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의 리오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의 리오네는 로마 시를 구성하는 역사적인 구역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시작되어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 22개로 구성되어 있다.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시대에 4개 구역으로 시작하여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14개 구역으로 확장되었고, 중세 시대에는 12개 구역으로 재편되었다. 16세기 교황 식스토 5세는 보르고를 추가하여 14개 구역으로 만들었으며, 이후 나폴레옹 점령기, 이탈리아 왕국 성립과 로마의 수도 지정 등을 거치며 구역의 분할과 통합이 이루어졌다. 1972년 행정 구역 개편으로 무니치피에 통합되었으나, 2013년 이후 22개의 리오네는 로마 1구에 속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리오네 - 첼리오 (로마)
첼리오는 이탈리아 로마의 지역으로, 고대 로마 시대부터 유서 깊은 고고학 유적과 종교 건물이 있었으며, 몬티 등 주변 지역과 경계를 접하고 콜로세움 등 유적이 위치해 있다. - 로마의 행정 구역 -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는 아우구스투스 황제가 로마 시의 행정 효율성을 위해 재편한 14개의 구역으로, 각 구역은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고유한 이름과 특징을 가진다.
로마의 리오네 |
---|
2. 역사
로마의 행정 구역인 리오네(rione|리오네it)의 역사는 고대 로마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에는 세르비우스 툴리우스 왕이 도시를 4개의 구역(regiones|레기오네스la)으로 나누었다고 전해지며, 이후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14개 구역으로 재편되었다. 이 고대 로마의 구역 체계는 서로마 제국 멸망과 함께 쇠퇴하였다.
중세에 들어서면서 '리오네'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구역 구분이 등장했다. 처음에는 비공식적이었으나, 12세기 무렵 12개 구역으로 나뉘었고, 13세기에는 13개의 공식적인 행정 구역으로 자리 잡았다.
근세에는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도시 재편과 함께 리오네의 경계가 명확해졌다.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는 보르고를 추가하여 14개 리오네 체제를 확립했고, 이는 19세기까지 유지되었다. 18세기에는 경계 명확화를 위한 작업이 이루어졌으며, 프랑스 혁명 전쟁 시기에는 잠시 12개 또는 8개 구역으로 재편되기도 했다.
근대에 들어 이탈리아 왕국의 수도가 된 로마는 급격한 도시 팽창을 겪었다. 이에 따라 기존 리오네가 분할되고 새로운 리오네가 신설되어 1921년에는 총 22개의 리오네가 되었다. 가장 마지막으로 추가된 리오네는 프라티이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무니치피오'(구)라는 새로운 행정 단위가 도입되었다. 1972년 개편을 통해 20개 리오네가 제1무니치피오(Municipio I|무니치피오 Iit, 첸트로 스토리코)를 형성했고, 나머지 2개 리오네(보르고, 프라티)도 2013년에 제1무니치피오로 편입되어 현재 22개 리오네 모두가 하나의 행정 구역으로 관리되고 있다.
2. 1. 고대 로마

전설에 따르면, 여섯 번째 로마 왕이었던 세르비우스 툴리우스가 처음으로 로마 시를 4개의 구역(''regiones'')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로마 공화정 말기의 행정 개편 과정에서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시를 14개의 구역으로 나누었다. 이 행정 구역은 로마 제정 시대 내내 유지되었으며, 4세기에 작성된 '구역 목록''(Cataloghi regionari)이라는 문서를 통해 각 구역의 이름과 정보가 기록되었다.
