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라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임라이트는 1952년 찰리 채플린이 감독, 각본, 주연을 맡은 영화이다. 1914년 런던을 배경으로, 몰락한 무대 광대 칼베로가 자살 시도에서 구한 젊은 무용수 테리를 돕고, 테리는 재기에 성공하지만 칼베로는 결국 무대에서 생을 마감하는 이야기를 그린다. 찰리 채플린의 자전적 요소를 담고 있으며, 버스터 키튼이 출연하여 채플린과 함께 연기하는 유일한 작품으로도 알려져 있다. 개봉 당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나, 채플린의 공산주의적 성향으로 인해 미국 내 상영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영화는 채플린의 음악, 특히 "테리의 테마"로도 유명하며, 뮤지컬로도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대를 소재로 한 영화 - 왕의 남자
조선 연산군 시대를 배경으로 왕을 웃기려 궁에 들어간 광대들의 비극을 그린 영화 《왕의 남자》는 김태웅의 연극 《이》를 각색하여 감우성, 이준기, 정진영 등이 출연했으며, 흥행과 함께 작품성도 인정받았다. - 광대를 소재로 한 영화 - 길 (1954년 영화)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1954년 이탈리아 영화 《길》은 떠돌이 차력사 잠파노와 조수 젤소미나의 고된 여정을 통해 인간의 고독과 소통을 탐구하며,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은사자상과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고 줄리에타 마시나, 안토니 퀸, 리처드 베이스하트가 출연했으며 니노 로타의 영화 음악이 널리 사랑받았다. - 191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아프리카의 여왕
존 휴스턴 감독의 영화 《아프리카의 여왕》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동아프리카를 배경으로 험프리 보가트와 캐서린 헵번이 독일 군함 공격을 위해 급류를 항해하며 사랑에 빠지는 모험 로맨스 영화로, 여러 어려움 속에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고전 영화로 평가받는다. - 1914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제5원소 (영화)
《제5원소》는 1997년에 개봉한 뤽 베송 감독의 SF 영화로, 2263년 인류를 위협하는 악에 맞서기 위해 4개의 원소석과 제5원소를 찾아 나서는 이야기를 다룬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봉급날
건설 노동자 찰리가 봉급을 받은 후 술을 마시고 귀가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소동을 그린 찰리 채플린의 1922년 코미디 영화 봉급날은 채플린의 마지막 2릴 코미디로, 몬타 벨 감독의 도움으로 빠르게 제작되었다. - 찰리 채플린 감독 영화 - 즐거운 하루
찰리 채플린이 제작한 1919년 단편 코미디 영화 "즐거운 하루"는 채플린 가족의 나들이에서 벌어지는 배멀미, 싸움, 소동 등의 슬랩스틱 해프닝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는 작품으로, 개봉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채플린의 퍼스트 내셔널 시기 대표작 중 하나이다.
라임라이트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Limelight |
감독 | 찰리 채플린 |
각본 | 찰리 채플린 |
제작 | 찰리 채플린 |
원작 | 찰리 채플린의 《풋라이츠》 |
출연 | 찰리 채플린 클레어 블룸 시드니 채플린 나이절 브루스 노먼 로이드 버스터 키튼 마저리 베넷 앙드레 이글레프스키 멜리사 헤이든 |
음악 | 찰리 채플린 |
촬영 | 칼 스트러스 |
편집 | 조 인게 |
제작사 | Celebrated Productions |
배급사 | 유나이티드 아티스츠 (1952년 개봉) 컬럼비아 픽처스 (1972년 개봉) |
개봉일 | 1952년 10월 23일 (미국) |
상영 시간 | 137분 |
제작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제작비 | 90만 달러 |
흥행 수입 | 800만 달러 |
음악 정보 | |
주제가 | 테리의 테마 (에터널리) |
음악 (일본어) | 테리의 테마 (에터널리) |
편곡 |
2. 줄거리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4년 런던을 배경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한때 잘나가던 무대 광대였지만 이제는 술에 빠져 잊힌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자살을 시도한 젊은 발레리나 테리(클레어 블룸)를 구하게 된다. 칼베로는 삶의 의지를 잃은 테리를 헌신적으로 돌보며 다시 무대에 설 수 있도록 돕고, 이 과정에서 테리는 점차 칼베로를 사랑하게 된다.
테리는 칼베로의 도움으로 발레리나로서 성공적으로 재기하고,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과 가까워진다. 반면, 칼베로는 무대 복귀에 실패하며 사람들의 관심에서 멀어진다. 칼베로는 테리의 미래를 위해 그녀의 곁을 떠나 거리 공연자로 전락한다.
몇 년 후, 유명 발레리나가 된 테리는 우연히 칼베로와 재회하고, 그를 위한 자선 콘서트를 열어 재기 무대를 마련한다. 칼베로는 오랜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무대에 올라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 속에서 성공적인 공연을 펼치지만, 공연 도중 심장마비를 일으켜 무대 뒤편으로 실려간다. 칼베로는 마지막 순간, 라임라이트 속에서 춤추는 테리의 모습을 지켜보며 숨을 거둔다. 테리는 칼베로의 죽음을 알지 못한 채 무대 위에서 공연을 이어간다.
2. 1. 칼베로와 테리의 만남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의 런던. 한때 유명했던 무대 광대였지만 이제는 술에 빠져 몰락한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우연히 자신의 하숙집 아래층에 사는 젊은 여성 테리(클레어 블룸)의 자살 시도를 막고 그녀를 구한다. 테리는 아름다운 발레 무용수였으나, 자신의 발레 레슨비를 누나가 매춘으로 벌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충격으로 다리가 마비되었다. 완전히 낙담하여 삶의 의지를 잃은 테리를 칼베로는 헌신적으로 돌보며 간호한다. 그는 테리에게 삶과 맞서 싸울 용기를 북돋아 주며, 그녀가 자존감을 되찾고 다시 춤을 출 수 있도록 돕는다.
2. 2. 테리의 재기
칼베로의 헌신적인 간호와 격려 덕분에, 삶의 의지를 잃고 다리까지 마비되었던 젊은 발레 무용수 테리(클레어 블룸)는 점차 심리적 안정을 되찾고 다시 춤을 출 수 있게 된다. 칼베로는 테리가 자존감을 회복하고 무용수로서의 경력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1][2]다시 무대에 설 용기를 얻은 테리는 무용수로서 일자리를 구하는 데 성공한다. 곧이어 그녀의 재능은 젊고 유망한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의 눈에 띄게 되고, 테리는 그의 새로운 발레 작품의 주역으로 발탁되며 성공적인 재기를 알린다.[1][2] 이와 대조적으로 칼베로 자신은 무대 복귀를 시도하지만 실패하며, 오히려 성공 가도를 달리는 테리에게 격려를 받는 처지가 된다.[1]
2. 3. 칼베로의 고독과 희생
한때 유명한 무대 광대였지만 이제는 몰락하여 술에 의지해 살아가던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자살을 시도한 젊은 발레 무용수 테레사 "테리" 앰브로스(클레어 블룸)를 구해 헌신적으로 돌본다. 테리는 누나가 매춘으로 자신의 레슨비를 대준 사실을 알고 충격으로 다리가 마비되었으나, 칼베로의 도움으로 이를 극복하고 발레리나로서 재기에 성공하며 명성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칼베로 역시 재기를 꿈꾸지만, 그의 복귀 시도는 실패로 돌아가고 오히려 테리에게 격려를 받는 처지가 된다.
테리는 자신을 구해준 칼베로를 사랑하게 되고,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의 구애에도 불구하고 칼베로에게 결혼을 제안한다. 하지만 칼베로는 자신과 테리의 나이 차이, 이미 실패한 자신의 처지와 성공 가도를 달리는 테리의 상황을 고려하여 그녀의 제안을 거절한다. 그는 테리의 밝은 미래를 위해 자신보다 젊고 유망한 작곡가 네빌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결국 칼베로는 테리와 네빌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 그녀의 곁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거리 공연을 하며 생계를 이어가는 신세로 전락한다. 이는 테리의 성공과 대비되는 칼베로의 깊은 고독과 그녀를 위한 희생을 보여준다.
