속도로에서는 건설비 재원으로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된 것이다. 이 차입금은 도로 채권에 비해 장기 저리(상환 기간 15~26년, 이자율 5.5~6.625%)였기 때문에 건설비의 금리 부담 경감에 기여했다. 참고로, 세계은행 이외의 차입으로는 정부 출자금(자본금), 도로 채권, 산업투자특별회계 차입금이 있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메이신 고속도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건설되었다. 메이신 고속도로에 비해 시공 연장은 약 2배, 사업비는 약 3배에 달했지만, 공기는 1년이나 단축되어 완공되었다. 이는 기계 시공의 효율화가 더욱 향상된 결과이지만, 그 외에도 한국도로공사 직원부터 도급업체에 이르기까지, 설날을 제외하고는 휴일을 반납하고 밤낮없이 공사를 진행했으며, 특히 조경업체는 개통 5일 전부터 거의 밤샘 작업으로 임한 것도 공기 단축의 한 요인이었다.

도메이 고속도로 건설에는 총 2,170만 명이 참여했다. 이 숫자는 토목 건설뿐 아니라 전기, 통신, 조명, 식재 등 관련 공사를 포함하며, 일본의 주요 건설 회사와 제조업체 대부분이 공사에 참여했기 때문이다. 이 중 사망자는 79명이었다.[33]

2. 3. 개통 이후

도메이 고속도로(東名高速道路)는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중요한 도로로, 중일본고속도로(NEXCO 중일본)가 운영하며 통행량이 가장 많은 구간 중 하나이다. 하루 10만 대 이상의 차량이 이용하는 구간도 있다.[8]

최초 구간은 1968년에 개통되었고, 전체 구간은 1969년에 완공되었다.[2] 도쿄에서 고마키시까지의 구간은 메이신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교토, 오사카, 고베로 이어진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도카이도를 달리는 국도 1호선의 혼잡을 해소하고, 화물 수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건설되었다.[11] 메이신 고속도로, 주오 고속도로에 이어 세 번째로 개통된 도시 간 고속도로이다.[11] 이 도로는 일본 경제의 중추 지역을 연결하며, 고도경제성장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했다.[11]

노선은 관동 지방에서 중부 지방에 걸쳐 도카이도와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다.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경쟁을 피하고,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해 주택이나 밭을 최대한 피해 최단 거리가 되도록 계획되었다.[12]

이 도로는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후지가와 등 여러 대규모 하천을 횡단하는 것이 특징이다.[12]

'도메이 고속도로'라는 명칭은 도쿄와 나고야를 잇는 고속도로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13]

도쿄IC에서 고마키IC까지의 직선 거리는 248.4km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의 연장 거리는 346.7km로 약 100km 정도 우회한다. 이는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 나고야역 간 거리와 거의 같다.

전 구간은 NEXCO 중일본이 관리·운영하며, 도로 색상은 스카이 블루이다.[14]

도메이 고속도로는 4단계에 걸쳐 부분 개통되었다.

  • 1차 개통 (1968년 4월): 도쿄IC - 아쓰기IC (35km), 후지IC - 시즈오카IC (40.3km), 오카자키IC - 고마키IC (53.3km)
  • 2차 개통 (1969년 2월): 시즈오카IC - 오카자키IC (131.6km)
  • 3차 개통 (1969년 3월):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22.9km), 고텐바IC - 후지IC (37.8km)
  • 4차 개통 (1969년 5월):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25.8km)


개통으로 도쿄 - 나고야 간 이동 시간은 기존 9시간 30분에서 5시간 미만으로 단축되었다.[11] 총 공사비 3.425조는 1990년에 상환 완료되었다.

개통 직후 도쿄IC는 도쿄도도 311호 환상 8호선과 국도 246호선을 통해 도심과 연결되어 정체가 발생했다. 1971년 수도고속 3호 시부야 선이 연결되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1972년에는 주오 고속도로와의 분기점이 개설되었고, 1974년에는 하마마쓰니시 인터체인지가 추가 개통되었다.

1980년대 후반, 도메이 고속도로의 교통량은 용량 한계를 넘어섰고, 정체가 빈번해졌다. 이에 따라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 개축,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간 6차선 확장, 요코하마IC 개량, 시즈오카IC - 야이즈IC 간 개축 등이 이루어졌다.

1971년에는 제2동명고속도로 계획이 세워졌으나 지지부진했다. 1987년 제4차 전국 종합 개발 계획에 따라 제2동명고속도로 건설이 본격화되었다.

1995년 한신·아와지 대지진 이후, 대체 네트워크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신토메이 고속도로(제2동명고속도로에서 개칭) 건설이 가속화되었다. 2012년 신토메이 고속도로 일부 구간 개통으로 도메이 고속도로의 혼잡은 감소했다.

동명 고속도로는 동해도 메가로폴리스의 인구, 산업, 자동차 보유 대수 등을 고려할 때,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다.

개통 후, 공업 지대가 분산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농업에서는 상업적 농업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었다. 물류 측면에서는 트럭 수송의 효율성이 증대되었고, 기업의 재고 감소에도 기여했다.

도요타 자동차는 도메이 고속도로를 활용하여 저스트인타임 배송을 실현했다. 아쓰미 반도의 전조국화 재배 농가는 도메이 고속도로를 통해 도쿄 시장으로 출하량을 늘렸다.

도쿄 중앙 도매 시장으로 운반되는 신선 식품의 양이 증가했고, 시미즈항은 참치 유통의 중요 거점으로 성장했다. 하마마쓰시는 내륙 컨테이너 기지를 통해 수출을 확대했다.

동명 고속도로는 동해도 메가로폴리스 형성에 기여했으며, 이후 전국적인 산업 분산에도 영향을 미쳤다.

2. 4. 혼잡 완화 대책

3대 경제권과 공업·상업 밀집 지역을 잇는 도메이·메이신 고속도로의 수송량은 일시적으로 증가했지만, 곧 도메이 고속도로의 용량 한계를 넘어서면서 정체가 자주 발생하기 시작했다.[39] 특히 대도시권과 선형이 좁고 터널 구간이 많은 산간부에서 심했다.[39] 이로 인해 고속도로의 기능인 고속성, 정시성, 안전성을 확보하기 어려워졌다. 휴게 시설의 혼잡도 심각하여, 평일 야간에는 대형차 주차 공간이 부족하고, 휴일에는 레저 목적의 소형차 공간이 부족했다.[40] 휴게 시설에 대해서는 유원지나 녹지를 주차 공간으로 전환하는 공사로 대응했다.[40]

;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간 개축

노선 개량된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간. 왼쪽의 편도 3차선 도로가 증설된 상행선. 오른쪽은 당초의 왕복 4차선 도로로, 신상행선 개통을 계기로 4차선 모두 하행선이 되었다.


도메이 고속도로 최초의 정체 완화를 목적으로 한 대규모 개량은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이다. 이 구간은 정체가 만성화되고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점이었다.[40] 1982년 1월 제26회 국토개발 간선 자동차도 건설 심의회에서 정비 계획이 결정되었다.[41]

개축에서는 왕복 4차선을 6차선으로 늘렸지만, 도메이 고속도로를 운영하면서 시공해야 했다. 이 때문에 4차선 양쪽에 1차선씩 추가하는 방법은 모든 구간에서 채택될 수 없었다. 특히 도메이 사카와 강 교량 등 높은 교각의 교량과, 도부라야 터널과 아즈마야마 터널을 운영하면서 확장하는 것은 어려웠고, 토지 이용 형태에도 문제가 있었다.[42]

검토 결과, 양쪽 확장과 3차선 별도 건설, 두 가지 형태를 채택했다.[42]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간 25.3km 중, 양쪽 확장은 고텐바IC 쪽 5.1km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별도 노선을 건설했다. 별도 노선은 오이마쓰다IC부터 아즈마야마 터널 간은 기존선의 산쪽(북쪽)에, 토부라야 터널부터 코야마 버스 정류장 부근까지는 반대로 기존선 남쪽 산지에 건설했다.[43] 이로 인해 별도 노선은 기존선을 가로지르는 구간이 2곳 생겼다.

