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페루즈 해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페루즈 해협은 국제수로기구에서 정한 명칭으로, 프랑스 탐험가 장-프랑수아 드 라 페루즈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 홋카이도와 사할린 사이의 해협으로, 최대 수심은 약 60m이며, 과거 마지막 빙하기에는 육교를 형성하여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되기도 했다. 쓰시마 해류의 일부가 오호츠크해로 흘러가 소야 난류를 형성하며, 해무 발생과 해난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역사적으로는 미국의 포경선들이 북태평양긴수염고래 어장으로 향하는 길목이었으며, 러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사적 요충지로 활용되었다. 현재는 일본과 러시아의 군사적 긴장이 지속되는 지역이며, 특정 해역으로 지정되어 핵무기를 탑재한 외국 군함도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왓카나이시의 지리 - 벤텐섬 (왓카나이시)
    벤텐섬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아이누족에게 신성한 장소로 여겨졌으며 바다표범의 주요 서식지이나, 현재는 개체 수 증가로 어업 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 왓카나이시의 지리 - 소야곶
    소야곶은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일본 최북단 지점으로, 오호츠크해와 태평양을 잇는 소야 해협에 접해 있으며, 기념비, 입상, 기도의 탑 등 볼거리가 있는 관광 명소이자 러일 전쟁 해군 망루 및 마미야 린조 탐험 관련 역사적 장소이다.
  • 러시아-일본 국경 - 쿠릴 열도 분쟁
    쿠릴 열도 분쟁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는 쿠릴 열도에 대해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며 발생하는 영토 분쟁으로, 1855년 러일 화친 조약 이후 역사적 사건들과 국제법 해석 차이, 제3국의 입장 등이 얽혀 2000년대 이후에도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 러시아-일본 국경 - 동해
    동해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의 반폐쇄성 해역으로, 깊은 수심과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국가가 접하고 있지만, "일본해" 명칭 분쟁, 환경 문제, 영토 분쟁 등의 현안이 존재한다.
  • 러시아의 해협 - 베링 해협
    베링 해협은 러시아와 미국 사이에 위치하며, 좁은 폭이 약 82km, 수심이 90m 정도이고, 국제 날짜 변경선이 지나가며, 과거 육교로 존재했고, 비투스 베링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횡단 시도와 다양한 건설 구상이 이루어지고 있다.
  • 러시아의 해협 - 케르치 해협
    케르치 해협은 크림반도와 러시아 본토 사이의 좁은 해협으로, 고대 보스포루스 왕국부터 근대 러시아-튀르키예, 2차 세계 대전, 그리고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과 2018년 크림 대교 건설 이후 잦은 군사적 충돌이 발생하는 전략적 요충지이다.
라페루즈 해협
일반 정보
라페루즈 해협, 홋카이도 소야 곶에서 촬영. 사할린이 멀리 보인다.
라페루즈 해협, 소야 곶에서 바라본 모습. 사할린이 멀리 보임.
다른 이름러시아어: 프로리프 라페루자 (пролив Лаперуза)
일본어: 소야 해협(そうやかいきょう)
로마자 표기Soya Kaikyo
중국어宗谷海峡
길이약 42km
최대 깊이60m
최소 깊이40m ~ 140m

2. 지리

일본식 명칭은 소야 해협이며, 국제수로기구가 정한 국제적인 명칭은 '''라페루즈 해협'''이다.[10] 1787년에 유럽인으로 처음 이 해협을 통과한 것으로 알려진 프랑스 군인 탐험가 라 페루즈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소야 곶 언덕 위에 현창비가 세워져 있다.

남사할린이 일본 영토였던 시대에는 철도성이 와카나이에서 오도마리(현 코르사코프)까지 와치 연락선을 운항했으나, 현재는 홋카이도 사할린 항로가 같은 구간에서 국제 항로를 운항하고 있다 (하트랜드 페리는 2015년 9월 19일 폐지).

철도 터널 (소야 터널)이나 가스 파이프라인 (사할린 프로젝트) 등 해저 터널 관련 구상이 전쟁 전부터 존재했지만, 국제 정세 변화 등으로 인해 아직 건설 결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2. 1. 지형

소야 해협의 최대 수심은 약 60m 정도이다. 마지막 빙하기에는 마미야 해협과 함께 육교를 형성하여 홋카이도와 사할린이 유라시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다.[11][12] 동물 분포의 경계선 중 하나인 "하타선"이 이 해협을 통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2. 해류

쓰시마 해류(난류)의 일부가 소야 해협에서 오호츠크해 쪽으로 빠져나가 홋카이도 연안을 따라 흐르는 소야 난류가 된다.[9] 이 때문에 해류의 방향 및 수온으로 인해 연안 정착빙이나 유빙은 적지만, 연간 며칠 정도 와카나이항 방면에 밀려와 선박의 항행에 지장을 줄 때가 있다.[13]

동해에서 오호츠크해 쪽으로 이 해협 내를 난류가 흐르기 때문에, 북쪽에서 "야마세" 등 차가운 바람이 부는 날에는 여름에도 해무가 자주 발생하여, 레이더 등의 장비가 보급되지 않았던 시절에는 이 해협 안과 그 주변에서 해난 사고가 종종 발생했다.

