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두네다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두네다인은 J.R.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간 종족으로, 엘프의 친구인 에다인의 후손이다. 그들은 누메노르 섬에서 번영하며 문명을 건설했지만, 섬의 멸망 이후 중간계로 돌아와 아르노르와 곤도르 왕국을 세웠다. 두네다인은 다른 인간보다 수명이 길고 뛰어난 능력을 지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쇠퇴하고 순수 혈통이 약화되었다. 아르노르의 두네다인은 북부 레인저로 알려져 어둠의 세력에 맞서 싸웠으며, 곤도르와 아르노르의 마지막 왕인 아라곤 2세는 두네다인의 후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마릴리온 - 모르도르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모르도르는 사우론이 지배하는 악의 땅으로, 운명의 산과 바라드-듀르를 중심으로 검은 문, 그림자 산맥, 고르고로스 등으로 이루어진 독특한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절대반지의 파괴와 함께 멸망한 곳으로, 산업화 시대와 전쟁 경험 등 다양한 영향을 반영한다.
  • 실마릴리온 - 발라퀜타
    발라퀜타는 J.R.R. 톨킨의 소설 《실마릴리온》에 등장하는 발라와 그들의 권능에 대한 이야기이다.
두네다인
개요
다른 이름서부의 인간, 서부인
창조 시기제2시대 1년
지도자두네다인의 왕
수도아르메넬로스, 안누미나스, 포르노스트 에라인, 오스길리아스, 미나스 티리스
고향가운데땅
주요 거점누메노르, 아르노르, 곤도르
언어아두나이크, 웨스트론, 신다린, 퀘냐
명칭
한국어두네다인
영어 (IPA)/ˈduːnɛdaɪn/
신다린Dúnedain
단수Dúnadan

2. 누메노르의 두네다인

두네다인은 신다린어로 '서쪽'(dún)과 '인간' (Edain)의 합성어로, '서쪽의 사람'을 의미한다. 이들은 중간계 서쪽에 있던 섬 누메노르의 주민과 누메노르 멸망 후 살아남은 후예들을 가리킨다. 서방어로는 '서쪽의 사람들'이라고도 불린다.

두네다인은 동시대의 일반적인 인간에 비해 기술력이 월등히 높았고, 육체적으로도 뛰어났다. 남성의 평균 신장은 193cm 정도였으며, 수명은 일반인의 3배에서 5배에 달했다. 왕족인 엘로스의 자손은 특히 장수하여 400세까지 살기도 했다. 이들은 장년기가 오래 지속되지만, 쇠퇴하기 시작하면 급격히 늙었다. 문명이 무르익기 전에는 수명을 깨달으면 스스로 잠들듯이 세상을 떠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누메노르 몰락 후, 중간계에서 사는 동안 이 축복은 점차 사라져 키와 수명이 줄어들어 일반적인 인간에 가까워졌다.

두네다인 중에는 시간을 초월한 지각력을 발휘하는 자들도 있었다. 아라곤엘론드와의 대화 중에 그가 가운데땅을 떠날 날이 다가오고 있음을 깨달았고, 파라미르는 "부러진 검을 찾아라"라는 계시를 꿈에서 보았는데, 이는 형 보로미르의 여정으로 이어졌다.

(누메노르인의 기술과 역사에 관해서는, 누메노르 참조)

2. 1. 누메노르의 몰락

두네다인은 에다인, 즉 엘프의 친구들의 후손이었다. 제1시대벨레리안드에서 엘프인 놀도르 편을 든 소수의 인간 부족이었다. 제2시대가 시작되면서, 발라는 에다인에게 살 곳으로 누메노르를 주었다. 누메노르는 중간계 서쪽에 위치한 섬 대륙이었고, 따라서 이 에다인들은 두네다인, 즉 서쪽의 에다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들의 첫 번째 왕은 하프 엘프이자 베오르의 후손인 엘로스 경이었다.[3]