별도 노선은 산간부를 관통하기 때문에 터널이 많고, 커브가 줄어들어 안전성이 향상되었다. 별도 노선은 상행선으로 운용하는데, 이는 병렬 구간(오이마쓰다IC - 아즈마야마 터널)에서 기존선 북쪽에 위치하고, 오이마쓰다IC에서 상행선에 그대로 연결되기 때문이다. 기존선은 상하 4차선을 하행 일방향으로 운용하여 교통 분산을 도모하고 주행 속도 향상을 기대했다.[44] 7차선 운용은 1991년 12월 24일부터 시작되었으며,[45] 이후 정체가 없어지고, 교통 정보에서 "토부라야 터널"이 사라졌다.[46]

;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간 6차선화

도메이 고속도로 운영 개시 후, 수도권의 교통량 증가로 정체가 고텐바 부근까지 이어졌다. 그래서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간 확장을 실시하여 1995년까지 왕복 6차선화되었다.[47] 해당 구간은 전 구간 상하선 양쪽에 1차선씩 추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48]

; 요코하마IC 개량

요코하마IC는 정체가 심각했고, 연결되는 국도 16호선과의 합류에서 시작된 정체가 요금소의 용량 부족으로 더욱 증폭되었다.[38] 1988년 시점 요코하마IC의 출입 교통량은 67,000대로, 개통 전 예상했던 46,000대를 크게 웃돌았다.[49]

요코하마IC는 더블 트럼펫형으로 계획되었고,[50] 국도 16호선과의 접속은 입체 교차였지만, IC 전후 교차로(국도 246호선 교차로, 환상 4호선 교차로)의 신호 대기로 인해 더블 트럼펫의 효과가 소멸하고 있었다. 요금소 부스 증설, 램프웨이 2차선화, 부가 차선 설치 등으로 어느 정도 효과를 보았지만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지 못했다.[38]

결국 추가 IC의 필요성이 인정되었고,[38] 이는 나중에 요코하마아오바IC 설치로 이어졌다.[51] 요코하마아오바IC 설치와 국도 246호선의 입체 교차 완성으로 요코하마IC, 도메이 가와사키IC의 출구 정체는 크게 감소했다. 본선 출입도 원활해져 본선의 평균 속도가 3% 향상되었다.[52] 요코하마IC는 1997년 4월 1일부로 요코하마마치다IC로 명칭이 변경되었다.[51]

; 시즈오카IC - 야이즈IC 간 개축

시즈오카현 통과 구간 중, 니혼자카 터널 갱구를 선두로 한 교통 집중에 의한 정체가 연간 250회 이상 발생하여 노선 증설을 계획했다.[53] 대상 구간은 시즈오카IC - 야이즈IC 간(11.8km)으로, 이 중 니혼자카 터널을 포함한 4.5km에 대해, 기존 본선(왕복 4차선)의 바다 쪽에 새롭게 편도 3차선의 본선을 신설하고, 기존 도로는 하행선을 상행선으로 반전시킨 후, 편도 4차선의 상행 전용으로 운용하기로 했다. 상행선은 니혼자카PA에서 시즈오카IC까지 3차선(터널부 4차선), 하행선은 터널 앞부터 야이즈IC까지 3차선화했다.[54] 터널부 운용 개시는 1998년 3월 27일이다.[55]

2. 5. 대체 네트워크 구축

신동메이 고속도로는 도메이 고속도로에 병행하여 건설된 도로로, 도메이 고속도로의 우회로 역할을 한다. 도메이 고속도로는 교통량이 많아 혼잡과 사고가 빈번하고, 설계가 오래되어 급커브와 급경사가 많으며, 최근에는 노후화가 심각하여 대규모 보수 공사를 여러 차례 시행하고 있다. 또한 도메이 고속도로는 수도권과 중부, 간사이 지방 등을 잇는 주요 간선 도로 중 하나이기 때문에, 재해 발생 시에는 동서 간 물류에 차질이 생긴다. 따라서 기존 고속도로 네트워크를 상호 보완하는 새로운 노선으로 신동메이 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신동메이 고속도로는 도메이 고속도로에 비해 고급으로 설계되어 급커브와 급경사가 적고, 최고 속도 120km/h로 운영되는 구간도 있다. 고텐바 분기점 - 도요다 분기점 구간을 신동메이-이세만 연안 자동차도-신메이신 고속도로 루트로 주행할 경우, 도메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보다 수십 킬로미터 단축[15]되며, 신동메이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것이 소요 시간 단축에 유리한 경우가 많다.

2012년 4월 14일에 고텐바 분기점 - 하마마쓰 이나사 분기점 구간과 시미즈 연락로, 히키사 연락로가, 2016년 2월 13일에는 하마마쓰 이나사 분기점 - 도요다히가시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어 시즈오카현에서 아이치현까지 도메이 고속도로와 신동메이 고속도로의 이중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또한, 가나가와현 중부에서 시즈오카현에 이르는 구간은 2022년 4월 16일까지 에비나미나미 분기점 - 이세하라 분기점 - 신하타노 나들목 구간 및 신고텐바 나들목 - 고텐바 분기점 구간이 개통되었고,[16][17] 남은 신하타노 나들목 - 신고텐바 나들목 구간은 2027년 개통 예정이다.[18] 에비나미나미 분기점 동쪽 요코하마·도쿄 방면 구간은 기본 계획 노선 및 예정 노선에 머물러 있으며, 노선 및 정비 계획은 결정되지 않았다.

