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마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등(馬騰)은 후한 말의 장군으로, 자는 수성(壽成)이며 부풍군 무릉현 사람이다. 마원의 후손으로, 강족 여성과의 혼인으로 태어났다. 184년 한수 등과 반란에 가담하여 군벌로 성장하였으며, 이후 조조에게 귀순하여 위위(衛尉)에 임명되었다. 212년, 아들 마초의 반란에 연루되어 삼족이 멸족되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조조 암살을 시도하다 실패하여 처형되는 인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년 출생 - 포신
    후한 말 혼란기에 하진의 부름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고 동탁 토벌전에 참여한 포신은 뛰어난 통찰력과 전략적 사고로 조조의 성장을 도왔으나 청주 황건적과의 전투에서 조조를 구하려다 전사하여 조조가 그의 공을 기려 아들을 등용했다.
  • 후한의 전장군 - 동탁
    동탁은 후한 말 군벌로, 폭정과 권력 찬탈을 시도했으며,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상국에 올랐으나 여포에게 암살당했으며, 독재와 폭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후한의 전장군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마등과 주변 인물 - 마초 (촉한)
    마초는 후한 말기부터 촉한 시대의 무장으로, 마등의 장남이며 용맹을 떨쳤으나 조조에게 패배 후 유비에게 귀순하여 촉한의 오호대장군 중 한 명으로 활약하며 여러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 마등과 주변 인물 - 마휴
    마휴는 후한 말 마등의 아들이자 마초의 동생으로, 208년 봉거도위에 임명되었으나 211년 마초의 반란 실패 후 212년에 마등과 함께 삼족이 멸해졌다.
마등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마등
원어 이름馬騰
로마자 표기Ma Teng
자(字)수성(壽成)
출생지싱핑, 산시 성
사망일212년 6월 또는 7월
사망지한단, 허베이 성
가족 관계
아버지마평 (후한)
자녀마초
마휴
마철
친척마대 (조카)
관직
위위(衛尉)208년 ~ 211년
섬긴 군주헌제
재상조조
전장군(前將軍)208년
정남장군(征南將軍)202년 ~ 208년
안적장군(安狄將軍)195년 ~ 202년
진서장군(鎮西将軍)192년 ~ 195년
봉작
작위괴리후(槐里侯)
활동
활동 시기후한 말기
소속 세력영제
왕국
조조
기타 정보
직업군벌, 군사 지도자

2. 생애

마등은 후한의 장군 마원의 후손으로, 아버지 마평(馬平)은 천수(天水) 난간현(蘭干縣)의 현위(縣尉)를 지냈으나, 어떤 분쟁으로 인해 직위에서 해임되어 강족 사이에 살게 되면서 강족 여인과 결혼하여 마등을 낳았다.[1] 마등은 극심한 가난 속에서 자랐으며, 산에서 모은 땔감을 도시 시장에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키가 8척(약 1.84미터) 이상으로 매우 컸고, 외모는 크고 위엄이 넘쳤으며, 얼굴과 코는 웅장했다. 또한 덕망이 높아 많은 사람들이 그를 존경했다.[2]

후한 영제 말기인 184년, 양주자사 경비(耿鄙)가 실정하여 한수·왕국(王國) 등이 강족·저족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마등은 토벌병 모집에 응모하여 군종사가 되었고, 공을 세워 군사마가 되었다.[3] 경비가 피살된 후에는 반란군에 가담하여 한수와 함께 왕국을 주군으로 모셨으나, 황보숭에게 패하고 한수가 왕국을 죽이면서 반란은 와해되었다. 이후 마등은 편장군, 정서장군을 거쳐 초평(初平) 연간에 정동장군에 임명되었다.

192년 동탁 사후 이각·곽사 등이 조정을 장악하자 한수와 함께 순복하여 정서장군이 되고 미(郿)에 주둔했다. 194년, 이각·곽사 타도를 모의했으나 실패하고 양주로 달아났다. 이후 한수와 의형제를 맺었으나, 곧 사이가 벌어져 서로 공격했고, 한수가 마등의 처자를 죽이는 등 갈등이 격화되었다.[6] 종요 등의 중재로 화해하고 조조에게 협력하여 원상의 장수 곽원을 격파하는데 공을 세웠다. 마등은 괴리에 주둔하며 전장군·가절에 임명되었고 괴리후에 봉해졌다.

