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로마 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 3.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 3.1. 제1구 포르타 카페나 (Porta Capena)
- 3.2. 제2구 카일리몬티움 (Caelimontium)
- 3.3. 제3구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 (Isis et Serapis)
- 3.4. 제4구 템플룸 파시스 (Templum Pacis)
- 3.5. 제5구 에스퀼리아이 (Esquiliae)
- 3.6. 제6구 알타 세미타 (Alta Semita)
- 3.7. 제7구 비아 라타 (Via Lata)
- 3.8. 제8구 포룸 로마눔 (Forum Romanum)
- 3.9. 제9구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Circus Flaminius)
- 3.10. 제10구 팔라티움 (Palatium)
- 3.11. 제11구 키르쿠스 막시무스 (Circus Maximus)
- 3.12. 제12구 피스키나 푸블리카 (Piscina Publica)
- 3.13. 제13구 아벤티누스 (Aventinus)
- 3.14. 제14구 트란스티베림 (Transtiberim)
- 참조
1. 개요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는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로마 시를 재편하면서 만들어진 14개의 행정 구역을 의미한다. 기원전 7년, 아우구스투스는 기존의 4개 구역을 14개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을 원로원의 치안 판사가 감독하도록 했다. 각 구역은 고유한 이름과 경계를 가지며, 로마 시의 다양한 지역을 포함했다. 14구는 포르타 카페나, 카일리몬티움,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 템플룸 파키스, 에스퀼리에, 알타 세미타, 비아 라타, 포룸 로마눔,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팔라티움, 키르쿠스 막시무스, 피스키나 푸블리카, 아벤티누스, 트란스티베림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로마의 행정 구역 - 로마의 리오네
로마의 리오네는 고대 로마에서 기원하여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재편된 행정 구역 단위로, 현재 22개의 구역으로 구성되어 각 구역은 고유한 역사와 특징을 지니며 로마 시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캄푸스 마르티우스
캄푸스 마르티우스는 고대 로마의 군사 훈련, 종교 행사, 선거 등이 이루어지던 중요한 지역으로, 공화정 시대에는 신전 건설이, 제정 시대에는 아우구스투스 황제의 건축 사업으로 번영을 누렸으며, 현재는 이탈리아 왕국 로마의 일부이다. - 고대 로마시의 지형 - 비아 사크라
비아 사크라는 고대 로마의 주요 도로로, 네로 황제 시대에 재건 사업을 통해 경로가 변경되었으며, 포룸 로마눔을 지나 콜로세움까지 연결되었고, 양쪽에 상점과 열주가 건설되었다.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 |
---|---|
개요 | |
이름 | 아우구스투스 제의 로마 14구 |
로마자 표기 | Regiones Romae antiquae XIV |
유형 | 행정 구역 |
위치 | 고대 로마 |
역사 | |
기원 | 로마 공화정 |
창설 | 기원전 7년 경 |
창설자 | 아우구스투스 |
이전 구역 | 4개 구역 |
특징 | |
목적 | 행정, 종교, 군사적 목적 |
구조 | 각 구역은 다양한 비키 (동네)로 나뉨 |
목록 | |
Regio I | 카페나 |
Regio II | 카엘리몬티움 |
Regio III | 이시스 에 세라피스 |
Regio IV | 템플룸 파키스 |
Regio V | 에스퀼리아에 |