2. 6. 연표


  • 1951년 (쇼와 26년) : 도쿄 - 고베 고속 자동차도 조사 재개[46]
  • 1956년 (쇼와 31년) 5월 19일 : 와트킨스 조사단 방일[47]
  • 1957년 (쇼와 32년) 10월 17일 : 도쿄 - 고베 구간 중, 경쟁이 없는 코마키 - 니시노미야 구간(메이신 고속도로) 시행 명령 하달[48]
  • 1958년 (쇼와 33년) 3월 19일 : 마쓰나가 야스자에몬의 사설 싱크탱크인 산업계획회의가 도쿄 - 고베 고속도로 건설을 정부에 권고[49]
  • 1960년 (쇼와 35년)
  • * 7월 15일 : 제34회 국회 참의원 본회의에서 도카이도 간선 자동차 국도 건설 법안 가결 성립[50]
  • * 7월 25일 : 도카이도 간선 자동차 국도 건설법 시행[51]
  • 1962년 (쇼와 37년)
  • * 5월 30일 : 도쿄IC - 시즈오카IC 구간 정비 계획 책정[52]
  • * 9월 17일 : 도요카와IC - 고마키IC 구간 정비 계획 책정[53]
  • 1963년 (쇼와 38년)
  • * 1월 8일 : 측량을 위한 말뚝 박기식을 고마키시 무라나카 지내에서 개최[54]
  • * 9월 27일 : 세계은행과 일본도로공단 제3차 차관 조인(도쿄 - 시즈오카 구간, 1차와 2차 차관은 메이신 고속도로 건설 프로젝트) 7500만달러, 금리:5.5%, 기간:26년(유예기간:5.5년)[55]
  • * 10월 25일 : 시즈오카IC - 도요카와IC 구간, 도요카와IC - 고마키IC 구간 정비 계획 책정, 그리고 다시 도쿄 - 고마키 구간에 시행 명령 하달[56]
  • 1964년 (쇼와 39년) 4월 22일 : 세계은행과 일본도로공단 제4차 차관 조인(도요카와 - 고마키 구간) 5000만달러, 금리:5.5%, 기간:25년(유예기간:5년)[57]
  • 1965년 (쇼와 40년)
  • * 4월 22일 : 전 구간 기공식 개최[58]
  • * 5월 26일 : 세계은행과 일본도로공단 제5차 차관 조인(시즈오카 - 도요카와 구간) 7500만달러, 금리:6.5%, 기간:25년(유예기간:4.5년)[59]
  • * 9월 10일 : 시즈오카시내 공사에 관한 국제 입찰 집행. 미국의 R・B・포타슈닉사가 낙찰[60]
  • 1966년 (쇼와 41년)
  • * 7월 1일 : 국토 개발 간선 자동차도 건설법 시행. 도카이도 간선 자동차 국도 건설법 폐지[61]
  • * 7월 29일 : 세계은행과 일본도로공단 제6차 차관 조인(도쿄 - 시즈오카 구간) 10000만달러, 금리:6.625%, 기간:15년(유예기간:3년)[62]
  • * 8월 15일 : 정령 개정에 따라 노선명이 「고속 자동차 국도 도카이 자동차도」로 변경[63]
  • 1968년 (쇼와 43년) 4월 25일 : 도쿄IC - 아쓰기IC 구간・후지IC - 시즈오카IC 구간・오카자키IC - 고마키IC 구간이 개통되어, 고마키IC에서 메이신과 연결[64]
  • 1969년 (쇼와 44년)
  • * 2월 1일 : 시즈오카IC - 오카자키IC 구간 개통[65]
  • * 3월 31일 : 아쓰기IC - 오이마쓰다IC 구간・고텐바IC - 후지IC 구간 개통[66]。잠정 요금을 폐지하고 장거리 감면제를 도입한 새로운 요금 체제로 전환. 100km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25% 할인[67]
  • * 5월 26일 :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68]
  • 1970년 : 하행선 요시다IC - 기쿠카와IC 구간의 내리막에서, 비 오는 날 미끄럼 사고가 다발. 대책으로 미끄럼 방지에 효과가 있는 특수 포장 시공[69]
  • 1971년 (쇼와 46년) 12월 21일 : 수도고속도로 3호 시부야선 시부야 출입구 - 요가 출입구 구간 개통으로, 수도고속도로와 연결[70]
  • 1972년 (쇼와 47년)
  • * 10월 1일 : 고속도로 요금에 풀 시스템 채용[71]
  • * 10월 5일 : 코마키 분기점 개통으로, 주오 자동차도와 연결[72]
  • 1974년 (쇼와 49년) 3월 26일 : 하마마쓰니시IC 개통[73]
  • 1977년 (쇼와 52년) : 아시가라SA 상행선에 고속국도 최초의 수면 휴식 시설인 레스토인 아시가라 오픈[74]
  • 1979년 (쇼와 54년) 7월 11일 : 니혼자카 터널 화재 사고 발생[75]
  • 1981년 (쇼와 56년) 4월 25일 : 하다노나카이IC 개통[76]
  • 1986년 (쇼와 61년)
  • * 5월 28일 : 이세하라BS 부근의 상하행선에 구급차용 출구 개설[77]
  • * 11월 21일 : 오토와가마고리IC 개통[78]
  • 1988년 (쇼와 63년) 3월 30일 : 스소노IC 개통
  • 1990년 (헤이세이 2년) 7월 15일 : 세계은행 차관 상환 종료
  • 1991년 (헤이세이 3년)
  • * 3월 28일 : 고텐바IC - 오이마쓰다IC 구간의 신상행선(도메이 아시가라바시 포함) 개통。 고텐바IC - 오이마쓰다IC 구간의 구상행선은 같은 날 오전 10시 30분을 기하여 폐쇄, 하행선 우측 루트로의 개축 공사 시작.
  • * 8월 9일 : 오후 1시부터 8월 19일 오전 6시까지 오봉 기간 한정으로, 고텐바IC - 오이마쓰다IC 구간의 하행선 우측 루트를 잠정적으로 사용
  • * 8월 24일 : 아시가라SA 하행선의 시설 확장 공사 완료
  • * 12월 24일 :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의 개축 공사 완료(상행선 2차선・하행선 2차선을, 상행선 3차선〈신설〉・하행선 2+2차선〈개축〉화)
  • 1993년 (헤이세이 5년)
  • * 3월 22일 : 도메이 미요시IC 개통
  • * 3월 25일 : 사가라마키노하라IC 개통
  • * 12월 3일 : 나고야IC에서 도메이한신 자동차도(현・나고야 제2순환 자동차도)와 연결
  • * 12월 21일 : 가케가와IC 개통
  • 1994년 (헤이세이 6년) 12월 15일 : 아쓰기IC - 이세하라시, 하다노나카이IC - 오이마쓰다IC 구간의 6차선화 완료
  • 1995년 (헤이세이 7년) 4월 28일 : 이세하라시 - 하다노나카이IC 구간의 6차선화 완료
  • 1997년 (헤이세이 9년) 4월 1일 : 요코하마IC가 요코하마마치다IC로 명칭 변경
  • 1998년 (헤이세이 10년)
  • * 3월 2일 : 요코하마아오바IC 개통
  • * 3월 27일 : 니혼자카 터널 신하행선(3차선) 사용 개시
  • 1999년 (헤이세이 11년) 4월 4일 : 이와타IC 개통
  • 2001년 (헤이세이 13년) 10월 19일 : 고마키IC에서 나고야 고속도로 11호 고마키 선과 연결
  • 2003년 (헤이세이 15년)
  • * 3월 15일 : 도요다 분기점 개통으로 이세만 간안 도로(도요다히가시IC 방면)와 연결
  • * 11월 : 메이신·주고쿠 자동차도 등과 함께 아시아 고속도로 1호선에 편입.
  • 2004년 (헤이세이 16년)
  • * 11월 27일 : 닛신 분기점 개통으로, 나고야세토 자동차도와 연결.
  • * 12월 12일 : 도요다 분기점이 완성되어, 이세만 간안 도로(요카이치 방면)와 연결.
  • * 12월 22일 : 고텐바IC - 고마몬PA 구간의 6차선화 완료.
  • 2007년 (헤이세이 19년)
  • * 4월 1일 : 후지가와PA 스마트IC・엔슈토요다PA 스마트IC 사용 개시.
  • * 5월 31일 : 도요하시 요금소(도요하시키타BS - 도요카와IC 구간) 폐지.
  • 2009년 (헤이세이 21년)
  • * 6월 30일 : 모리야마PA 스마트IC의 연결을 허가
  • * 7월 27일 : 누마즈IC에서 이즈 종관 자동차도와 연결.
  • * 8월 11일 : 스루가만 지진 발생으로, 마키노하라SA 부근의 상행선 일부가 붕괴. 같은 해 8월 16일에 임시 복구.
  • 2010년 (헤이세이 22년) 2월 27일 : 에비나 분기점 개통으로, 켄오 자동차도와 연결.
  • 2011년 (헤이세이 23년)
  • * 1월 23일 : 사라마키노하라IC에서 가나야오마에자키 연락도로와 연결.
  • * 3월 1일 : 오이가와야이즈후지에다 스마트IC의 연결 허가
  • * 10월 21일 : 상행선의 도요다 분기점 - 오토와가마고리IC 구간・하행선의 미아이PA - 도요다 분기점 구간을 잠정 6차선화.
  • 2012년 (헤이세이 24년) 4월 14일 : 신토메이 고속도로의 고텐바 분기점 - 하마마쓰이나사 분기점 구간, 시미즈 연락로의 시미즈 분기점 - 신시미즈 분기점 구간, 히키사 연락로의 미카니 분기점 - 하마마쓰이나사 분기점 구간이 각각 개통. 고텐바 분기점에서 신토메이와, 시미즈 분기점에서 시미즈 연락로와, 미카니 분기점에서 히키사 연락로와 각각 연결.
  • 2014년 (헤이세이 26년) 6월 25일 : 상행선의 에비나 분기점 - 에비나SA 구간의 추가 차선 연장
  • 2016년 (헤이세이 28년)
  • * 2월 13일 : 신토메이 고속도로의 하마마쓰이나사 분기점 - 도요다히가시 분기점 구간 개통.
  • * 3월 12일 : 오이가와야이즈후지에다 스마트IC 사용 개시.
  • * 3월 19일 : 아이타카 스마트IC 사용 개시
  • * 10월 8일 : 상행선의 도요다 분기점 - 오토와가마고리IC 구간・하행선의 미아이PA - 도요다 분기점 구간을 다시 4차선화.
  • 2017년 (헤이세이 29년) 3월 18일 : 미카타하라 스마트IC 사용 개시。동시에 미카타하라PA 명칭 변경.
  • 2018년 (헤이세이 30년) 3월 24일 : 모리야마 스마트IC 사용 개시
  • 2019년 (헤이세이 31년 / 레이와 원년)
  • * 3월 9일 : 아시가라 스마트IC 사용 개시
  • * 3월 17일 : 이세하라 분기점・다테야마데라 스마트IC 사용 개시
  • * 9월 14일 : 니혼다이쿠누산 스마트IC 사용 개시
  • 2020년 (레이와 2년)
  • * 3월 22일 : 요코하마아오바 분기점에서 수도고속 가나가와 7호 요코하마 북서선과 연결
  • * 3월 28일 : 코마몬 스마트IC 사용 개시
  • 2021년 (레이와 3년)
  • * 3월 27일 : 도요다카미고 스마트IC 사용 개시, 동시에 카미고SA가 도요다카미고SA로 명칭 변경
  • * 3월 31일 : 아야세 스마트IC 사용 개시
  • * 5월 1일 : 도요다 분기점 - 고마키IC 구간의 고속도로 요금이 대도시 근교 구간의 요금 수준으로 변경