이 첫 번째 두네다인이 바로 누메노르인이다. 그들은 위대한 문명을 이루었고, 탐험, 무역, 권력을 위한 해상 활동을 시작했다. 일부는 중간계로 돌아와 서부 해안을 따라 요새 도시를 건설하고 이 지역의 다른 인간들을 지배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누메노르인들은 두 개의 경쟁 세력으로 나뉘었다. 하나는 발라와 엘프에게 충성을 다하는 충실한 자들이었고, 다른 하나는 어둠의 군주 사우론에게 유혹당한 왕의 백성이었다.[3]

궁극적으로 누메노르는 거대한 대격변으로 물에 잠겼지만,[2] 충실한 자들의 잔당은 아홉 척의 배를 타고 탈출했다. 엘렌딜의 인도를 받아 그들은 중간계에 아르노르 왕국과 곤도르 왕국을 세웠다.[4]

270x497px


두 번째 시대의 일이다. 발라르는, 엘프와 함께 모르고스와 싸워 첫 번째 시대의 싸움을 살아남은 에다인에게, 수몰된 벨레리안드의 대가로 아만과 중간계 사이에 있는 섬 누메노르를 상으로 주었다.

중간계 서쪽 누메노르로 건너간 에다인들은, 보통 인간보다 긴 수명을 가지고, 그곳에서 크게 힘을 키워 번성했다. 그러나 그들은 엘프의 불멸에 대한 질투와 중간계 인간에 대한 오만함, 그리고 사우론의 간계에 의해 아만을 침략하려 했고, 일루바타르에 의해 세계는 개변되어 누메노르는 바다로 가라앉았다.

엘렌딜에 이끌려, 누메노르의 멸망을 살아남은 두네다인은, 중간계에서 북부 왕국 아르노르와 남부 왕국 곤도르를 세우고, 어둠의 군주와 오랫동안 싸웠지만, 그들의 기술과 수명은 점차 쇠퇴해 갔다.

3. 가운데땅의 두네다인



두네다인은 제1시대벨레리안드에서 엘프 편을 든 인간 부족인 에다인의 후손이다. 발라는 이들에게 누메노르 섬을 주었고, 이들은 '서쪽의 에다인'이라는 뜻의 두네다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들의 첫 번째 왕은 하프 엘프이자 베오르의 후손인 엘로스였다.[3]

누메노르인들은 문명을 발전시키고 해상 활동을 통해 중간계로 돌아와 요새 도시를 건설하고 다른 인간들을 지배했다. 그러나 이들은 발라와 엘프에게 충성하는 '충실한 자'와 사우론에게 유혹당한 '왕의 백성'으로 나뉘었다.[3]

누메노르는 대격변으로 물에 잠겼지만,[2] 엘렌딜을 따르는 '충실한 자'들은 아홉 척의 배로 탈출하여 중간계에 아르노르곤도르 왕국을 세웠다.[4] 사우론은 중간계로 돌아와 이 두 왕국에 대항하는 군대를 일으켰으나, 길-갈라드와 엘프의 도움으로 패배하고 제3시대가 시작되었다.

사우론이 다시 세력을 형성하면서 동쪽에서 발생한 역병은 북쪽의 아르노르에 더 큰 타격을 주어 인구가 감소했다. 아르노르는 세 왕국으로 분열되었고, 앙그마르의 마술사왕은 카른 둠에서 북부 두네다인 왕국을 공격해 파괴했다. 멸망 후 북부 두네다인의 잔당은 북부의 레인저가 되었다.[3]

두네다인은 신다린어로 '서쪽'(dún)과 '인간' (Edain)의 합성어로, '서쪽의 사람'을 의미한다. 이들은 누메노르인과 누메노르 멸망 후 생존한 후예를 가리킨다. 서방어로는 '서쪽의 사람들'이라고도 불린다.