Regio VI | 알타 세미타 |
Regio VII | 비아 라타 |
Regio VIII | 포룸 로마눔 |
Regio IX |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
Regio X | 팔라티움 |
Regio XI | 키르쿠스 막시무스 |
Regio XII | 피스치나 푸블리카 |
Regio XIII | 아벤티누스 |
Regio XIV | 트란스티베룸 |
2. 로마 시의 행정구역 변천사
아우구스투스 치세 이전의 로마 시 행정구역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12][3] 로마 공화정 시기였던 기원전 45년경,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로마가 4개의 시역 (partes urbis)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구'(regio)로 불린다고 소개했다. 당시 로마에 설치된 4구의 이름은 제1구 수부라나 (I Suburana), 제2구 에스퀼리나 (II Esquilina), 제3구 콜리나 (III Collina), 제4구 팔라티나 (IV Palatina)였다.[12][3]
바로는 또한 '비아'(via, 도로)에서 이름을 따온 '비쿠스'(vicus)라는 단위를 소개했는데, 이는 오늘날의 '동네'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정기 로마 시의 최하위 행정구역인 '비키'(vici)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13][3] 공화정 중기에는 각각의 비쿠스마다 비콤마기스테르 (vicommagister)라는 지역 관리가 임명되었다고 한다.[12][3]
아우구스투스 집권기에 이르러 각 비키마다 세워진 사당이 방치되는 문제가 지적되었고,[12][3] 기원전 12년경부터 비콤마기스테르의 권리와 의무를 성문화하는 것을 비롯, 각 비키의 사당을 복구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기원전 7년에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 작업이 이루어져 로마 시는 14개 구 (레기오)로 재편되었으며, 각각의 구는 원로원의 치안 판사가 감독하도록 바뀌었다.[12][3]
2. 1. 공화정 시대의 행정구역
2. 2.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행정구역 개편
아우구스투스 치세 이전의 로마 시 행정구역에 대한 기록은 많지 않다.[12] 로마 공화정 시기였던 기원전 45년경, 마르쿠스 테렌티우스 바로는 로마가 4개 시역 (partes urbis)으로 나뉘며, 각 구역은 '구' (regio)로 불린다고 소개했다. 당시 로마에 설치된 4구의 이름은 제1구 수부라나 (I Suburana), 제2구 에스퀼리나 (II Esquilina), 제3구 콜리나 (III Collina), 제4구 팔라티나 (IV Palatina)였다.[12][3]바로는 또한 '비아' (via, 도로)에서 이름을 따온 '비쿠스' (vicus)라는 단위를 소개했는데, 이는 제정기 로마 시의 최하위 행정구역인 '비키' (vici, 동네)의 개념과 동일한 것으로 여겨진다.[13] 공화정 중기에는 각각의 비쿠스마다 비콤마기스테르 (vicommagister)라는 지역 관리가 임명되었다고 한다.[12]
아우구스투스 집권기에 이르러 각 비키마다 세워진 사당이 방치되는 문제가 지적되었고,[12] 기원전 12년경부터 비콤마기스테르의 권리와 의무를 성문화하는 것을 비롯, 각 비키의 사당을 복구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12] 기원전 7년, 아우구스투스는 로마 시를 14개 구 (레기오, regio)로 재편하고, 각 구는 원로원의 치안 판사가 감독하도록 하는 대대적인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했다.[12]
3. 아우구스투스의 로마 14구
[[File:Roma_Municipio_I_locator_map.svg|thumb|250px|현재 고대 로마는 현대 ''구역'' 1을 포함한다.