3. 노선 상황

중일본 고속도로가 전 구간을 관리·운영하며, 주오 자동차도, 메이신 고속도로, 신메이신 고속도로, 히가시메이한 자동차도, 니시메이한 자동차도와 함께 도쿄, 나고야, 오사카의 일본 3대 도시권을 연결하는 대동맥이다. 보통 메이신 고속도로와 같이 도메이신이라고 불린다.[78]

도쿄 나들목 - 아쓰기 나들목 구간은 대도시 근교 구간으로 통행 요금이 할증된다. 도쿄 나들목, 요코하마 아오바 나들목, 스소노 나들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들목은 트럼펫형이다. 태풍으로 후지 나들목 - 시미즈 나들목 사이 하행선이 자주 불통된다.[78]

도쿄 나들목 - 고마키 나들목 간 직선 거리는 248.4km이지만,[78] 도메이 고속도로의 총 연장은 346.8km로 약간 우회한다.[78] 매년 10월에는 2주 정도 도메이 집중 공사를 시행한다.

오이마쓰다IC - 아시가라BS 구간 하행선은 왼쪽·오른쪽 각 2차선, 상행선은 3차선이다. 니혼자카TN 동쪽-서쪽 구간 하행선은 3차선, 상행선은 왼쪽·오른쪽 각 2차선이다. 노선 유지 공사 시 오이마쓰다IC - 고텐바IC 구간에서 역방향 운영을 실시, 정체를 줄이기도 한다.

'''24시간 교통량'''(대, 도로교통센서스)

구간1999년2005년2010년2015년2021년
신토메이 고속도로개통 전고텐바-미카니치 구간 개통 후,
하마마쓰이나사-도요타히가시 구간 개통 전
에비나미나미-이세하라오야마, 신고텐바-도요타히가시 구간 개통 후,
이세하라오야마-신고텐바 구간 개통 전
도쿄IC - 도메이카와사키IC121,780112,746114,690107,56393,294
도메이카와사키IC - 요코하마아오바IC/JCT119,703110,523114,053107,46996,839
요코하마아오바IC/JCT - 요코하마마치다IC117,060106,762113,763109,326122,036
요코하마마치다IC - 아야세SIC125,934120,679130,425138,067140,425
아야세SIC - 에비나JCT
에비나JCT - 아쓰기IC128,920145,623137,337
아쓰기IC - 이세하라JCT88,75484,39890,752100,62892,872
이세하라JCT - 하타나카나이IC
하타나카나이IC - 오이마쓰다IC78,17277,58783,32793,00890,660
오이마쓰다IC - 아시가라SAIC73,21068,47374,54185,75380,383
아시가라SAIC - 고텐바IC
고텐바IC - 고텐바JCT66,50361,58065,32882,15375,113
고텐바JCT - 코마몬PAIC40,27626,513
코마몬PAIC - 숫소IC
숫소IC - 누마즈IC66,46262,64566,02941,00827,717
누마즈IC - 아이타카PAIC58,49466,83771,46045,63631,693
아이타카PAIC - 후지IC
후지IC - 후지카와SAIC67,24564,85569,03342,23728,418
후지카와SAIC - 시미즈JCT69,22642,48228,648
시미즈JCT - 시미즈IC47,13136,261
시미즈IC - 니혼히라쿠누야마SIC70,45269,75670,13444,97032,951
니혼히라쿠누야마SIC - 시즈오카IC
시즈오카IC - 야이즈IC81,62678,76379,15552,12138,171
야이즈IC - 오이가와야이즈후지에다SIC74,46373,33075,13649,65837,696
오이가와야이즈후지에다SIC - 요시다IC
요시다IC - 소라마키노하라IC57,63368,66970,88346,11932,977
소라마키노하라IC - 기쿠가와IC69,20568,73371,86147,53633,991
기쿠가와IC - 가케가와IC68,51367,81671,35746,87933,444
가케가와IC - 후쿠이IC68,81568,20771,55946,25632,497
후쿠이IC - 이와타IC69,45872,48077,14147,27633,496
이와타IC - 엔슈토요다PAIC71,82173,90477,61147,12633,376
엔슈토요다PAIC - 하마마쓰IC77,52347,33234,133
하마마쓰IC - 미카타하라PAIC65,75166,40868,54944,04532,458
미카타하라PAIC - 하마마쓰니시IC
하마마쓰니시IC - 다테야마데라SIC65,07264,99666,99243,20327,874
다테야마데라SIC - 미케니치IC
미케니치IC - 미케니치JCT62,96463,36865,24642,07526,519
미케니치JCT - 도요카와IC79,51927,748
도요카와IC - 오토와가마고오리IC72,62076,62577,35390,89134,948
오토와가마고오리IC - 오카자키IC78,93287,76489,338105,88041,448
오카자키IC - 도요타JCT78,13595,937101,090119,16754,999
도요타JCT - 도요타카미고우SAIC69,63456,52657,32240,379
도요타카미고우SAIC - 도요타IC40,492
도요타IC - 도메이미요시IC91,73481,51069,30967,79444,541
도메이미요시IC - 닛신JCT98,97287,49675,64372,24546,193
닛신JCT - 나고야IC88,53577,84877,61553,465
나고야IC - 모리야마PAIC79,15466,01954,97257,10536,246
모리야마PAIC - 카스가이IC36,745
카스가이IC - 코마키JCT84,17969,29556,88357,62138,964
코마키JCT - 코마키IC88,18089,45776,38576,10358,574


