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달레나공동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막달레나공동체는 성매매 피해 여성,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여성, 가출 여성을 지원하고 성매매 근절을 위한 활동을 하는 단체이다. 1985년 서울 용산구에서 막달레나의 집으로 시작하여, 1987년 전국 최초로 관련 보호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후 쉼터 운영, 현장 연구, 교육, 사회적 인식 개선 활동, 취약 계층 여성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며 관련 연구 보고서 및 자료집을 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 운동 -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
평화를 만드는 여성회는 평화정신 확산, 평화 행위 능력 신장, 생명중심 평화문화 창조를 목표로 여성의 관점에서 통일 방안을 모색하고 평화 교육, 사회 행동, 대외 협력, 홍보 활동을 통해 평화 운동을 전개하며, 아시아 군국주의 부활을 경계하고 방위비 삭감 및 여성복지비 증대를 위한 활동을 펼치는 단체이다. - 비영리 단체 - 랜드 연구소
랜드 연구소는 1948년 미 육군 항공대와 더글러스 항공사의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미국의 비영리 싱크탱크로,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며 국방, 안보, 보건, 교육 등 광범위한 분야를 연구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비영리 단체 - 국민총력조선연맹
국민총력조선연맹은 1940년 일제가 중일 전쟁 수행을 위해 조선인을 통제하고 동원할 목적으로 설립한 단체로, 조선총독부를 중심으로 조선인과 조선 거주 일본인을 가입시켜 황민화 사상을 주입하고 징병, 징용, 공출 등 전쟁 수행에 필요한 자원을 동원하는 활동을 펼쳤으나, 1945년 해체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친일 단체로서 비판받는다.
막달레나공동체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종교 공동체 |
위치 | 프랑스 베즐레 근처 |
창립자 | 마리 마들렌 에메 |
창립 연도 | 1975년 |
특징 | 에큐메니즘 장애인 공동체 |
역사 | |
창립 배경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가톨릭 교회 내 쇄신 운동 에메와 마리 마들렌의 만남 |
주요 활동 | 장애인 환대 및 공동 생활 에큐메니즘 추구 (다양한 기독교 교파 간 교류) 피정 프로그램 운영 |
특징 | |
영성 | 성경 중심의 삶 관상기도 공동체 나눔 |
공동체 구성원 | 서원한 형제, 자매 평신도 봉사자 장기, 단기 방문자 |
국제적 관계 | 다양한 국가의 유사 공동체와 연대 |
논란 | |
설립자 관련 의혹 | 에메의 성폭력 및 정신적 지배 의혹 (2019년) 공동체 내부의 증언 및 조사 보고서 발표 |
교회의 대응 | 가톨릭 교회의 공식 조사 착수 공동체 지도부 교체 및 쇄신 노력 |
현재 상황 | |
공동체 유지 | 현재도 장애인 환대 및 에큐메니즘 활동 지속 |
쇄신 노력 | 과거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새로운 방향 모색 중 |
2. 연혁
막달레나공동체는 1985년 서울 용산구에서 '막달레나의 집'으로 시작하여 성매매 피해 여성 지원 활동을 펼쳐왔다. 초기 현장 상담과 쉼터 운영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2005년 사단법인 설립 이후 현장 지원, 연구(용감한여성연구소), 사회적 기업 운영(동고리사업단), 청소년 지원(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 위탁 운영) 등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왔다.
