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러시아 아방가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20세기 초 러시아에서 일어난 급진적인 예술 운동으로, 기존의 예술 형식을 거부하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추구했다. 입체주의, 미래주의, 신원시주의 등 서유럽의 모더니즘의 영향을 받아 시작되었으며, 러시아 혁명 이후 정치적,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시도를 선보였다. 구성주의, 쉬프레마티즘 등 러시아 특유의 예술 사조를 발전시키며, 시, 문학, 음악, 영화, 연극, 디자인,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1930년대 스탈린 시대의 정치적 억압과 사회적 지지 부족으로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아방가르드 - 절대주의
    절대주의는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시작한 추상 미술 운동으로, 기본 기하학적 형태를 통해 순수한 감각을 표현하고 예술의 자율성을 강조하며 러시아 혁명 이후 소멸되었지만 유럽 추상미술에 영향을 미쳤다.
  • 러시아 아방가르드 - 나움 가보
    러시아 태생의 구성주의 예술가인 나움 가보는 형 앙투안 페브스너와 함께 구성주의 운동을 이끌며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공간, 시간, 움직임을 탐구하는 독창적인 추상 작품을 창작하여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며 추상 미술 발전에 기여했다.
  • 공산주의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은 쿠바의 유일한 합법 정당으로,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당 대회를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하여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며, 다양한 대중 조직과 연계하여 정책을 전파하고 국제적으로는 좌파 정권 지원과 쿠바 의료 국제주의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 공산주의 - 시민 저항
    시민 저항은 정부 정책이나 사회 제도에 대한 반대 의사 표출을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사회 운동으로, 한국 사회에서는 역사적, 정치적 맥락 속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주화 운동을 포함한 사회 변화와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러시아 아방가르드
개요
명칭러시아 아방가르드
기간1890년 ~ 1930년대
국가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관련 개념모더니즘, 구성주의, 미래주의, 절대주의, 신원시주의, 입체미래주의
주요 특징
사조추상적, 실험적 예술 경향
목적전통 예술 거부, 새로운 사회 건설의 이상 반영
영향서구 미술, 디자인, 건축 등에 큰 영향
주요 인물
화가블라디미르 타틀린
카지미르 말레비치
바실리 칸딘스키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엘 리시츠키
올가 로자노바
류보프 포포바
알렉산드라 엑스테르
나탈리아 곤차로바
미하일 라리오노프
마르크 샤갈
건축가블라디미르 타틀린 (제3인터내셔널 기념탑)
엘 리시츠키
알렉산드르 베스닌
모세이 긴즈부르크
이반 레오니도프
작가/이론가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빅토르 시클롭스키
주요 사조
절대주의카지미르 말레비치가 창시한 추상 미술 사조
구성주의예술을 사회 건설에 기여하는 실용적인 활동으로 간주
미래주의속도, 기술, 산업 사회의 역동성을 묘사
입체미래주의입체주의미래주의의 결합
신원시주의러시아 민속 예술과 원시 문화에 대한 관심
역사적 배경
시대적 상황러시아 혁명 (1917년) 이후 사회 변혁기
새로운 사회 건설에 대한 열망
발전미술, 문학, 건축,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
국가 지원을 받으며 전성기를 맞이함
쇠퇴1930년대 스탈린 시대에 접어들면서 쇠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유일한 예술 사조로 강요됨
영향 및 의의
영향서구 미술, 디자인, 건축 등에 큰 영향을 미침
바우하우스 등 유럽 디자인 학교에 영향
의의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 제시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예술 형식 창조
관련 용어
사회주의 리얼리즘스탈린 시대의 공식적인 예술 사조
아방가르드기존의 예술 관습을 거부하는 혁신적인 예술 운동
기타
주요 작품카지미르 말레비치, "검은 사각형"
블라디미르 타틀린, 제3인터내셔널 기념탑
엘 리시츠키, "프로운" 시리즈
관련 인물다비트 부를류크
미하일 마튜신
같이 보기
관련 문서러시아 미술
소비에트 미술
구성주의
미래주의
절대주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초기에는 입체주의(1907년), 미래주의(1909년), 신원시주의/Neo-primitivism영어(1913년) 등 동시대 모더니즘 운동과의 공통점이 두드러졌다. 1909년에 미하일 라리오노프가 다이아몬드 잭(1909년 - 1911년), 1912년에 당나귀 꼬리(1912년 - 1913년)를 결성했다. 1913년의 전시회 "표적전"에서의 입체 미래주의까지를 러시아 아방가르드 이전으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다. 러시아 아방가르드에는 "구성주의", "러시아 미래주의", "큐보-퓨처리즘", "신원시주의" 등도 포함된다[9][10][11][12]

