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루쿠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루쿠 주는 인도네시아의 주로, 말루쿠 제도를 포함한다. "말루쿠"라는 명칭은 이 지역의 역사적 왕국 연합을 가리키며, 14세기부터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말루쿠 제도는 멜라네시아인들이 최초로 정착했으며, 14세기 마자파히트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6세기 초 포르투갈을 시작으로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 등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를 겪었으며, 1945년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남몰루카 공화국이 선포되었으나 진압되었다. 1999년 북말루쿠 주가 분리되었고, 1999년 종교 분쟁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현재 말루쿠는 9개의 군과 2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임업, 어업이 주요 산업이다. 말루쿠의 문화는 티파 토토부앙, 카칼렐레, 카트레지 등 다양한 음악과 춤으로 대표되며, 관광 명소로는 마누셀라 국립공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루쿠주 - 남말루쿠 공화국
남말루쿠 공화국은 1950년 남말루쿠 지역에서 독립을 선언했으나 인도네시아 정부에 의해 진압되었고, 이후 망명 정부가 네덜란드에 수립되었다. - 말루쿠주 - 반다 제도
반다 제도는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군도로, 과거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칼데라 지형을 보이며, 17세기 육두구 무역을 둘러싼 학살 사건과 쟁탈전이 벌어졌고, 현재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주민들이 거주한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자카르타
자카르타는 인도네시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아시안 게임을 개최하고 다양한 민족과 종교가 공존하며, 동남아시아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도시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 - 서파푸아주
서파푸아주는 뉴기니섬 서쪽 지역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주로, 4만 년 전부터 인류가 거주하며 다양한 문화와 언어가 발달했고 역사적으로 여러 제국과 술탄국의 지배를 거쳐 네덜란드 식민 지배를 받았으며, 인도네시아에 편입되었지만 분리 독립 운동이 이어지고 있다.
| 말루쿠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 |
![]() | |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말루쿠 주 |
| 로마자 표기 | Provinsi Maluku |
| 다른 이름 | 몰루카스 |
| 좌우명 | 시왈리마 (Siwalima) (암본어) 함께 속해 있다 |
| 수도 | 암본 |
| 주도 | 암본 |
| 면적 | 57803.81 km² |
| 면적 순위 | 인도네시아 15위 |
| 최고 고도 | 9931 ft |
| 최고점 | 비나이야 산 |
| 인구 | 1,908,753명 |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 인구 정보 출처 | Badan Pusat Statistik, Jakarta, 2024년 2월 28일, Provinsi Maluku Dalam Angka 2024 (Katalog-BPS 1102001.81) |
| 공식 웹사이트 | malukuprov.go.id |
| 행정 | |
| 주지사 | 사달리 이에 (대행) |
| 정부 | 말루쿠 주 정부 |
| 인구 통계 | |
| 민족 구성 | 알푸르족 암본인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부기스족 부톤족 자바인 기타 인도네시아인 |
| 종교 (2021년) | 이슬람교: 52.85% 기독교: 46.3% 개신교: 39.4% 천주교: 6.9% 힌두교: 0.32% 불교: 0.02% 민간 종교: 0.55% |
| 언어 | 인도네시아어 (공용어) 암본 말레이어 (링구아 프랑카) 기타 언어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인도네시아 동부 시간 |
| UTC 오프셋 | +09 |
| 인간 개발 지수 (2024년) | 0.734 25위 - 높음 |
| ISO 3166-2 코드 | ID-MA |
| 이미지 | |
![]() | |
![]() | |
2. 어원
역사적으로 '말루쿠(Maluku)'라는 용어는 북말루쿠에 있는 네 개의 왕국 중심지, 즉 테르나테, 티도레, 바칸, 자일롤로를 가리켰다.[8] 이 네 왕국으로 이루어진 연합체는 14세기에 등장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몰로쿠 키 라하(Moloku Kie Raha) 또는 "말루쿠의 네 산"이라고 불렸다.[8]
암본섬의 역사 문서를 참고하라.
"말루쿠(Maluku)"라는 단어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많은 전문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10] "말루쿠(Maluku)"와 동일시할 수 있는 최초의 기록된 단어는 1365년의 고대 자바어 찬사인 나가라크레타가마에서 나온다. 14장 5절에는 "말로코(Maloko)"가 언급되어 있는데, 피제오(Pigeaud)는 이를 테르나테 또는 몰루카스로 식별했다.[11][12] 한 이론에 따르면, 말루쿠라는 이름은 "말루쿠 키 라하(Maluku Kie Raha)" 개념에서 유래한다. "라하(Raha)"는 4를 의미하고, "키(kie)"는 산을 의미하며, 각각의 콜라노(지역 왕의 칭호)를 가진 테르나테, 티도레, 바칸, 자일롤로(할마헤라)의 네 산을 가리킨다. 따라서 말루쿠는 "몰로쿠(Moloku)"에서 유래할 수 있는데, 여기서 "몰로쿠"는 잡거나 쥐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몰로쿠 키 라하(Moloku Kie Raha)"의 의미는 "네 산의 연합"이다. 그러나 어근 "로쿠(loku)"는 지역 말레이 크리올어에서 단위를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토착어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 다른 가능성은 "말로코(Maloko)"라는 단어가 "마(Ma)"(지지하다)와 지역을 가리키는 "로코(Loko)"의 결합이라는 것이다. "말로코 키 라하(Maloko Kie Raha)"라는 구절은 "네 산을 가진 장소/세계"를 의미한다.[13]
3. 역사
말루쿠 제도는 기원전 4만 년 전에 멜라네시아인들이 최초로 정착하여 알리푸루 부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이들은 후대의 오스트로네시아인 이동과 함께 말루쿠의 원주민이 되었다.