2. 4. 재회와 마지막 공연
테리는 발레 무용수로서 성공하여 유럽 각지 공연에서 극찬을 받는다. 몇 년 후, 테리는 거리에서 우연히 칼베로(찰리 채플린(Charlie Chaplin))와 재회하고 그를 다시 무대에 세우기 위한 자선 콘서트를 준비한다.칼베로는 오랜 파트너(버스터 키튼(Buster Keaton))와 함께 재기 무대에 올라 열연하고, 관객들은 아낌없는 박수를 보낸다. 그러나 공연 도중 칼베로는 무대에서 떨어지면서 심장마비를 일으킨다. 무대 뒤편으로 옮겨진 그는, 눈부신 라임라이트 조명을 받으며 춤추는 테리(클레어 블룸(Claire Bloom))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조용히 숨을 거둔다. 테리는 칼베로가 죽은 줄도 모르고 관객들 앞에서 발레 공연을 이어간다.
3. 등장인물
- 찰리 채플린 - 칼베로 역
- 클레어 블룸 - 테레사 "테리" 엠브로즈 역
- * 멜리사 헤이든 - 테리의 댄스 더블 (발레 장면 대역)
- 나이절 브루스 - 포스턴트 역
- 버스터 키튼 - 칼베로의 파트너 역
- 시드니 채플린 - 어니스트 네빌 역
- 노먼 로이드 - 보달링크 역
- 앙드레 에글레스키 - 남성 발레 무용수 (아를르캥 역)
- 마저리 베넷 - 앨솝 부인 역
- 휠러 드라이든 - 테레사의 의사 역
- 배리 버나드 (Barry Bernard) - 존 레드펀 역
- 스테이플턴 켄트 (Stapleton Kent) - 클라우디우스 역 (삭제된 장면)
- 몰리 글레싱 (Mollie Glessing) - 하녀 역
- 레너드 뮤디 - 칼베로의 의사 역
- 스너브 폴라드 - 거리의 음악가 역
- 로열 언더우드 - 거리의 음악가 역
- 제럴딘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소녀 역 (미등장)
- 조세핀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아이 역 (미등장)
- 마이클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아이 역 (미등장)
- 찰리 채플린 주니어 - 발레 무대의 경찰 역[38]
- 찰스 스펜서 채플린 3세 - 광대 역[3] (미등장)
- 시릴 딜레반티 - 그리핀 (광대) 역[31] (미등장)
- 우나 오닐 - 테레사의 더블 중 한 에피소드 단역 (미등장)
- 에릭 윌튼 (Eric Wilton) - 만찬의 집사 역 (미등장)
에드나 퍼바이언스가 발레 장면의 관객 역으로 단역 출연했다는 설이 있었으나[39][40], 데이비드 로빈슨, 오노 히로유키 등이 촬영 일지를 조사하여 부인하고 있다.
3. 1. 칼베로 (찰리 채플린)
칼베로는 찰리 채플린이 연기한 캐릭터로, 영화 ''라임라이트''의 주인공이다. 영화의 배경은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4년 런던이다.[31] 한때 매우 유명했던 무대 광대였으나, 지금은 대중에게 잊혀지고 술에 의존하며 살아간다.
어느 날 칼베로는 같은 하숙집에 사는 젊은 발레리나 테레사 "테리" 앰브로스(클레어 블룸)가 자살을 시도한 것을 발견하고 그녀를 구한다. 그는 테리를 정성껏 돌보며 삶의 의지를 북돋아 주고, 그녀가 다시 무용수로서의 자신감을 되찾고 경력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칼베로 역시 재기에 대한 희망을 품지만, 그의 복귀 시도는 성공하지 못한다.
테리는 점차 칼베로에게 깊은 애정을 느끼고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와 결혼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칼베로는 테리가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채플린)과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네빌은 칼베로가 테리를 돕는 과정에서 알게 된 인물이다. 칼베로는 두 사람의 미래를 위해 조용히 그들의 곁을 떠나 거리의 악사로 살아간다.
시간이 흘러 유명 무용수가 된 테리는 우연히 칼베로를 다시 만나게 되고, 그에게 자선 콘서트 무대에 함께 설 것을 간청한다. 칼베로는 오랜 무대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무대에 올라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 속에서 성공적인 복귀 공연을 펼친다. 그러나 공연 도중 심장마비를 일으킨 칼베로는 무대 뒤편에서, 다음 순서로 무대에 올라 춤추는 테리의 모습을 지켜보며 조용히 숨을 거둔다. 테리는 칼베로의 죽음을 알지 못한 채 관객들 앞에서 발레 공연을 이어간다.
칼베로 캐릭터는 찰리 채플린 자신의 경험과 예술 철학이 투영된 자전적인 인물로 해석된다. 왕년의 영광과 현재의 쓸쓸함, 예술가로서의 고뇌, 그리고 젊은 세대에 대한 애정과 배려 등 복합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3. 2. 테레사 "테리" 앰브로즈 (클레어 블룸)
클레어 블룸(Claire Bloom)이 연기한 테레사 "테리" 앰브로즈는 젊고 재능 있는 발레리나이다. 영화의 배경인 제1차 세계 대전 직전, 1914년 런던에서 테리는 알 수 없는 이유로 깊은 절망에 빠져 자살을 시도한다.[3]한때 유명했지만 이제는 잊힌 무대 광대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우연히 테리를 발견하고 그녀의 생명을 구한다. 칼베로는 테리가 건강을 되찾고 심리적 어려움을 극복하도록 헌신적으로 돌본다. 그의 격려와 지지 속에서 테리는 점차 자존감을 회복하고 다시 무대에 설 용기를 얻어 무용수로서의 경력을 성공적으로 재개한다.
회복 과정에서 테리는 자신을 구해준 칼베로에게 깊은 애정을 느끼게 되고, 상당한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와 결혼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다. 하지만 칼베로는 테리의 행복을 위해 자신보다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이 그녀에게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칼베로는 두 사람의 관계를 위해 조용히 테리의 곁을 떠나 거리 공연자로 살아간다.
성공한 무용수가 된 테리는 시간이 흘러 우연히 칼베로를 다시 만나게 된다. 그녀는 칼베로가 다시 무대에 설 수 있도록 자선 콘서트 출연을 설득한다. 칼베로는 오랜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무대에 올라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 속에 성공적인 복귀 공연을 펼친다. 그러나 공연 도중 심장마비를 일으키고 만다. 칼베로는 무대 뒤에서, 테리가 자신의 죽음을 알지 못한 채 두 번째 순서로 무대 위에서 아름답게 춤추는 모습을 지켜보며 조용히 숨을 거둔다.
극중 테리가 발레 장면에서 콜롬비나 역으로 춤을 추는 장면은 실제로는 멜리사 헤이든(Melissa Hayden)이 클레어 블룸의 대역으로 연기했다.
3. 3. 네빌 (시드니 채플린)
젊은 작곡가 어니스트 네빌은 발레리나 테리(클레어 블룸)가 칼베로(찰리 채플린)의 도움으로 자살 시도에서 회복하여 무용 경력을 다시 시작할 때 그녀와 친구가 된다. 칼베로는 테리와 네빌이 서로에게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하며, 두 사람에게 기회를 주고자 테리의 곁을 떠나기도 한다. 네빌 역할은 찰리 채플린의 아들인 시드니 채플린이 연기했다.3. 4. 칼베로의 파트너 (버스터 키튼)
라임라이트에는 찰리 채플린의 라이벌이자 유명 배우였던 버스터 키튼이 칼베로의 파트너 역으로 출연하였다. 키튼은 유성 영화 시대 이후 어려움을 겪으며 알코올 의존증에 빠졌고, 이혼 과정에서 재산 대부분을 잃었으며, 《라임라이트》 출연 이전 몇 년간 영화 출연이 드물었다.[7] 채플린은 처음에 키튼을 위한 역할이 너무 작다고 생각하여 배역을 쓰지 않았으나, 키튼이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그를 영화에 출연시키기로 결정했다.영화 마지막의 음악 장면에서 채플린과 키튼이 함께 연기한 것은 두 사람이 영화에서 함께 출연한 유일한 경우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오랜 파트너였던 키튼과 재회한 칼베로는 이 장면에서 환호 속에 성공적인 복귀 공연을 펼친다.