당시 14개 구역은 '트란스티베림''(Transtiberim, 현재의 트라스테베레)을 제외하고는 모두 티베르강 좌안에 위치했다. 14개 구역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포르타 카페나'' (Porta Capena)
# ''카일리몬티움'' (Caelimontium)
#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 (Isis et Serapis)
# ''템플룸 파키스'' (Templum Pacis)
# ''에스퀼리아이'' (Esquiliae)
# ''알타 세미타'' (Alta Semita)
# ''비아 라타'' (Via Lata)
# ''포룸 로마눔'' (Forum Romanum)
# ''시르쿠스 플라미니우스'' (Circus Flaminius)
# ''팔라티움'' (Palatium)
# ''시르쿠스 막시무스'' (Circus Maximus)
# ''피스키나 푸블리카'' (Piscina Publica)
# ''아벤티누스'' (Aventinus)
# ''트란스티베림'' (Transtiberim)
2. 2. 중세
서로마 제국이 멸망하면서 로마 시도 쇠퇴하였고, 인구가 줄어들면서 기존의 행정구역인 '레기오'(regiola)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2세기에 로마를 12개 구역으로 나누기 시작했지만, 이는 공식적인 행정구역이 아니라 사람들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구분이었다. 이 구역들은 고대의 구분과는 달랐지만, 여전히 같은 이름인 '레기오' 또는 이탈리아어인 '리오네'(rioneit)로 불렸다.13세기에 이르러 리오네는 공식적인 행정구역으로 채택되었고, 그 경계도 이전보다 명확해졌다. 리오네의 수는 13개로 늘어났으며, 이 체제는 16세기까지 유지되었다. 하지만 이 시기에도 리오네 간의 경계는 여전히 불확실한 부분이 많았다.
리오네의 대표는 '카포리오네'(Caporioneit)라고 불렸다. 그러나 리오네는 정치적인 단위가 아니라 순전히 행정적인 구역으로만 기능했다.
2. 3. 근세

르네상스 시대에 접어들어 도시가 대대적으로 재편성되고 확장되면서, 리오네의 경계를 정확하게 구획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1586년 교황 식스토 5세는 기존의 13개 리오네에 보르고(Borgo)를 추가하여 14번째 리오네를 신설하였다. 보르고는 오늘날 바티칸 시국 바로 앞 지역에 해당하며, 이전에는 로마 시와는 별도로 관리되던 곳이었다. 이렇게 정립된 로마 14구 체제는 인구 증가율이 낮아 19세기까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1744년 교황 베네딕토 14세는 리오네 간의 경계 혼동이 잦은 것을 우려하여 행정 구역 경계를 다시 설정하도록 베르나르디니 백작에게 명하였다. 이에 따라 각 리오네의 경계를 알리는 대리석 판이 해당 경계에 면한 건물 외관에 부착되었는데, 이 중 상당수가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1798년, 로마 공화국 시기에는 도시 행정 구역이 합리화되어 로마 전체가 12개의 리오네로 재편되었다. 당시의 리오네 목록과 현재의 리오네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은 현대의 리오네).
# 테르메 (몬티의 일부)
# 수부라 (몬티의 일부)
# 퀴리날레 (트레비)
# 핀초 (콜론나)
# 마르테 (캄포 마르치오)
# 브루토 (폰테)
# 폼페오 (레골라와 파리오네)
# 플라미니오 (산트'에우스타키오)
# 판테온 (피냐와 산탄젤로)
# 캄피돌리오 (캄피텔리와 리파)
# 자니콜로 (트라스테베레)
# 바티카노 (보르고)
이러한 12구 체제는 오래 유지되지 못했다. 프랑스의 나폴레옹이 로마를 점령한 후, 로마는 다시 8개의 구역으로 나뉘었으며, 이 구역들은 '주스티치에'(Giustizie, '정의')라고 불렸다. 그 목록은 다음과 같다.
# 몬티
# 트레비
# 콜론나와 캄포 마르치오
# 폰테와 보르고
# 파리오네와 레골라
# 산트'에우스타키오와 피냐
# 캄피텔리, 산탄젤로와 리파
# 트라스테베레
결과적으로 더 작은 리오네들이 큰 리오네에 통합된 형태였다. 당시 프랑스 점령군은 각 거리의 명판에 해당 거리가 속한 지역(주스티치에)을 명시하도록 했다.
2. 4. 근대
나폴레옹이 실각한 뒤 한동안 로마의 행정 구역은 큰 변화 없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19세기 말 이탈리아 왕국이 건국되고 로마가 새 수도로 지정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수도 지정은 대대적인 도시화와 인구 증가를 가져왔고, 로마시의 기존 경계였던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너머로 시가지가 확장되었다.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1874년, 기존 몬티 리오네의 일부를 분리하여 에스퀼리노 리오네가 신설되었다. 이로써 로마의 리오네는 총 15개가 되었다. 20세기 초에는 일부 리오네가 추가로 분할되었고, 아우렐리아누스 성벽 바깥 지역도 로마 시역으로 편입되기 시작하였다.
1921년에는 리오네의 수가 22개로 늘어났는데, 이때 프라티 리오네가 마지막으로 편입되었다. 프라티는 우르바누스 8세 성벽 바깥에 위치한 유일한 리오네였다.