14세기 초, 마자파히트 왕국이 해양 동남아시아를 지배했다. 당시 자바의 상인들이 말루쿠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다.[14]
명나라 시대에 말루쿠의 향신료는 다양한 예술 작품과 역사서에 등장한다. W.P. 그로네벨트가 그린 '구눙 두파, 말루쿠'라는 그림에는 말루쿠가 정향이 가득한 푸른 산악 지대로, 남동쪽 바다 한가운데의 오아시스로 묘사되어 있다. 마르코 폴로 또한 수마트라 방문 당시 말루쿠의 정향 무역을 기록했다.[14]
유럽 식민 세력이 도착하기 전, 말루쿠 제도에는 테르나테 술탄국, 티도레 술탄국, 자일롤로 술탄국, 바칸 술탄국 등 네 개의 주요 술탄국이 '''“몰로쿠 키에 라하(Moloku Kie Raha)”''' 또는 '''“말루쿠의 네 산(Four Mountains of Maluku)”'''으로 알려진 권력 구조를 형성했다.[15] 이들은 동맹과 경쟁 관계를 모두 맺으며 역동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특히 귀중한 향신료 무역을 통해 지역의 안정과 번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6][17]
테르나테 술탄국은 정향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바불라 술탄은 포르투갈을 축출하고 주권을 유지했다.[18][19] 티도레 술탄국은 테르나테와 경쟁 관계였으며, 누쿠 술탄은 지역 동맹을 구축하고 저항하여 주권을 지켰다.[18][20] 자일롤로 술탄국과 바칸 술탄국은 말루쿠의 정치적, 사회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1][22] 이 네 술탄국은 ''몰로쿠 키에 라하'' 시스템을 통해 외부 위협에 맞서고 말루쿠의 경제적, 문화적 잠재력을 관리하는 데 있어 단결의 유대감을 보여주었다.[23]
16세기 초 포르투갈의 도착, 그리고 이어서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의 도착으로 술탄국 시대는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에 대한 유럽의 진출은 지역 권력의 약화와 말루쿠의 정치적, 경제적 구조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24]
1512년 안토니우 드 아브레우와 프란시스쿠 세라웅이 지휘하는 포르투갈 함대가 말루쿠 제도에 상륙했다.[25] 이들은 테르나테 술탄국 등 현지 주민들과 관계를 맺고 암본섬 등에 요새를 건설하며 가톨릭을 전파했다.[25] 프란시스코 하비에르는 1546년부터 1547년까지 말루쿠 제도에서 선교 활동을 했다.[25]
1570년 포르투갈과 테르나테 간의 전쟁(포르투갈-테르나테 전쟁)으로 포르투갈은 테르나테에서 쫓겨났다.[25] 1605년 네덜란드는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말루쿠 대부분을 장악했다.[25]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설립 후, 네덜란드는 말루쿠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다.[25] VOC는 말루쿠의 정향 무역을 독점하고, 다른 유럽 열강을 추방하며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25]
나폴레옹 전쟁 중 영국이 말루쿠를 점령했다가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으로 네덜란드에 반환했다.[25] 1817년 네덜란드 통치에 반발한 토마스 마툴레시(카피탄 파티무라)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25][26][27] 파티무라와 그의 동료들은 처형되었고, 마르타 크리스티나 티아하후는 자바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27]

1941년 12월 7일,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후, 일본군이 말루쿠를 점령하였다. 일본군은 1942년 1월 31일 공격을 개시하여 북쪽 해안의 후투 해변과 남쪽의 리퉁 해변에 상륙했다. 이들은 KNIL 병사들과 소규모 호주 부대의 저항에 직면했으나, KNIL 사령관은 공격 다음 날 사로잡혔고, 활주로의 마지막 방어자들은 며칠 후 제압당했다. 이 전투 이후 라하 학살에서 300명 이상의 연합군 포로가 즉결 처형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한 이틀 후,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 발표되었다. 몰루카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한 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일본 항복 후 네덜란드령 동인도 민정부가 몰루카에 즉시 재진입하여 통제권을 장악했다. 네덜란드는 1949년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의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할 때까지 몰루카를 통제했고, 이후 몰루카를 떠났다.
주로 자바 출신 무슬림인 인도네시아 지도부에 대한 깊은 불신으로 인해, 1951년 암본에서 독립적인 남몰루카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MS, Republik Maluku Selatan)이 선포되었다. RMS는 전 몰루카 식민지 군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인도네시아군은 분리주의자들을 진압하기 위해 몰루카를 침공했다. 암본의 RMS 주요 거점은 1950년 11월 인도네시아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세람 섬에서는 1962년까지 소규모 게릴라 투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암본에서의 패배는 자칭 RMS 정부의 섬 탈출과 네덜란드에 있는 망명 정부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이듬해 약 1만 2천 명의 몰루카 군인들이 가족과 함께 네덜란드로 갔다.
1958년 4월과 5월, 북술라웨시에서 페르메스타 반란이 일어나는 동안, 미국은 반군을 지원하고 무기를 공급했다. 타이완에 기지를 둔 CIA 위장 조직인 민간항공운송의 조종사들은 CIA B-26 인베이더 항공기를 이용하여 암본의 표적을 반복적으로 공격했다.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 암본 시에 대한 CIA 공습이 있었다. 1958년 5월 8일, CIA 조종사 앨런 포프는 섬 북동쪽 리앙에 있는 인도네시아 공군 기지를 공습하여 활주로를 손상시키고 컨솔리데이티드 PBY 카탈리나기를 파괴했다. 인도네시아 공군은 암본 섬에 리앙에 있는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 한 대만 운용 가능한 전투기가 있었다. 포프의 마지막 공습은 5월 18일이었는데, 리앙에 있던 인도네시아 조종사 이그나티우스 데완토 대위가 P-51을 출격시켰다. 데완토가 포프를 잡기 전에 포프는 암본 시를 공격했지만, 데완토는 포프가 암본 섬 서쪽 인도네시아 함대의 군함 두 척을 공격할 때 그를 가로챘다. 데완토와 함선의 대공포 사격으로 B-26이 격추되었다. 포프와 그의 인도네시아 무선 통신수는 탈출하여 체포되었고, 이는 CIA가 페르메스타 반란을 지원한 수준을 즉각적으로 드러냈다. 당황한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페르메스타에 대한 CIA 지원을 신속히 종식하고, 그들의 요원과 남은 항공기를 갈등에서 철수시켰다.
몰루카 종파 갈등은 1999년 1월 몰루카 전역에서 발발했다. 이후 18개월 동안 주로 현지 무슬림과 기독교인 그룹 간의 싸움, 수천 채의 집 파괴, 약 50만 명의 이재민 발생, 수천 명의 사망,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분리 등이 특징이었다.[28] 1999년 1월 기독교와 무슬림 공동체 간에 종교 간 싸움이 발발하여 전면전과 양측이 저지른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로 이어졌다.[29] 따라서 주요 교전 세력은 양쪽 종교의 종교 민병대였고,[30] 잘 조직된 이슬람주의 라스카르 지하드[31]와 인도네시아 정부군도 포함되었다.[32]
240px
말루쿠 주(Maluku)는 원래 기독교도와 이슬람교도가 공존해 온 지역이었지만, 1999년 1월 14일 아루 제도의 도보/Doboid에서 양자 간에 분쟁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5일 후 암본 시(Ambon)로 확산되어, 이슬람교도인 부기스족(Bugis)과 기독교도인 암본인이 서로의 주택과 상점에 방화를 저질렀다. 이 갈등은 같은 날 카이 제도, 사파루아 섬/Saparua영어, 하르쿠 섬/Haruku Island영어, 세람 섬 등으로 번졌다. 그해 연말까지 4,000명의 사망자와 4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이 갈등은 몰루카 지역 210만 명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국제 위기 그룹은 말리노 협정 체결 전까지 몰루카에서 4년간의 싸움으로 70만 명이 이재민이 되었고 최소 5,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33] 이는 인도네시아 국가 연합 이후 최대 규모의 난민 이동이었고, 2002년 2월 세계식량계획이 보고한 140만 명의 국내 난민의 대다수를 차지했다.[34] 이 갈등 기간은 일반적으로 1999년 초 개혁 시대 시작부터 2002년 2월 13일 말리노 II 협정 체결까지로 본다.