두 배우의 팬들 사이에서는 키튼의 연기가 너무 뛰어나 채플린이 질투심 때문에 그의 장면을 일부러 편집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그러나 채플린의 측근은 채플린이 키튼의 연기에 위협을 느끼기는커녕 오히려 편집 과정에서 키튼의 장면을 더 돋보이게 했다고 주장했다.[8] 키튼의 전기 작가 루디 블레시(Rudi Blesh)에 따르면, 채플린은 평소의 엄격한 연출 스타일에서 벗어나 키튼이 코믹 연기를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배려했다고 한다. 키튼의 미망인 엘레노어는 남편이 영화 출연에 매우 기뻐했으며, 이러한 소문은 키튼의 사업 파트너였던 레이먼드 로하우어(Raymond Rohauer)가 퍼뜨린 것이라고 믿었다.[9] 영화에 함께 출연했던 채플린의 아들 시드니 채플린 역시 이야기 전개상 조연인 키튼이 주연인 채플린의 복귀 장면을 가리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반박했다.[10]
키튼은 이 영화 출연을 발판 삼아 제2의 전성기를 맞이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4. 제작 과정
이 영화는 찰리 채플린이 감독, 제작, 각본, 음악 작곡 및 편곡, 발레 안무까지 직접 맡아 그의 다재다능함을 보여준 작품이다.[37][31] 주요 제작진은 다음과 같다.
- 감독: 찰리 채플린
- 제작: 찰리 채플린
- 각본: 찰리 채플린
- 촬영: 칼 스트라스
- 음악: 찰리 채플린
- 편곡[31]: 찰리 채플린, 래리 러셀(Larry Russell), 레이 라쉬(Raymond Rasch)
- 발레 안무: 찰리 채플린[37]
- 조감독: 로버트 알드리치
영화의 배경은 런던이지만, 실제 촬영은 대부분 할리우드의 채플린 스튜디오, 파라마운트 스튜디오, RKO-Pathé 스튜디오 등에서 55일간 진행되었다. 채플린은 자신의 자녀들과 이복형제 휠러 드라이든 등 가족 구성원들을 영화에 참여시켰으며, 테리 역에는 당시 신예였던 무대 배우 클레어 블룸을 발탁했는데, 이는 그녀의 첫 주요 영화 역할이었다.
4. 1. 기획 및 각본

《라임라이트》는 찰리 채플린이 점차 대중적인 인기를 잃어가던 시기에 제작되었으며, 여러 측면에서 그의 삶을 반영하는 자전적인 영화로 평가받는다.[6] 채플린은 이 영화가 자신의 마지막 작품이 될 것이라고 큰아들에게 말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작 기간 동안 그는 매우 행복하고 활기찬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자신의 초기 뮤직홀 경력을 영화 속에서 재현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 때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영화의 주인공인 칼베로 캐릭터의 실제 모델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채플린 연구자들은 관객을 잃고 알코올 중독에 빠져 1901년에 사망한 채플린의 아버지, 찰스 채플린 시니어를 모델로 삼았을 것이라고 추정한다. 하지만 채플린 본인은 1964년에 출간된 자서전과 1974년 저서 《나의 인생 사진》에서 칼베로가 무대 배우 프랭크 티니의 삶을 바탕으로 창조된 인물이라고 일관되게 밝혔다.[5]
채플린은 《라임라이트》를 준비하며 쓴 미완성 소설 "칼베로의 이야기"에서 주인공의 복잡한 내면을 묘사하며 자신의 예술적 고민을 투영하기도 했다.
“젊은 시절 그는 음악가가 되기를 갈망했지만 악기를 배울 여유가 없었습니다. 또 다른 열망은 낭만적인 배우가 되는 것이었지만, 그는 너무 작았고 발음도 너무 세련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감정적으로 자신이 살아있는 가장 위대한 배우라고 믿었습니다. 필요에 의해 그는 코미디에 눈을 돌렸는데, 그는 코미디를 혐오했습니다. 왜냐하면 코미디는 그에게 관객과의 친밀함을 요구했고, 그는 그런 친밀함을 느끼지 못했고 결코 자연스럽게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4]
4. 2. 촬영
영화의 배경은 런던이지만, 전적으로 할리우드 지역, 주로 채플린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칼베로가 사는 거리는 파라마운트 스튜디오에서 재구성한 세트였고, 음악당 장면은 RKO-Pathé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일부 외관 장면에는 런던의 백프로젝션 영상이 사용되었다. 촬영 기간은 55일이었다. 채플린은 그의 자녀 다섯 명과 그의 이복형제인 휠러 드라이든을 포함하여 자신의 가족 구성원들을 영화에 두드러지게 출연시켰다. 채플린은 무대 배우 클레어 블룸을 테리 역으로 선택했는데, 이는 그녀의 첫 번째 주요 영화 역할이었다. 채플린은 그의 큰아들에게 ''라임라이트''가 자신의 마지막 영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자료에 따르면, 그는 제작 기간 동안 매우 행복하고 활기찼으며, 이는 그의 초기 경력을 뮤직홀에서 재현하는 기쁨에 기인한 것으로 종종 여겨진다. 채플린의 전기 작가들은 영화 속 그의 캐릭터가 관객을 잃고 알코올 중독자가 되어 1901년 사망한 그의 아버지인 찰스 채플린 시니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해왔다. 그러나 그는 1964년 자서전과 1974년 저서인 ''나의 인생 사진''에서 모두 칼베로가 무대 배우 프랭크 티니의 삶을 바탕으로 했다고 주장한다.[5] ''라임라이트''는 채플린이 관객을 잃기 시작하던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많은 면에서 이 영화는 매우 자전적인 영화였다.[6]
4. 3. 캐스팅
찰리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주연 '칼베로' 역을 맡았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아내였던 우나 오닐과 자녀들인 시드니 채플린, 제럴딘 채플린, 조세핀 채플린, 마이클 채플린, 찰리 채플린 주니어 그리고 이복형제인 휠러 드라이든 등 자신의 가족 구성원들을 다수 출연시켰다.[3][37] 채플린은 테리 역을 위해 영국의 젊은 무대 배우였던 클레어 블룸을 캐스팅했는데, 이는 그녀의 첫 번째 주요 영화 역할이었다. 한 영국 극단주가 그녀를 채플린에게 소개해주었다고 전해진다.또한, 채플린의 라이벌이자 무성 영화 시대의 유명 배우였던 버스터 키튼이 칼베로의 파트너 역으로 출연했다. 유성 영화 시대로 접어들며 어려움을 겪고 알코올 중독에 빠졌던 키튼은 이 영화 출연을 계기로 재기에 성공하며 제2의 전성기를 누리게 되었다.
주요 배역은 다음과 같다.