3. 1. 주요 접속 도로


  • 수도고속도로 3호 시부야 선(도쿄IC와 직결)
  • 도쿄 외곽 순환 고속도로(도메이 분기점과 연결: 사업 중)[19]
  • 수도고속 가나가와 7호 요코하마 북서선 (요코하마 아오바 분기점과 연결)
  • 호도가야 바이패스 (요코하마 마치다IC와 연결)
  • 수도권 중앙 연락 자동차도 (에비나 JCT과 연결)
  • 오다와라아쓰기 도로 (아쓰기IC와 연결)
  • 신토메이 고속도로 (이세하라 JCT과 연결)
  • 아쓰기하다노 도로 (하다노나카이IC와 연결: 계획 중)
  • 신토메이 고속도로 (고텐바 JCT과 연결)
  • 이즈 종관 자동차도 (누마즈IC와 연결)
  • 니시후지 도로 (후지IC와 연결)
  • 신토메이 고속도로 시미즈 연락로 (시미즈 JCT와 연결)[77]
  • 신토메이 고속도로 히키사 연락로 (미카니치 JCT와 연결)[77]
  • 이세 만안 자동차도 (도요타 JCT와 연결)
  • 나고야 세토 도로 (닛신 JCT와 연결)
  • 나고야 제2환상 자동차도 지선(나고야IC와 연결)
  • 주오 자동차도 (고마키 JCT와 연결)
  • 나고야 고속도로 11호 고마키 선 (고마키IC와 연결)
  • 메이신 고속도로 (고마키IC와 직결)

3. 2. 루트 분기

도메이 고속도로는 가나가와현을 지나 국도 246호선과 평행하게 달리며 요코하마 북쪽을 통과한다. 이후 서쪽으로 시즈오카현으로 이어져 후지산 남쪽과 스루가만 해안선을 따라 국도 1호선 및 도카이도 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달리다가 시즈오카시에 이른다. 계속 서쪽으로 하마나호를 지나 아이치현으로 진입, 북서쪽으로 나아가 나고야시 동쪽을 지나 중앙고속도로 종점과 만나고, 고마키시에서 분기하며 끝난다. 여기서 도로는 메이신 고속도로로 이어져 교토, 오사카, 고베로 향한다.[2]

노선은 요코하마, 후지사와, 오다와라, 누마즈, 하마마츠, 나고야 등의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지 않는다.[12] 또한 아타미, 미시마를 거치지 않고 고텐바를 거치며, 토요카와 - 나고야 간도 해안을 피해 내륙을 지난다.[12] 이 때문에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국도 1호선과 위치가 약간 다르다. 도쿄 기점에서 누마즈까지는 내륙의 국도 246호선과 대체로 평행하고, 이후 하마마츠 부근까지 국도 1호선과 평행하다. 이후 오카자키 부근에서 국도 1호선과 평행하고, 내륙을 통과하여 나고야시 동쪽 끝 카스가이, 코마키에서 메이신 고속도로와 연결된다.

도쿄IC에서 코마키IC까지 직선 거리는 248.4킬로미터(km)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 연장은 346.7km로 약 100km 우회한다. 이는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 나고야역 거리와 거의 같다.

3. 3. 차선 및 최고 속도

구간도쿄 방면 차선 수고마키 방면 차선 수
슈토 고속도로 - 도쿄 IC2차선
도쿄 IC - 아야세 BS3차선
아야세 BS - 에비나 분기점4차선3차선
에비나 분기점 - 오이마쓰다 IC3차선
오이마쓰다 IC - 아시가라 BS3차선2차선(좌측) + 2차선(우측)
아시가라 BS - 고마카도 PA3차선
고마카도 PA - 시즈오카 IC2차선
시즈오카 IC - 니혼자카 터널3차선2차선
니혼자카 터널2차선(좌측) + 2차선(우측)3차선
니혼자카 터널 - 니혼자카 PA3차선
니혼자카 PA - 야이즈 IC2차선3차선
야이즈 IC - 고마키 IC2차선


  • 좌우측 구간은 이전에 각 방향으로 2차선씩 운영되었다. 혼잡 완화를 위해 기존 4차선과 평행으로 3차선의 추가 도로가 건설되었다. 기존 4차선은 반대 방향 교통에 이용되도록 전환되었다.

3. 4. 도로 시설

도메이 고속도로는 중일본 고속도로가 관리하며, 도쿄와 나고야를 연결하는 주요 도로이다. 주오 자동차도, 메이신 고속도로 등과 함께 일본 3대 도시권을 연결하는 대동맥 역할을 한다.[78]

도쿄 나들목에서 고마키 나들목까지의 총 연장은 346.8km로, 노선은 약간 우회하는 형태이다.[78] 도쿄 나들목 - 아쓰기 나들목 구간은 대도시 근교 구간으로 할증 요금이 적용된다. 도쿄 나들목, 요코하마 아오바 나들목, 스소노 나들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들목은 트럼펫형이다.[78]

태풍의 영향으로 후지 나들목 - 시미즈 나들목 사이 하행선이 자주 불통된다.