가장 최근의 행정 구역 개편은 1972년에 이루어졌다. 기존의 리오네를 대체하는 '치르코스크리치오네'라는 새로운 행정 구역 단위가 도입되었고, 이는 나중에 '무니치피오' (구)로 이름이 바뀌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당시 20개의 리오네는 Centro Storico|첸트로 스토리코it(역사 중심지)를 형성하며 제1무니치피오로 통합되었다. 나머지 두 리오네인 보르고와 프라티는 제17무니치피오에 속했다가, 2013년에 제1무니치피오로 편입되어 22개 리오네 모두가 하나의 행정 구역으로 묶이게 되었다.
현재 로마의 22개 리오네는 다음과 같다.
번호 | 리오네 이름 | 주요 지역 및 특징 |
---|---|---|
I | 몬티 | 퀴리날레 언덕, 비미날레 언덕 포함 |
II | 트레비 | |
III | 콜론나 | |
IV | 캄푸스 마르티우스 | |
V | 폰테 | |
VI | 파리오네 | |
VII | 레골라 | |
VIII | 산트 에우스타키오 | |
IX | 피냐 | |
X | 캄피텔리 | 카피톨리노 언덕, 팔라티노 언덕 포함 |
XI | 산탄젤로 | |
XII | 리파 | 아벤티노 언덕 포함 |
XIII | 트라스테베레 | 자니콜로 포함 |
XIV | 보르고 | 바티칸 시국과 경계 |
XV | 에스퀼리노 | 에스퀼리노 언덕 포함 |
XVI | 루도비시 | |
XVII | 살루스티아노 | |
XVIII | 카스트로 프레토리오 | |
XIX | 첼리오 | 첼리오 언덕 포함 |
XX | 테스타초 | |
XXI | 산 사바 | |
XXII | 프라티 |
오늘날 로마의 22개 리오네는 다음과 같다.
[1]
웹사이트
Rione
http://dizionari.cor[...]
corriere.it
2013-06-21
3. 목록
문장 순번 명칭 인구
(2022년)[3]면적 인구밀도 구 위치 1 몬티 11,956명[3] 1.6508km2 7,052.9명/km² 1구 2 트레비 2,063명[3] 0.5503km2 3,973.6명/km² 1구 3 콜로나 1,898명[3] 0.2689km2 6,576.4명/km² 1구 4 캄포마르치오 5,470명[3] 0.8817km2 6,241.4명/km² 1구 5 폰테 3,375명[3] 0.3189km2 10,120.8명/km² 1구 6 파리오네 2,283명[3] 0.1938km2 12,174.2명/km² 1구 7 레골라 3,017명[3] 0.3189km2 9,540.8명/km² 1구 8 산테우스타키오 1,839명[3] 0.1688km2 10,478.4명/km² 1구 9 피냐 2,624명[3] 0.2063km2 12,336.8명/km² 1구 10 캄피텔리 515명[3] 0.599km2 873.0명/km² 1구 11 산탄젤로 990명[3] 0.1376km2 7,953.7명/km² 1구 12 리파 2,477명[3] 0.8485km2 2,956.6명/km² 1구 13 트라스테베레 12,962명[3] 1.8008km2 7,162.0명/km² 1구 14 보르고 2,689명[3] 0.4877km2 5,924.8명/km² 1구 15 에스퀼리노 21,263명[3] 1.5807km2 13,369.1명/km² 1구 16 루도비시 1,546명[3] 0.3251km2 4,565.1명/km² 1구 17 살루스티아노 2,191명[3] 0.2614km2 8,872.1명/km² 1구 18 카스트로프레토리오 5,228명[3] 1.0374km2 4,912.8명/km² 1구 19 첼리오 2,439명[3] 0.8254km2 3,021.2명/km² 1구 20 테스타초 7,563명[3] 0.6628km2 11,669.9명/km² 1구 21 산사바 3,366명[3] 1.1068km2 3,107.6명/km² 1구 22 프라티 14,631명[3] 1.2743km2 11,207.8명/km² 1구 총합 112,385명[3] 15.4659km2 7,226.6명/km²[3]
참조
[2]
웹인용
Rione
http://dizionari.cor[...]
corriere.it
2013-06-21
[3]
PDF
https://www.comun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