이 내전 발생 당시, 상호 대립을 의도적으로 선동하는 자나 정보가 조직적으로 준비되었다는 정보가 있으며, 인도네시아군이 국정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와히드 정권(Wahid administration)을 흔들 목적으로 기획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50]。
1950년부터 1999년까지, 모든 말루쿠 제도의 섬들은 하나의 주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1999년, 북부의 군이 북말루쿠 주로 분리되었다.
3. 1. 식민지 이전 시대
말루쿠 제도는 기원전 4만 년 전에 멜라네시아인들이 최초로 정착하여 알리푸루 부족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이들은 후대의 오스트로네시아인 이동과 함께 말루쿠의 원주민이 되었다.
14세기 초, 마자파히트 왕국이 해양 동남아시아를 지배했다. 당시 자바의 상인들이 말루쿠의 향신료 무역을 독점했다.[14]
명나라 시대에 말루쿠의 향신료는 다양한 예술 작품과 역사서에 등장한다. W.P. 그로네벨트가 그린 '구눙 두파, 말루쿠'라는 그림에는 말루쿠가 정향이 가득한 푸른 산악 지대로, 남동쪽 바다 한가운데의 오아시스로 묘사되어 있다. 마르코 폴로 또한 수마트라 방문 당시 말루쿠의 정향 무역을 기록했다.[14]
유럽 식민 세력이 도착하기 전, 말루쿠 제도에는 테르나테 술탄국, 티도레 술탄국, 자일롤로 술탄국, 바칸 술탄국 등 네 개의 주요 술탄국이 '''“몰로쿠 키에 라하(Moloku Kie Raha)”''' 또는 '''“말루쿠의 네 산(Four Mountains of Maluku)”'''으로 알려진 권력 구조를 형성했다.[15] 이들은 동맹과 경쟁 관계를 모두 맺으며 역동적인 관계를 유지했고, 특히 귀중한 향신료 무역을 통해 지역의 안정과 번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16][17]
테르나테 술탄국은 정향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바불라 술탄은 포르투갈을 축출하고 주권을 유지했다.[18][19] 티도레 술탄국은 테르나테와 경쟁 관계였으며, 누쿠 술탄은 지역 동맹을 구축하고 저항하여 주권을 지켰다.[18][20] 자일롤로 술탄국과 바칸 술탄국은 말루쿠의 정치적, 사회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21][22] 이 네 술탄국은 ''몰로쿠 키에 라하'' 시스템을 통해 외부 위협에 맞서고 말루쿠의 경제적, 문화적 잠재력을 관리하는 데 있어 단결의 유대감을 보여주었다.[23]
16세기 초 포르투갈의 도착, 그리고 이어서 스페인, 네덜란드, 영국의 도착으로 술탄국 시대는 급격하게 변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에 대한 유럽의 진출은 지역 권력의 약화와 말루쿠의 정치적, 경제적 구조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24]
3. 2. 식민지 시대
1512년 안토니우 드 아브레우와 프란시스쿠 세라웅이 지휘하는 포르투갈 함대가 말루쿠 제도에 상륙했다.[25] 이들은 테르나테 술탄국 등 현지 주민들과 관계를 맺고 암본섬 등에 요새를 건설하며 가톨릭을 전파했다.[25] 프란시스코 하비에르는 1546년부터 1547년까지 말루쿠 제도에서 선교 활동을 했다.[25]
1570년 포르투갈과 테르나테 간의 전쟁(포르투갈-테르나테 전쟁)으로 포르투갈은 테르나테에서 쫓겨났다.[25] 1605년 네덜란드는 포르투갈 요새를 점령하고 말루쿠 대부분을 장악했다.[25] 1602년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 설립 후, 네덜란드는 말루쿠의 유일한 지배자가 되었다.[25] VOC는 말루쿠의 정향 무역을 독점하고, 다른 유럽 열강을 추방하며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25]
나폴레옹 전쟁 중 영국이 말루쿠를 점령했다가 181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으로 네덜란드에 반환했다.[25] 1817년 네덜란드 통치에 반발한 토마스 마툴레시(카피탄 파티무라)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25][26][27] 파티무라와 그의 동료들은 처형되었고, 마르타 크리스티나 티아하후는 자바로 가는 도중 사망했다.[27]
3. 3. 현대
1941년 12월 7일, 제2차 세계 대전의 일환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한 후, 일본군이 말루쿠를 점령하였다. 일본군은 1942년 1월 31일 공격을 개시하여 북쪽 해안의 후투 해변과 남쪽의 리퉁 해변에 상륙했다. 이들은 KNIL 병사들과 소규모 호주 부대의 저항에 직면했으나, KNIL 사령관은 공격 다음 날 사로잡혔고, 활주로의 마지막 방어자들은 며칠 후 제압당했다. 이 전투 이후 라하 학살에서 300명 이상의 연합군 포로가 즉결 처형되었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연합군에 항복한 이틀 후, 인도네시아 독립 선언이 발표되었다. 몰루카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한 주로 선포되었다. 그러나 일본 항복 후 네덜란드령 동인도 민정부가 몰루카에 즉시 재진입하여 통제권을 장악했다. 네덜란드는 1949년 네덜란드-인도네시아 원탁 회의에 따라 인도네시아의 주권을 인정할 때까지 몰루카를 통제했고, 이후 몰루카를 떠났다.
주로 자바 출신 무슬림인 인도네시아 지도부에 대한 깊은 불신으로 인해, 1951년 암본에서 독립적인 남몰루카 공화국(인도네시아어: RMS, Republik Maluku Selatan)이 선포되었다. RMS는 전 몰루카 식민지 군인들 사이에서 강력한 지지를 받았다. 인도네시아군은 분리주의자들을 진압하기 위해 몰루카를 침공했다. 암본의 RMS 주요 거점은 1950년 11월 인도네시아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세람 섬에서는 1962년까지 소규모 게릴라 투쟁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암본에서의 패배는 자칭 RMS 정부의 섬 탈출과 네덜란드에 있는 망명 정부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이듬해 약 1만 2천 명의 몰루카 군인들이 가족과 함께 네덜란드로 갔다.