입체 미래주의는 시인이 개인적으로 창작한 언어인 자움을 사용하여 시 등을 창작했다.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카지미르 말레비치[13] 등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점차 카지미르 말레비치로 대표되는 슈프레마티즘(1915년)이 대두, 러시아 특유의 예술 운동이 되었다.

1917년러시아 혁명 후에는 표현상의 혁신과 정치 혁명이 상호 작용했다. 간섭 전쟁 = 전시 공산주의 기간에는 순수 예술뿐만 아니라 선전・아트 분야(전단, 포스터, 선전 열차 등)에서 이용되었다. 1918년에는 스보마스/Svomas영어 ( Свомасru )가 설립되어 블라디미르 타틀린 등으로 대표되는 러시아 구성주의(1919년)가 대두했다.

1920년대에는 레닌이 주장했던 신경제정책(일부 시장 경제화 용인)기에 예술과 생활 그리고 사회주의적인 산업화의 트리아데의 일치를 목표로 하는 다양한 분야(건축, 프로덕트 디자인, 사진, 영화 등)에서 그 가능성을 꽃피웠다. 수용 측면에 관해서 말하자면, 도시 노동자를 지지 기반으로 하는 당시의 러시아 공산당의 실정과 신경제정책과의 관련에서, 모더니즘에서 파생된 아방가르드 예술은 당국으로부터도 지지를 받았다. 1920년에는, 스보마스가 개편되어, 소련의 고등 예술 학교 부흐테마스가 설립된다. 1923년에 블라디미르 마야코프스키가 레프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결성했다.

1929년의 농업 집단화로 시작하는 일련의 위로부터의 혁명을 계기로 한, 이오시프 스탈린의 "문화 혁명"에 의한 정치적인 억압("형식주의 비판"), 난해함에 기인하는 농민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 대중의 사회적인 지지 결여, 예술 운동 그 자체의 내재적 정체 등의 여러 요인의 복합으로, 1930년대에 종식되었다.

2. 1. 발흥기 (1900년대 초 - 1917년)

20세기 초 러시아 제국은 사회적, 정치적 격변기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존 예술의 틀을 깨고 새로운 표현 방식을 추구하는 다양한 예술 운동이 등장했다.[9][10][11][12] 입체파(1907년), 미래파(1909년), 신원시주의/Neo-primitivism영어(1913년) 등 서유럽의 모더니즘 운동의 영향을 받아, 러시아 특유의 예술 사조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9][10][11][12]

미하일 라리오노프는 다이아몬드 잭(1909년-1911년)과 당나귀 꼬리파(1912년-1913년)를 결성하여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기틀을 다졌다.[9][10][11][12] 1913년의 전람회 「표적전(展)」에서의 입체미래주의까지는 러시아 아방가르드 이전으로 분류하는 견해도 있다.

입체미래주의는 시인이 개인적으로 창작한 언어인 자움을 사용하여 시 등을 창작했다.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카지미르 말레비치[13] 등이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점차 카지미르 말레비치로 대표되는 슈프레마티즘(1915년)이 대두, 러시아 특유의 예술 운동이 되었다.

