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메콩메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콩메기는 메콩강에 서식하는 대형 민물고기 종으로, 회색 또는 흰색을 띠며 최대 3m까지 성장하고 300kg에 달한다. 어린 개체는 이빨과 수염을 가지지만 성장하면서 사라지며, 초식성으로 강에 있는 식물과 조류를 섭취한다. 메콩메기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과도한 어획, 댐 건설,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 현재 IUCN 적색 목록에 심각한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상업적 국제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 태국에서는 번식에 성공하여 무지개상어 등과의 잡종 교배가 이루어지기도 하며, 스포츠 피쉬로 낚시 대상이 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1년 기재된 물고기 - 징기스칸 (메기)
    징기스칸메기는 동남아시아 메콩강과 차오프라야강에 서식하며 최대 3m까지 성장하는 대형 메기 종으로, 서식지 파괴와 과도한 어획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1931년 기재된 물고기 - 레드테일 블랙샤크
    레드테일 블랙샤크는 동남아시아 원산의 관상어로, 검은 몸과 붉은 꼬리가 특징이며 공격적인 성향으로 단독 사육이 권장되지만 서식지 파괴로 개체 수 감소 위협에 놓여있다.
  • 라오스의 물고기 - 베트남메기
    베트남메기는 동남아시아에서 양식되는 팡가시우스속 어류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흰살 생선 대체재로 유통되지만,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 라오스의 물고기 - 가이양
    가이양은 메콩강과 짜오프라야강 유역이 원산지인 대형 메기로, 식용 및 관상용으로 양식되거나 유통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야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 메콩메기과 - 베트남메기
    베트남메기는 동남아시아에서 양식되는 팡가시우스속 어류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흰살 생선 대체재로 유통되지만,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 메콩메기과 - 베트남메기속
    베트남메기속은 메콩메기과의 한 속으로 22종이 속하며, 일부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Pangasius indicus''는 고생대 지층에서 화석으로 발견되었다.
메콩메기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후 월드 담수 어류 수족관의 메콩 큰 메기
기후 월드 담수 어류 수족관에서의 모습
학명Pangasianodon gigas
명명자Chevey, 1931
태국어ปลาบึก (Pla Buek)
크메르어ត្រីរាជ (트레이 리아)
베트남어cá tra dầu (까 짜 저우)
영어Mekong giant catfish (메콩 자이언트 캣피쉬)
일본어メコンオオナマズ (메콘 오오나마즈)
멸종 위기 등급
IUCN취약종 (CR)
CITES부속서 I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메기목
판가시우스과
판가시아노돈속
메콩 큰 메기 (P. gigas)
동종이명

2. 형태

일본 나가사키 펭귄 수족관의 표본. 태국에서 기증됨


메콩메기는 몸 색깔이 회색에서 흰색을 띠며 별다른 줄무늬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강에 서식하는 다른 대형 메기 종류와는 달리 수염과 이빨이 거의 없다. 어린 메콩메기에게는 수염과 입 안의 이빨이 있지만, 성장하면서 점차 퇴화하여 몸길이가 30cm에서 50cm 정도가 되면 완전히 사라진다.[3][29]

메콩메기는 세계에서 가장 큰 담수어 중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2005년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민물고기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되기도 했다.[8][4][35] 최대 몸길이는 3m에 달하며[3][29][30], 성장 속도가 매우 빨라 불과 6년 만에 몸무게가 150kg에서 200kg까지 나갈 수 있다.[3][29] 보고된 바에 따르면 최대 350kg까지 자랄 수 있다고 한다.[3]

1981년 기록이 시작된 이래 태국에서 잡힌 가장 큰 개체는 2005년에 포획된 암컷으로, 길이는 2.7m, 무게는 293kg에 달했다. 이 개체는 당시 세계에서 잡힌 가장 큰 민물고기로 널리 알려졌으나[31][32] (가장 큰 철갑상어 종류인 벨루가는 이보다 훨씬 클 수 있지만, 바다와 강을 오가는 소하성 어류이다), 2022년 6월 캄보디아에서 잡힌 거대한 자이언트 민물 가오리 표본에 의해 기록이 경신되었다.[5] 태국 어업 당국은 2005년에 잡힌 이 암컷 메기의 알을 받아 번식 프로그램에 사용한 후 방류할 계획이었으나, 안타깝게도 사육 중 폐사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식용으로 판매되었다.[4][6][7][31][33][34]

초식성 어류 중에서는 파쿠와 함께 가장 큰 종으로 여겨진다. 다른 대형 담수어로는 벨루가(소하성 어류로 담수어로 분류하지 않는 경우도 있음), 피라루쿠, 자이언트 민물 가오리, 유럽메기, 앨리게이터가아 등이 있지만, 이들은 대부분 육식성 또는 잡식성이다.