2. 1. 설립 초기 (1985년 ~ 1999년)
1985년 7월 22일,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의 지원을 받아 서울 용산구 한강로2가 349번지에 '막달레나의 집'이 처음 문을 열었다. 설립에는 문애현 수녀, 이옥정, 서유석 신부가 뜻을 모아 참여했다. 초기에는 현장 상담과 함께 잠시 쉬어갈 수 있는 드롭인센터(drop-in center)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이는 이후 성매매 피해 여성 등을 위한 쉼터로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다.1987년 5월 10일에는 성매매 피해 여성을 위한 보호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40-416호에 주거 공간을 확보했다. 이는 당시 전국에서 처음으로 성매매 피해 여성뿐만 아니라 가정폭력 및 성폭력 피해 여성, 집을 나온 여성들까지 보호하는 활동을 시작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1989년에는 서울 가톨릭여성사목위원회(현재의 서울 가톨릭 여성 복지협의회)에 가입하여 연대 활동의 폭을 넓혔다. 1992년부터는 성매매 피해 여성들을 위한 24시간 전화 상담 서비스를 시작하여 언제든 도움을 요청하고 상담받을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1999년에는 막달레나의 집 운영위원회가 공식적으로 조직되었고, 설립자 중 한 명인 서유석 신부가 운영위원장을 맡아 보다 체계적인 운영의 기틀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2. 2. 시설 확장 및 사업 다각화 (2000년 ~ 2009년)
2000년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등록단체로 인준받았으며, 막달레나공동체의 활동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상 <막달레나, 막달레나>를 제작했다. 2001년에는 막달레나의 집이 당시 여성부(현 여성가족부)에 조건부 신고시설로 등록되었고, 탈성매매 중고령 여성 및 장애 여성을 위한 중장기 쉼터인 '보듬네'(일명 시골집) 건립을 시작했다.2002년 '보듬네'가 완공되어 축복미사를 봉헌했으며, 2003년에는 막달레나의 집이 여성가족부 조건부 신고시설로 정식 등록되었다. 같은 해부터 2005년까지 여성가족부의 지원을 받아 국내 최초로 성매매 피해 여성을 위한 <탈성매매 자활지원 시범사업>을 수행했다.
2004년에는 용산구 성매매 집결지 현장 연구와 출판 사업을 위한 '용감한여성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현장상담센터(상담소 ‘이나’) 운영(2004년 6월~2010년 12월)과 서울시 다시함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집결지 재개발 관련 '너른쉼터' 운영(2004년 12월~2012년 6월)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쉼터를 서울 용산구 청파동 135-9번지로 이전하고 일반지원시설로 등록했다. 7월 22일에는 막달레나의 집 설립 20주년 기념행사를 꾸르실료 교육관에서 개최했으며, 9월부터 여성가족부 지원으로 용산 성매매 집결지 현장지원센터를 운영하기 시작했다(2008년 12월까지). 현장지원센터 내에는 치과 및 가정의학과 진료를 제공하는 ‘햇살고운진료소’도 2006년까지 운영되었다. 11월 4일에는 사단법인 막달레나공동체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여성가족부에 법인 등록을 마쳤다 (대표: 이옥정, 주사무소: 인천광역시 강화군 불은면 삼동암리 139-6).
2006년에는 막달레나 쉼터와 강화 보듬네 식구들이 참여한 사진전 <모든 것이 되는 시간들>을 인사동 갤러리 블루에서 개최했다. 2007년 4월, 사회복지사업법 개정에 따라 강화 쉼터 '보듬네'의 운영이 중지되었다. 2008년에는 홍근표 바오로 신부를 지도신부로 하는 후원회가 조직되었고 본당 모금행사가 시작되었다. 또한, SH 및 LH 공사로부터 위탁받은 다가구 주택을 활용한 그룹홈 운영을 효창동에서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2. 3. 사업 확장 및 사회적 기업 활동 (2010년 ~ 2019년)
2010년 1월부터 2011년 3월까지 탈성매매 여성들의 일자리 마련을 위해 서울 예비 사회적 기업인 '동고리 사업단'을 운영하며 국수 가게를 열었다. 이는 공동체의 첫 사회적 기업 활동 시도였다. 2011년 4월에는 사진을 통해 여성들의 이야기를 기록하고 표현하는 '판도라 사진 모임' 2기가 시작되었다.2013년에는 활동 영역을 더욱 확장했다. 5월에는 강화도에 위치한 교육센터를 새롭게 단장하여 운영을 시작했으며, 7월에는 서울특별시로부터 위탁을 받아 청소녀들의 건강 증진을 위한 서울시립청소녀건강센터 '나는 봄'을 개소했다. 이를 통해 성매매 피해 여성 지원뿐 아니라 위기 청소녀 지원으로 활동 범위를 넓혔다.
2017년 12월에는 시설 조건 미비 문제로 인해 공동체 초기부터 운영해 온 성매매 피해 여성 쉼터 '막달레나의 집'의 운영을 종료하게 되었다. 같은 해 12월, 법인 사무실을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으로 이전했다.
2018년 2월에는 공동체 설립부터 함께했던 이옥정 대표가 퇴임하고, 서유석 신부가 신임 대표로 선출되어 리더십에 변화가 있었다.
2019년에는 조직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5월에는 (사)막달레나공동체 운영위원회가 구성되었고, 10월에는 서울특별시 은평구 서오릉로에 법인 건물을 매입하여 주사무소를 이전하며 보다 안정적인 활동 기반을 마련했다.