2. 2. 전성기 (1917년 - 1920년대)

1917년 러시아 혁명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이들은 혁명의 이념을 예술로 표현하고, 새로운 사회 건설에 참여하고자 했다. 간섭전쟁전시공산주의 시기에는 순수 예술뿐만 아니라 프로파간다 예술(삐라, 포스터, 선전열차 등) 분야에서도 아방가르드 예술이 활발하게 활용되었다.

1918년 스보마스가 설립되었고, 1919년 블라디미르 타틀린으로 대표되는 러시아 구성주의가 대두되었다. 1920년에는 스보마스가 개편되어 소련의 고등예술학교 브후테마스가 설립되었다. 1923년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가 레프를 결성했다.

레닌의 신경제정책 시기에는 예술과 생활, 사회주의적인 산업화의 통합을 추구하는 다양한 분야(건축, 프로덕트 디자인, 사진, 영화 등)에서 아방가르드 예술이 발전했다. 소련 공산당은 도시 노동자들을 지지 기반으로 삼았고, 신경제정책과의 관련성 속에서 아방가르드 예술은 당국의 지지를 받았다.

2. 3. 쇠퇴기 (1930년대)

1929년 농업 집단화와 함께 시작된 이오시프 스탈린의 “문화 혁명”은 러시아 아방가르드에 대한 정치적 억압으로 이어졌다.[9][10][11][12] 포멀리즘 비판에서 볼 수 있듯이, 스탈린 정권은 예술의 형식보다 내용을 중요시하며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유일한 예술 형식으로 강요했다. 또한, 아방가르드 예술은 난해하다는 이유로 농민을 중심으로 하는 일반 대중의 사회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다. 이러한 정치적 억압, 사회적 지지 결여, 그리고 예술 운동 자체의 내재적 한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러시아 아방가르드는 1930년대에 종식되었다.

3. 주요 분야

3. 1. 시·문학

블라디미르 마야콥스키(1893년-1930년)와 벨리미르 흘레브니코프(1885년-1922년) 등은 혁명적인 시와 문학 작품을 통해 새로운 시대정신을 표현했다. 이들은 자움과 같이 시인이 개인적으로 창작한 언어를 사용하기도 했다. 엘레나 글로, 알렉세이 크루초니흐, 빅토르 시클로프스키, 세르게이 트레차코프, 마리나 츠베타예바, 일리야 즈다네비치, 다니일 하르름스등도 주요 작가로 활동했다.

3. 2. 음악

제정 말기 알렉산드르 스크랴빈의 영향을 받아 니콜라이 로슬라베츠, 아르투르 루리에, 알렉산드르 모솔로프, 세르게이 프로토포포프, 이반 비슈네그라드스키 등은 1920년대에 걸쳐 혁신적인 음악 어법을 개척했다.[14] 1923년 로슬라베츠는 현대음악협회를 설립했다.[14] 이 시기에는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도 실험적인 작풍을 시도했다.[14] "스탈린 문화혁명"과 함께 러시아 아방가르드의 음악 부문은 종식을 맞이했다.[14]

3. 3. 영화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과 지가 베르토프는 혁명적인 영화 기법을 통해 새로운 영화 언어를 창조했다. 이들의 영화는 민중의 삶과 투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사회 변혁의 필요성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3. 4. 연극

프세볼로트 메이예르홀트(1874년-1940년)는 혁신적인 연출 기법을 통해 기존 연극의 틀을 깨고 새로운 연극 형식을 실험했다.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1874년-1940년)도 연극 분야에서 활동했는데, 프롤레트쿨트 극단으로서 1921년 모스크바의 에르미타주 공원에 최초의 극단이 결성될 때 관여했다.

