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재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류재준은 현대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크라코프 음악원을 졸업한 대한민국의 작곡가이다.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에게 사사했으며, 2004년 폴란드 오디오아트페스티벌에서 '타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를 발표하며 독자적인 작품 세계를 구축했다. 2009/2010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을 역임하고, 난탈리 페스티벌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에 상주 작곡가로 초청되었다. '진혼교향곡'과 '바이올린 협주곡'은 낙소스 인터내셔널에서, '바이올린 소나타 봄'은 텔로스에서 출반되었다. 2015년 폴란드 글로리아 아르티스 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서울국제음악제 음악감독 및 앙상블오푸스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클래식 작곡가 - 진은숙
진은숙은 서울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하고 죄르지 리게티를 사사한 대한민국의 작곡가로, 베를린 필하모닉 등 세계적인 오케스트라의 연주와 다수의 권위 있는 상 수상, 그리고 서울시향 상임작곡가 및 통영국제음악제 예술감독 역임 등 한국 현대음악 발전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클래식 작곡가 - 윤이상
윤이상은 서구 아방가르드 음악 기법과 한국 전통 음악의 융합을 통해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하고 국제적인 명성을 얻은 한국의 작곡가로서,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기며 한국 현대 음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1세기 음악가 - 조지 플로이드
조지 플로이드는 1973년 출생하여 2020년 미니애폴리스에서 백인 경찰관의 과잉 진압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은 전 세계적인 시위를 촉발하여 경찰의 과도한 무력 사용과 인종차별에 대한 비판을 불러일으켰다. - 21세기 음악가 - 카니예 웨스트
카니예 웨스트는 미국의 래퍼, 프로듀서이자 사업가로, 제이Z의 앨범 프로듀싱으로 이름을 알린 후 2004년 데뷔 앨범을 시작으로 10장의 정규 앨범을 발매했으며,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현대고등학교 (서울) 동문 - 안상훈 (사회과학자)
안상훈은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출신으로, 22대 국회의원이며, 사회과학자로서 다양한 정부 정책 자문 및 위원회 활동을 수행했고, 대통령비서실 사회수석비서관을 역임했다. - 현대고등학교 (서울) 동문 - 이은결
이은결은 1996년 마술을 시작해 국제적인 주목을 받으며 세계적인 마술사로 성장했고, '매직콘서트'라는 새로운 형식의 공연으로 대한민국 마술 붐을 일으켰으며, 방송, 드라마, 광고, 영화 및 뮤지컬 연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마술사이다.
류재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류재준 |
로마자 표기 | Ryu Jae-jun |
출생일 | 1970년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작곡가, 예술 감독 |
학력 | |
학력 | 크라쿠프 음악원 및 서울대학교 |
경력 | |
주요 경력 | 서울국제음악제 음악감독 앙상블오푸스 음악감독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류재준 유튜브 채널 |
2. 생애
작곡가 류재준은 현대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와 크라코프 음악원을 졸업하였으며,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다[9]. 서울대학교에서 강석희에게, 크라쿠프 음악 아카데미에서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에게 작곡을 배웠다.
류재준은 2009/2010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을 역임했고,[10] 2010년에는 핀란드 난탈리 페스티벌과 독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에 상주 작곡가로 초청되었다.[11] 2011년부터 2012년까지는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작곡가를 역임했다.[11]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진혼교향곡''은 낙소스 인터내셔널에서,[12] ''바이올린 소나타 봄''은 텔로스에서 음반으로 발매되었다. 2015년에는 폴란드 문화부 장관으로부터 글로리아 아르티스 메달을 받았다.[13] 현재 서울 국제 음악제 예술 감독 및 앙상블 오푸스의 음악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4년 폴란드의 [http://www.audio.art.pl/ 오디오아트페스티벌]에서 ‘타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를 시작으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진혼교향곡’ 등을 발표하며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2009/2010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10], 2010년 난탈리 페스티벌과 독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에 상주 작곡가로 초청되었으며, 2011-2012년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작곡가를 역임하였다.[11] 그의 작품 중 ‘진혼교향곡’과 ‘바이올린 협주곡’은 낙소스 인터내셔널[12]에서, ‘바이올린 소나타 봄’은 텔로스에서 출반되었으며, 아르토 노라스, 제라드 뿔레, 랄프 고토니, 리-웨이 친, 상하이 콰르텟, 크리스티안 알텐부르거, 엘리나 베헬레, 닝 펑, 그레고리 노박, 오코 카무, 피오트르 보르코브스키, 일리야 그린골츠, 미쉘 레티엑, 요하네스 모저 등의 연주자들이 그의 작품을 초연 및 연주하였다. 헬싱키 음악당, 카도간홀, 베르디홀, 바르샤바 필하모닉 콘서트홀 등 주요 연주회장에서 런던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랑스 칸 오케스트라,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방송교향악단 등의 오케스트라 및 음악단체가 연주하였다. 2015년 폴란드 글로리아 아르티스 상을 수상하였으며[13], 현재 작곡가이자 서울국제음악제 음악감독, 앙상블오푸스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3. 경력