3. 분포 및 서식지

태국 파 템 국립공원에서 메콩 자이언트 메기를 묘사한 선사 시대 암각화


메콩 자이언트 메기는 메콩강 유역의 상징종이자[35][36] 멸종 위기종으로, 강 보존을 위한 기함종으로 여겨진다.[8][9] 그러나 아직 생태에 대해 알려진 바는 많지 않다.[19][47]

역사적으로 메콩메기는 베트남 하류(기수역 제외)부터 중국 윈난성 북부까지, 강 전체 길이 약 4800km에 걸쳐 분포했다.[10][37] 하지만 남획, 건설,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현재는 원래 서식지 대부분에서 사라졌으며, 메콩강 중류 지역의 작고 고립된 개체군에서만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8][35] 주로 수심 10m 이상인 강 본류에서 서식하며,[11][38] 캄보디아의 톤레삽 강과 호수(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과거에는 여러 지류에서도 보고되었으나, 현재는 메콩강 본류와 톤레삽 지역 외에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말레이시아 클란탄강에서 발견된 150kg 개체는 불법 방류된 것으로 추정된다.

메콩메기는 장마(우기)가 시작될 때 모여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8][35] 주로 캄보디아의 톤레삽 호수와 메콩강에서 성장한 뒤, 수백 킬로미터를 이동하여 태국 북부에서 산란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19][12][47][39] 정확한 이동 패턴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19]

캄보디아 상류 지역에서의 과도한 어획은 산란하는 개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12] 또한, 건설과 같은 개발 사업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는 어린 물고기의 생존을 위협하고 번식 능력을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13][14][40][41] 남획, 댐 건설로 인한 강의 흐름 변화, 산란 및 번식지 파괴, 토사 퇴적 등 복합적인 요인이 이 종의 서식 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있다.[12][39]

4. 생태

메콩메기는 메콩강 유역의 상징종이다.[35][36] 이 종을 포함한 메콩강 유역의 생태계 보전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생태에 대해서는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과거에는 베트남의 하구부터 중국 윈난성까지 메콩강 전역에 넓게 분포했으나[37], 현재는 메콩강 중부 지역의 고립된 소규모 개체군만이 남아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35] 주로 수심 10m가 넘는 강 본류에 서식하지만[38], 캄보디아의 톤레삽 호수에서도 발견된 기록이 있다. 과거 어부들은 메콩강의 여러 지류에서도 이 종을 발견했다고 보고했지만, 현재는 메콩강 본류와 톤레삽 지역 외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드물게 말레이시아 클란탄강에서 체중 150kg의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는데, 이는 방류된 개체로 추정된다.

메콩메기의 행동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려진 바가 적다.[47] 장마가 시작될 무렵에 모여 산란을 위해 상류로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35], 주로 메콩강과 톤레삽 호수에서 번식하고 수백 킬로미터 북쪽에 있는 태국의 산란지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추정된다.[47][39]

치어 시기에는 강에서 동물 플랑크톤을 먹으며, 동족 포식을 하는 식인 습성도 보고되었다.[15][42] 약 1년이 지나면 초식성으로 바뀌어 사상 조류를 주로 먹고, 유충이나 부착 조류도 섭취하는 것으로 보인다.[15][39] 메콩메기는 이빨이 없기 때문에, 물속 바위 표면에 자라는 조류를 뜯어 먹는 방식으로 먹이를 섭취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5][42] 한 과학 연구에서는 위 내용물에서 동물 플랑크톤과 식물성 플랑크톤이 함께 발견되기도 했다.[16][43] 아쿠아・토토 기후와 같은 사육 환경에서는 잉어용 배합 사료에 클로렐라를 섞어 먹이로 제공하기도 한다.