3. 5. 디자인·미술

레요니슴(레요니슴/Лучизмru)은 미하일 라리오노프와 나탈리야 곤차로바가 주도한 회화 양식으로, 빛과 색채의 역동적인 표현을 추구했다.[16] 쉬프레마티슴(쉬프레마티슴/Супрематизмru)은 카지미르 말레비치가 창시한 회화 양식으로, 기하학적 추상 형태를 통해 순수 감성을 표현하고자 했다.[16] 러시아 구성주의(콘스트루크티비슴/Конструктивизмru)는 블라디미르 타틀린,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등이 주도한 예술 운동으로,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실용성을 강조하며 기계 미학을 추구했다.[16] 이들은 모두 과거의 양식을 단절하고 혁명 이후의 새로운 생활 양식을 디자인하려 했다. 바실리 칸딘스키, 류보프 포포바, 엘 리시츠키, 파벨 필로노프등이 러시아 아방가르드에 참여했다.

3. 6. 건축

러시아 아방가르드 운동은 건축 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주의 혁명으로 새롭게 탄생하는 유토피아 도시와 건축이 꿈꿔졌다. 모스크바의 나르콤핀 아파트 등이 대표적인 건축물이다.[17]

블라디미르 슈호프 등의 작품 외에도 블라디미르 타틀린의 '제3 인터내셔널 기념탑'(1920년), 베스닌 형제의 '노동 궁전 계획'(1923년), 엘 리시츠키의 '공중 오피스 계획'(1924년) 등, 서구의 모더니즘 건축을 더욱 급진적으로 채택한 의욕적인 계획들이 등장했다. 콘스탄틴 멜니코프의 자택은 두 개의 원통을 결합하여 수직으로 세우고, 육각형 창문을 뚫은 주택으로, 벽돌 구조이지만 표면은 모르타르로 마감하여 원통의 기하학적 형태가 돋보이는 디자인이다.

이반 레오니도프의 브후테마스 졸업 작품 '레닌 연구소' 설계안은 구체, 가늘고 긴 각봉, 와이어의 직선이라는 단순한 기하학 형태의 조합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국사관, 연구소, 대회장, 플라네타리움 등의 복합 시설 계획안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건축들은 당시의 기술 수준을 무시했기 때문에 대부분 건설되지 못했다.

1930년대 스탈린 독재 체제가 굳혀지자 아방가르드 건축은 정치적으로 배제되었다. 소비에트 궁전 공모전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설계안은 당선되지 못하고, 보리스 이오판의 웅장하고 기념비적인 안이 선정되었다. 이는 결혼 피로연에서 볼 수 있는 원통을 계단식으로 쌓아 올린 데코레이션 케이크를 거대화한 듯한 디자인으로, 아방가르드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공모전이라는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아방가르드는 무시되었고, 많은 건축가들이 불우한 후반생을 보내야 했다.

4. 주요 인물

미하일 라리오노프, 나탈리야 곤차로바(화가), 바실리 칸딘스키(→바우하우스), 류보프 포포바, 블라디미르 타틀린, 알렉산드르 로드첸코(사진으로도 알려져 있음), 바르바라 스테파노바, 엘 리시츠키, 파벨 필로노프, 카지미르 말레비치,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볼코프/Волков,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ru (1886년 출생 - 1957년 사망), 미하일 쿠르진/Михаил Курзинru (1888년 출생 - 1951년 사망)[16] 등은 러시아 아방가르드를 이끈 주요 인물들이다.

'''예술가 및 디자이너'''

러시아 아방가르드 시대의 주요 예술가 및 디자이너는 다음과 같다:[16]