두네다인은 일반적인 인간보다 뛰어난 기술력과 육체를 지녔다. 남성의 평균 신장은 193cm 정도였고, 수명은 일반인의 3~5배였다. 왕족인 엘로스의 자손은 400세까지 살기도 했다. 그러나 누메노르 몰락 후, 이 축복은 점차 사라져 키와 수명이 줄어들었다.

두네다인 중에는 시간을 초월한 지각력을 발휘하는 자들도 있었다. 아라곤엘론드와의 대화 중 가운데땅을 떠날 날이 다가옴을 깨달았고, 파라미르는 "부러진 검을 찾아라"라는 계시를 꿈에서 보았다.

아르노르 왕족과 유신들은 "'''방랑자'''"가 되어 암흑 군주의 하수인과 계속 싸우며 사람들의 생활을 그림자 속에서 수호했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들의 정체를 의심하며 멸시했다. 반지의 전쟁 때 두네다인이 남쪽에서의 전투를 지원하기 위해 떠나면서, 바리만 버터버와 같은 일반인들은 비로소 그들의 고마움을 깨닫게 되었다.

3. 1. 곤도르의 두네다인

두네다인은 에다인, 즉 엘프의 친구들의 후손이었다. 제1시대벨레리안드에서 엘프인 놀도르 편을 든 소수의 인간 부족이었다. 제2시대가 시작되면서, 발라는 에다인에게 살 곳으로 누메노르를 주었다. 누메노르는 중간계 서쪽에 위치한 섬 대륙이었고, 따라서 이 에다인들은 두네다인, 즉 서쪽의 에다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3]

누메노르가 물에 잠겼지만,[2] 엘렌딜의 인도를 받은 충실한 자들의 잔당은 아홉 척의 배를 타고 탈출하여 중간계에 아르노르 왕국과 곤도르 왕국을 세웠다.[4] 곤도르의 영주의 아들인 파라미르가 누메노르의 후손들이 다른 인간보다 우월하다고 말했지만, 이 문제에 대한 그의 발언은 "오만하다"고 묘사되었으며 문자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는 없다.[3]

길-갈라드와 엘프의 도움으로 사우론은 패배했고 제3시대가 시작되었다. 사우론은 여러 세기 동안 동쪽으로 사라졌고 곤도르는 번영했다. 사우론이 다시 세력을 형성하고 강해지면서 동쪽에서 일련의 치명적인 역병이 발생했다.

수세기에 걸쳐 곤도르의 많은 남부 두네다인은 다른 인간들과 통혼했다. 그들의 수명은 세대가 지날수록 짧아졌다. 결국 곤도르의 왕조차 가끔 비 두네다인 여성과 결혼했다. 돌 암로스와 같은 지역에서만 그들의 혈통이 순수하게 유지되었다. 제4시대에 곤도르의 두네다인은 엘로스와 엘렌딜의 직계 후손인 아라곤 2세 엘레사르('두나단') 왕 아래 재결합했다. 그는 아르웬과 결혼하여 그의 가문에 엘프의 피를 다시 도입했다.[3]

곤도르는 건국 이후 1000년 정도 크게 번영했다. 그러나 제3시대 1250년에 북부인에게 대사로 파견된 후계자 바라카르가 현지 여성과 결혼한 것이 일부 두네다인의 반발을 불렀다. 그들은 이러한 결합이 두네다인의 순혈을 약화시키고 쇠퇴로 이어진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왕국 남부에서 반란이 일어나 바라카르의 아들 엘다카르는 계승한 왕위를 잠시 빼앗기기까지 했다.

엘다카르 왕은 우려와는 달리 조기에 노화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일련의 동족 간의 싸움으로 많은 두네다인의 목숨이 잃었기 때문에 곤도르 국민에서 북부인의 비율은 더욱 높아졌다. 2050년에 왕통이 끊어지자 일족의 쇠퇴에 박차가 가해졌고, 한때 길었던 수명도 상당히 일반인에 가까워졌다.