메콩메기의 생존은 여러 요인에 의해 위협받고 있다. 특히 건설은 서식지를 분단시키고, 치어의 생존을 위협하며, 번식 능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40][41] 또한 남획, 강의 물길을 막는 행위, 산란 장소 파괴, 번식지의 침전 현상 등도 서식 환경을 악화시키는 요인이다.[39]

5. 인간과의 관계

메콩강 하류에 서식하는 메콩메기는 과도한 어획, 서식지 파괴, 상류 댐 건설로 인한 수질 악화 등으로 인해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19] 특히 댐 건설은 메콩강 개체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주요 위협 요인으로 지적된다.[20]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이 종을 적색 목록에서 위급(Critically Endangered) 단계로 분류했으며, 지난 수십 년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보고되었다.[1][21]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야생 개체의 국제 상업 거래가 금지되어 있다.[22]

과거 라오스 등 메콩강 유역 국가에서는 메콩메기가 중요한 어종이었으나, 남획으로 인해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23][24]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는 메콩메기 포획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불법 어획은 계속되고 있다.[1] 멸종 위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2006년 태국 어부들이 자발적으로 포획 중단을 선언하는 등[25] 일부 보존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태국은 정부 주도로 메콩메기 인공 번식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개체수 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번식된 치어는 메콩강 유역의 저수지 등에 방류된다.[1] 하지만 메콩메기는 번식을 위해 특정 크기(50kg ~ 70kg)에 도달해야 하고, 넓은 이동 경로와 특정 산란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에[12] 서식지 보존과 댐 건설 등 개발 사업의 환경 영향 최소화가 중요하다.[13]

세계 자연 기금(WWF)을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는 메콩강 유역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메콩메기 보존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14]

치앙콩의 불교 사원에 그려진 메콩메기 그림


5. 1. 사육

메콩메기는 현재 태국에서 성공적으로 번식되고 있으며, 메콩 무지개상어를 만들기 위해 종종 무지개상어와 잡종 교배된다.[17][18] 또한 카이얀과 교배되는 경우도 많다.[44][45] 이들은 파룬상어, 무지개상어, 카이얀, 팔름처럼 짧은 체형을 가지기도 한다.[17][18][44][45]

메콩메기는 수족관 거래를 위해 번식되기도 하며, 개인 수족관에서도 사육된다.[17][18][44][45] 일본에서는 아쿠아・토토 기후나 나가사키 펭귄 수족관, 가와사키 수족관 등에서 사육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4][45]

그러나 침입종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호주의 여러 주에서는 메콩메기의 소유 및 수입을 제한하고 있다.[17][18][44][45]

5. 2. 낚시

메콩메기는 거대 잉어, 자이언트 판가시우스, 레드테일 캣피쉬, 앨리게이터 가, 파커호, 펄름과 함께 태국, 말레이시아, 베트남의 낚시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낚시 대상어이다. 거대한 몸집과 낚싯바늘에 걸렸을 때 보여주는 강력한 힘 때문에 낚시꾼들에게 인기가 많다.

5. 3. 문화

태국의 민간 설화에서 이 물고기는 숭배의 대상으로 여겨지며, 특별한 의식이 행해지고 낚시 전에 제물이 바쳐진다.[26][46] 또한 메콩강 유역의 고대 미술에서도 이 종의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12][39]

6. 보존



메콩강 하류에 고유하게 서식하는 메콩메기는 IUCN 적색 목록에서 심각한 위기(Critically Endangered) 종으로 분류될 정도로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1][21] 야생에 남아있는 정확한 개체 수는 파악되지 않았지만, 어획량 데이터를 통해 지난 14년간 개체수가 80%나 급감했음이 확인되었다.[1][21][27][49] 또한, CITES 부속서 I에 등재되어 야생에서 포획된 개체의 상업적 국제 거래가 엄격히 금지되어 있다.[22][50]