  • 알렉산드르 아르치펜코
  • 블라디미르 바라노프-로시네
  • 알렉산드르 보고마조프
  • 다비드 부르류크
  • 블라디미르 부르류크
  • 마르크 샤갈
  • 일리야 차시니크
  • 알렉산드라 엑스테르
  • 로베르트 팔크
  • 모이세이 페이긴
  • 파벨 필로노프
  • 아르투르 폰비진
  • 나움 가보
  • 니나 겐케-멜러
  • 나탈리아 곤차로바
  • 옐레나 구로
  • 바실리 칸딘스키
  • 라자르 히데켈
  • 이반 클리운
  • 구스타프 클루시스
  • 표트르 콘찰로프스키
  • 에우제니 콘파츠키
  • 세르게이 아르크센테비치 콜랴다
  • 알렉산드르 쿠프린
  • 미하일 라리오노프
  • 아리스타르흐 렌툴로프
  • 엘 리시츠키
  • 카지미르 말레비치
  • 파울 만수로프
  • 일리야 마슈코프
  • 미하일 마튜신
  • 바딤 멜러
  • 아돌프 밀만
  • 솔로몬 니크리틴
  • 알렉산드르 오스메르킨
  • 막스 펜손
  • 류보프 포포바
  • 이반 푸니
  • 클리멘트 레드코
  • 알렉세이 레미조프
  •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 올가 로자노바
  • 레오폴드 쉬르바주
  • 바르바라 스테파노바
  • 게오르기 및 블라디미르 스테르베르크
  • 블라디미르 타틀린
  • 나데즈다 우달초바
  • 바실리 예르밀로프
  • 일리야 즈다네비치
  • 알렉산드르 즈다노프
  •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볼코프/Волков,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ru (1886년 출생 - 1957년 사망)
  • 미하일 쿠르진/Михаил Курзинru (1888년 출생 - 1951년 사망)


'''작가'''

'''영화감독'''

'''연극 감독'''

러시아 아방가르드 연극 감독으로는 브세볼로트 메이예르홀드, 니콜라이 예브레이노프, 예브게니 바흐탄고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등이 있다.

'''건축가'''

러시아 아방가르드 건축물을 보존하는 것은 역사학자, 정치인 및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2007년, 뉴욕 시의 현대 미술관(MoMA)은 리처드 파레의 사진을 통해 혁명 이후 시기의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건축을 조명하는 전시회를 열었다.[8]

  • 야코프 체르니호프
  • 모이세이 긴즈부르크
  • 일리야 골로소프
  • 이반 레오니도프
  • 콘스탄틴 멜니코프
  • 블라디미르 슈호프
  • 알렉산드르 베스닌


'''작곡가'''

현대음악협회는 니콜라이 로슬라베츠가 이끌었으며, 많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음악 작곡가들이 회원으로 활동했다.

4. 1. 예술가 및 디자이너

러시아 아방가르드 시대의 주요 예술가 및 디자이너는 다음과 같다:[16]

  • 알렉산드르 아르치펜코
  • 블라디미르 바라노프-로시네
  • 알렉산드르 보고마조프
  • 다비드 부르류크
  • 블라디미르 부르류크
  • 마르크 샤갈
  • 일리야 차시니크
  • 알렉산드라 엑스테르
  • 로베르트 팔크
  • 모이세이 페이긴
  • 파벨 필로노프
  • 아르투르 폰비진
  • 나움 가보
  • 니나 겐케-멜러
  • 나탈리아 곤차로바
  • 옐레나 구로
  • 바실리 칸딘스키
  • 라자르 히데켈
  • 이반 클리운
  • 구스타프 클루시스
  • 표트르 콘찰로프스키
  • 에우제니 콘파츠키
  • 세르게이 아르크센테비치 콜랴다
  • 알렉산드르 쿠프린
  • 미하일 라리오노프
  • 아리스타르흐 렌툴로프
  • 엘 리시츠키
  • 카지미르 말레비치
  • 파울 만수로프
  • 일리야 마슈코프
  • 미하일 마튜신
  • 바딤 멜러
  • 아돌프 밀만
  • 솔로몬 니크리틴
  • 알렉산드르 오스메르킨
  • 막스 펜손
  • 류보프 포포바
  • 이반 푸니
  • 클리멘트 레드코
  • 알렉세이 레미조프
  • 알렉산드르 로드첸코
  • 올가 로자노바
  • 레오폴드 쉬르바주
  • 바르바라 스테파노바
  • 게오르기 및 블라디미르 스테르베르크
  • 블라디미르 타틀린
  • 나데즈다 우달초바
  • 바실리 예르밀로프
  • 일리야 즈다네비치
  • 알렉산드르 즈다노프
  • 알렉산드르 니콜라예비치 볼코프/Волков, Александр Николаевичru (1886년 출생 - 1957년 사망)
  • 미하일 쿠르진/Михаил Курзинru (1888년 출생 - 1951년 사망)

4. 2. 작가

4. 3. 영화감독

4. 4. 연극 감독

러시아 아방가르드 연극 감독으로는 브세볼로트 메이예르홀드, 니콜라이 예브레이노프, 예브게니 바흐탄고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등이 있다.