3. 4. 1. 나들목

번호시설 이름일본어 이름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수도고속도로 3호선 시부야 선1도쿄 나들목東京IC0.0도쿄 도도 311호선 환상 8호선도쿄도세타가야구-도쿄 요금소/무카이가오카 BS東京TB/向ヶ丘BS6.7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3도메이카와사키 나들목東名川崎IC7.6노가와스가오 선-에다 BS江田BS10.5요코하마시3-1요코하마아오바 나들목横浜青葉IC13.3국도 제246호선-고호쿠 휴게소港北PA나고야 방면 : 14.1
도쿄 방면 : 14.84요코하마마치다 나들목横浜町田IC19.7국도 제16호선
야마토 바이패스 / 호도가야 바이패스-야마토 BS大和BS24.0야마토시-아야세 BS綾瀬BS/SIC28.8아야세시-에비나 휴게소海老名SA31.3에비나시4-1에비나 분기점海老名JCT33.9수도권 주오연락 자동차도5아쓰기 나들목厚木IC35.0국도 제129호선
오다와라 아쓰기 도로아쓰기시-아쓰기 BS厚木BS36.7-이세하라 BS伊勢原BS41.7이세하라시5-1하다노나카이 나들목/하다노 BS秦野中井IC/秦野BS50.1가나가와 현도 71호 하다노니노미야 선하다노시-나카이 휴게소中井PA53.6아시가라시모군나카이정-오이 BS大井BS57.1오이정6오이마쓰다 나들목大井松田IC57.9국도 제255호선
시즈오카 현 · 가나가와 현도 78호 고텐바오이 선-마쓰다 BS松田BS60.2마쓰다정-야마키타 BS山北BS63.6야마키타정-아유자와 휴게소鮎沢PA나고야 방면 : 71.9
도쿄 방면 : 72.5-오야마 BS小山BS75.5시즈오카현슨토군오야마정-아시가라 BS足柄BS79.2-아시가라 휴게소足柄SA80.97고텐바 나들목 제2출입구御殿場IC第二出入口83.9국도 제138호선 (고텐바 바이패스)고텐바시고텐바 나들목 제1출입구
고텐바 BS御殿場IC第一出入口
御殿場BS시즈오카 현도 401호 · 가나가와 현도 736호 고텐바하코네 선7-1고텐바 분기점御殿場JCT88.3신토메이 고속도로-고마카도 휴게소駒門PA나고야 방면 : 89.9
도쿄 방면 : 90.07-2스소노 나들목裾野IC93.8시즈오카 현도 82호 스소노인터 선스소노시-스소노 BS裾野BS95.58누마즈 나들목沼津IC103.3이즈주칸 자동차도
시즈오카 현도 83호 누마즈인터 선
시즈오카 현도 405호 아시타카산마이바시 선누마즈시-아시타카 휴게소足鷹PA105.9-하라 BS原BS112.2-나카자토 BS中里BS115.7후지시9후지 나들목富士IC121.5국도 제139호선 (니시후지 도로)-마쓰오카 BS松岡BS125.09-1후지카와 휴게소/SIC富士川SA/SIC127.5-간바라 BS蒲原BS133.1시즈오카시-유이 휴게소由比PA나고야 방면 : 138.6
도쿄 방면 : 139.7-오쓰키 BS興津BS142.59-2시미즈 분기점清水JCT146.4신토메이 고속도로10시미즈 나들목清水IC147.8국도 제1호선 (세이신 바이패스)-니혼다이라 휴게소日本平PA155.811시즈오카 나들목静岡IC161.8시즈오카 현도 84호 나카지마미나미아베 선-니혼자카 휴게소日本坂PA도쿄 방면 : 171.5
나고야 방면 : 171.6야이즈시12야이즈 나들목焼津IC173.6시즈오카 현도 81호 야이즈모리 선-야이즈니시 BS焼津西BS176.1-오이가와 BS大井川BS181.013요시다 나들목吉田IC185.6시즈오카 현도 34호 시마다요시다 선하이바라군요시다정-마키노하라 휴게소/마키노하라 BS牧の原SA/牧の原BS194.5마키노하라시13-1사가라마키노하라 나들목相良牧之原IC197.0국도 제473호선
가나야 오마에자키 연락도로
(가나야 · 사가라 도로 / 사가라 바이패스)14기쿠가와 나들목菊川IC201.8시즈오카 현도 37호 가와하마오카 선기쿠가와시14-1가케가와 나들목掛川IC207.8가케가와시-오가사 휴게소小笠PA209.7-오카쓰 BS岡津BS212.915후쿠로이 나들목袋井IC219.4시즈오카 현도 61호 하마키타후쿠로이 선후쿠로이시15-1이와타 나들목磐田IC223.3시즈오카 현도 86호 이와타인터 선
시즈오카 현도 283호 요코카와이와타 선이와타시15-2엔슈토요타 휴게소/SIC遠州豊田PA/SIC225.2-이와타 BS磐田BS226.216하마마쓰 나들목浜松IC230.0시즈오카 현도 65호 하마마쓰 환상선하마마쓰시-하마마쓰키타 BS浜松北BS233.5-미카타가하라 휴게소三方原PA234.916-1하마마쓰니시 나들목浜松西IC240.5시즈오카 현도 65호 하마마쓰 환상선-간잔지 BS舘山寺BS244.7-하마나코 휴게소浜名湖SA247.917밋카비 나들목三ヶ日IC251.1시즈오카 현도 85호 밋카비인터 선
아이치 현도 445호 · 시즈오카 현도 308호 호라이밋카비 선-밋카비 BS三ヶ日BS255.017-1밋카비 분기점三ヶ日JCT255.8신토메이 고속도로
산엔이세 연락도로-신시로 휴게소新城PA261.1아이치현신시로시-도요하시키타 BS豊橋北BS262.3도요하시시18도요카와 나들목豊川IC269.0국도 제151호선도요카와시-아카쓰카 휴게소赤塚PA274.0-오토와 BS音羽BS279.118-1오토와가마고리 나들목音羽蒲郡IC280.2국도 제1호선
오토와가마고리 유료도로-모토주쿠 BS本宿BS285.4오카자키시-미아이 휴게소美合PA289.719오카자키 나들목岡崎IC293.4국도 제1호선-이와쓰 BS岩津BS301.519-1도요타 분기점豊田JCT304.1이세완간 자동차도도요타시-가미고 휴게소上郷SA305.820도요타 나들목豊田IC310.8아이치 현도 76호 도요타안조 선
국도 제155호선 (도요타미나미 바이패스)20-1도메이미요시 나들목/미요시 BS東名三好IC/三好BS315.8아이치 현도 54호 도요타치류 선미요시시-도고 휴게소東郷PA318.1닛신시-닛신 BS日進BS319.320-2닛신 분기점日進JCT322.3나고야세토 도로21나고야 나들목名古屋IC325.5나고야 제2환상 자동차도 지선
아이치 현도 60호 나고야나가쿠테 선나고야시-아사히 BS旭BS329.5오와리아사히시-모리야마 휴게소守山PA333.6나고야 시22가스가이 나들목春日井IC337.6국도 제19호선 (가스가이 바이패스)가스가이시23고마키 분기점小牧JCT339.8주오 자동차도고마키시24고마키 나들목小牧IC346.7국도 제41호선 (메이노 바이패스)
나고야 고속도로 11호 고마키 선메이신 고속도로



도메이 고속도로의 나들목은 초기에 21곳으로 시작되었으며, 설계 기본은 유료 도로의 특성상 관리 업무의 용이성을 위해 요금소를 한 곳에 집약할 수 있는 트럼펫 형식을 많이 사용하였다.[78] 출입 교통량을 고려하여 일반 도로와의 연결을 입체 교차로로 한 더블 트럼펫(요코하마마치다 나들목, 아쓰기 나들목 등 7곳), 더블 트럼펫 용지를 확보한 싱글 트럼펫(후지 나들목, 시미즈 나들목 등 3곳)으로 나뉘었다.[78] 예외적으로 도쿄 나들목은 다이아몬드 형식이 채용되었다.[78]

트럼펫 형식은 곡선 반경 35m(최소값)의 급커브를 그리므로 설계 속도는 40km이다.[78]

3. 4. 2. 휴게소

도메이 고속도로의 휴게소는 다음과 같이 설치되어 있다.