주요 멸종 위협 요인으로는 과도한 어획, 메콩강 유역 개발 및 상류 댐 건설로 인한 수질 악화와 서식지 파괴가 지목된다.[19][47] 특히 댐 건설은 메콩메기의 이동 경로를 막고 산란 환경을 변화시켜 개체 수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2018년 연구에 따르면 댐으로 인해 메콩강의 메기 개체수가 최대 40%까지 감소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20][48] 메콩메기는 계절에 따라 이동하며 번식하는 회유성 어종으로, 넓은 강 영역과 특정 산란 환경 조건이 필수적이지만[12][39], 댐으로 인한 서식지 단편화는 이러한 생태적 필요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만들며, 특히 어린 개체들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13][40] 캄보디아에서는 매년 수백만 톤의 어류가 남획되고 있으며, 산란기 개체까지 무분별하게 포획되는 실정이다.[13] 동남아시아 지역의 물 사용량 증가, 에너지 생산 확대 및 관련 환경 파괴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여 메콩메기의 미래는 더욱 불투명하다.[13]

개체 수 감소는 오래전부터 관찰된 현상이다. 인류학자 제시카 쿠퍼(Jessica Kuper)는 1977년 저서에서 이미 라오스에서 메콩메기 어획량이 급감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고귀하고 신비로운 물고기"의 감소에 대한 안타까움을 표현한 바 있다.[23][51] 실제로 2000년에는 어부들이 11마리, 2001년에는 7마리, 2002년에는 불과 5마리밖에 잡지 못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24][52]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에서는 야생 메콩메기 포획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으나, 단속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실효성이 낮아 세 국가 모두에서 불법 어획이 계속되고 있다.[1][27] 하지만 일부 긍정적인 노력도 있다. 2006년 6월, 태국에서는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의 즉위 60주년을 기념하여 약 60명의 어부들이 자발적으로 메콩메기 포획을 중단하기로 합의하기도 했다.[25][53]

태국은 메콩메기의 인공 사육 및 방류 사업을 허용하는 유일한 국가이다. 정부 주도의 번식 프로그램을 통해 치어를 생산하고, 이를 낚시터 등에 판매하여 얻은 수입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종 보존에 기여하고 있다. 방콕의 붕 삼란(Bueng Samran)과 같은 낚시터에서는 140kg에 달하는 대형 개체도 서식하지만, 주로 포획되는 것은 18kg 크기이다. 메콩메기는 번식을 위해 최소 50kg에서 70kg까지 성장해야 하며, 낚시터와 같은 제한된 환경에서는 자연 번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태국 어업부는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약 10,000마리의 인공 사육 개체를 메콩강 유역의 저수지에 방류하는 등 개체 수 회복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1][27]

국제적인 노력으로는 세계 자연 기금(WWF)이 메콩강 위원회(Mekong River Commission), 아시아 개발 은행(ADB) 등과 협력하여 수력 발전 댐 건설 시 환경 및 사회적 영향을 고려하도록 촉구하고 있으며, 메콩메기 보호, 연구, 모니터링 및 관련 인식 개선을 위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14][41]