1958년 4월과 5월, 북술라웨시에서 페르메스타 반란이 일어나는 동안, 미국은 반군을 지원하고 무기를 공급했다. 타이완에 기지를 둔 CIA 위장 조직인 민간항공운송의 조종사들은 CIA B-26 인베이더 항공기를 이용하여 암본의 표적을 반복적으로 공격했다.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 암본 시에 대한 CIA 공습이 있었다. 1958년 5월 8일, CIA 조종사 앨런 포프는 섬 북동쪽 리앙에 있는 인도네시아 공군 기지를 공습하여 활주로를 손상시키고 컨솔리데이티드 PBY 카탈리나기를 파괴했다. 인도네시아 공군은 암본 섬에 리앙에 있는 노스아메리칸 P-51 머스탱 한 대만 운용 가능한 전투기가 있었다. 포프의 마지막 공습은 5월 18일이었는데, 리앙에 있던 인도네시아 조종사 이그나티우스 데완토 대위가 P-51을 출격시켰다. 데완토가 포프를 잡기 전에 포프는 암본 시를 공격했지만, 데완토는 포프가 암본 섬 서쪽 인도네시아 함대의 군함 두 척을 공격할 때 그를 가로챘다. 데완토와 함선의 대공포 사격으로 B-26이 격추되었다. 포프와 그의 인도네시아 무선 통신수는 탈출하여 체포되었고, 이는 CIA가 페르메스타 반란을 지원한 수준을 즉각적으로 드러냈다. 당황한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페르메스타에 대한 CIA 지원을 신속히 종식하고, 그들의 요원과 남은 항공기를 갈등에서 철수시켰다.
몰루카 종파 갈등은 1999년 1월 몰루카 전역에서 발발했다. 이후 18개월 동안 주로 현지 무슬림과 기독교인 그룹 간의 싸움, 수천 채의 집 파괴, 약 50만 명의 이재민 발생, 수천 명의 사망, 무슬림과 기독교인의 분리 등이 특징이었다.[28] 1999년 1월 기독교와 무슬림 공동체 간에 종교 간 싸움이 발발하여 전면전과 양측이 저지른 민간인에 대한 잔혹 행위로 이어졌다.[29] 따라서 주요 교전 세력은 양쪽 종교의 종교 민병대였고,[30] 잘 조직된 이슬람주의 라스카르 지하드[31]와 인도네시아 정부군도 포함되었다.[32]
240px
말루쿠 주(Maluku)는 원래 기독교도와 이슬람교도가 공존해 온 지역이었지만, 1999년 1월 14일 아루 제도의 도보/Doboid에서 양자 간에 분쟁이 발생했다. 이 분쟁은 5일 후 암본 시(Ambon)로 확산되어, 이슬람교도인 부기스족(Bugis)과 기독교도인 암본인이 서로의 주택과 상점에 방화를 저질렀다. 이 갈등은 같은 날 카이 제도, 사파루아 섬/Saparua영어, 하르쿠 섬/Haruku Island영어, 세람 섬 등으로 번졌다. 그해 연말까지 4,000명의 사망자와 4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이 갈등은 몰루카 지역 210만 명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국제 위기 그룹은 말리노 협정 체결 전까지 몰루카에서 4년간의 싸움으로 70만 명이 이재민이 되었고 최소 5,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했다.[33] 이는 인도네시아 국가 연합 이후 최대 규모의 난민 이동이었고, 2002년 2월 세계식량계획이 보고한 140만 명의 국내 난민의 대다수를 차지했다.[34] 이 갈등 기간은 일반적으로 1999년 초 개혁 시대 시작부터 2002년 2월 13일 말리노 II 협정 체결까지로 본다.
이 내전 발생 당시, 상호 대립을 의도적으로 선동하는 자나 정보가 조직적으로 준비되었다는 정보가 있으며, 인도네시아군이 국정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 위해 와히드 정권(Wahid administration)을 흔들 목적으로 기획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다[50]。
1950년부터 1999년까지, 모든 말루쿠 제도의 섬들은 하나의 주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1999년, 북부의 군이 북말루쿠 주로 분리되었다.
4. 행정 구역
말루쿠 주는 9개의 군(kabupaten)과 2개의 시(kota)로 구성된다.[5][6][35] 1999년 북부 지역이 말루쿠 우타라 주(''Maluku Utara'')로 분리된 후, 남은 말루쿠 주는 중부 말루쿠와 남동부 말루쿠의 두 레젠시와 암본시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999년 10월 4일 중부 말루쿠에서 부루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에서 남동부 말루쿠 서부 레젠시가 분리되어 두 개의 새로운 레젠시가 만들어졌다. 2003년 12월 18일(법률 40/2003에 따라) 세 개의 레젠시가 추가로 만들어졌는데, 중부 말루쿠의 일부에서 동 세람 레젠시와 서 세람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의 일부에서 아루 제도 레젠시가 만들어졌다(따라서 남동부 말루쿠는 카이 제도만 남게 되었다). 2007년 7월 17일에는 남동부 말루쿠에서 투알시가 분리되었고, 2008년 6월 24일에는 부루의 일부에서 남부 부루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 서부의 일부에서 남서부 말루쿠 레젠시가 만들어졌다. 남동부 말루쿠 서부 레젠시의 나머지 부분은 2019년 1월 23일에 타님바르 제도 레젠시로 이름이 바뀌었다.