2. 4. 최근 활동 및 변화 (2020년 ~ 현재)
2020년 1월, 막달레나 드롭인센터가 미신고 상태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9월 1일에는 서유석 대표가 퇴임하고 이옥정 대표가 새로 취임하였다.2021년 2월 19일 총회에서는 홍근표(바오로) 신부를 (사)막달레나공동체 지도신부로, 김효성(요셉) 신부를 후원회 지도신부로 추대하였다.
2023년 2월 17일 총회에서는 이옥정을 이사장 및 대표이사로 추대하고 승인하였다. 또한 이사로 홍근표, 김효성, 홍경임, 이희영, 김왕열, 설현천, 김의석이 선임되었다.
3. 주요 활동
막달레나공동체는 1986년 성매매 근절을 위한 '한소리회' 조직과 용산구 성매매 집결지 아웃리치 활동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1987년에는 전국 최초로 성매매 피해 여성뿐 아니라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여성, 가출 여성 등을 포괄하는 보호 서비스와 주거 공간을 마련하며 초기 지원의 틀을 갖추었다.
주요 활동은 크게 성매매 피해 여성 지원, 현장 연구 및 교육, 사회 인식 개선 활동으로 나눌 수 있다. 피해 여성 지원 분야에서는 24시간 전화 상담(1992년~) 개설, 전·현직 성매매 여성을 위한 집단 상담 훈련 프로그램 개발(1999년), 탈성매매를 희망하는 중·고령 및 장애 여성을 위한 중장기 쉼터 '보듬네' 완공(2002년)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2002년에는 국내 최초로 '전·현직 성매매 여성 필드워커 양성을 위한 동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필리핀, 미국 등 해외 연수를 통해 활동가 역량 강화에도 힘썼다.
현장 연구 및 교육 활동으로는 용산 성매매 지역 청소년 대상 글방 운영(1988년~1995년), '용감한여성연구소' 설립 및 운영(2004년~현재)을 통한 현장 연구 및 출판 사업, 이태원 클럽 밀집 지역 실태 조사 및 현장 활동(2007년~2010년), 용산 성매매 집결지 여성들의 목소리를 담은 구술사 프로젝트 <기억의 지도그리기>(2008년), 여성 당사자가 직접 사진으로 자신의 삶과 공간을 기록한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collection/ArchiveCollectionView.do?con_id=2397 판도라 사진 프로젝트](2009년~) 등이 대표적이다.
사회적 인식 개선을 위해 1999년 다큐멘터리 <꿈에 관한 보고서>를 공동 제작하여 상영했으며, 판도라 사진 프로젝트는 국내외 유수 대학에서의 순회 전시와 심포지엄 발표 등을 통해 성매매 문제에 대한 국제적 담론 형성에 기여했다.
최근에는 지원 영역을 넓혀 탈북·이주 성매매 피해 여성 지원 사업(2020년~)과 종로3가 지역 중고령 여성 지원 사업('소곤소곤사랑방' 개소, 2020년~)을 시작하며 다양한 배경의 취약 계층 여성들을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1. 피해 여성 지원
막달레나공동체는 성매매 피해 여성을 비롯하여 가정폭력, 성폭력 피해 여성, 가출 여성 등 다양한 위기 상황에 놓인 여성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펼쳐왔다.1986년 용산구 성매매 집결지 아웃리치 활동을 시작으로, 1987년 5월 10일 전국 최초로 성매매 피해 여성, 가정폭력·성폭력 피해 여성 및 가출 여성을 위한 보호 서비스와 주거 공간을 마련하며 본격적인 지원 활동에 나섰다. 1992년부터는 성매매 피해 여성을 위한 24시간 전화 상담을 개설하여 언제든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마련했다.
단순한 보호를 넘어 여성들의 자활을 돕기 위한 노력도 꾸준히 이어졌다. 1988년부터 1995년까지 용산 성매매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글방('배론 글방')을 운영하였으며, 1999년에는 전·현직 성매매 여성들의 집단 상담 훈련과 '성매매 여성의 인간관계 개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 프로그램은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 프로젝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2년에는 탈성매매를 원하는 중·고령 및 장애 여성을 위한 중장기 쉼터 '보듬네'를 완공하여 안정적인 주거와 지원을 제공했다. 같은 해, 국내 최초로 '전·현직 성매매 여성 필드워커 양성을 위한 동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필리핀 연수를 진행했고, 2003년에는 심화 과정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성매매 여성 지원 단체인 SAGE(Standing Against Global Exploitation)를 방문하는 등 지원 활동의 전문성을 높였다. 2003년에는 '막달레나의 집'이 여성가족부 조건부 신고시설로 등록되었다.