건안(建安) 13년(208년), 한수와 다시 사이가 벌어지자 조조의 사자 장기의 권고를 받아들여 조조에게 귀순, 위위(衛尉)에 임명되었다.[24] 아들 마휴(馬休)는 봉거도위(奉車都尉), 마철(馬鐵)은 기도위(騎都尉)가 되었고, 가족들은 (鄴)으로 이주했다. 마초양주에 남아 편장군(偏將軍)에 임명되어 마등의 부곡(部曲)을 통솔했다.

건안 16년(211년), 마초한수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키자, 건안 17년(212년) 5월 마등은 마초의 반란에 연좌되어 삼족이 멸해졌다.[22]

2. 1. 초기 생애와 출세

마등은 후한의 장군 마원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천수(天水) 난간현(蘭干縣)의 현위(縣尉)를 지낸 마평(馬平)이다.[23] 마평은 관직을 잃은 후 농서(隴西)에 정착하여 강족(羌族) 여성과 혼인하여 마등을 낳았다.[1] 마등은 가난한 환경에서 성장했으나, 신장이 8척(약 184cm)에 달하고 용모가 웅장했으며, 어질고 온후한 성품으로 주위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2]

후한 영제 말기인 184년(중평 원년), 양주자사 경비(耿鄙)가 실정을 하자, 한수·왕국(王國) 등이 강족·저족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3] 마등은 토벌군 모집에 응모하여 군종사(軍從事)가 되었고, 공을 세워 군사마(軍司馬)로 승진했다.[4]

2. 2. 반란 가담과 군벌 할거

후한 영제 말기인 184년, 양주자사 경비(耿鄙)가 실정하여 한수와 왕국(王國)이 강족(羌族) · 저족(氐族)과 함께 반란을 일으키자 마등은 토벌병에 응모하여 군종사가 되었고, 공을 세워 군사마가 되었다.[3] 경비가 피살된 후에는 반란군에 가담하여 한수와 함께 왕국을 주군으로 모셨으나, 반란군이 황보숭에게 패배하고 한수가 왕국을 죽이면서 반란은 와해되었다.[4] 마등은 이후 편장군(偏將軍)이 되었고, 정서장군(征西將軍)으로 승진하였다.[4] 초평 연간에 정동장군(征東將軍)에 임명되었다.

192년 동탁이 암살된 이후 이각 · 곽사 · 장제 · 번조가 조정을 장악하자, 한수와 함께 순복하여 정서장군이 되고 미(郿)에 주둔했다.

1994년 시중 마우, 간의대부·전 익주자사 충소, 좌중랑장 유범(劉範) 그리고 유언과 함께 이각과 곽사 등을 무찌를 모의를 하고 한수와 함께 장평관까지 진격했으나, 계획은 들통났고 마등은 한수와 함께 이각 · 곽사와 싸워 져 양주로 달아났다.[19][20]

양주로 돌아온 후에는 한수와 친밀하게 되어 서로 의형제를 맺었으나, 곧 사이가 벌어져 마등은 한수를 쳤고, 한수는 달아났다가 돌아와 마등의 처자를 죽였다.[6] 종요가 사례교위가 되어 양주목 위단과 함께 마등과 한수를 설득하여 화해하게 하니, 둘은 조정으로 자기 아들을 출사시켰다. 마등은 자신의 아들인 마초를 보내 원상의 장수 곽원과 싸우게 했다. 마등은 괴리에 주둔하였으며, 전장군·가절에 임명되었고 괴리후에 봉해졌다.[7]

2. 3. 한수와의 갈등과 화해

양주로 돌아온 마등은 한수와 의형제를 맺었으나, 곧 사이가 벌어져 서로 공격했다.[6] 한수는 마등을 공격해 패주시키고, 다시 군세를 모아 반격하여 마등의 처자를 죽였다.[6] 이 때문에 화해가 어려워져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16]

조조원소를 관도 전투에서 격파한 후, 종요와 위단(韋端)이 마등과 한수 사이에 평화를 중재했다.[7] 이들은 한나라에 충성을 맹세하고 원소의 후계자들과 잔당을 격파하는 데 조조를 돕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7] 마등은 아들 마초를 보내 원상의 장수 곽원과 싸우게 했다. 이후 마등은 괴리에 주둔하며 전장군·가절에 임명되었고 괴리후에 봉해졌다.[7]

2. 4. 조조 귀순과 죽음

208년(건안 13년), 한수와 다시 사이가 벌어진 마등은 조조의 사자 장기의 권고를 받아들여 조조에게 귀순하고 위위(衛尉)에 임명되었다. 아들 마휴(馬休)는 봉거도위(奉車都尉), 마철(馬鐵)은 기도위(騎都尉)가 되었고, 가속(家屬)들은 모두 (鄴)으로 이주했다. 마초양주에 남아 편장군(偏將軍)에 임명되어 마등의 부곡(部曲)을 통솔했다.[24]