| 코드 위layah | 도시 또는 레젠시 이름 | 수도 | 면적 km2 | 2010년 인구 조사[5] | 2020년 인구 조사[6] | 2023년 중반 추산치[35] | 구 수 | 마을 수 | HDI[36] 2022 |
|---|---|---|---|---|---|---|---|---|---|
| 81.71 | 암본 시 (Kota Ambon) | 359.45 | 331,254 | 347,288 | 354,052 | 5 | 50 | 0.816 (매우 높음) | |
| 81.72 | 투알 시 (Kota Tual) (카이 제도에 위치) | 254.39 | 58,082 | 88,280 | 90,007 | 5 | 30 | 0.686 (중간) | |
| 81.07 | 아루 제도 (Kepulauan Aru) | 도보 | 6,426.77 | 84,138 | 102,237 | 108,834 | 10 | 119 | 0.642 (중간) |
| 81.04 | 부루 레젠시 | 남레아 | 7,595.58 | 108,445 | 135,238 | 139,408 | 10 | 82 | 0.694 (중간) |
| 81.01 | 중부 말루쿠 레젠시 (Maluku Tengah) | 마소히 | 11,595.57 | 361,698 | 423,094 | 430,798 | 18 | 192 | 0.718 (높음) |
| 81.05 | 동 세람 레젠시 (Seram Bagian Timur) | 불라 또는 다타란 후니모아 | 5,779.12 | 99,065 | 137,972 | 138,580 | 15 | 198 | 0.650 (중간) |
| 81.09 | 남부 부루 레젠시 (Buru Selatan) | 남롤레[37] | 5,060.00 | 53,671 | 75,410 | 79,017 | 6 | 79 | 0.653 (중간) |
| 81.02 | 남동부 말루쿠 레젠시 (Maluku Tenggara) | 랑구르, 카이 제도에 위치 | 1,031.81 | 96,442 | 121,511 | 129,034 | 11 | 191 | 0.668 (중간) |
| 81.08 | 남서부 말루쿠 레젠시 (Maluku Barat Daya) | 티아쿠르, 레티 제도에 위치[38] | 4,581.06 | 70,714 | 81,928 | 93,766 | 17 | 118 | 0.630 (중간) |
| 81.03 | 타님바르 제도 레젠시 (Kepulauan Tanimbar) | 사움라키, 타님바르 제도에 위치 | 10,102.92 | 105,341 | 123,572 | 130,278 | 10 | 82 | 0.634 (중간) |
| 81.06 | 서 세람 레젠시 (Seram Bagian Barat) | 피루 또는 다타란 후니포푸 | 5,017.14 | 164,656 | 212,393 | 214,979 | 11 | 92 | 0.666 (중간) |
4. 1. 군
말루쿠 주는 1999년 북부 지역이 말루쿠 우타라 주로 분리된 후, 중부 말루쿠, 남동부 말루쿠와 암본시로 구성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는 9개의 군(''kabupaten'')과 암본, 투알의 2개 도시(''kota'')로 구성되어 있다.[5][6][35]1999년 10월 4일 중부 말루쿠에서 부루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에서 남동부 말루쿠 서부 레젠시가 분리되었다. 2003년 12월 18일에는 중부 말루쿠에서 동 세람 레젠시와 서 세람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에서 아루 제도 레젠시가 분리되었다. 2007년 7월 17일에는 남동부 말루쿠에서 투알시가 분리되었고, 2008년 6월 24일에는 부루에서 남부 부루 레젠시가, 남동부 말루쿠 서부에서 남서부 말루쿠 레젠시가 분리되었다. 2019년 1월 23일, 남동부 말루쿠 서부 레젠시는 타님바르 제도 레젠시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말루쿠 주의 군과 시는 다음과 같다.[5][6][35]
| 군/시 이름 | 수도 |
|---|---|
| 암본 시 | 암본 |
| 투알 시 | 투알 |
| 아루 제도 | 도보 |
| 부루 군 | 남레아 |
| 중부 말루쿠 군 | 마소히 |
| 동 세람 군 | 불라 또는 다타란 후니모아 |
| 남부 부루 군 | 남롤레 |
| 남동부 말루쿠 군 | 랑구르 |
| 남서부 말루쿠 군 | 티아쿠르 |
| 타님바르 제도 군 | 사움라키 |
| 서 세람 군 | 피루 또는 다타란 후니포푸 |
말루쿠 주는 인민대표평의회 의원을 선출하는 84개의 전국 선거구 중 하나인 '''말루쿠 선거구'''를 형성하며, 4명의 의원을 선출한다.[39]
4. 2. 시
말루쿠 주는 9개의 레젠시(''kabupaten'')와 2개의 시(''kota'')로 구성되어 있다.[5][6][35] 2개의 시는 다음과 같다.- 암본 (주도)
- 투알
5. 지리
말루쿠는 북쪽으로, 서파푸아는 동쪽으로, 남동술라웨시주와 중앙술라웨시주는 서쪽으로, 동티모르와 오스트레일리아는 남쪽으로 말루쿠와 접한다. 전체 면적은 해양 면적 527,191km²와 육지 면적 57,803.81km²로 구성되며, 말루쿠의 약 90%가 해양 면적이다. 군도 주인 말루쿠는 세람(18,625km²), 부루섬(9,000km²), 얌데나섬(5,085km²), 웨타르섬(3,624km²) 등 비교적 큰 섬을 포함하여 559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주의 대부분의 섬들은 소순다열도의 동쪽 연장선에 해당하는 두 개의 주로 잠긴 해양 산맥을 따라 위치한다. 안쪽 호는 웨타르섬에서 로망섬/Romang영어과 다마르섬(그리고 북동쪽의 작은 섬들)을 거쳐 반다제도에서 끝난다. 바깥쪽 호는 웨타르 해협에서 키사르섬, 레티섬, 세르마타섬, 바바르섬, 타님바르섬, 케이섬(좀 더 정확히는 케이섬 서쪽의 쿠르섬 군도), 와투벨라섬, 고롱섬을 거쳐 세람섬과 부루섬에서 끝난다. 지역 해역의 지배적인 조건으로 말루쿠는 다른 주 및 주변 국가와의 상호 작용에 매우 개방적이다.
말루쿠 제도는 열대 몬순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기후는 광대한 해양의 존재에 크게 영향을 받고 그곳의 기후 계절과 조화를 이룬다. 암본, 투알, 사움라키의 기상 관측소를 기반으로 한 평균 기온은 각각 섭씨 26.80도, 27.70도, 27.40도이다. 최저 기온은 각각 24.00도, 24.70도, 23.80도이며, 투알의 평균 습도는 85.4%에 달하는 반면, 사움라키 기상 관측소의 기록에 따르면 평균 습도는 80.2%이다.
암본 지역의 평균적인 지형은 해안에서 주거 지역까지 비교적 평평하다. 암본의 본토 지형은 평평한 곳, 울퉁불퉁한 곳, 구릉지, 산악지로 다양하며, 완만한 경사에서 약간 가파른 경사까지 다양하다. 평평한 지역은 0~3%의 경사를, 물결 모양의 지역은 3~8%의 경사를, 구릉지는 8~15%의 경사를, 구릉 지역은 15~30%의 경사를, 산악 지역은 30% 이상의 경사를 가지고 있다. 중앙말루쿠군 서세람과 동세람의 경우, 지형은 일반적으로 구릉지이다. 0~2%, 경사/물결 모양 3~15%, 다소 가파른 15~40%, 매우 가파른 40%이다.
남동말루쿠군의 지형은 평야, 구릉, 산으로 나뉘며, 평평한 경사(0~3%), 평평/울퉁불퉁한(3~8%), 울퉁불퉁한(8~15%), 다소 가파른(15~30%), 매우 가파른(>50%) 지역이 있다. 해수면 고도는 저지대(0~100m), 중간 고도(100~500m), 고지대(>500m)의 세 등급으로 나뉜다.