3. 2. 아르노르의 두네다인

제2시대누메노르가 멸망한 후, 엘렌딜을 따르던 생존자들은 중간계에 아르노르곤도르 왕국을 세웠다.[4] 사우론은 중간계로 돌아와 이 두 왕국에 대항하는 군대를 일으켰으나, 길-갈라드와 엘프의 도움으로 패배하고 제3시대가 시작되었다.[3]

사우론이 세력을 회복하면서 동쪽에서 발생한 역병은 아르노르의 인구를 감소시켰고, 아르노르는 세 왕국으로 분열되었다. 앙그마르의 마술사왕은 카른 둠에서 북부 두네다인 왕국을 공격해 파괴했다. 멸망 후 북부 두네다인의 잔당은 북부의 레인저가 되어 옛 땅에서 평화를 유지하려 노력했다. 아르노르의 생존한 두네다인은 리벤델 남쪽의 앵글로 후퇴했고, 일부는 서부 에리아도르에 정착했다.[3]

1974년에 아르세다인도 멸망하여, 두네다인은 옛 아르노르 영토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그러나 그들의 혈통마저 잃어버린 것은 아니었다. 아란나스는 그의 아버지 아르베두이가 죽었을 때 아르노르의 왕이 되었어야 했지만, 왕국이 파괴되었기에 왕위를 주장하지 않았다. 대신 그는 북부의 레인저의 첫 족장이 되었다. 레인저는 앙그마르의 악의 잔재로부터 아르노르를 방어했다.[7]

북방 왕국은 1000년을 기다리지 못하고 셋으로 분열되었다. 아르세다인에서는 왕통이 유지되었지만, 카르돌란과 루다우어에서는 이실두르의 자손이 끊어졌다. 특히 루다우어는 두네다인의 수가 매우 적었고, 1409년의 앙그마르 침공으로 그나마 남은 소수마저 죽거나 쫓겨났다. 카르돌란의 두네다인은 어떻게든 버텼지만, 이후 역병이 창궐한 시대에 전멸했다.

4. 북부 순찰자 (Rangers of the North)

북부 순찰자는 아르노르 왕국의 생존자들이었다. 이들은 앙그마르의 마술사왕에 의해 왕국이 멸망한 후, 황야를 떠돌며 호빗 마을과 같은 에리아도르 지역을 악의 세력으로부터 보호했다.[7] 이들은 엘렌딜의 후예인 족장들의 지휘를 받았으며, 반지의 전쟁 당시에는 아라곤이 이들을 이끌었다.

순찰자들은 험악한 외모에 소박한 녹색과 갈색 옷을 선호했으며, 신다린을 주로 사용했다. 반지의 전쟁 동안에는 회색 망토를 걸치고 별 모양의 은색 브로치를 착용했다.[7] 이들은 창과 활로 무장하고 튼튼한 말을 탔다.

반지의 전쟁 당시 북부 두네다인은 쇠퇴하고 있었기에, 할바라드가 아라곤을 돕기 위해 남쪽으로 이끌고 온 병력은 30명에 불과했다. 이들은 회색 부대로 불리며 로한곤도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비록 북부 왕국은 멸망했지만, 순찰자들은 감시의 평화 기간 동안 아르노르 지역을 악의 잔재로부터 방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러나 이들의 헌신은 바리만 버터버와 같은 일반인들에게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고, 종종 정체를 알 수 없는 무리로 멸시받기도 했다.

곤도르의 두네다인은 쇠퇴하는 와중에도 북방 족장의 수명은 일반인의 2배였으며, 대부분은 천수를 누렸다.