의료 지원에도 힘써, 2005년 9월부터 약 1년간 용산 성매매 집결지 현장지원센터 내에 치과 및 가정의학과 진료를 제공하는 '햇살고운진료소'를 운영하여 여성들의 건강권 증진에 기여했다.
지원 대상과 영역도 점차 확대되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이태원 클럽 밀집 지역 여성들을 위한 드롭인 센터와 사랑방을 운영하며 새로운 형태의 성산업 환경에 놓인 여성들에게 다가갔다. 2020년에는 북한이탈주민 및 이주 성매매 피해 여성 지원 사업과 종로3가 지역 중·고령 여성 지원 사업('소곤소곤사랑방' 개소)을 시작하며 시대 변화에 발맞춘 지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3. 2. 현장 연구 및 교육
막달레나공동체는 성매매 현장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연구 및 교육 활동을 펼쳐왔다.1988년부터 1995년까지 용산구 성매매 지역 청소년을 대상으로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7019 배론 글방]을 운영하며 초기 교육 활동을 시작했다. 1999년에는 전·현직 성매매 여성들의 집단 상담 훈련을 시작하고, ‘성매매 여성의 인간관계 개선 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우수 프로젝트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2년에는 국내 최초로 ‘전·현직 성매매 여성 필드워커 양성을 위한 동료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필리핀 연수를 통해 현장 활동가 양성에 힘썼다. 이듬해인 2003년에는 해당 프로그램의 심화 과정으로 미국 샌프란시스코 연수를 진행했으며, 현지 성매매 여성 지원 시민단체인 SAGE|세이지eng(Standing Against Global Exploitation)를 방문하여 교류했다.
2004년부터는 용감한여성연구소를 설립하여 용산 성매매 집결지 현장 연구와 출판 사업을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이는 성매매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대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2007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는 이태원 클럽 밀집 지역에 대한 실태 조사를 벌이고 현장 활동을 전개했다. 이 기간 동안 여성들을 위한 드롭인 센터와 사랑방을 운영하고,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10538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i_clssprov=2831&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Writing 이태원: 후커 힐, 이태원이야기]’를 발간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2008년에는 용산 성매매 집결지 여성들의 삶을 기록하는 구술사 프로젝트 <기억의 지도 그리기>를 진행했으며, 이는 네덜란드의 여성 인권 기금인 마마캐시(Mama Cash)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다.
2009년 1월에는 용산 집결지 여성을 대상으로 사진을 통해 자신의 삶과 공간을 표현하는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collection/ArchiveCollectionView.do?con_id=2397 판도라 사진 프로젝트] 1기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후 미국 웰슬리 대학, 뉴욕 대학, 피츠버그 대학, 콜롬비아 대학, 홍콩 대학 등 국내외 여러 대학에서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190&srch_total=&pageIndex=1&i_clssfrm=&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사진전]을 개최하며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2009년 10월부터 2011년 1월 사이에는 웰슬리 대학 여성학과 및 동아시아 문화학과 주최 심포지엄에서 ‘주변에서 글로벌 코리아를 상상하기: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변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공동으로 판도라 사진전 <우리의 삶, 우리의 공간: 여성들의 눈으로 본 성매매 집결지>(Our Lives, Our Space: Views of Women in Red-light Districteng)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국제 교류 활동을 펼쳤다. 2020년 11월에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에서 주최한 제1회 이화-현우 여성과 평화학술상 기념 전시회 <우리가 지나쳐 온 그녀들의 공간>에 참여했다.
2013년 7월에는 서울특별시 위탁을 받아 서울시립청소녀건강센터 ‘나는 봄’(현 서울시립십대여성건강센터)을 개소하여 청소년 대상 지원 활동에도 참여했다.
3. 3. 사회적 인식 개선 활동
막달레나공동체는 성매매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피해 여성들의 목소리를 사회에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적 인식 개선 활동을 전개했다.1986년 10월, 성매매 근절을 위한 '한소리회'를 조직하고 용산구 성매매 집결지 현장 방문 활동(아웃리치)을 시작하며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1992년에는 성매매 피해 여성을 위한 24시간 전화 상담을 개시하여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 창구를 마련했다.