부루군의 지형은 대부분 15~40% 및 40%의 경사를 가진 구릉지와 산악지이며, 나머지 고도는 일반적인 다양성을 보인다. 가장 높은 산봉우리는 부루 북서쪽 카팔라마다 지역에 위치하며 해발 2736미터이다. 라나 호수는 해발 1000미터가 넘는 고도로 추정되며, 약 700~750미터 정도로 추정된다. 경관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부루 지역은 평야와 산의 해안 구릉을 포함하여 고지대와 경사의 다양성을 포함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말루쿠 주는 암본 섬, 아루 제도, 반다 제도, 부루 섬(해안의 암벨라우 섬 포함), 카이 제도, 고롱 제도를 포함한다. 리스 제도는 사파루아/Saparua영어, 누사 라웃 및 하루쿠 섬/Haruku Island영어을 포함한다. 세람은 가장 큰 섬으로, 해안가의 섬들(특히 서쪽의 마니파, 켈롱 및 보아나 섬)을 포함한다. 남서부 제도(바라트 다야 제도)는 웨타르 섬, 키사르 섬, 로망 섬/Romang영어, 다머 섬과 그 외곽 섬들, 레티 제도, 세르마타 제도 및 바바르 제도를 포함한다. 타님바르 제도와 와투벨라 제도도 말루쿠 주에 속한다.
5. 1. 주요 섬 및 군도
말루쿠 주는 암본 섬, 아루 제도, 반다 제도, 부루 섬(해안의 암벨라우 섬 포함), 카이 제도, 고롱 제도를 포함한다. 리스 제도는 사파루아, 누사 라웃 및 하루쿠 섬을 포함한다. 세람은 가장 큰 섬으로, 해안가의 섬들(특히 서쪽의 마니파, 켈롱 및 보아나 섬)을 포함한다. 남서부 제도(바라트 다야 제도)는 웨타르 섬, 키사르 섬, 로망 섬, 다머 섬과 그 외곽 섬들, 레티 제도, 세르마타 제도 및 바바르 제도를 포함한다. 타님바르 제도와 와투벨라 제도도 말루쿠 주에 속한다.
6. 인구
인도네시아 중앙통계청(Badan Pusat Statistik)의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말루쿠 주의 인구는 1,848,923명이다. 1971년부터 2020년까지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1999년 말루쿠 북부주가 분리되면서 1995년에서 2000년 사이에 일시적으로 감소했다.
| 연도 | 인구 |
|---|---|
| 1971 | 1,089,565 |
| 1980 | 1,411,006 |
| 1990 | 1,857,790 |
| 1995 | 2,086,516 |
| 2000 | 1,205,539 |
| 2010 | 1,533,506 |
| 2015 | 1,683,856 |
| 2020 | 1,848,923 |
| 2021 | 1,862,626 |
| 2022 | 1,881,727 |
| 2023 | 1,908,753 |
6. 1. 민족
말루쿠 원주민은 멜라네시아계 알리푸루 부족이다. 오랜 기간 동안 중국인, 인도인, 페르시아인, 유럽인, 아랍인 등 다양한 민족과의 혼혈이 이루어졌다. 특히 2,300년 동안 외국 세력의 지배를 받았던 탓에 아랍인과의 혼혈이 매우 흔했다. 이러한 이유로 순수 멜라네시아계는 아니지만 여전히 멜라네시아-알리푸루 스타일을 계승하고 생활하는 새로운 후손들이 탄생했다.말루쿠는 동누사틍가라를 제외하고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많은 다민족 인구를 가진 지역으로 분류된다. 많은 말루쿠 사람들은 네덜란드(Van Afflen, Van Room, De Wanna, De Kock, Kniesmeijer, Gaspersz, Ramschie, Payer, Ziljstra, Van der Weden 등), 포르투갈(Da Costa, De Fretes, Que, Carliano, De Souza, De Carvalho, Pareira, Courbois, Frandescolli 등), 스페인(Oliviera, Diaz, De Jesus, Silvera, Rodriguez, Montefalcon, Mendoza, De Lopez 등), 예멘의 하드라마우트(Al-Kaff, Al Chatib, Bachmid, Bakhwereez, Bahasoan, Al-Qadri, Alaydrus, Assegaff 등) 등 외국계 성씨를 사용한다.
오늘날 말루쿠 사람들은 인도네시아 국내뿐 아니라 네덜란드, 수리남, 오스트레일리아, 미국 등 해외에도 거주한다. 1950년대 유럽으로의 대규모 이주가 대표적인 해외 이주의 원인이며, 이외에도 더 나은 삶과 더 많은 지식을 얻기 위해, 혹은 다른 민족과의 결혼으로 해외에 정착하는 경우도 있다. 네덜란드는 말루쿠 섬 다음으로 말루쿠 사람들에게 두 번째 고향으로 여겨진다. 인도네시아 내에서는 메단, 팔렘방, 반둥, 자카르타 대도시권, 중부 자바, 요그야카르타, 동부 자바, 마카사르, 쿠팡, 마나도, 동 칼리만탄, 소롱, 자야푸라 등에서 말루쿠 공동체를 찾아볼 수 있다.
6. 2. 언어
말루쿠는 과거 스페인, 포르투갈, 아랍, 네덜란드 등 탐험가들의 영향을 받아 외국어의 영향을 받았다. 말루쿠의 링구아 프랑카는 암본어이며, 말루쿠 주 거의 모든 주민들이 사용하며, 테르나테, 마나도, 쿠팡 등 동인도네시아 다른 지역 사람들에게도 점차 이해되고 있다. 이는 암본어가 북술라웨시주, 말루쿠주, 동누사틍가라주 및 인도네시아 파푸아 6개 주의 다른 언어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인도네시아어는 인도네시아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자 통일의 언어이며, 정부 기관, 학교, 박물관, 공항, 항구 등 공식적인 공공 활동에 사용된다.
말루쿠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군도이지만, 이 지역의 90%는 바다이고 10%만이 육지이다. 서로 멀리 떨어져 있는 많은 섬들로 인해 이 주에서 사용되는 언어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암본어와 인도네시아어 외에도, 서세람군의 피루, 세루아완 등지의 주민들이 사용하는 웨말레어, 서세람군 지역의 탈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알루네어, 세람 섬 남부 누아울루 부족이 사용하는 누아울루어, 동세람군에서 사용되는 아티아후어, 북세람과 동텔루티에서 사용되는 세티어, 아루 섬 지역에서 사용되는 타랑간어 등이 있다.