배우 | 배역 | 비고 |
---|---|---|
찰리 채플린 | 칼베로 | |
클레어 블룸 | 테레사 "테리" 엠브로즈 | |
나이절 브루스 | 포스턴트 | |
버스터 키튼 | 칼베로의 파트너 | |
시드니 채플린 | 어니스트 네빌 | 채플린의 아들 |
노먼 로이드 | 보달링크 | |
앙드레 에글레브스키 | 아를레키노 (남성 발레 무용수) | |
멜리사 헤이든 | 테리의 댄스 더블 | 극중 발레의 콜롬비나 장면 대역 |
마조리 베넷 | 앨솝 부인 | |
휠러 드라이든 | 테레사의 의사, 늙은 발레 무용수 | 채플린의 이복형제 |
배리 버나드 | 존 레드펀 | |
스테이플턴 켄트 | 클라우디우스 | 전 세계 개봉 시 삭제된 장면에 출연 |
몰리 글레싱 | 하녀 | |
레너드 뮤디 | 칼베로의 의사 | |
스너브 폴라드 | 거리의 음악가 | |
로열 언더우드 | 거리의 음악가 | |
제럴딘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어린 소녀 | 채플린의 딸 (미등장) |
조세핀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아이 | 채플린의 딸 (미등장) |
마이클 채플린 | 오프닝 장면의 아이 | 채플린의 아들 (미등장) |
찰리 채플린 주니어 | 광대 / 발레 무대의 경찰[38] | 채플린의 아들 (미등장)[3] |
시릴 딜레반티 | 그리핀 (광대) | (미등장)[31] |
우나 오닐 | 테레사의 대역 (단역) | 채플린의 아내 (미등장) |
에릭 윌튼 | 만찬의 집사 | (미등장) |
과거 채플린의 상대역으로 유명했던 에드나 퍼바이언스가 발레 장면의 관객으로 단역 출연했다는 설이 있었으나[39][40], 채플린 연구가인 데이비드 로빈슨, 오노 히로유키 등이 촬영 일지를 조사한 결과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4. 4. 채플린과 키튼의 협업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이 마지막 음악 장면에서 함께 출연한 것은 두 사람이 영화에서 함께 연기한 유일한 경우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7] 채플린은 처음에 키튼을 위한 역할을 쓰지 않았는데, 역할이 너무 작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키튼이 유성 영화 시대를 거치며 알코올 중독에 빠지고, 파탄난 결혼 생활과 이혼 과정에서 재산 대부분을 잃는 등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에야 채플린은 그를 영화에 출연시키기로 결정했다.[7] 키튼은 이 영화 출연을 발판 삼아 재기할 수 있었다. 키튼의 회상에 따르면, 채플린은 키튼이 기운을 잃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예상과 달리 여전히 활기찬 모습에 놀랐다고 한다.[1]두 사람의 공동 출연 장면을 두고, 팬들 사이에서는 키튼의 뛰어난 연기에 채플린이 질투심을 느껴 그의 장면을 일부러 잘라냈다는 소문이 돌기도 했다. 그러나 채플린의 측근은 채플린이 키튼의 연기에 위협을 느끼기는커녕, 오히려 편집 과정에서 키튼의 장면을 더 돋보이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8] 키튼의 전기 작가 루디 블레시에 따르면, 채플린은 평소의 엄격한 연출 스타일에서 벗어나 키튼이 이 장면에서 자신만의 코믹 연기를 자유롭게 펼칠 수 있도록 배려했다. 키튼의 미망인 엘레노어 역시 키튼이 영화 출연에 매우 기뻐했으며, 분량 삭제와 관련된 소문은 키튼의 사업 파트너였던 레이먼드 로하우어가 퍼뜨린 것이라고 믿었다.[9] 영화에 함께 출연했던 채플린의 아들 시드니 채플린 또한 키튼의 장면이 잘렸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며, 설령 일부 장면이 편집되었다 하더라도 이야기 전개상 조연 배우가 갑자기 두드러져 주인공인 채플린 캐릭터의 복귀 장면을 압도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설명했다.[10][2]
1956년 키튼은 '마사 레이 쇼'에 출연하여 코미디언 마사 레이와 함께 채플린과의 장면을 재연하기도 했는데, 이 재연에는 영화 《라임라이트》에는 없던 새로운 개그가 추가되었다.[2]
5. 주제와 의미
영화 ''라임라이트''는 찰리 채플린의 후기 작품 중 하나로, 그의 개인적인 경험과 예술관이 깊이 투영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6] 영화는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4년 런던을 배경으로, 한때 잘나갔지만 이제는 잊혀진 뮤직홀 코미디언 칼베로(찰리 채플린)와 그가 자살 시도로부터 구해낸 젊은 발레리나 테리(클레어 블룸)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영화는 여러 중요한 주제를 탐구한다. 가장 핵심적인 것은 예술가의 삶과 고뇌이다. 왕년의 스타였던 칼베로가 대중의 외면과 싸우며 재기를 꿈꾸지만 좌절하는 모습, 그리고 무대에 대한 그의 변함없는 열정은 예술가의 영광과 비애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는 채플린 자신의 경험, 특히 관객을 잃어가던 시기의 불안감과 무관하지 않다.[6] 채플린은 칼베로 캐릭터가 무대 배우 프랭크 티니를 모델로 했다고 밝혔지만,[5] 알코올 중독으로 비극적인 삶을 마감한 채플린의 아버지 찰스 채플린 시니어의 모습도 투영되었다는 해석도 존재한다.
또한, 영화는 삶의 의미와 희망, 절망의 극복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룬다. 칼베로는 삶을 포기하려 했던 테리에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어 주며, 이 과정에서 자신 또한 삶의 의미를 되찾으려 노력한다. 두 사람의 관계는 절망 속에서도 서로에게 의지하며 다시 일어서는 인간의 의지를 보여준다.
사랑과 희생 역시 중요한 주제이다. 칼베로는 테리를 향한 깊은 애정을 느끼지만, 그녀의 미래를 위해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에게 그녀를 양보하고 자신은 조용히 떠나는 희생을 선택한다. 이는 세대 간의 이해와 연민, 그리고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결국 ''라임라이트''는 화려한 무대 뒤에 가려진 예술가의 고독과 열정, 삶의 비극 속에서도 피어나는 희망과 사랑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이다. 채플린은 이 영화를 통해 자신의 예술 인생을 반추하며, 삶과 예술에 대한 깊은 성찰을 관객에게 전달한다.
5. 1. 삶의 의미와 희망
영화 ''라임라이트''는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인 1914년 런던을 배경으로 한다. 이 해는 채플린이 그의 첫 영화 ''생계를 유지하며''를 제작한 해이기도 하다. 한때 유명했지만 이제는 술에 취해 망가진 무대 광대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우연히 같은 하숙집에 사는 젊은 발레리나 테레사 "테리" 앰브로스(클레어 블룸)가 자살을 시도한 것을 발견하고 구해준다.
칼베로는 절망에 빠진 테리를 헌신적으로 돌보며 삶의 의지와 용기를 북돋아 준다. 그의 도움으로 테리는 자존감을 회복하고 다시 무용수로서 경력을 재개할 희망을 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칼베로 역시 자신의 자신감을 되찾고 복귀를 시도하지만 실패한다.
테리는 자신을 구원해 준 칼베로에게 애정을 느끼고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와 결혼하고 싶어 한다. 하지만 칼베로는 테리의 미래를 위해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이 그녀에게 더 어울린다고 생각하고, 두 사람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조용히 테리의 곁을 떠나 거리 공연자가 된다.
시간이 흘러 자신의 공연으로 주목받게 된 테리는 결국 칼베로를 찾아내고 그를 설득하여 자선 콘서트 무대에 복귀하도록 한다. 칼베로는 오랜 무대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무대에 서서 관객들의 열렬한 환호 속에 성공적인 복귀 공연을 펼친다. 그러나 공연 중 심장마비를 일으킨 칼베로는 무대 뒤편에서, 테리가 두 번째 순서로 무대에서 춤추는 것을 지켜보며 조용히 숨을 거둔다. 테리는 칼베로가 죽은 줄도 모른 채 관객들 앞에서 발레 공연을 이어간다.
5. 2. 예술가의 고뇌와 열정
영화 ''라임라이트''는 왕년에 잘나가던 무대 광대였지만 이제는 술에 취해 몰락한 칼베로(찰리 채플린)를 통해 예술가의 고뇌와 열정을 그린다. 제1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14년 런던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에서 칼베로는 자기 하숙집 아래층에서 자살을 시도한 젊은 발레리나 테레사 "테리" 앰브로스(클레어 블룸)를 구한다.
칼베로는 테리를 정성껏 돌보며 삶과 맞서 싸울 용기를 북돋아 준다. 그의 도움으로 테리는 점차 건강과 자존감을 회복하고 무용수로서의 경력을 다시 시작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칼베로 역시 자신의 잃어버렸던 자신감을 되찾으려 하지만, 무대 복귀 시도는 실패로 돌아간다.
테리는 점차 칼베로를 사랑하게 되고 나이 차이에도 불구하고 그와 결혼하고 싶어하지만, 칼베로는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이 그녀에게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칼베로는 테리와 네빌에게 기회를 주기 위해 조용히 그녀의 곁을 떠나 거리 공연자로 살아간다.
몇 년 후, 성공한 발레리나가 된 테리는 우연히 칼베로를 다시 만나게 되고, 그를 위한 자선 콘서트 무대에 설 것을 설득한다. 칼베로는 오랜 무대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환호 속에 성공적인 복귀 공연을 펼친다. 그러나 공연 중 심장마비를 일으킨 그는 무대 뒤편에서, 자신이 죽어가는 것을 모른 채 관객들 앞에서 발레 공연을 펼치는 테리의 모습을 지켜보며 조용히 숨을 거둔다. 이는 예술가의 무대에 대한 열정과 비극적인 최후를 동시에 보여준다.