3. 역사

1848년부터 1892년까지 미국의 포경선들은 봄과 여름에 일본해의 북태평양긴수염고래 어장에서 보현고래와 혹등고래를 사냥하기 위해 오호츠크해로 향하면서 이 해협을 통과했다.[4] 1848년, 낸터킷 출신의 스웨인 선장이 지휘하던 352톤급 포경선 '데이비드 패덕'호가 만선으로 귀향하던 중 해협에서 난파되었다.[5][6]

더들리 W. "머쉬" 모튼이 지휘한 전설적인 잠수함 ''USS 와후''(USS Wahoo)는 1943년 10월 일곱 번째 해상 작전 중 이 해협에서 침몰했다. 이 잠수함의 선체는 2006년 10월 31일에 발견되어 ''와후''로 확인되었다.

3. 1. 라페루즈의 탐험

라페루즈가 직접 작성한 라페루즈 해협 지도


국제수로기구가 정한 국제적인 명칭은 '''라페루즈 해협'''이며, 일본식 명칭은 소야 해협이다.[10] 1787년 유럽인으로 처음 이 해협을 통과한 프랑스 군인 탐험가 라 페루즈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소야 곶에는 그의 업적을 기리는 현창비가 세워져 있다.

3. 2. 미국의 포경선 활동

1848년부터 1892년까지 미국의 포경선들은 봄과 여름에 일본해의 북태평양긴수염고래 어장에서 보현고래와 혹등고래를 사냥하기 위해 오호츠크해로 향하면서 이 해협을 통과했다.[4] 1848년, 낸터킷 출신의 스웨인 선장이 지휘하던 352톤급 포경선 '데이비드 패덕'호가 만선으로 귀향하던 중 해협에서 난파되었다.[5][6]

3. 3. 러일 전쟁과 제2차 세계 대전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가 악화된 1902년에는 소야곶에 망루가 설치되었으며, 러일 전쟁 중에는 쓰시마 해협, 쓰가루 해협과 함께 러시아 발트 함대의 통항 감시의 중요 거점으로 여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41년 12월 8일, 해군성은 해협 일대를 소야 해협 방어 해면(동쪽 끝은 소야인곶, 노삿푸곶을 잇는 선, 서쪽 끝은 지시타니곶, 후타죠이와, 토키마에곶을 잇는 선)으로 지정하여 방어에 임했다.

1943년, 미국 해군은 소야 해협에서 잠수함동해로 침투시켜 3차례 통상 파괴전을 벌였다. 10월 11일, 동해에서의 통상 파괴전을 마치고 소야 해협을 경유하여 태평양으로 나가려던 잠수함 와후가 소야 해협을 부상 통과하던 중 소야 임시 요새에 발견되어 포격을 받았다. 이후, 일본 해군 및 일본 육군의 항공기에 포착되어 항공기, 구축함, 소해정의 연계 공격으로 격침되었으며, 더들리 W. 모턴 함장 이하 와후의 승무원이 전원 전사했다. 이 전투와 와후의 동해에서의 습격 활동으로 발생한 희생자의 위령과 평화를 기원하는 비가 소야곶에 건립되어 있다. 와후 격침으로 인해, 미국 해군의 동해 침투 작전은 1945년의 바니 작전까지 중단되었다.[14]

3. 4. 냉전 시대

냉전 시대에 소야 해협은 군사적 요충지인 초크 포인트 중 하나였다. 영해법에 따라 일본은 소야 해협을 "특정 해역"으로 지정하여 영해 폭을 3해리 (5.556km)로 제한하고, 핵무기를 탑재한 외국 군함을 포함한 모든 선박의 자유로운 통과(통과 통항권)를 허용하고 있다.[15] 노삿푸곶 (와카나이 분둔지)과 소야곶 뒤편의 소야 언덕에는 자위대의 레이더 기지가, 사할린 크릴론 곶에는 러시아군의 레이더 기지가 설치되어 서로를 감시하고 있다.

4. 현대

소야 해협은 군사적 요충지인 초크 포인트 중 하나이다.[14] 1902년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가 악화되자 소야곶에 망루가 설치되었으며, 러일 전쟁 중에는 쓰시마 해협, 쓰가루 해협과 함께 러시아 발트 함대의 통항 감시의 중요 거점으로 여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41년 12월 8일, 해군성은 해협 일대를 소야 해협 방어 해면으로 지정하여 방어에 임했다.[14] 1943년 미국 해군잠수함동해로 침투시켜 3차례 통상 파괴전을 벌였다. 10월 11일, 잠수함 와후가 일본 해군 및 육군 항공기의 공격으로 격침되었으며, 소야곶에는 이 전투와 와후의 동해 습격 활동 희생자를 기리는 위령 및 평화 기원비가 건립되어 있다.