- 제1구역: 포르타 카페나(Porta Capena)
- 제2구역: 첼리오몬티움(Caeliomontium)
- 제3구역: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Isis et Serapis)
- 제4구역: 템플룸 파키스(Templum Pacis)
- 제5구역: 에스퀼리에(Esquiliae)
- 제6구역: 알타 세미타(Alta Semita)
- 제7구역: 비아 라타(Via Lata)
- 제8구역: 포룸 로마눔(Forum Romanum)
- 제9구역: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Circus Flaminius)
- 제10구역: 팔라티움(Palatium)
- 제11구역: 키르쿠스 막시무스(Circus Maximus)
- 제12구역: 피스치나 푸블리카(Piscina Publica)
- 제13구역: 아벤티누스(Aventinus)
- 제14구역: 트란스티베림(Transtiberim)
3. 1. 제1구 포르타 카페나 (Porta Capena)
제1구 포르타 카페나는 아피아 가도가 로마 시로 진입하는 세르비아누스 성벽의 포르타 카페나(카푸아 문)에서 유래했다. 이 문에서 시작하여 카일리우스 언덕 남쪽 지역에서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이 세워지는 지역까지 포괄하였다.3. 2. 제2구 카일리몬티움 (Caelimontium)
제2구는 첼리오 언덕이 있는 구로 이름도 거기서 유래하였다.3. 3. 제3구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 (Isis et Serapis)
제3구 이시스 에트 세라피스 (Isis et Serapis)는 지금의 라비카나 거리 일대에 위치해 있었던 이시스 성역에서 이름을 따왔다. 훗날 콜로세움이 세워지는 계곡 지대와 오피아 언덕, 에스퀼리노 언덕 일부를 아우르고 있다.3. 4. 제4구 템플룸 파시스 (Templum Pacis)
제4구 템플룸 파시스 (Templum Pacis)는 베스파시아누스가 건설한 평화의 신전에서 이름을 따왔다. 에스퀼리노 언덕과 비미날레 언덕 사잇계곡, 수부라 거주 지역, 벨리아 언덕을 아우르고 있었다. 벨리아 언덕은 팔라티노 언덕과 오피아 언덕 사이 언덕으로, 20세기 초에 포룸 로마눔과 아우구스투스 포룸 사이를 잇는 도로를 내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3. 5. 제5구 에스퀼리아이 (Esquiliae)
제5구 에스퀼리아이(Esquiliae)는 에스퀼리노 언덕에서 유래하였다. 로마 도심에서 가까운 오피아 언덕과 키스피아 언덕, 에스퀼리노 언덕 일부와 세르비아누스 성벽 바로 바깥쪽 평야를 포괄하였다.3. 6. 제6구 알타 세미타 (Alta Semita)
제6구 알타 세미타는 퀴리날레 언덕을 통과하는 알타 세미타 길에서 이름을 따왔다.[14] 비미날레 언덕, 핀초 언덕의 저지대와 사잇계곡까지 아우른, 큰 규모의 구였다.[14] 이곳의 주요 명소로는 디오클레티아누스 욕장, 콘스탄티누스 욕장, 살루스티우스 정원 등이 있었으며, 북부로 가면 로마 정원 (호르티)가 많이 조성되어 있었다.[14] 퀴리누스, 살루스, 플로라의 신전도 제6구의 카스트라 프라이토리아에 위치해 있었다.[14] 동쪽~북쪽 경계는 아우렐리아누스 방벽이었고, 남쪽~남동쪽 경계는 아르길레툼, 비쿠스 파트리시우스를 기준으로 하였다.[14]3. 7. 제7구 비아 라타 (Via Lata)
제7구 비아 라타(Via Lata)는 세르비아누스 성벽과 아우렐리아누스 방벽 사이를 지나는 플라미니아 가도에서 이름을 따왔다. 당시 플라미니아 가도는 '대로'(Via Latala)라고도 불렸는데, 오늘날 로마의 비아 델 코르소에 해당한다. 거리 동쪽에 있는 캄푸스 마르티우스 일부와 호르툴로룸 언덕, 핀초 언덕 지대가 이곳에 속했다.3. 8. 제8구 포룸 로마눔 (Forum Romanum)
제8구는 로마 시에서도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구로, 도심부 지역인 포룸 로마눔에서 이름을 따 왔다. 캄피돌리오 언덕 지대와 팔라티노 언덕~캄피돌리오 언덕 사잇계곡, 벨리아 언덕~팔라티노 언덕 사이 지역을 아울렀으며, 티투스 개선문과 베누스 로마 신전까지 이곳에 속하였다. 중심 지역에는 카피톨리노 언덕, 팔라티노 언덕과 카피톨리노 언덕 사이의 계곡(로마 포룸이 위치한 곳), 그리고 벨리아 언덕에서 티투스 개선문과 비너스 및 로마 신전까지의 팔라티노 언덕 사이 지역이 있다.3. 9. 제9구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 (Circus Flaminius)
제9구 키르쿠스 플라미니우스는 캄푸스 마르티우스 남쪽 끝, 티베르섬 인근의 플라미니우스 경기장에서 이름을 따왔다. 라타 가도 서쪽의 캄푸스 마르티우스 일부를 포함한다.3. 10. 제10구 팔라티움 (Palatium)
제10구 팔라티움은 팔라티노 언덕에서 이름을 따왔다.[15][5]3. 11. 제11구 키르쿠스 막시무스 (Circus Maximus)