1999년에는 전·현직 성매매 여성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 <꿈에 관한 보고서>를 한소리회와 공동 제작하여 세종문화회관에서 상영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대통령 직속 여성특별위원회의 지원을 받아 제작되었으며, 성매매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4년에는 '용감한여성연구소'를 설립하여 용산 성매매 집결지 현장 연구와 출판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를 통해 성매매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대안 모색을 위한 기반을 다졌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는 이태원 클럽 밀집 지역의 실태를 조사하고 현장 활동을 벌였으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10538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i_clssprov=2831&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Writing 이태원: 후커 힐, 이태원이야기]” 보고서를 발간했다. 2008년에는 용산 성매매 집결지 여성들의 삶을 기록하는 구술사 프로젝트 <기억의 지도그리기>를 시작했으며, 이는 국제 여성 인권 기금인 'Mama Cash'의 연구비 지원을 받았다.
2009년 1월에는 용산 집결지 여성을 대상으로 사진을 통해 자신의 삶과 공간을 기록하는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collection/ArchiveCollectionView.do?con_id=2397 판도라 사진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의 결과물은 국내외 여러 곳에서 전시되었다. 같은 해 10월에는 미국 웰슬리대학 여성학과 및 동아시아 문화학과가 주최한 심포지엄 <주변에서 글로벌 코리아를 상상하기: 젠더, 섹슈얼리티, 그리고 사회변화>에 참여하여 "성판매여성의 공간경험과 젠더화된 섹슈얼리티 위계"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와 연계하여 웰슬리대학에서 <우리의 삶, 우리의 공간: 여성들의 눈으로 본 성매매집결지>라는 제목으로 판도라 사진전을 개최했으며, 이후 뉴욕대학, 피츠버그 대학, 콜롬비아 대학, 홍콩대학 등에서도 순회 전시를 열었다. 또한 홍콩대 세미나에 참석하여 "판도라 사진 프로젝트와 photo voice 방법론"을 발표하며 국제적인 교류를 이어갔다.
2020년 11월에는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이 주최한 제1회 이화-현우 여성과 평화학술상 기념 전시회에 <우리가 지나쳐 온 그녀들의 공간>이라는 제목으로 판도라 사진전을 열어 성매매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촉구했다.
3. 4. 취약 계층 여성 지원
2020년 1월, 바보의 나눔의 지원을 받아 탈북 여성 및 이주 여성 중 성매매 피해를 입은 이들을 위한 지원 사업을 시작하였다. 같은 해 4월 29일에는 역시 바보의 나눔의 지원으로 종로3가 지역의 중고령 여성을 위한 지원 사업을 개시하였으며, 이를 위해 '소곤소곤사랑방'을 개소하였다.4. 출판
막달레나공동체는 성매매 여성들의 현실과 목소리를 사회에 알리고, 탈성매매 지원 활동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기 위해 다양한 출판 활동을 전개해왔다. 출판물들은 연구 보고서, 활동 기록집, 성매매 경험 여성들의 인터뷰집, 성매매방지법 등 관련 법률 안내서, HIV/AIDS 예방 교육 매뉴얼 등 다채로운 형태를 띤다.
이러한 출판물들은 성매매 여성들이 겪는 복합적인 문제와 인권 상황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탈성매매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여성들을 단순한 피해자로 규정하기보다, 어려운 현실 속에서도 자신의 삶을 개척해나가는 주체적인 존재로 조명하려는 시각이 돋보인다. 또한, 성매매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동료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관련 사례와 이론을 소개하는 등, 현장 중심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노력한다.