6. 3. 종교
말루쿠 주민 대부분은 이슬람교(인구의 52.85%) 또는 기독교(인구의 46.3%)를 믿는다.[40] 기독교 신자들은 프로테스탄티즘(39.39%)과 가톨릭교(6.87%) 신자들로 나뉜다.[40] 민간 종교, 힌두교, 불교 신자들도 있다.[40] 이슬람교의 확산은 이하, 사울라우, 히투, 하투하하 술탄국과 말루쿠를 방문한 아랍 상인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40] 기독교의 확산은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의 선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졌다.[40]2013년 말루쿠 주의 예배 장소는 교회 2,345개, 모스크 2,000개, 사원 10개, 비하라 5개로 기록되었다.[40] 말루쿠 프로테스탄트 교회(Gereja Protestan Maluku 또는 GPM)는 말루쿠에서 가장 큰 교회 조직이자 시노드 조직으로, 말루쿠 전역의 사라네 지역에 교회 공동체를 두고 있다.[40]
7. 경제
말루쿠 주의 경제는 농업, 임업, 어업이 주력 산업이며, 전체의 약 25.00%를 차지한다.[41][42] 정부 서비스, 국방, 사회 보장 부문이 약 21%를 차지하며, 사업 및 소매 무역, 자동차 및 오토바이 수리 서비스는 12.59%, 건설 부문은 7.41%를 차지한다.[41]
거시 경제적으로 말루쿠의 경제 상황은 매년 개선되는 경향을 보인다. 2003년 말루쿠의 지역총생산(GRDP)은 3조 7천억 루피아였고, 2004년에는 4조 50억 루피아로 증가했다. 2004년 경제 성장률은 4.05%였고, 2005년에는 5.06%로 증가했다. 2014년 GDP 성장률은 6.70%로, 2013년의 5.26%에 비해 긍정적인 성장을 보였다.[41] 전기 및 가스 공급 사업 분야는 31.11% 성장하여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41] 광업(21.47%), 교육 서비스 사업(9.52%), 운송 및 창고 사업(8.77%), 가공 산업(8.42%), 정보 통신(7.62%), 금융 서비스 사업(7.61%), 건설(7.31%), 부동산(7.10%) 등 다른 경제 활동도 긍정적인 성장을 보였다.[41]
말루쿠 주의 지리적 조건은 사업 투자 기회의 전략적 측면에서 볼 때, 수산업 및 해양 부문의 천연 자원이 말루쿠의 주력 사업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축산업 및 농장 부문, 무역 부문, 관광 부문뿐만 아니라 서비스 부문 전체도 높은 판매 가치와 사업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017년 일본 석유 회사인 인펙스(Inpex)(Inpex Corporation)가 타님바르 제도 근처 아라푸라 해에 위치한 원유 및 천연가스전인 아바디(Abadi) 유전을 인수했다. 2017년, 이 회사는 사전 FEED 단계를 시작하고 마셀라(Masela) 블록 프로젝트의 해양 개발 계획을 준비하기 위해 SKK Migas와 합동 워크숍을 개최했다.[43]
8. 문화
말루쿠의 유명한 악기는 타악기의 일종인 티파와 토토부앙이며, 이들은 함께 연주되어 티파 토토부앙이라는 합주를 이룬다. 티파, 티파 제키르, 티파 다사르, 티파 포통, 티파 제키르 포통, 티파 바스와 큰 공, 그리고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받침대 위에 놓인 작은 공들의 집합체인 토토 부앙으로 구성된다. 또한 비아 스킨(조개껍데기)이라는 관악기도 있다.
말루쿠 문화에는 우쿨렐레와 같은 현악기도 있으며, 이는 미국의 하와이 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말루쿠 음악은 팝송이나 카트레지와 같은 전통 무용 반주에 하와이 악기가 사용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 다른 악기로는 사와트가 있는데, 이는 말루쿠 문화와 중동 문화의 융합이다. 수 세기 전 아랍인들이 말루쿠에 이슬람교를 전파하면서 음악을 포함한 여러 문화가 혼합되었으며, 탬버린과 플루트와 같이 아랍 음악 악기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 사와트 악기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악기 외에도 말루쿠 사람들은 노래 실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오래전부터 전통 무용 반주에 노래를 부르곤 했다.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에는 브로에리 페술리마, 다니엘 사훌레카, 루스 사하나야, 에릭 파필라야, 글렌 프레들리 등 많은 유명한 말루쿠 가수들이 있다.
== 춤 ==
말루쿠주의 전통 춤으로는 카칼렐레(Cakalele)가 있는데, 이는 성인 남성들이 파랑(Parang)과 살라와쿠(Salawaku)(방패)를 들고 추는 전쟁 춤이다. 사고 야자수 잎을 이용하는 사우레카-레카(Saureka-Reka)는 여섯 명의 여성이 추는 춤으로, 음악에 맞춰 정확성과 속도가 요구된다.
청년회를 묘사하는 카트레지(Katreji)는 남녀가 짝을 이루어 추는 춤으로, 유럽 춤과 유사하며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가 춤 신호로 사용된다. 이 춤은 바이올린, 대나무 피리, 우쿨렐레, 카라카스(karakas), 기타, 티파(tifa), 베이스 기타 등으로 연주된다. 카트레지 외에도 유럽의 영향을 받은 춤으로 폴로네즈(Polonaise)가 있으며, 결혼식에서 추는 춤이다.
미친 대나무 춤(Crazy Bamboo Dance)은 마법적인 특별한 춤으로, 수리(Suli) 마을에서 유래했다. 춤추는 사람들이 제어할 수 없이 움직이는 대나무에 몸을 맡기는 것이 특징이다.
8. 1. 음악
말루쿠의 유명한 악기는 타악기의 일종인 티파와 토토부앙이며, 이들은 함께 연주되어 티파 토토부앙이라는 합주를 이룬다. 티파, 티파 제키르, 티파 다사르, 티파 포통, 티파 제키르 포통, 티파 바스와 큰 공, 그리고 여러 개의 구멍이 뚫린 받침대 위에 놓인 작은 공들의 집합체인 토토 부앙으로 구성된다. 또한 비아 스킨(조개껍데기)이라는 관악기도 있다.말루쿠 문화에는 우쿨렐레와 같은 현악기도 있으며, 이는 미국의 하와이 문화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말루쿠 음악은 팝송이나 카트레지와 같은 전통 무용 반주에 하와이 악기가 사용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 다른 악기로는 사와트가 있는데, 이는 말루쿠 문화와 중동 문화의 융합이다. 수 세기 전 아랍인들이 말루쿠에 이슬람교를 전파하면서 음악을 포함한 여러 문화가 혼합되었으며, 탬버린과 플루트와 같이 아랍 음악 악기를 특징으로 하는 여러 사와트 악기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다양한 악기 외에도 말루쿠 사람들은 노래 실력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오래전부터 전통 무용 반주에 노래를 부르곤 했다.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에는 브로에리 페술리마, 다니엘 사훌레카, 루스 사하나야, 에릭 파필라야, 글렌 프레들리 등 많은 유명한 말루쿠 가수들이 있다.