3. 1. 주요 활동
류재준은 현대고등학교와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를 졸업하고 크라코프 음악원에서 크시스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다[9]. 2004년 폴란드의 [http://www.audio.art.pl/ 오디오아트페스티벌]에서 ‘''타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진혼교향곡'' 등을 발표하며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2009/2010 서울국제음악제 예술감독[10], 2010년 핀란드 난탈리 페스티벌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 상주 작곡가로 초청, 2011-2012년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작곡가를 역임하였다.[11] 아르토 노라스, 제라드 뿔레, 랄프 고토니, 리-웨이 친, 상하이 콰르텟, 크리스티안 알텐부르거, 엘리나 베헬레, 닝 펑, 그레고리 노박, 오코 카무, 피오트르 보르코브스키, 일리야 그린골츠, 미쉘 레티엑, 요하네스 모저 등이 그의 작품을 초연 및 연주하였다. 그의 작품 ''진혼교향곡''과 ''바이올린 협주곡''은 낙소스 인터내셔널[12]에서, ''바이올린 소나타 봄''은 텔로스에서 출반되었으며, 헬싱키 음악당, 카도간홀, 베르디홀, 바르샤바 필하모닉 콘서트홀 등 주요 연주회장에서 런던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프랑스 칸 오케스트라, 헬싱키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폴란드 국립방송교향악단 등의 오케스트라 및 음악단체가 연주하였다.
2015년 폴란드 글로리아 아르티스 상을 수상하였으며[13], 현재 작곡가이자 서울국제음악제 음악감독, 앙상블오푸스 음악감독으로 활동 중이다. 그의 음악은 카도간 홀, 밀라노 베르디 홀, 바르샤바 필하모닉 콘서트 홀, 헬싱키 뮤직 센터 등에서 연주되었고, 나안탈리 음악 축제(핀란드)와 메클렌부르크 음악 축제(독일)에 객원 작곡가로 초청되었으며, 아스타나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4. 작품 세계
작곡가 류재준은 크시스토프 펜데레츠키를 사사하였으며,[9] 2004년 폴란드의 [http://www.audio.art.pl/ 오디오아트페스티벌]에서 ‘''타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를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진혼교향곡'' 등을 발표하며 자신만의 독자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2010년 핀란드 난탈리 페스티벌과 독일 메클렌부르크 페스티벌에 상주 작곡가로 초청되었고,[11] 2011-2012년 폴란드 고주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상임작곡가를 역임하였다.[12] 그의 작품 중 ''진혼교향곡''과 ''바이올린 협주곡''은 낙소스 인터내셔널에서, ''바이올린 소나타 봄''은 텔로스에서 음반으로 발매되었다.[13] 아르토 노라스, 제라드 뿔레, 랄프 고토니 등 세계적인 연주자들이 그의 작품을 연주하였다. 헬싱키 음악당, 카도간 홀 등 주요 공연장에서 런던 로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칸 오케스트라 등 유명 오케스트라 및 음악단체가 그의 작품을 연주하였다.
4. 1. 작품 경향
장르 | 작품명 |
---|---|
교향곡 | 레퀴엠 교향곡, 소프라노, 합창, 관현악 (2007) |
관현악곡 | 서곡 "장미의 이름" (2010) |
칸타타 ‘루브나 크룩스’ (1999) | |
교향시 (1996) | |
현악 오케스트라 | 현악을 위한 신포니에타 (2015) |
현악을 위한 ‘빨강’ (2008) | |
협주곡 |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2017) |
마림바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2015) | |
현악 사중주 협주곡 (2013) | |
첼로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2010) | |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협주곡 (2006) | |
첼로 협주곡 1번 (2001) | |
실내악 | 클라리넷과 현악 사중주를 위한 5중주 (2015)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2번 (2014) | |
클라리넷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2013) | |
마림바와 현악 사중주를 위한 5중주 (2012) | |
현악 사중주 (2012) |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2011) | |
‘초여름’ 바이올린, 첼로, 피아노를 위한 3중주 (2009) |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봄’ 1번 (2008) | |
우리 시대의 바흐, 피아노 3중주를 위한 (2001) | |
색소폰 소나타 (2000) | |
바이올린, 클라리넷, 피아노를 위한 대화 (1995) | |
전자 음악 | 전자 사운드를 위한 밝은 빛 (1997) |
독주 | 피아노를 위한 바로크 모음곡 (2013) |
바이올린을 위한 카프리치오 (2012) | |
푸가 (2004) | |
타악기를 위한 파사칼리아 (2002) |
5. 주요 작품
(소프라노, 합창, 관현악)
(Overture “Il nome della rosa)
(Sinfonietta per archi)
독주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