4. 5. 건축가

러시아 아방가르드 건축물을 보존하는 것은 역사학자, 정치인 및 건축가들에게 실질적인 관심사가 되었다. 2007년, 뉴욕 시의 현대 미술관(MoMA)은 리처드 파레의 사진을 통해 혁명 이후 시기의 소비에트 아방가르드 건축을 조명하는 전시회를 열었다.[8]

  • 야코프 체르니호프
  • 모이세이 긴즈부르크
  • 일리야 골로소프
  • 이반 레오니도프
  • 콘스탄틴 멜니코프
  • 블라디미르 슈호프
  • 알렉산드르 베스닌

4. 6. 작곡가

현대음악협회는 니콜라이 로슬라베츠가 이끌었으며, 많은 러시아 아방가르드 음악 작곡가들이 회원으로 활동했다.

5. 갤러리



곤차로바의 작품 『Велосипедистru(Cyclist)』 (1913년)


포포바의 작품 『피아니스트』 (1914년)


타틀린의 타틀린 타워(1919년)


[[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506c8b91c_12e5b716.jpg|마야콥스키가 다룬 포스터


「추운 건 싫겠지. 굶주리고 싶지도 않겠지. 먹고 싶겠지. 한 잔 마시고 싶겠지.─그러니까 당장이라도 돌격작업반(우다르니크)에 들어와라」라는 문구가 마야콥스키의 작품]]

슈코프가 설계한 모스크바의 라디오탑(1922년)


예이젠시테인의 영화 『전함 포템킨』의 학살 장면 (1925년)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Wassily Kandinsky, Untitled (study for Composition VII, Première abstraction), watercolor, 1913 https://www.centrepo[...]
[2] 뉴스 The constructivists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art and achitecture https://www.theguard[...] 2011-11-04
[3] 웹사이트 Cubo-Futurism {{!}} art movement https://www.britanni[...] 2019-12-13
[4] 간행물 The New Russian Art and Italian Futurism 1975
[5] 웹사이트 A Revolutionary Impulse: The Rise of the Russian Avant-Garde https://www.moma.org[...] 2019-12-13
[6] 웹사이트 Ukrainian Avant Garde http://en.uartlib.or[...] 2017-01-26
[7] 서적 3. The Birth of Socialist Realism from the Spirit of the Russian Avant-Garde Academic Studies Press 2019-12-31
[8] 웹사이트 Lost Vanguard: Soviet Modernist Architecture, 1922–32 https://www.moma.org[...] 2007
[9] 뉴스 The constructivists and the Russian revolution in art and achitecture https://www.theguard[...] 2011-11-04
[10] 웹사이트 Cubo-Futurism art movement https://www.britanni[...] 2023-05-02
[11] 간행물 The New Russian Art and Italian Futurism 2023-05-02
[12] 웹사이트 A Revolutionary Impulse: The Rise of the Russian Avant-Garde https://www.moma.org[...] 2023-05-02
[13] 웹사이트 http://www.theartsto[...]
[14] 문서 例として[[交響曲第2番 (ショスタコーヴィチ)|交響曲第2番]]が挙げられる
[15] 서적 ロシアの演劇ー起源、歴史、ソ連崩壊後の展開、21世紀の新しい演劇の探求 生活ジャーナル 2013
[16] 웹사이트 ヌクス美術館・イゴール・サヴィツキー・コレクション http://www.savitskyc[...]
[17] 웹사이트 ロシア・アバンギャルド建築 https://jp.rbth.com/[...] 202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