8. 2. 춤
말루쿠주의 전통 춤으로는 카칼렐레(Cakalele)가 있는데, 이는 성인 남성들이 파랑(Parang)과 살라와쿠(Salawaku)(방패)를 들고 추는 전쟁 춤이다. 사고 야자수 잎을 이용하는 사우레카-레카(Saureka-Reka)는 여섯 명의 여성이 추는 춤으로, 음악에 맞춰 정확성과 속도가 요구된다.청년회를 묘사하는 카트레지(Katreji)는 남녀가 짝을 이루어 추는 춤으로, 유럽 춤과 유사하며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가 춤 신호로 사용된다. 이 춤은 바이올린, 대나무 피리, 우쿨렐레, 카라카스(karakas), 기타, 티파(tifa), 베이스 기타 등으로 연주된다. 카트레지 외에도 유럽의 영향을 받은 춤으로 폴로네즈(Polonaise)가 있으며, 결혼식에서 추는 춤이다.
미친 대나무 춤(Crazy Bamboo Dance)은 마법적인 특별한 춤으로, 수리(Suli) 마을에서 유래했다. 춤추는 사람들이 제어할 수 없이 움직이는 대나무에 몸을 맡기는 것이 특징이다.
9. 관광
말루쿠의 유명한 관광 명소로는 마누셀라 국립공원,[44] 파시르 판장 해변,[45] 암본 나트세파 해변,[46] 암본 시티 게이트[47] 등이 있다.
10. 대중 문화
Windows Vista의 배경화면인 ''Img19''는 인도네시아 말루쿠에서 촬영되었다. Mark Lewis가 촬영한 이 배경화면은 바다 앞에 있는 야자수를 보여주며, 게티 이미지(Getty Images)에서 라이선스를 받았다. 이 배경화면의 와이드스크린 버전은 ''img34''이다.
참조
[1]
간행물
Provinsi Maluk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2]
간행물
Provinsi Maluk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3]
웹사이트
Persentase Pemeluk Agama Menurut Kabupaten/Kota di Provinsi Maluku 2019
https://maluku.kemen[...]
2020-09-24
[4]
웹사이트
Indeks Pembangunan Manusia 2024
https://www.bps.go.i[...]
Statistics Indonesia
2024-11-15
[5]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6]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7]
간행물
Provinsi Maluku Dalam Angka 2023
Badan Pusat Statistik
2023
[8]
서적
Ternate, de Molukken en de Indonesische Archipel
Rijksmuseum te Leiden
1987
[9]
서적
1987
[10]
서적
The world of Maluk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3
[11]
서적
Java in the 14th Century: A Study in Cultural History, Volume III: Translations
Martinus Nijhoff
1960
[12]
서적
Java in the 14th Century: A Study in Cultural History, Volume IV: Commentaries and Recapitulations
Martinus Nijhoff
1962
[13]
서적
Kepulauan Rempah-rempah
Gramedia
2016
[14]
웹사이트
Jalur Rempah Nusantara
https://jalurrempah.[...]
2024-08-29
[15]
논문
Moloku Kie Raha Community and Their Old Manuscript Heritage
IOP Publishing
2024
[16]
서적
Halmahera and Beyond: Social Science Research in the Moluccas
https://books.google[...]
KITLVPress
2024-08-30
[17]
웹사이트
Philosophy of Fala Raha Ternate Culture in Election of Moloku Kieraha
https://journal.iain[...]
IAIN Ternate
2024-08-30
[18]
웹사이트
Ternate & Tidore : Volcanic Island of Cloves
https://artsandcultu[...]
2024-11-01
[19]
서적
Strange parallels: Southeast Asia in global contexts, c. 800-183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0]
서적
1993
[21]
서적
1984
[22]
서적
Bacan and the early history of North. Maluku
KITLV Press
1994
[23]
뉴스
Maluku Kie Raha dari Negeri Teluk
kompas.id
2024-11-01
[24]
웹사이트
Sistem Pertahanan di Maluku Abad XVII-XVIII
https://media.neliti[...]
Jakarta: Departemen Pendidikan dan Kebudayaan, Direktorat Jenderal Kebudayaan
2024-08-29
[25]
논문
Pattimura en het kind van Saparua. De Molukken-opstand van 1817 in de Indisch-Nederlandse literatuur
http://www.dbnl.org/[...]
1995
[26]
서적
2010
[27]
뉴스
Pattimura, Pahlawan asal Maluku yang Dihukum Mati Belanda
http://nasional.komp[...]
Kompas
2012-01-15
[28]
뉴스
Troubled history of the Moluccas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5-17
[29]
서적
2008
[30]
서적
2007
[31]
서적
2007
[32]
서적
2004
[33]
논문
Fire without Smoke and Other Phantoms of Ambon's Violence: Media Effects, Agency, and the Work of Imagination
https://openaccess.l[...]
2002-10
[34]
서적
2008
[35]
간행물
Provinsi Maluku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36]
웹사이트
Metode Baru Indeks Pembangunan Manusia
https://www.bps.go.i[...]
2023-07-18
[37]
웹아카이브
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32 TAHUN 2008 TENTANG PEMBENTUKAN KABUPATEN BURU SELATAN DI PROVINSI MALUKU
https://web.archive.[...]
2016-04-09
[38]
웹아카이브
UNDANG-UNDANG REPUBLIK INDONESIA NOMOR 31 TAHUN 2008 TENTANG PEMBENTUKAN KABUPATEN MALUKU BARAT DAYA DI PROVINSI MALUKU
https://web.archive.[...]
2011-07-21
[39]
법률
Law No. 7/2017 (UU No. 7 Tahun 2017)
2017-00-00
[40]
웹사이트
Jumlah Penduduk Menurut Agama
https://satudata.kem[...]
Ministry of Religious Affairs
2022-08-31
[41]
서적
Maluku in Figures
Statistic Office Maluku Province
2015-00-00
[42]
웹사이트
BPS Provinsi Maluku
http://maluku.bps.go[...]
2016-05-01
[43]
웹사이트
Inpex Asked to Accelerate Development of Masela Block
https://news.lelemuk[...]
Lelemuku.com
2017-11-14
[44]
뉴스
Taman Nasional Manusela, Surga di Dalam Laut
https://travel.kompa[...]
Kompas Cyber Media
2013-06-11
[45]
뉴스
Pantai Pasir Panjang, Pasirnya Sehalus Tepung
https://travel.detik[...]
detikcom
[46]
웹사이트
Natsepa Island, Ambon – Moluccas – Maluku Tourism
http://www.indonesia[...]
2018-11-23
[47]
웹사이트
Belum Resmi Datangi Ambon Tanpa Pintu Kota Ambon – Situs Budaya Indonesia
https://www.indonesi[...]
Indonesia Kaya
2018-11-23
[48]
웹사이트
Statistical Yearbook of Indonesia 2022
https://www.bps.go.i[...]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2022-02-25
[49]
웹사이트
Indonesia: Provinces & Cities
http://citypopulatio[...]
Citypopulation.de
2020-06-12
[50]
서적
マルク「宗教抗争」はなぜ起きたのか
岩波書店
2004-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