막달레나공동체의 출판 활동은 성매매 문제에 대한 사회적 담론을 형성하고 인식을 개선하며, 관련 정책 수립과 지원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4. 1. 연구 보고서 및 자료집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용감한 여성들, 늑대를 타고 달리는]`: 성매매 경험 여성을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일과 삶, 그리고 억압과 질곡을 겪어내는 당당한 주체"로 조명한다. 여덟 편의 글을 통해 성매매 문제에 대한 기존의 당위적 접근이 놓친 부분을 성찰하게 한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4&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탈성매매 미래를 준비하는 여성들]`: 탈성매매 지원 사업의 진행 과정을 기록한 자료이다. 전·현직 성매매 여성 10명과 진행한 전업 관련 인식 조사 결과,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성매매 대안 프로그램 탐방 기록 등을 담고 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5&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성매매 관련 법률 안내서]`: 성매매방지법에 대한 설명과 성매매 피해자들이 겪는 법률적 문제들을 정리했다. 관련 판례와 수사 실무 자료를 모아 피해자 및 지원 활동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제작되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6&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성매매로부터의 탈주, 그리고 전업]`: 성매매 여성들의 성산업 공간 경험, 미래에 대한 생각, 전업에 대한 인식, 성매매방지법 시행 및 지원 방안에 대한 의견을 담은 설문 조사 연구 결과이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7&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밥이 되고, 희망이 되고, 삶이 된 마음들]`: 막달레나의 집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시설을 거쳐 간 여성들, 후원자, 실무자,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만든 책이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8&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HIV AIDS 예방교육 메뉴얼]`: 성산업 환경에 놓인 여성들이 질병 위험에 노출되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여, 건강권을 지키기 위한 HIV/AIDS 예방 교육 매뉴얼이다.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9&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동료교육에서 희망을 본다 (용감한 여성들, 필드워크하다 개정증보판)]`: 2002년 용산 지역 성매매 여성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필드워커 양성 프로젝트의 과정과 성과를 담고 있다. 동료 교육에 대한 국내외 사례와 이론적 접근을 소개한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0&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경계의 차이 사이 틈새]`: 성매매 공간의 복잡한 측면과 그 안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의 삶의 권리 문제를 다룬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1&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붉은 벨벳앨범 속의 여인들]`: 3년간 진행된 전업 인식 조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2007년 폐쇄가 예고된 용산역 앞 성매매 집결지 여성들의 심층 인터뷰 기록으로, 성매매, 지역, 전업, 개인적 추억 등 삶의 다양한 이야기를 밀도 있게 담아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2&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막달레나, 용감한여성들의 꿈집결지]`: 막달레나의 집 설립 배경부터 시설을 거쳐 간 여성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옥정 대표의 경험을 통해 유연하고 개방적인 현장 활동 방식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판도라사진프로젝트]`: 사라진 용산역 앞 성매매 집결지를 중심으로, 그곳에서 일했던 중장년 여성들이 참여한 사진 모임의 결과물이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성매매 집결지의 모습, 철거 과정, 새로운 정착 과정 등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4. 2. 여성들의 이야기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용감한 여성들, 늑대를 타고 달리는]: 성매매 여성들을 포함한 여러 여성들의 "일과 삶, 그리고 억압과 질곡을 겪어내는 당당한 주체"로서의 모습을 여덟 편의 글을 통해 다큐멘터리처럼 그려낸 책이다. 이를 통해 사회가 여성들에게 강요하는 '당위'가 실제 삶에서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돌아보게 한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47&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밥이 되고, 희망이 되고, 삶이 된 마음들]: 막달레나의 집 설립 20주년을 기념하여 발간된 책이다. 이곳을 거쳐 간 여성들과 후원자, 실무자, 자원봉사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그들의 경험과 마음을 나누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1&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붉은 벨벳앨범 속의 여인들]: 2007년 폐쇄가 예고되었던 용산성매매집결지 여성들의 삶을 심층 인터뷰 형식으로 기록한 책이다. 막달레나의 집이 3년간 진행한 전업 관련 인식 조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으며, 성매매, 지역 사회, 전업에 대한 생각, 소중한 추억 등 여성들의 삶 전반에 관한 이야기를 밀도 있게 담아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2&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막달레나, 용감한여성들의 꿈집결지]: 막달레나의 집 설립 배경부터 이곳을 거쳐 간 수많은 여성들의 삶의 여정을 담고 있다. 특히 이옥정 대표의 이야기를 통해 현장 활동의 생생함과 유연성을 엿볼 수 있다.
- [https://www.archivecenter.net/magdalena1985/archive/srch/ArchiveNewSrchView.do?i_id=96953&srch_total=&pageIndex=1&i_clssfrm=1&i_clssprov=&i_clsssub=&i_clssage=&orderColumn=I_ID%2520DESC&view_type=&pageUnit=10 판도라사진프로젝트]: 지금은 사라진 용산역 앞 성매매집결지에서 일했던 중장년 여성들이 참여한 사진 모임의 결과물이다. 2009년 1월부터 2012년 3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성매매집결지의 모습, 철거 과정, 그리고 참여 여성들이 새로운 곳에 정착해 적응하는 과정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