영해법에 따라 영해 폭이 통상 12해리(약 22.2km)에서 3해리(5.556km)로 제한된 특정 해역 중 하나[15]로, 핵무기 탑재 외국 군함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통과 통항권)

노삿푸곶 및 소야곶 뒤편 소야 언덕 마루야마에는 일본 자위대의, 사할린·크릴리온곶에는 러시아군의 레이더 사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4. 1. 교통

일본 영토였던 남사할린 시대에는 와카나이에서 오도마리(현 코르사코프) 간 와치 연락선이 운항되었으나, 현재는 홋카이도 사할린 항로가 같은 구간에서 국제 항로를 운항하고 있다. (하트랜드 페리는 2015년 9월 19일 폐지)[10]

4. 2. 자원 개발 및 연결 구상

사할린-홋카이도 터널시베리아 횡단 철도와 연결되는 해협 아래에서 일본과 러시아를 연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7] 교량 건설도 제안되었다.[8] 철도 터널이나 가스 파이프라인 등의 해저 터널을 이 해협 아래로 관통시키는 구상이 전쟁 전부터 존재하지만, 국제 정세의 변화 등으로 인해 아직 건설 결정에는 이르지 못했다.

4. 3. 군사적 중요성

소야 해협은 군사적 요충지인 초크 포인트 중 하나이다.[14] 러시아 제국과의 관계가 악화된 1902년에는 소야곶에 망루가 설치되었으며, 러일 전쟁 중에는 쓰시마 해협, 쓰가루 해협과 함께 러시아 발트 함대의 통항 감시의 중요 거점으로 여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41년 12월 8일, 해군성은 해협 일대를 소야 해협 방어 해면(동쪽 끝은 소자인곶, 노삿푸곶을 잇는 선, 서쪽 끝은 지시타니곶, 후타죠이와, 토키마에곶을 잇는 선)으로 지정하여 방어에 임했다.[14]

1943년, 미국 해군은 소야 해협에서 잠수함동해로 침투시켜 3차례 통상 파괴전을 벌였다. 10월 11일, 동해에서의 통상 파괴전을 마치고 소야 해협을 경유하여 태평양으로 나가려던 잠수함 와후가 소야 해협을 부상 통과하던 중 소야 임시 요새에 발견되어 포격을 받았다. 이후, 일본 해군 및 일본 육군의 항공기에 포착되어 항공기, 구축함, 소해정의 연계 공격으로 격침되었으며, 더들리 W. 모턴 함장 이하 와후의 승무원이 전원 전사했다. 이 전투와 와후의 동해에서의 습격 활동으로 발생한 희생자의 위령과 평화를 기원하는 비가 소야곶에 건립되어 있다. 와후 격침으로 인해, 미국 해군의 동해 침투 작전은 1945년의 바니 작전까지 중단되었다.

영해법에 근거한 영해의 폭이 통상 12해리(약 22.2km)에서 3해리(5.556km)로 제한된 특정 해역 중 하나[15]이며, 핵무기를 탑재한 외국 군함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통과 통항권)

노삿푸곶(와카나이 분둔지) 및 소야곶 뒤편의 소야 언덕 마루야마에 일본 자위대의, 사할린·크릴리온곶(사할린섬·크릴리온곶)에는 러시아군의 레이더 사이트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참조

[1] 간행물 Oceanographic Features of Lapérouse Strait https://www.pices.in[...] North Pacific Marine Science Organization 1984-06
[2] 웹사이트 THE 17TH AND 18TH CENTURIES http://www.sakhalin.[...]
[3] 뉴스 Japan left key straits open for U.S. nukes http://search.japant[...] Kyodo News, Japan Times 2009-06-22
[4] 문서 Eliza Adams, Arnolda, Cape Horn Pigeon Old Dartmouth Historical Society, Kendall Whaling Museum
[5] 문서 Bowditch Nicholson Whaling Collection
[6] 서적 History of the American Whale Fishery from Its Earliest Inception to the year 1876 Castle
[7] 웹사이트 Tokyo to London by train? Ambitious new plan links Trans-Siberian to Japan http://siberiantimes[...]
[8] 웹사이트 New bridge linking Japan and Russia could enable 8400-mile rail trip from London to Tokyo http://inhabitat.com[...]
[9] 논문 宗谷海峡の流れについて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学低温科学研究所
[10] 웹사이트 「大洋と海の境界(第三版)」(Special Publication No.23) http://www.iho.int/i[...]
[11] 웹사이트 日本にいる動物はどこから来たの? http://nh.kanagawa-m[...] 神奈川県立生命の星・地球博物館
[12] 논문 "''Erebia aethiops''グループの分子系統解析" https://doi.org/10.1[...] 日本鱗翅学会
[13] 웹사이트 海氷の知識 第一管区海上保安本部 http://www1.kaiho.ml[...]
[14] 뉴스 十二方面海域を防禦海面に指定 朝日新聞 1941-12-09
[15] 웹사이트 特定海域 https://www1.kaiho.m[...] 海上保安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