채플린은 이 영화를 준비하며 쓴 소설 "칼베로의 이야기"의 일부에서 칼베로의 내면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젊은 시절 그는 음악가가 되기를 갈망했지만 악기를 배울 여유가 없었습니다. 또 다른 열망은 낭만적인 배우가 되는 것이었지만, 그는 너무 작았고 발음도 너무 세련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감정적으로 자신이 살아있는 가장 위대한 배우라고 믿었습니다. 필요에 의해 그는 코미디에 눈을 돌렸는데, 그는 코미디를 혐오했습니다. 왜냐하면 코미디는 그에게 관객과의 친밀함을 요구했고, 그는 그런 친밀함을 느끼지 못했고 결코 자연스럽게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입니다.”[4]
칼베로라는 캐릭터는 채플린 자신의 경험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 채플린의 전기 작가들은 영화 속 그의 캐릭터가 관객을 잃고 알코올 중독으로 1901년에 사망한 그의 아버지인 찰스 채플린 시니어를 바탕으로 한 것으로 추정해왔다. 그러나 채플린 자신은 1964년 자서전과 1974년 저서인 ''나의 인생 사진''에서 모두 칼베로가 무대 배우 프랭크 티니의 삶을 바탕으로 했다고 주장한다.[5] ''라임라이트''는 채플린이 관객을 잃기 시작하던 시기에 만들어졌는데, 많은 면에서 이 영화는 매우 자전적인 영화였다.[6]
영화의 배경은 런던이지만, 전적으로 할리우드 지역, 주로 채플린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다. 칼베로가 사는 거리는 파라마운트 스튜디오에서 재구성한 세트였고, 음악당 장면은 RKO-Pathé 스튜디오에서 촬영되었으며, 일부 외관 장면에는 런던의 백프로젝션 영상이 사용되었다. 촬영 기간은 55일이었다. 채플린은 그의 자녀 다섯 명과 그의 이복형제인 휠러 드라이든을 포함하여 자신의 가족 구성원들을 영화에 두드러지게 출연시켰다. 채플린은 무대 배우 클레어 블룸을 테리 역으로 선택했는데, 이는 그녀의 첫 번째 주요 영화 역할이었다. 채플린은 그의 큰아들에게 ''라임라이트''가 자신의 마지막 영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자료에 따르면, 그는 제작 기간 동안 매우 행복하고 활기찼으며, 이는 그의 초기 경력을 뮤직홀에서 재현하는 기쁨에 기인한 것으로 종종 여겨진다.
5. 3. 사랑과 희생
한때 유명했지만 이제는 잊힌 무대 광대 칼베로(찰리 채플린)는 자살을 시도한 젊은 무용수 테레사 "테리" 앰브로스(클레어 블룸)를 구한다. 칼베로는 테리를 헌신적으로 돌보며 그녀가 자존감을 회복하고 다시 춤을 출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테리는 점차 칼베로를 사랑하게 되고 그와 결혼하고 싶어 하지만, 칼베로는 테리의 미래를 위해 자신보다 젊은 작곡가 네빌(시드니 얼 채플린)이 그녀에게 더 어울린다고 생각한다. 결국 칼베로는 테리와 네빌에게 기회를 주고자 말없이 그녀의 곁을 떠나 거리 공연자로 살아가는 희생을 선택한다.몇 년 후, 유명 무용수가 된 테리는 우연히 칼베로를 다시 만나고, 그를 위한 자선 콘서트를 열어 무대 복귀를 돕는다. 칼베로는 오랜 파트너(버스터 키튼)와 함께 무대에 올라 관객들의 뜨거운 환호 속에서 성공적으로 공연을 마치지만, 공연 직후 심장마비를 일으켜 쓰러진다. 그는 무대 뒤에서, 자신이 죽어가는 것을 알지 못한 채 발레 공연을 펼치는 테리의 모습을 마지막으로 지켜보며 숨을 거둔다. 이는 테리의 성공과 행복을 위한 칼베로의 깊은 사랑과 마지막 희생을 보여주는 장면이다.
6. 평가 및 영향
영화 《라임라이트》는 개봉 초기 비평가들로부터 감동적인 이야기와 찰리 채플린의 연기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동시에 지나치게 길고 장황하다는 비판도 함께 제기되었다.[13][14][15][16][17][18]
그러나 영화는 채플린의 정치적 성향과 사생활 문제로 인해 당시 매카시즘의 영향을 받던 미국 사회에서 큰 논란에 휩싸였다. 특히 보수적인 미국 레기온 등은 영화 상영에 반대하는 운동을 벌였고,[12] 이들의 압력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개봉이 무산되기도 했다.[19] 설상가상으로 채플린 본인이 영화 홍보차 영국으로 향하던 중, 미국 정부로부터 공산주의 동조 혐의 등을 이유로 재입국 허가가 거부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 사건은 미국 내 《라임라이트》 상영 거부 움직임을 더욱 확산시키는 결과를 낳았다.[12]
이러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영화는 미국 내 흥행에 큰 어려움을 겪으며 100만달러의 상대적으로 저조한 수익을 기록하는 데 그쳤다.[1] 하지만 유럽과 일본 등 해외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며[20] 전 세계적으로는 총 8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1]
미국에서는 정치적 문제로 인해 개봉이 지연되다가 20년이 지난 1972년에야 비로소 로스앤젤레스 등에서 정식으로 개봉될 수 있었다.[12]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영화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졌고, 현재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6%의 높은 평가를 받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고 있다. 채플린 연구가들은 《라임라이트》를 그의 후기 대표작이자 자전적 성찰이 담긴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한다.[22] 또한, 1972년 미국 개봉 자격을 얻게 되면서 1973년 열린 제45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극영화음악상을 수상하기도 했다.[46]
6. 1. 비평적 평가
1952년 10월 23일, 영화는 아스터 극장과 뉴욕시의 트랜스-럭스 60번가 극장에서 개봉하여 3개월 동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2]개봉 당시 비평가들은 대체로 영화의 감동적인 이야기와 채플린의 연기를 칭찬했지만, 러닝타임이 지나치게 길고 장황하다는 비판도 공통적으로 제기했다.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워는 "익살과 비극의 실이 훌륭하게 엮여 있으며, 웅변적이고, 눈물겹고, 최고의 기교로 매혹적이다"라고 호평하면서도, "이 영화의 유일한 약점은 찰리 채플린이 스스로 허용하는 인간의 약점과 역설에 대한 장황한 논의이다"라고 지적했다.[13] 베라이어티의 진 아르닐은 "스크린 속 중심 인물로서 채플린은 때때로 훌륭하다"면서도 "그가 스스로에게 부여한 역할은 너무 많은 대사를 요구하며, 그중 일부는 지루해진다"고 평가했다.[14] 해리슨 리포트는 "훌륭한 휴먼 드라마... 채플린은 모든 부문에서 뛰어난 연기를 선보이며 그의 천재성을 증명한다"고 칭찬했지만, "지나친 러닝타임"과 "지나치게 많은 대화, 설교, 도덕적 가르침"을 비판하며 채플린이 자신의 철학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보인다고 덧붙였다.[15] 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L. 코는 "지나치게 길고 규율이 부족할지도 모르지만, 철학자와 설교자들의 주제인 인간 동료애의 영원한 교훈을 되풀이한다"며 "모든 단점에도 불구하고 '라임라이트'는 창의적이고 뛰어난 영화"라고 결론지었다.[16] 뉴요커의 존 매카튼은 "채플린 씨는 셰익스피어만큼 요점을 빨리 전달하지 못한다"고 아쉬움을 표하면서도, "과거 채플린 씨의 작품을 돋보이게 했던 코미디와 애수가 엿보이는 순간들이 있으며, 대중의 사랑을 잃은 저명한 배우의 초상은 슬픈 확신을 불러일으킨다"고 긍정적으로 평했다.[17] 영국의 더 먼쓸리 필름 불레틴은 영화가 "완벽하지 않다"며 "10분 정도 너무 길고, 감동이 감상으로 치우치는 순간들이 있다"고 지적했지만, "약점은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다. '라임라이트'의 장점, 즉 애정, 유머, 칼베로 묘사의 거의 압도적인 슬픔은 스크린 최고의 휴머니스트의 그것이다"라고 극찬했다.[18]
그러나 영화는 미국 레기온과 같은 보수 단체로부터 정치적인 이유로 항의를 받았다.[12] 이들의 압력으로 내셔널 극장과 폭스 웨스트 코스트 극장의 회장인 찰스 스쿠라스는 로스앤젤레스에서의 개봉을 막았다.[19] 더욱이 채플린이 영화 홍보차 영국으로 향하던 중, 그의 공산주의 동조 혐의와 사생활 문제 등을 이유로 미국 정부로부터 재입국 비자가 거부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많은 미국 극장들이 '라임라이트' 상영을 거부했다.[12] 결국 동부 해안의 일부 도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미국 관객들은 이 영화를 볼 기회를 갖지 못했다.