도메이 고속도로의 휴게소(SA/PA) 목록
종류이름위치특징비고
SA에비나 SA도쿄 기점 30km 지점대도시 출발 후 첫 휴게 수요 고려
SA아시가라 SA에비나 SA에서 50km 지점하코네 산맥, 후지산 조망 가능
SA후지카와 SA고텐바에서 50km 지점후지산 조망 가능
SA하마나코 SA나고야 기점 20km 지점하마나 호반의 경관
SA마키노하라 SA후지카와 SA와 하마나코 SA 중간 지점차밭으로 둘러싸인 고원 지대
SA가미고 SA (현 도요타카미고 SA)나고야 기점 20km 지점지형적 설치 용이성
PA유이 PA-뛰어난 경관

3. 4. 3. 버스 정류장

도메이 고속도로에서는 메이신 고속도로에서 이어 고속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버스가 중간 인터체인지에 매번 진출입하면 고속 연락의 이점을 살릴 수 없으므로, 본선 상 또는 IC, SA, PA에 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였다. 버스 정류장의 길이는 3대의 버스가 동시에 발착할 수 있도록 45m를 표준 길이로 하였다. IC에 인접한 경우 톨게이트 부근에 설치되어, 일반 도로 주행 버스와 바로 환승할 수 있도록 하였다.[78]

3. 4. 4. 주요 터널 및 교량

번호시설명도쿄
부터
(km)
비고소재지-도쿄 TB/무카이가오카 BS6.6rowspan="21" |가와사키시
미야마에구-야마토 BS24.0야마토시4-1아야세 SIC/BS28.8아야세시-아유자와 PA71.9
72.5내리선 왼쪽 루트만 설치
오르막선야마키타정-코야마 BS75.5내리선은 왼쪽 루트순토군
코야마정

3. 5. 요금

도메이 고속도로는 중일본 고속도로가 관리하며, 통행 요금을 징수한다. 요금 체계는 건설 자금 상환을 목표로 설정되었으며, 메이신 고속도로의 요금 체계를 참고하여 책정되었다.

초기에는 장거리 이용 촉진을 위해 100km 이상 주행 시 25% 할인해 주는 '장거리 체감제'를 도입했다. 또한, 건설 비용이 높은 대도시 근교 구간(도쿄 나들목 - 아쓰기 나들목)은 다른 구간보다 요금을 더 비싸게 책정했다.

일반 차량의 경우, 기본 요금은 1km당 24.6엔이다.[71] 아쓰기 나들목 구간은 대도시 근교 구간[72]으로, 1km당 요금이 일반 구간의 1.2배인 29.52엔이다.[68][73]

100km를 초과하여 이용하는 경우, 100km부터 200km까지는 25% 할인, 200km 초과 이용분은 30% 할인된다.[73]

주말 할인 및 평일 아침저녁 할인은 도쿄 나들목 - 아쓰기 나들목 구간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3. 6. 도로 관리자

3. 7. 관할 경찰

4. 지리

도메이 고속도로는 관동 지방에서 중부 지방에 걸쳐 도카이도와 거의 평행하게 동서로 뻗어 있다. 용지 매입 비용과 건설비를 절감하기 위해 주택이나 밭 등을 최대한 피해 도쿄-코마키 구간을 최단 거리로 계획하고, 시가지 및 마을과의 단절을 최소화했다.[12] 또한, 도카이도 신칸센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노선 위치를 조정했다.[12]

그 결과, 요코하마, 후지사와, 오다와라, 누마즈, 하마마쓰, 나고야 등의 도심을 통과하지 않고, 아타미, 미시마를 거치지 않고 고텐바를 경유하는 등 도요카와-나고야 구간도 해안을 피해 내륙에 노선을 통과시켰다.[12]

이 때문에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카이도 신칸센, 도카이도 본선, 국도 1호선과 위치가 약간 다르다. 도쿄 기점에서 누마즈까지는 내륙을 통과하는 국도 246호선과 대체로 평행하며, 이후 하마마쓰 부근까지 국도 1호선과 평행한다. 그보다 도카이도 신칸센도카이도 본선을 피해 다테야마, 미카니를 통과하여[12] 오카자키 부근에서 국도 1호선과 평행하고, 이후 내륙을 통과하여 나고야 동쪽 끝, 가스가이, 코마키에 이르러 메이신 고속도로에 연결된다.

이 도로는 앞서 건설된 메이신 고속도로의 기술과 경험을 도입하여 건설되었지만, 전반적으로 직선이 많은 메이신 고속도로와 달리 도메이 고속도로는 9할까지가 곡선으로 구성되어 있다.[12] 또한 도카이도의 특징으로 대하천의 횡단이 다양하게 있으며, 도메이 고속도로에서도 다마가와, 사가미가와, 사카와가와, 후지가와, 아베가와, 오이가와, 텐류가와, 하마나호 등 여러 대규모 하천을 횡단하는 것이 노선의 특징이다.[12]

도쿄IC에서 코마키IC까지의 직선 거리는 248.4km이지만, 도메이 고속도로의 연장 거리는 346.7km로 약 100km나 우회하고 있다(도카이도 신칸센의 도쿄역-나고야역과 거의 같은 거리).

도쿄도 내 통과 자치체.


가나가와현 내 통과 자치체.


시즈오카현 내 통과 자치체.


아이치현 내 통과 자치체.

4. 1. 통과하는 지자체

5. 갤러리

도쿄IC-도쿄TB 구간 다마강 도메이 다마가와 교량


사가미강 사가미가와 교량. 아야세SIC-아쓰기IC 구간 (아쓰기시 부근)