211년, 조조가 종요(鍾繇)에게 장로(張魯)를 토벌하게 하자, 마초는 한수 등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 212년, 마등은 마초의 반란에 연좌되어 삼족(三族)이 멸족되었다.[22]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삼국지연의》에서 마등은 한수와 함께 양주의 군벌로 등장하며, 후한 조정에 충성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유비, 동승 등과 함께 조조 암살을 모의하고, 이후에도 황규와 함께 조조 암살을 계획하나 실패하여 아들 마휴, 마철과 함께 처형된다. 마초는 아버지와 형제들의 복수를 위해 조조에게 대항하여 동관 전투를 벌인다.

《삼국지연의》 10장에서 마등은 한수와 함께 이각곽사가 지키고 있는 장안을 습격한다. 20장에서는 유비, 동승, 왕자복과 함께 연판장 혈서를 써서 조조를 암살하려는 동승의 음모에 가담한다.

57장에서 조조는 손권을 공격하려 하지만, 서량에 주둔하고 있는 마등이 허창을 습격하지 않을까 걱정한다. 이때 순유는 마등을 불러들여 죽이라고 조조에게 조언한다. 조조의 입궐 부름을 받은 마등은 장남 마초를 남기고, 조카 마대, 차남 마휴, 삼남 마철과 함께 수도인 허창으로 간다. 마등은 가공 인물 황규와 함께 조조를 암살하려 하나, 황규의 애첩 이춘향과 애부 묘택의 배반으로 인해 조조에게 발각되어 두 아들과 함께 처형된다.[12] 조카 마대는 후미에 남아 있어서 제때 도망칠 수 있었고, 장남 마초는 서량에 주둔하고 있었기 때문에 죽음을 면한다.

4. 외모 및 성격

마등은 강족 혈통으로, 키가 8척(약 1.84미터) 이상으로 매우 컸으며 체격이 건장하고 코가 컸다. 얼굴과 코는 웅장했고, 외모는 크고 위엄이 넘쳤다.[2] 서량은 현재 중국 돈황에 해당하며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인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카자흐스탄 등 중앙아시아 여러 나라들이 있다. 이러한 영향으로 마등은 조상 대대로 그쪽 지역 사람들과 피가 섞여 백인종에 더 가까운 형태가 되었다. 그래서 눈동자는 짙은 하늘색, 피부는 희고, 머리카락과 수염은 황동색이었다고 전해진다.[16]

성품은 어질고 온후하여 많은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2] 그는 서부에서 공격적인 부족과 산적으로부터 자신의 영토를 잘 방어하고, 학식 있는 학자들을 보살피고, 재능 있는 사람들을 장려했으며, 일반 백성을 보호하고 관대하게 대했기 때문에 크게 존경받았다.[8]

5. 가족 관계

아버지마평
어머니강족 여인
아들마초, 마휴, 마철
조카마대



마등의 아버지 마평은 천수군 하급 관리였으나, 어떤 분쟁으로 인해 직위에서 해임되어 강족 사이에 살게 되었다. 마평의 가족은 가난했고 연고가 없어 강족 여인과 결혼하여 마등을 낳았다.[1]

6. 마등을 섬긴 사람들

7. 기타

토탈 워: 삼국에서 플레이 가능한 군벌로 등장한다.[14] 진 삼국무쌍 시리즈, 특히 진 삼국무쌍 5와 진 삼국무쌍 9에도 등장한다.

참조

[1]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2]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3]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4]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5]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6]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7]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8]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9] 인용 Sanguozhi vol. 15
[10]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11] 인용 Wei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15
[12] 인용 Dianlue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6
[13] 인용 Houhanshu vol. 9
[14] 웹사이트 Total War: THREE KINGDOMS Warlord Legends – Ma Teng https://www.totalwar[...] 2020-07-29
[15] 서적 『後漢書』巻9 孝献帝紀
[16] 서적 『三国志』巻36馬超伝注引『典略』
[17] 인용 『後漢書』巻72董卓伝注引『献帝伝』
[18] 인용 『後漢書』巻72董卓伝
[19] 서적 三国志『益州耆旧伝』
[20] 인용 『後漢書』巻9献帝紀
[21] 서적 『初学記』『太平御覧』が引く『漢紀(後漢紀)』
[22] 인용 孫盛
[23] 서적 어환: 《전략》
[24] 서적 진수: 《삼국지》 위서 권15 유사마양장온가전 중 장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