4. 1. 두네다인 족장

아르노르의 왕 아르베두이 사후, 그의 아들 아란나스는 왕위를 계승하지 않았다. 아란나스는 키르단에게 도움을 요청했으나, 아버지 아르베두이를 구원하지는 못했다. 이후 아란나스와 그의 백성은 북부의 레인저가 되었고, 그는 그들의 첫 번째 족장이 되었다.[7]

아란나스의 후계자들은 리벤델에서 엘론드에 의해 양육되었으며, 왕국의 의미를 나타내는 ''Ar(a)-''라는 왕족 접두사가 붙은 이름을 받았다. 이 혈통은 아버지에서 아들로 이어져 반지의 제왕의 주인공인 아라곤 2세에게 이르렀다.[7] 아라곤 2세는 반지 원정대의 일원이었고 반지의 전쟁에 참전했으며, 곤도르와 아르노르의 재통합 왕국의 엘레사르 왕으로 즉위했다. 그는 엘론드의 딸 아르웬과 결혼하여 하프 엘프의 두 혈통을 재결합했다.

두네다인 족장 목록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몰년비고
1아란나스2106년아르세다인의 멸망 시 서쪽으로 도망쳐 키르단의 도움을 구했다. 그러나 아버지 아르베두이를 구하지 못했고, 왕위를 계승하지 않았다.
2아라하일2177년리벤델에서 양육되었다. 그의 예에 따라 족장의 아들은 모두 리벤델에서 길러지게 되었다.
3아라누이아2247년
4아라비르2319년
5아라곤 1세2327년늑대에게 살해당했다.
6아라글라스2455년
7아라하드 1세2523년이 시대, 몰래 안개 산맥의 요지를 점거하고 있던 오르크가 공공연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8아라고스트2588년
9아라본2654년
10아라하드 2세2719년
11아라쑤일2784년이 시대, 오르크가 다시 수를 늘려 두네다인은 엘론드의 아들들과 함께 맞섰다. 호빗 마을도 습격을 받았다.
12아라손 1세2848년
13아르곤누이2912년
14아라두르2930년리벤델 북쪽의 바위산에서 트롤에게 붙잡혀 사망.
15아라손 2세2933년아들이 아직 2살 때, 엘론드의 아들들과 함께 오르크 정벌에 나섰다가 눈을 관통당해 사망. 일족으로서는 단명한 60세였다.
16아라곤 2세제4시대 120년마지막 족장이자 남북 두 왕국의 재통일자.


4. 2. 주요 인물

두네다인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순서이름몰년비고
1아라나르스2106년아르세다인 멸망 시 서쪽으로 도망쳐 키르단의 도움을 구함. 아버지 아르베두이를 구하지 못했고, 왕위를 계승하지 못함.
2아라하일2177년리븐델에서 양육됨. 이후 족장의 아들들은 모두 리븐델에서 길러짐.
3아라누이아2247년
4아라비르2319년
5아라곤 1세2327년늑대에게 살해당함.
6아라글라스2455년
7아라하드 1세2523년이 시대에 오르크가 안개 산맥의 요지를 점거하고 공공연하게 모습을 드러냄.
8아라고스트2588년
9아라본2654년
10아라하드 2세2719년
11아라쑤일2784년이 시대에 오르크가 다시 수를 늘려 두네다인은 엘론드의 아들들과 함께 맞섬. 호빗 마을도 습격을 받음.
12아라손 1세2848년
13아르곤누이2912년
14아라두르2930년리븐델 북쪽의 바위산에서 트롤에게 붙잡혀 사망.
15아라손 2세2933년아들이 2살 때, 엘론드의 아들들과 함께 오르크 정벌에 나섰다가 눈을 관통당해 사망. (60세)
16아라곤 2세제4시대 120년마지막 족장이자 남북 두 왕국의 재통일자.