1972년이 되어서야 미국에서 정식으로 폭넓게 개봉될 수 있었다. 이후 '라임라이트'는 재평가받으며 로튼 토마토에서 96%의 높은 신선도 점수를 기록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영화는 특히 일본에서 큰 인기를 끌었으며,[20]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적으로도 흥행에 성공했다. 하지만 정치적 논란으로 인해 미국에서는 상대적으로 부진한 100만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데 그쳤다.[1] 전 세계적으로는 총 800만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21]
채플린의 전기 작가 제프리 밴스는 '라임라이트'의 명성이 수십 년에 걸쳐 점차 높아졌다고 평가하며, "라임라이트는 채플린의 마지막 걸작이며, 그의 삶과 경력을 자각적으로 요약한 것처럼 보인다. 그의 시작으로 돌아가는 여정이자 종종 날카로운 자기 비판인 '라임라이트'는 채플린의 가장 개인적이고 내성적인 영화"라고 주장했다.[22]
이 영화는 여러 영화 순위에도 이름을 올렸다.
- 영국영화협회(BFI)의 잡지 Sight&Sound 선정 「영화사상 최고의 작품 베스트 10」 (1962년 영화평론가 선정) 26위[47]
- 영화 감독 호세 루이스 게린이 좋아하는 영화 3위[48]
- 1953년 제27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외국영화 2위[49]
6. 2. 대중적 성공
1952년 10월 23일, 영화는 아스터 극장과 뉴욕시의 트랜스-럭스 60번가 극장에서 개봉하여 초기 3개월 동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12]당시 비평가들은 대체로 영화를 호평했지만, 지나치게 길고 장황하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워는 "익살과 비극의 실이 훌륭하게 엮여 있으며, 웅변적이고, 눈물겹고, 최고의 기교로 매혹적이다"라고 칭찬하면서도 "이 영화의 유일한 약점은... 장황한 논의이다"라고 지적했다.[13] 버라이어티(Variety)의 진 아르닐은 채플린의 연기를 칭찬하면서도 "그가 스스로에게 부여한 역할은 너무 많은 대사를 요구하며, 그중 일부는 지루해진다"고 평했다.[14] 해리슨 리포트는 "훌륭한 휴먼 드라마"라며 채플린의 천재성을 인정했지만, "지나친 러닝타임"과 "지나치게 많은 대화, 설교, 도덕적 가르침"을 비판했다.[15] 워싱턴 포스트의 리처드 L. 코는 "지나치게 길고 규율이 부족할지도 모르지만... 창의적이고 뛰어난 영화"라고 평가했다.[16] 뉴요커의 존 매카튼은 "코미디와 애수가 엿보이는 순간들"과 "슬픈 확신을 불러일으키는" 배우의 초상을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전개가 느리다고 언급했다.[17] 영국의 더 먼쓸리 필름 불레틴은 "완벽하지 않다"면서도 "약점은 사소하고 중요하지 않다... 스크린 최고의 휴머니스트의 그것이다"라고 결론지었다.[18]
그러나 영화는 정치적인 이유로 미국 내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보수적인 미국 레기온은 영화에 항의했고,[12] 이들의 압력으로 폭스 웨스트 코스트 극장의 회장 찰스 스쿠라스는 로스앤젤레스에서의 개봉을 막았다.[19] 설상가상으로 채플린이 영화 홍보차 영국으로 향하던 중, 그의 공산주의 동조 의혹과 사생활 문제 등을 이유로 미국 정부로부터 재입국 비자 발급이 거부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많은 미국 극장들이 '라임라이트' 상영을 거부했다.[12] 결국 동부 해안의 일부 도시를 제외하고는 미국 관객들은 이 영화를 제대로 볼 기회를 갖지 못했고, 1972년이 되어서야 미국 전역에서 정식으로 개봉될 수 있었다.
이러한 미국 내 상황과 달리, '라임라이트'는 유럽과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엄청난 인기를 끌었다.[20] 전 세계적으로 총 8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으나,[21] 미국 내 수익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100만달러에 그쳤다.[1]
시간이 흐르면서 영화에 대한 평가는 더욱 높아졌다. 현재 영화 평점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96%의 높은 신선도 점수를 기록하고 있다. 채플린의 전기 작가 제프리 밴스는 '라임라이트'를 "채플린의 마지막 걸작"이자 "그의 삶과 경력을 자각적으로 요약한" 작품으로 평가하며, "채플린의 가장 개인적이고 내성적인 영화"라고 주장했다.[22]
영화는 여러 영화사적 평가에서도 인정받았다.
- 영국영화협회(British Film Institute)의 잡지 Sight&Sound가 선정한 「영화사상 최고의 작품 베스트 10」에서 1962년 영화평론가 부문 26위에 올랐다.[47]
- 영화감독 호세 루이스 게린은 자신이 좋아하는 영화 3위로 '라임라이트'를 꼽았다.[48]
- 일본에서는 1953년 키네마 준보가 선정한 외국영화 베스트 10에서 2위를 차지했다.[49]
6. 3. 후대에 미친 영향
개봉 당시 비평가들은 영화에 대해 칭찬하면서도, 지나치게 길고 장황하다는 비판을 함께 제기했다. 뉴욕 타임스의 보슬리 크로워는 "익살과 비극의 실이 훌륭하게 엮여 있으며, 웅변적이고, 눈물겹고, 최고의 기교로 매혹적이다"라고 호평했지만, 동시에 "지나치게 많은 대화, 설교, 도덕적 가르침에 빠져든다"는 지적도 있었다.[13][15] 베라이어티는 채플린의 연기를 칭찬하면서도 "스스로에게 부여한 역할은 너무 많은 대사를 요구하며, 그중 일부는 지루해진다"고 평했다.[14] 영국의 더 먼쓸리 필름 불레틴은 몇몇 약점에도 불구하고 "애정, 유머, 칼베로 묘사의 거의 압도적인 슬픔은 스크린 최고의 휴머니스트의 그것이다"라고 평가했다.[18]그러나 영화는 채플린의 공산주의 동조 의혹과 사생활 문제로 인해 미국 레기온 등 보수 단체의 항의에 직면했다.[12] 이들의 압력으로 찰스 스쿠라스는 로스앤젤레스에서의 개봉을 막았고,[19] 영국으로 향하던 채플린은 미국 재입국 비자가 거부되었다. 이 여파로 많은 미국 극장들이 《라임라이트》 상영을 거부하여,[12] 일부 동부 해안 도시를 제외하고는 미국 관객들이 영화를 접하기 어려웠다. 이 때문에 미국 내 흥행 수입은 100만달러에 그쳤다.[1] 반면, 일본과 유럽 등 해외에서는 큰 성공을 거두어 전 세계적으로 총 800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21][20]
미국에서는 1972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라임라이트》가 폭넓게 개봉될 수 있었다.[12] 시간이 흐르면서 영화에 대한 평가는 점차 높아져, 현재 로튼 토마토에서는 96%의 높은 신선도 지수를 기록하고 있다. 채플린 전기 작가 제프리 밴스는 《라임라이트》를 "채플린의 마지막 걸작"이자 "그의 삶과 경력을 자각적으로 요약"하며 "가장 개인적이고 내성적인 영화"라고 평가하며, 수십 년에 걸쳐 명성이 높아졌다고 언급했다.[22]
2012년 10월 3일에는 영화 개봉 6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주최로 캘리포니아주 베벌리힐스의 새뮤얼 골드윈 극장에서 기념 상영회와 패널 토론회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배우 클레어 블룸과 노먼 로이드가 참석하여 제프리 밴스의 사회로 영화에 대한 회고담을 나누었다.[29][30]
7. 음악
영화 ''라임라이트''의 음악은 대부분 찰리 채플린이 직접 작곡했다. 대표적인 곡으로는 주제곡인 "테리의 테마"가 있으며, 이 곡은 후에 가사가 붙어 "이터널리(Eternally)"라는 제목으로도 널리 알려졌다. 영화 음악은 1973년 아카데미 최고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상을 수상했다.[25]
이 외에도 극중 칼베로가 부르는 "Spring Song"[44]과 발레 장면에 사용된 "Death of Columbine"[45] 등이 채플린에 의해 작곡되었다.