오이마치 부근. 하스네나카이IC-오이마쓰다IC 구간

참조

[1] 웹사이트 Road Timetable https://web.archive.[...] 2008-05-20
[2] 웹사이트 History of Tokyo's 3 Ring Roads https://web.archive.[...] 2008-04-17
[3] 웹사이트 Construction History of Japan https://web.archive.[...] 2008-05-20
[4] 웹사이트 Japan's Expressway Numbering System http://www.mlit.go.j[...] 2019-06-27
[5] 웹사이트 High Standard Trunk Road Map https://web.archive.[...] 2008-04-13
[6] 간행물 2003 Asian Highway Handbook http://www.unescap.o[...] Economic and Social Commission for Asia and the Pacific 2003
[7] 웹사이트 Sectional AH Data for Japan https://web.archive.[...] 2008-05-20
[8] 웹사이트 C-NEXCO Business Outline http://www.c-nexco.c[...] 2008-05-20
[9] 웹사이트 Japan's Expressway Numbering System https://www.mlit.go.[...]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22-04-03
[10] 웹사이트 高速道路ナンバリング一覧 https://www.mlit.go.[...] 국토교통성
[11] 뉴스 3か所で飛石開通 東名高速道路 一般、あすから 1968-04-24
[12] 뉴스 建設省 路線案まとめる 東海道幹線自動車道 1960-10-15
[13] 웹사이트 国土交通省道路局 道の相談室 http://www.mlit.go.j[...] 2009-12-09
[14] 웹사이트 みちのつぶやき~NEXCO中日本~ (@cnexco_official)の2021年10月25日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2021-10-25
[15] 문서 御殿場JCT~豊田JCT間は新東名経由が東名に対し11km、豊田JCT~草津JCT間は新名神経由が名神経由に比べ36km短縮される。
[16] 웹사이트 E1A 新東名 伊勢原大山IC〜新秦野ICが2022年4月16日(土)15時に開通します。 〜 秦野丹沢スマートICも同時に開通します 〜 https://www.c-nexco.[...] 2022-02-24
[17] 웹사이트 E1A 新東名高速道路と国道138号バイパスが2021年4月10日(土)に開通します! 〜観光・物流を支えるネットワークがさらに広がります〜 〜国道469号バイパス、県道仁杉柴怒田線も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 沼津河川国道事務所・静岡県 2021-02-19
[18] 보도자료 E1A 新東名高速道路(海老名南JCT〜御殿場JCT間)連絡調整会議(第5回)開催結果について〜開通予定時期を2027年度に見直し〜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2-12-16
[19] 웹사이트 これまでの経緯 https://www.ktr.mlit[...] 国土交通省関東地方整備局東京外かく環状国道事務所
[20] 웹사이트 東名高速・横浜上瀬谷インター(仮)計画:上瀬谷通信施設跡地至近に新たなIC設置を2030年代前半に検討 https://walk.tokyo.j[...] 再開発ニュース:東京を中心に三大都市圏情報発信
[21] 뉴스 豊橋新城スマートIC建設決定 産業活動の支援などに期待/国交省が事業採択、2026年度完成目指す https://www.tonichi.[...] 2021-08-07
[22] 웹사이트 高速道路会社への事業許可および 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の準備段階調査への採択等を行いました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道路局 2019-09-27
[23] 서적 第三十四回国会 衆議院建設委員会議録第19号 (출판사 정보 없음) 1959-05-17
[24] 서적 官報 第三十四回国会 参議院建設委員会会議録第35号 (출판사 정보 없음) 1960-06-21
[25] 뉴스 東海道を総合調査 建設省 自動車交通緩和で 1959-05-17
[26] 뉴스 渋谷-小牧三時間半 建設省の調査報告 東海道自動車国道 1961-10-08
[27] 서적 官報 第三十四回国会 参議院建設委員会会議録第35号 (출판사 정보 없음) 1960-06-21
[28] 간행물 高速道路と自動車 (출판사 정보 없음) 1984-04 ~ 1985-03
[29] 뉴스 東海道幹線自動車国道 来月中にも着工 静岡 - 豊川間除き決まる 1962-05-24
[30] 뉴스 東名高速道路の全路線固まる 静岡県、ほぼ第二案で 建設相あす現地を視察 1963-06-14
[31] 뉴스 全区間に施行命令出す 東名高速道路 1963-11-12
[32] 뉴스 東名高速道が全通 名神と結び大動脈 御殿場で祝賀式 きょうから営業 1969-05-26
[33] 뉴스 来月26日に全面開通 東京 - 小牧間346.4キロ 大阪まで直通7時間 1969-04-19
[34] 뉴스 その先は知らないよ さばき切れぬ流れ 高速3号外郭環状 改良はまだ先の話 1969-05-23
[35] 뉴스 交通マヒまた心配 首都高速と東名ドッキング 1971-12-21
[36] 뉴스 成田⇄明石を高速で だが心配な事故・渋滞 東名・首都きょう連結 1971-12-21
[37] 뉴스 初日の混み方まずまずだが・・・東名と首都高速の握手 1971-12-22
[38] 문서 ETCのような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が存在していない
[39] 뉴스 東名炎上 動脈切れ経済混乱 ハイウエー前提の危険な物流機構 1979-07-24
[40] 뉴스 東名炎上 動脈切れ経済混乱 ハイウエー前提の危険な物流機構 1979-07-24
[41] 간행물 みち 日本道路公団 1996-11
[42] 뉴스 新東名開通1年、長距離渋滞緩和、静岡県内9割減に 2013-04-13
[43] 보도자료 東名高速 2車線の一部区間を暫定的に3車線にします -音羽蒲郡IC〜豊田JCT間の安全(渋滞・事故)対策として-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1-02-23
[44] 보도자료 東名集中工事終了とともに3車線(暫定)運用を開始します〜音羽蒲郡IC〜豊田JCT間〜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1-09-22
[45] 보도자료 東名高速道路 音羽蒲郡IC〜豊田JCT間の3車線(暫定)運用を2車線に戻します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6-09-23
[46] 뉴스 中央道法案通る 会期末危うく「第二東海道」と共に 1960-07-17
[47] 뉴스 初のクイ打ち 東名高速道路 1963-01-08
[48] 뉴스 東名、名神の新料金決まる 1969-03-18
[49] 뉴스 間野坂、やはり欠陥道路 すべり止め舗装で事故は激減 1970-12-30
[50] 서적 朝日年間1991 朝日新聞社
[51] 간행물 弾力的な交通運用第二弾(道公) 1991-07-11
[52] 간행물 1991-08-21
[53] 보도자료 高速自動車国道への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09-06-30
[54] 보도자료 高速道路への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の追加設置につい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1-03-01
[55] 보도자료 東名高速道路(上り線) 海老名JCT〜海老名SA間付加車線が延伸します。 〜6月25日(水) 午前11時に運用開始〜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4-06-17
[56] 보도자료 東名高速道路 愛鷹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2016年3月19日(土)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沼津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東京支社 2016-01-22
[57] 보도자료 東名高速道路 三方原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3月18日(土)13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7-02-10
[58] 보도자료 E1 東名高速道路 守山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 2018年3月24日(土)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名古屋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8-02-01
[59] 웹사이트 E1 東名高速道路足柄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 2019年3月9日(土)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静岡県小山町・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9-01-24
[60] 웹사이트 E1 東名高速道路 舘山寺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2019年3月17日(日)16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浜松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9-01-31
[61] 웹사이트 E1A 新東名高速道路 厚木南IC〜伊勢原JCTが 2019年3月17日(日)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9-02-19
[62] 웹사이트 静岡市の新たな玄関口 日本平久能山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 2019年9月14日開通! https://www.c-nexco.[...] 静岡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19-08-09
[63] 웹사이트 横浜北西線(横浜北線〜東名高速)が2020年3月22日16時に開通します ファンランイベント(2020年2月29日)・一般公開イベント(2020年3月8日)も開催 https://www.shutoko.[...] 首都高速道路株式会社・横浜市道路局 2019-12-18
[64] 웹사이트 E1 東名高速道路 駒門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2020年3月28日(土)15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静岡県御殿場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0-01-27
[65] 웹사이트 E1 東名高速道路 豊田上郷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2021年3月27日(土)午後3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愛知県豊田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1-02-12
[66] 웹사이트 E1 東名「綾瀬スマートインターチェンジ」が2021年3月31日(水)12時に開通します https://www.c-nexco.[...] 神奈川県・綾瀬市・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 2021-02-17
[67] 웹사이트 料金の額及びその徴収期間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 2021-07-12
[68] 웹사이트 中京圏の高速道路料金が変わります https://www.c-nexco.[...] 国土交通省 中部地方整備局・中日本高速道路株式会社・名古屋高速道路公社 2021-07-12
[69] 뉴스 東名高速 流通基地づくり盛ん インタチェンジに"陸の港" 1969-03-10
[70] 뉴스 三経済圏を直結 東海道メガロを促進 東名高速道路 1969-05-26
[71] 웹사이트 料金の額及びその徴収期間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 2020-05-01
[72] 웹사이트 料金の額及びその徴収期間 https://www.c-nexco.[...] 中日本高速道路 2020-05-01
[73] 웹사이트 料金の計算方法を教えてください https://highwaypost.[...] 中日本高速道路
[74] 웹사이트 神奈川県警察/高速道路交通警察隊 https://www.police.p[...] 2023-11-26
[75] 웹사이트 静岡県警察の組織に関する訓令 http://www.pref.shiz[...] 静岡県警察 2023-11-26
[76] 웹사이트 高速隊の所在地及び管轄路線 - 愛知県警察 https://www.pref.aic[...] 2023-11-26
[77] 문서 連絡路を経由して新東名本線に接続
[78] 웹사이트 距離測定:キョリ測(ベータ) http://www.mapion.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