  • '''디르하일(Dírhael)''': 초대 족장 아라나르스의 후손. 딸에게 청혼한 아라손 2세가 단명할 것을 예견하고 허락을 망설였다.
  • '''이보르웬(Ivorwen)''': 디르하일의 아내. 남편과 마찬가지로 예지력을 지녔다. 일족 부흥의 희망(아라곤)의 탄생을 깨닫고 딸의 결혼을 허락했다.
  • '''길라인(Gilraen)''': 디르하일의 딸. "아름다운 길라인"이라고 불렸다. 일족의 일반적인 여성보다 젊은 나이에 아라손 2세와 결혼했다. 부모와 마찬가지로 예지력을 지녔으며, 아들 아라곤이 아르웬에게 마음을 빼앗긴 것을 알고 타이른다. 아라곤이 여행을 떠난 지 몇 년 후, 굴러나온 골짜기를 떠나 에리아도르에서 혼자 살다가, 아들에게 "나는 두네다인에게 희망을 주었지만, 나 자신을 위해서는 희망을 남겨두지 않았다"라는 린노드(단시)를 읊조리고, 그 해 겨울에 세상을 떠났다.
  • '''할바라드(Halbarad)''': 사루만의 몰락 후에 아라곤을 찾아 로한에 나타난 두네다인. 아르웬에게서 받은 기치를 지니고, 일족 30명과 엘라단과 엘로히르를 데리고 왔다. 아라곤을 따라 죽은 자의 길을 지나 펠렌노르 들판의 전투에 참전하여 전사했다.

5. 이실리엔의 순찰자 (Rangers of Ithilien)

이실리엔의 경계자는 남부의 경계자, 곤도르의 경계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실리엔 지역을 정찰하고 지키는 정예 집단이었다. 이들은 제3시대 말 곤도르의 섭정의 칙령에 의해 결성되었는데, 이는 이실리엔이 모르도르와 미나스 모르굴의 공격에 시달렸기 때문이다. 그들의 주요 기지 중 하나는 헤네스 안눈이었다. 이들은 이실리엔이 침략당하기 전에 그곳에 살았던 자들의 후손이었다. 북부의 경계자들처럼 공용어 대신 신다린을 사용했다. 위장을 위해 녹색과 갈색 옷을 입었으며, 적을 공격하기 위해 비밀리에 안두인 강을 건넜다. 칼, 활, 창을 다루는 데 능숙했다.[1]

6. 혼혈 엘프 가계도

{| class="wikitable"

|-

|+ 혼혈 엘프 가계도[5][6]