7. 1. 테리의 테마

영화의 배경 음악 테마곡인 "테리 테마(The Terry Theme)"는 찰리 채플린이 직접 작곡했다. 이 곡은 레온 영(Leon Young)이 40인조 오케스트라와 대규모 현악 파트를 위해 편곡하여 프랭크 착스필드(Frank Chacksfield)에게 제공되었고, 1953년 데카 레코드(Decca Records)에서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착스필드에게 골드 디스크를 안겨주었으며,[23] 영국에서는 UK 싱글 차트 2위에 오르고 ''NME''로부터 '올해의 레코드' 상을 받았다. 특히 영국 차트에서는 8주 동안 2위를 유지했는데, 이는 영국 차트 역사상 가장 긴 기록이었으며, 총 13주 동안 상위 5위 안에 머물렀다.[24]
이후 제프 파슨스(Geoff Parsons)와 존 터너(John Turner)가 가사를 붙여 "이터널리(Eternally)"라는 제목의 노래로 만들어졌고, 많은 가수들이 커버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영화가 처음 개봉한 지 20년이 넘은 1973년, 제4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채플린과 그의 음악 협력자 레이먼드 라쉬(Raymond Rasch), 래리 러셀(Larry Russell)은 최고의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상을 공동으로 수상했다.[25] 재즈왁스(JazzWax)의 저널리스트 마크 마이어스(Marc Myers)는 래리 러셀의 신원이 잘못 확인되었으며, 실제로는 러셀 가르시아(Russell Garcia (composer))가 상을 받았어야 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26] 그러나 래리 러셀의 가족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하고 있다. 이 상은 채플린이 받은 유일한 경쟁 부문 아카데미상이다(이전에 두 개의 명예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7. 2. 아카데미 음악상 수상
찰리 채플린이 작곡한 이 영화의 배경 음악 테마곡 "테리 테마(The Terry Theme)"는 레온 영(Leon Young)이 40인조 오케스트라와 대규모 현악 파트를 위해 편곡하여 프랭크 착스필드(Frank Chacksfield)에게 제공되었고, 1953년 데카 레코드(Decca Records)에서 발매되었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착스필드에게 골드 디스크를 안겨주었으며,[23] 영국에서는 UK 싱글 차트 2위에 올라 '올해의 레코드'로 ''NME'' 상을 수상했다. 8주 동안 2위를 차지(영국 차트 사상 최장 기록)했고, 총 13주 동안 상위 5위 안에 들었다.[24] 제프 파슨스(Geoff Parsons, Geoffrey Parsons (lyricist))와 존 터너(John Turner, John Turner (lyricist))가 가사를 붙여 "이터널리(Eternally)"라는 제목으로 인기 있는 노래가 되었고, 자주 커버되었다.
영화는 초연 후 20년이 지난 1972년에 처음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공개되었기 때문에, 1973년 3월에 열린 제4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최고의 오리지널 드라마틱 스코어상을 수상할 자격이 주어졌다.[46] 채플린과 그의 음악 협력자 레이먼드 라쉬(Raymond Rasch)와 래리 러셀(Larry Russell)이 공동 수상했다.[25] 이는 채플린이 받은 유일한 경쟁 부문 아카데미상이었으며(이전에 두 개의 명예 아카데미상을 받았다), 재즈왁스(JazzWax) 저널리스트 마크 마이어스(Marc Myers)는 래리 러셀의 경우 신원을 잘못 확인한 것이며, 실제로는 러셀 가르시아(Russell Garcia, Russell Garcia (composer))가 수상했어야 했다고 주장했다.[26] 하지만 래리 러셀의 가족은 이 주장을 부인한다.
곡명 | 작곡가 | 작사가 | 비고 |
---|---|---|---|
테리의 테마 (Terry's Theme) | 찰리 채플린 | (기악곡) | 레이먼드 라쉬, 래리 러셀 편곡. 제프 파슨스와 존 터너가 가사를 붙인 "이터널리(Eternally)"로 널리 알려짐. |
Spring Song | 찰리 채플린 | 찰리 채플린 | 극중에서 칼베로가 부름.[44] |
Death of Columbine | 찰리 채플린 | (기악곡) | 극중 발레 음악.[45] |
8. 한국어 더빙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한국어 더빙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8. 1. TBS판 더빙
1977년 1월 3일, 일본 TBS의 영화 프로그램 『월요 로드쇼』(月曜ロードショー)에서 처음으로 방영되었다. 당시에는 삭제 없이 전체 분량이 방송되었다.이후 2016년에 발매된 「채플린 블루레이 박스」(チャップリン Blu-ray BOX)에 이 TBS판 더빙이 수록되었다.[51] 하지만 일반 공모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마지막 10분 이후가 유실된 불완전한 상태였기 때문에, 블루레이에 수록된 버전 역시 버스터 키튼과 찰리 채플린이 함께 코미디 연기를 펼치는 장면 이후는 자막으로 대체되었다.
배우 | TBS판 일본어 더빙 성우 |
---|---|
찰리 채플린(Charles Chaplin) | 다카하시 마사야(高橋昌也) |
클레어 블룸(Claire Bloom) | 키히로코(紀比呂子) |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 | 마스다 기톤(益田喜頓) |
시드니 채플린(Sydney Chaplin) | 니시자와 토시아키(西沢利明) |
나이절 브루스(Nigel Bruce) | 시오미 류스케(塩見竜介) |
노먼 로이드(Norman Lloyd) | 쿠니사카 신(国坂伸) |
마조리 베넷(Marjorie Bennett) | 다카하시 카즈에(高橋和枝) |
휠러 드라이든(Wheeler Dryden) | 오쿠보 마사노부(大久保正信) |
8. 2. BD판 더빙
2016년에 발매된 "채플린 블루레이 박스"(チャップリン Blu-ray BOX|챳푸린 부루레이 박스일본어)에는 기존 TBS판 더빙과 함께 새로운 더빙판이 수록되었다.[51] 주요 배역의 성우는 다음과 같다.배우 | 일본어 더빙 (BD판) |
---|---|
찰리 채플린(Charles Chaplin) | 하자마 미치오(羽佐間道夫) |
클레어 블룸(Claire Bloom) | 타나카 아츠코(田中敦子) |
버스터 키튼(Buster Keaton) | 타하라 아루노(田原アルノ) |
시드니 채플린(Sydney Chaplin) | 코바야시 치로히로(小林親弘) |
나이절 브루스(Nigel Bruce) | 타카라키 카츠히사(宝亀克寿) |
노먼 로이드(Norman Lloyd) | 타하라 아루노(田原アルノ) |
마조리 베넷(Marjorie Bennett) | 카타오카 후에(片岡富枝) |
휠러 드라이든(Wheeler Dryden) | 야마무라이 사토(やまむらいさと) |
9. 무대 각색
영화 라임라이트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과 연극이 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동명의 뮤지컬 '라임라이트'ライムライト|라임라이트일본어가 제작되어 2015년 도쿄의 시어터 크리에シアタークリエ|시아타 크리에일본어에서 처음 상연되었다.[52] 주연인 칼베로カルヴェロ|칼베로일본어 역은 이시마루 칸지石丸幹二|이시마루 칸지일본어가 맡았다. 이 뮤지컬은 2019년[53]과 2024년[54]에도 같은 극장에서 재연되었다.