제11구는 팔라티노 언덕과 아벤티노 언덕 사이에 위치한 키르쿠스 막시무스 경기장에서 이름을 따 왔다. 경기장 뿐만 아니라 팔라티노와 캄피돌리오 언덕 사이의 계곡인 벨라브룸, 포룸 보아리움과 포룸 홀리토리움 일대 지역도 포함했다.3. 12. 제12구 피스키나 푸블리카 (Piscina Publica)
제12구는 제정시대에 사라진 기념물인 피스키나 푸블리카에서 이름을 따 왔다.[16][6] 오늘날 산사바 교회가 위치한 고지대 일대가 여기에 속했으며, 카라칼라 욕장이 위치한 아피아 가도로의 분기점도 이곳에 있었다.[16]180년대에는 기독교인을 위한 은행과 환전소가 이 지역에서 운영되었다.[16][6]
3. 13. 제13구 아벤티누스 (Aventinus)
제13구 아벤티누스는 티베르강을 따라 아벤티노 언덕과 그 앞의 평야 지대를 아울렀다.[17][7] 이곳에는 티베르강의 첫 번째 항구인 엠포리움이 있었다.[17]3. 14. 제14구 트란스티베림 (Transtiberim)
제14구 트란스티베림은 티베르강 건너편이라는 뜻으로, 테베레 섬과 테베레 너머 서쪽에 있는 로마 시가지를 모두 아울렀다.[18] 오늘날의 트라스테베레에 해당된다.[18]참조
[1]
서적
The Neighborhoods of Augustan Rom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4-19
[2]
서적
Two Romes: Rome and Constantinople in late Antiquit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3]
간행물
In omnibus regionibus? The fourteen regions and the city of Rome
https://www.cambridg[...]
2022-08-10
[4]
문서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5]
서적
Inventaire préliminaire des documents égyptiens découverts en Italie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972-12-01
[6]
문서
Christians at Rome in the First Two Centuri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03
[7]
서적
The Republican Aventine and Rome's Social 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6-05-31
[8]
서적
"L'area meridionale della Regio XIV Transtiberim in età romana: storia degli scavi e cenni di inquadramento topografico"
https://www.academia[...]
Studi. Progetti. Restauri
[9]
문서
皇帝たちの都ローマ
1992
[10]
서적
The Neighborhoods of Augustan Rom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04-19
[11]
서적
Two Romes: Rome and Constantinople in late Antiquity
https://www.worldcat[...]
Oxford University Press
[12]
저널
In omnibus regionibus? The fourteen regions and the city of Rome
https://www.cambridg[...]
2022-08-10
[13]
저널
In omnibus regionibus? The fourteen regions and the city of Rome
https://www.cambridg[...]
2022-08-10
[14]
문서
A New Topographical Dictionary of Ancient Ro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2
[15]
서적
Inventaire préliminaire des documents égyptiens découverts en Italie
https://books.google[...]
BRILL Publishers
1972-12-01
[16]
문서
Christians at Rome in the First Two Centuries
https://books.google[...]
Continuum
2003
[17]
서적
The Republican Aventine and Rome's Social Orde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6-05-31
[18]
서적
"L'area meridionale della Regio XIV Transtiberim in età romana: storia degli scavi e cenni di inquadramento topografico"
https://www.academia[...]
Studi. Progetti. Restau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