|-

|

-
멜리안THI영어베오르할레스하도르핀웨
(놀도르)
IND영어올웨
(텔레리)
,,,,,,,,,,,,,,,,,,,,,,,,,!,,,,,,,,,,,,,,
,,,,,,,,,,,,,,BAR,,,,BEL,,,,,,HAR,,,,GAL영어,,,,,핑골핀,,,,,FIA영어,,,,,EAR영어
,,,,,,,,,,,,,,!,,,,,,,,,,,,,,!,,,,,,,,,,,,,,,,,,,,!
,,,,,,,,베렌 ,,,,RIA영어,,,,,후오르 ,,,,,후린 ,,,,,투르곤 ,,,,,ELE영어
,,,,,,,,,,,,,,,,,,,,,,,,,,,,,,,,,,,,!,,,,,,,,,,,,,,!
,,,,,,,,,,,,,,투오르 ,,,,,,,,,,,,,,,,,,,,,,,,,,,,,,,,,,,,,이드릴
,,,,,,,,,,,,,,!,,,,,,,,,,,,,,,,,,,,,,,,,,,,,,,,,,,,!
,,,,,,,,,,,,,,디오르 ,,,,,,,,,,,,,,,,,,,,,,,,,,,,,,,,,,,,,NIM영어
,,,,,,,,,,,,,,+,,,,,,,,,,,,,,,,,,,,,,,,,,,,,,,,,,,,
,,,,ELE영어,,,,,ELI영어,,,,,엘윙 ,,,,,,,,,,,,,,,,,,,,,,,,,,,,,,,,,,,,,에아렌딜,,,,,CEL영어,,,,,GAL영어
,,,,,,,,,,,,,,,,,,,,,,,,,,,,,,,,,,,,,,,,,,,,,,,,,,,,!,,,,,,,,,,,,,,!
,,,,,,,,,,,,,,,,,,,,,,,,,,,,,,,,,,,,,,,,,,,,,,,,,,,,엘론드 ,,,,,,,,,,,,,,,,,,,,,,,,,,,,,,,,,,,,,엘로스
,,,,,,,,,,,,,,,,,,,,,,,,,,,,,,,,,,,,,,,,,,,,,,,,,,,,!
,,,,,,,,,,,,,,,,,,,,,,,,,,,,,,,,,,,,,,,,,,,,,,,,,,,,22명의 왕
누메노르
안두니에의 영주들
,,,,,,,,,,,,,,,,,,,,,,,,,,,,,,,,,,,,,,,,,,,,,,,,,,,,!
,,,,,,,,,,,,,,,,,,,,,,,,,,,,,,,,,,,,,,,,,,,,,,,,,,,,엘렌딜
,,,,,,,,,,,,,,,,,,,,,,,,,,,,,,,,,,,,,,,,,,,,,,,,,,,,+
,,,,,,,,,,,,,,,,,,,,,,,,,,,,,,,,,,,,,,,,,,,,,,,,,,,,이실두르 ,,,,,,,,,,,,,,,,,,,,,,,,,,,,,,,,,,,,,아나리온
,,,,,,,,,,,,,,,,,,,,,,,,,,,,,,,,,,,,,,,,,,,,,,,,,,,,!,,,,,,,,,,,,,,,,,,,,,,,,,,,,,,,,,,,,!
,,,,,,,,,,,,,,,,,,,,,,,,,,,,,,,,,,,,,,,,,,,,,,,,,,,,22명의 왕
아르노르와 아르세다인,,,,,,,,,,,,,,,,,,,,,,,,,,,,,,,,,,,,27명의 왕
곤도르
,,,,,,,,,,,,,,,,,,,,,,,,,,,,,,,,,,,,,,,,,,,,,,,,,,,,!,,,,,,,,,,,,,,,,,,,,,,,,,,,,,,,,,,,,!
,,,,,,,,,,,,,,,,,,,,,,,,,,,,,,,,,,,,,,,,,,,,,,,,,,,,아르베두이 ,,,,,,,,,,,,,,,,,,,,,,,,,,,,,,,,,,,,,FIR영어
,,,,,,,,,,,,,,,,,,,,,,,,,,,,,,,,,,,,,,,,,,,,,,,,,,,,!
,,,,,,,,,,,,,,,,,,,,,,,,,,,,,,,,,,,,,,,,,,,,,,,,,,,,15명의 두네다인
족장
,,,,,,,,,,,,,,,,,,,,,,,,,,,,,,,,,,,,,,,,,,,,,,,,,,,,+
,,,,,,,,,,,,,,,,,,,,,,,,,,,,,,,,,,,,,,,,,,,,,,,,,,,,아라곤 ,,,,,,,,,,,,,,,,,,,,,,,,,,,,,,,,,,,,,아르웬 ,,,,,,,,,,,,,,,,,,,,,,,,,,,,,,,,,,,,,ELL영어 ,,,,,,,,,,,,,,,,,,,,,,,,,,,,,,,,,,,,,ELR영어
,,,,,,,,,,,,,,,,,,,,,,,,,,,,,,,,,,,,,,,,,,,,,,,,,,,,+
,,,,,,,,,,,,,,,,,,,,,,,,,,,,,,,,,,,,,,,,,,,,,,,,,,,,엘다리온 ,,,,,,,,,,,,,,,,,,,,,,,,,,,,,,,,,,,,,딸들



색상 설명:
색상설명
scope="row" |엘프
scope="row" |인간
scope="row" |마이아
scope="row" |혼혈 엘프
scope="row" |엘프의 운명을 선택한 혼혈 엘프
scope="row" |필멸의 인간의 운명을 선택한 혼혈 엘프