또한 미국에서는 영화 촬영 뒷이야기를 다룬 연극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 라임라이트 촬영장에서''가 공연되기도 했다.[55][56]
9. 1. 2015년 뮤지컬 '라임라이트'
2015년 일본의 시어터 크리에シアタークリエ|시아타 크리에일본어에서 영화 라임라이트를 원작으로 한 뮤지컬 '라임라이트'ライムライト|라임라이트일본어가 상연되었다. 연출은 오기타 코이치荻田浩一|오기타 코이치일본어, 극본은 오오노 히로유키大野裕之|오오노 히로유키일본어가 맡았다.[52] 주연인 칼베로 역은 이시마루 칸지石丸幹二|이시마루 칸지일본어가 연기했다.주요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
배역 | 배우 |
---|---|
칼베로 カルヴェロ|칼베로일본어 | 이시마루 칸지 石丸幹二|이시마루 칸지일본어 |
테리 テリー|테리일본어 | 노노 스미카 野々すみ花|노노 스미카일본어 |
네빌 ネヴィル|네빌일본어 | 요시토모 신지 良知真次|요시토모 신지일본어 |
9. 2. 2019년 및 2024년 재연
2019년 4월 시어터 크리에에서 재연되었다.[53] 칼베로 역은 초연에 이어 이시마루 칸지가 맡았고, 테리 역은 미사키 리온이 연기했다.[53]2024년 8월 3일부터 시어터 크리에 등에서 다시 공연된다.[54] 초연과 2019년 재연에 이어 이시마루 칸지가 칼베로 역으로 출연하며, 연출은 오기타 코이치(荻田浩一), 음악 및 편곡은 오기노 키요코(荻野清子)가 맡는다.[54]
'''2024년 출연진'''[54]
- 이시마루 칸지(石丸幹二)
- 아사츠키 키와(朝月希和)
- 오오타 모토히로(太田基裕)
- 우에모토 준마이(植本純米)
- 요시노 케이고(吉野圭吾)
- 호사카 토모히토(保坂知寿)
- 나카가와 켄(中川賢)
- 마이시로 노도카(舞城のどか)
9. 3. 연극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 라임라이트 촬영장에서'
''찰리 채플린과 버스터 키튼, 라임라이트 촬영장에서''는 미국 마운틴뷰(Mountain View)의 페어 극장(the Pear Theatre)에서 공연된 연극이다. 이 연극은 영화 라임라이트의 촬영 뒷이야기를 다루고 있다.[55][56]참조
[1]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
서적
Charlie Chaplin: Footlights with The World of Limelight
Cineteca di Bologna
[3]
웹사이트
Limelight
https://www.criterio[...]
2019-02-16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Buster Keaton Remembered
Harry N. Abrams
[10]
서적
Chaplin: Genius of the Cinema
Harry N. Abrams
[11]
잡지
Charlie Chaplin's Scandalous Life and Boundless Artistry
https://www.newyorke[...]
New Yorker
2015-09-18
[12]
잡지
20 Yrs. Late, Chaplin Eligible for Oscar
https://archive.org/[...]
1972-12-06
[13]
뉴스
The Screen: Chaplin's 'Limelight' Opens
1952-10-24
[14]
잡지
Limelight
1952-10-08
[15]
학술지
'Limelight' with Charles Chaplin
1952-10-11
[16]
뉴스
Charlie Chaplin Is In a Gentle Mood
1953-02-19
[17]
잡지
The Current Cinema
1952-10-25
[18]
학술지
Limelight
1952-11
[19]
잡지
'54 Reissue of 'Limelight' In N.Y., Other Keys, Though Still Blacked Out in L.A.
https://archive.org/[...]
1953-08-19
[20]
뉴스
Limelight – Set Jap Box Office Record
http://nla.gov.au/nl[...]
1953-04-21
[21]
서적
Chaplin: Genius of the Cinema
Harry N. Abrams
[22]
서적
Chaplin: Genius of the Cinema
Harry N. Abrams
[23]
서적
The Book of Golden Discs
https://archive.org/[...]
Barrie and Jenkins Ltd
[24]
서적
British Hit Singles & Albums
Guinness World Records Limited
[25]
웹사이트
Charlie Chaplin : Filming Limelight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The Case of the Misplaced Oscar
https://web.archive.[...]
2008-09-19
[27]
웹사이트
Press Release – WarnerBros.com
https://web.archive.[...]
[28]
WorldCat
Limelight
[29]
웹사이트
Limelight, James Bond, And More
http://blogs.indiewi[...]
2012-10-15
[30]
뉴스
Charlie Chaplin's Limelight at the Academy After 60 Years
http://www.huffingto[...]
2012-10-04
[31]
웹사이트
Limelight (1952) - Full Cast & Crew
https://www.imdb.com[...]
IMDb
[32]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3]
서적
United Artists: The Company That Changed the Film Indust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34]
서적
キネマ旬報ベスト・テン85回全史 1924-2011
キネマ旬報社
[35]
웹사이트
The chemistry of 'being in the limelight'.
https://www.ool.co.u[...]
Oxford Open Learning
2012-06-19
[36]
웹사이트
ライムライト(1952年 アメリカ)映画ポスター ★監督:チャールズ・チャップリン 出演:チャールズ・チャップリン/クレア・ブルーム mirairuka Museum MUUSEO 798075
https://muuseo.com/m[...]
2023-12-09
[37]
웹사이트
ライムライト
https://www.thecinem[...]
2023-04-21
[38]
웹사이트
チャールズ・チャップリン・ジュニアの出演映画作品
https://moviewalker.[...]
2023-10-01
[39]
IMDB
Edna Purviance
https://www.imdb.com[...]
[40]
서적
The complete films of Charlie Chaplin
The Citadel Press
[41]
서적
My wonderful world of slapstick
http://archive.org/d[...]
Garden City : Doubleday & Company, Inc.
1960
[42]
웹사이트
So, About Buster And Charlie’s “Limelight” Scene…
https://silentology.[...]
2019-04-11
[43]
서적
Chaplin's Limelight and the Music Hall Tradition
McFarland
2006-09-28
[44]
Youtube
Sing along with Chaplin - Spring Song (from Limelight) - Lyrics
https://www.youtube.[...]
Charlie Chaplin
2020-04-07
[45]
Youtube
Les Feux De La Rampe / Limelight: Ballet "Death of Columbine" (Charlie Chaplin) (Bo 1935-1952)
https://www.youtube.[...]
Charlie Chaplin
2018-08-09
[46]
웹사이트
Limelight (1952) - Awards - IMDb
https://www.imdb.com[...]
2024-05-09
[47]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of All Time… in 1962
https://www.bfi.org.[...]
2024-01-07
[48]
웹사이트
TOP 10 Mejores películas para José Luis Guerín
https://www.elhombre[...]
Hombre Martillo
2020-02-11
[49]
웹사이트
映画鑑賞記録サービス KINENOTE|キネマ旬報社
http://www.kinenote.[...]
2022-12-09
[50]
웹사이트
映画ポスター ライムライト LIMELIGHT チャールズチャップリン/クレアブルーム/バスターキートン
https://page.auction[...]
Yahoo! JAPAN
2023-11-25
[51]
웹사이트
チャップリン Blu-ray BOX
https://www.amazon.c[...]
amazon.co.jp
2021-03-24
[52]
뉴스
「ライムライト」初の音楽劇 野々すみ花「映画より甘美に」
https://www.sankei.c[...]
2015-06-27
[53]
뉴스
石丸幹二・実咲凜音・矢崎広らが紡ぐチャップリンの世界「ライムライト」開幕
https://natalie.mu/s[...]
ナターシャ
2019-04-09
[54]
웹사이트
チャップリン原作の音楽劇「ライムライト」に石丸幹二・朝月希和・太田基裕ら
https://natalie.mu/s[...]
ナターシャ
2023-12-15
[55]
웹사이트
Chaplin & Keaton on the Set of Limelight
https://newplayexcha[...]
National New Play Network
2024-08-11
[56]
웹사이트
“Chaplin and Keaton on the Set of Limelight” at the Pear Theatre – Don’t Miss It! – Splash Magazines
https://chicago.spla[...]
Splash Magazines
2024-08-11
[57]
웹사이트
大野裕之/劇団とっても便利
http://www.benri-web[...]
2022-12-04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