참조

[1] iucn "''Pangasianodon gigas''" 2011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FishBase species
[4] 뉴스 Hunt for the big fish becomes a race https://www.nytimes.[...] 2005-08-25
[5] 뉴스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 found in Mekong, scientists say https://www.bbc.co.u[...] BBC News 2022-06-20
[6] 뉴스 Grizzly Bear-Size Catfish Caught in Thailand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05-06-29
[7] 뉴스 Fish whopper: 646 pounds a freshwater record https://www.nbcnews.[...] 2005-07-01
[8] journal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Pangasianodon gigas'' Chevey, 1931 (Pangasiidae)"
[9] 간행물 MGCCG, 2005
[10] book MWBP working papers on Mekong Giant Catfish, Pangasianodon gigas http://www.mekongwet[...] Mekong Wetlands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Programme
[11] journal Mekong giant fish species: on their management and biology http://www.mrcmekong[...]
[12] AV media The Elusive Giant Catfish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2009-07-20
[13] AV media Searching for Giant Catfish Babies on the Mekong https://video.nation[...] National Geographic 2018-09-04
[14] 웹사이트 The giant of the Mekong http://wwf.panda.org[...] World Wildlife Fund for Nature
[15] 문서 (Pholprasith, 1983 as cited in Mattson et al. 2002)
[16] journal Study on feeding habits of Mekong giant catfish in Mae Peum Reservoir, Thailand https://repository.k[...]
[17] 웹사이트 List of Noxious Aquatic Species in Victoria https://vfa.vic.gov.[...] 2020-06-17
[18] 웹사이트 Invasive fish of Queensland https://www.daf.qld.[...] The State of Queensland,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2020-06
[19] journal "Trails of river monster: Detecting critically endangered Mekong giant catfish ''Pangasiadon gigs'' using environmental DNA" 2016-07-13
[20] 웹사이트 Southeast asia may be building too many dams too fast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1] 뉴스 Giant Catfish Critically Endangered, Group Says http://news.national[...] 2003-11-18
[22] 웹사이트 CITES Appendices I, II and III http://www.cites.org[...] CITES 2006-06-14
[23] book The Anthropologists' Cookbook Universe Books
[24] 뉴스 Big Trouble for Asia's Giant Catfish https://news.nationa[...] 2003-05-15
[25] 뉴스 Giant Mekong catfish off the hook http://news.bbc.co.u[...] 2006-06-10
[26] 웹사이트 Pla Buek: The Giant Catfish of the Mae Khong River Chiangrai http://www.chiangmai[...]
[27] iucn "''Pangasianodon gigas''" 2011
[28]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4-01-20
[29] FishBase species
[30] 도서 井田斉・松浦啓一、『小学館の図鑑NEO』 小学館
[31] 뉴스 Hunt for the big fish becomes a race https://www.nytimes.[...] 2005-08-25
[32] 뉴스 World's largest freshwater fish found in Mekong, scientists say https://www.bbc.co.u[...] 2022-06-20
[33] 뉴스 Grizzly Bear-Size Catfish Caught in Thailand http://news.national[...] 2005-06-29
[34] 뉴스 Fish whopper: 646 pounds a freshwater record http://www.nbcnews.c[...] 2005-07-01
[35] journal "Threatened Fishes of the World: ''Pangasianodon gigas'' Chevey, 1931 (Pangasiidae)"
[36] 간행물 MGCCG 2005
[37] 서적 MWBP working papers on Mekong Giant Catfish, Pangasianodon gigas http://www.mekongwet[...] Mekong Wetlands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Programme
[38] 논문 Mekong giant fish species: on their management and biology http://www.mrcmekong[...]
[39] AV media The Elusive Giant Catfish https://www.youtube.[...] National Geographic 2009-07-20
[40] AV media Searching for Giant Catfish Babies on the Mekong https://web.archive.[...] 2024-01-20
[41] 웹사이트 The giant of the Mekong http://wwf.panda.org[...] World Wildlife Fund for Nature 2024-01-20
[42] 문서 (Pholprasith, 1983 as cited in Mattson et al. 2002)
[43] 논문 Study on feeding habits of Mekong giant catfish in Mae Peum Reservoir, Thailand https://hdl.handle.n[...]
[44] 웹사이트 List of Noxious Aquatic Species in Victoria https://vfa.vic.gov.[...] 2020-06-17
[45] 웹사이트 Invasive fish of Queensland https://www.daf.qld.[...] The State of Queensland,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2024-01-20
[46] 웹사이트 Pla Buek: The Giant Catfish of the Mae Khong River Chiangrai https://web.archive.[...] 2024-01-20
[47] 논문 Trails of river monster: Detecting critically endangered Mekong giant catfish ''Pangasiadon gigs'' using environmental DNA 2016-07-13
[48] 웹사이트 Southeast asia may be building too many dams too fast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24-01-20
[49] 뉴스 Giant Catfish Critically Endangered, Group Says https://web.archive.[...] 2024-01-20
[50] 웹사이트 CITES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web.archive.[...] CITES 2006-06-29
[51] 서적 The Anthropologists' Cookbook Universe Books
[52] 뉴스 Big Trouble for Asia's Giant Catfish https://web.archive.[...] 2003-05-15
[53] 뉴스 Giant Mekong catfish off the hook http://news.bbc.co.u[...] 2024-01-20
[54] 문서 Pangasianodon gigas Chevey, 1931 메콩메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