7. 분석

아르노르의 레인저와 그들의 잃어버린 왕국은 현실 세계의 중세 부족 및 사회와 비교되었다. 북부 레인저는 서로마 제국 멸망 이후의 프랑크족이나 기독교화된 앵글로색슨족처럼 "로마화된 귀족"에 거주하며 곤도르가 남쪽에서 쇠퇴하고 멸망 직전에 이르렀을 때 "선의 왕국"의 국경을 계속 보호한다.[8] 아라곤과 그의 레인저가 악으로부터 약자를 보호하는 것은 톨킨이 그의 전설을 디자인할 때 본질적으로 기독교적 모티브로 식별되었다.[9]

레인저는 존 버컨의 1923년 소설 ''미드윈터''에 등장하는 '스푼빌'과 비교되었으며, 로이스 맥마스터 부졸드의 2006–2019년작 ''더 셰어링 나이프'' 시리즈에 등장하는 레인저와 유사한 '레이크워커'는 중간계에 대한 의도적인 논평의 일부로 간주되었다.[10][11]

아라곤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1823–1841년작 ''가죽 스타킹 이야기''에 등장하는 레인저 내티 범포 (왼쪽)와 비교되어 왔다.


토마스 쿨만과 디르크 지프만은 아라곤의 길 찾기 생활 방식과 말투가 제임스 페니모어 쿠퍼의 1823–1841년작 ''가죽 스타킹 이야기''에 등장하는 레인저 내티 범포와 닮았으며, 아라곤의 "만약 내가 저쪽 표지를 제대로 읽었다면"이라는 대사는 범포가 쉽게 말했을 법하다고 언급한다. 반면에, 그들은 아라곤이 "역사적이고 신화적인 과거"에 대한 인식이 있고 그것들과의 연속성이 쿠퍼의 작품에는 "분명히 부족하다"고 적고 있다.

참조

[1] 서적 Lord of the Rings: The Mythology of Power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 서적 The Road to Middle-Earth HarperCollins 2005
[3] 간행물 Men, Middle-earth Routledge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서적 J. R. R. Tolkien's Sanctifying Myth: Understanding Middle-earth https://books.google[...] Open Road Media
[9] 서적 The Battle for Middle-earth: Tolkien's Divine Design in The Lord of the Rings https://books.google[...]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0] 서적 Tolkien and the Study of His Sources: Critical Essays McFarland
[11] 서적 Lois McMaster Bujo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 서적 From Hobbits to Hollywood: Essays on Peter Jackson's 'Lord of the Rings' Editions Rodopi
[13] 웹사이트 Alistair Browning - Actor Profile & Biography https://johnsonlaird[...] 2019-06-03
[14] 뉴스 Orcs are back in Lord of the Rings-inspired Born of Hope https://www.telegrap[...] 2016-06-13
[15] 웹사이트 The Lord of the Rings, The Third Age Player Reviews https://www.gamerste[...] 2020-08-27
[16] 웹사이트 The Lord of the Rings, The Battle for Middle-earth II Walkthrough https://www.gamespot[...] 2020-08-27
[17] 웹사이트 Lord of the Rings: Expanded Middle Earth - Halbarad Deluxe Draft Box (54 cards) http://www.inmint.co[...] 2020-08-27
[18] 웹사이트 Where do I find...? Characters https://www.dchobbit[...] DC Hobbit League 2020-08-27
[19] 웹사이트 Rangers of the North Quest https://lotro.gamepr[...] 2020-08-27
[20] 서적 The Evolution of Fantasy Role-Playing Gam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 Company
[21] 문서 『指輪物語 追補編』の解説文にはアラゴルンは第15代族長と明記されている。にもかかわらず系譜の人数を数えると16名になる。系譜中の人物に「族長の息子ではあるが、族長の地位に就かなかった」者がいればつじつまが合うが、そのような記述はない。よってここでは第16代として記載す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