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르드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제국 시대에 살았던 유대인으로, 사촌 에스더를 양육했다. 그는 아하수에로스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막고, 하만의 유대인 학살 계획을 에스더를 통해 저지하며 유대 민족을 구원하는 데 기여했다. 모르드개는 하만에게 굴복하지 않고, 왕의 신임을 얻어 수석 고문이 되었으며, 그의 활약은 부림절의 기원이 되었다. 에스더서의 역사적 진실성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모르드개는 유대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란 유대인 - 다니엘
    다니엘은 "하나님이 나의 재판관이시다"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다니엘서의 주인공이자 에스겔서, 에스라서, 역대상에 언급되는 인물이며, 꿈을 해석하고 묵시적인 환상을 받는 예언자로서 지혜와 의로움을 인정받았고,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이란 유대인 - 누리엘 루비니
    누리엘 루비니는 2007~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예측하여 "닥터 둠"이라는 별명을 얻은 경제학자이자 뉴욕대학교 스턴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이며, 국제통화기금(IMF) 등에서 활동했고 Roubini Global Economics를 설립하여 경제 컨설팅 사업을 펼쳤다.
  • 에스델기 - 와스디
    와스디는 에스더기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첫 번째 왕비로, 왕의 명령을 거부하여 폐위된 후 에스더가 왕비가 되었으며, 미드라쉬와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다양한 해석과 대중 문화 속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다.
  • 에스델기 - 하만 (성경 인물)
    하만은 에스더기에 등장하는 아하수에로 왕의 고관으로, 모르드개에게 경배받지 못하자 유대인 전체를 멸망시키려 했으나 에스더 왕후에 의해 악행이 드러나 자신이 준비한 교수대에 매달려 처형당하는 인물이며, 푸림절은 그의 패배를 기념한다.
  • 히브리어 성경의 인물 - 다니엘
    다니엘은 "하나님이 나의 재판관이시다"라는 뜻을 가진 이름으로, 다니엘서의 주인공이자 에스겔서, 에스라서, 역대상에 언급되는 인물이며, 꿈을 해석하고 묵시적인 환상을 받는 예언자로서 지혜와 의로움을 인정받았고, 다양한 종교에서 중요한 인물로 여겨진다.
  • 히브리어 성경의 인물 - 사울
    사울은 사무엘상과 사무엘하에 등장하는 이스라엘의 초대 왕으로, 암몬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패배하고 다윗을 질투하여 길보아 전투에서 자살했다.
모르드개
개요
이름모르드개
모르드카이 (Mordecai, Mordechai)
히브리어 이름מָרְדֳּכַי (Mŏrdoḵay, Mārdoḵay)
로마자 표기Mordeokai
인물 정보
직업성경의 등장인물
에스델기의 주요 인물
출신베냐민 지파
거주지수산
친척에스델 (사촌, 양녀)

2. 성경 기록

모르드개는 페르시아 (현재 이란)의 수도수사 (Shushan 또는 Shoushan)에 거주했다.[3] 그는 고아가 된 사촌 하닷사 (에스더)를 양녀로 삼아 친딸처럼 키웠다.[4] 이후 에스더는 "어린 처녀들"을 뽑는 과정에서 아하수에로스 왕에게 발탁되어 추방된 왕비 와스디를 대신하여 왕비가 되었다. 모르드개는 왕의 시종인 빅단과 데레스가 왕을 암살하려는 음모를 발견하고 이를 저지하였다.

2. 1. 하만과의 갈등

하만 아각 사람은 궁정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올랐다. 모든 사람이 하만 앞에 엎드리라는 왕의 칙령에도 불구하고, 모르드개는 그렇게 하기를 거부했다.[3] 모르드개의 거부에 앙심을 품은 하만은 모르드개뿐만 아니라 페르시아 제국 전역의 모든 유대인 유배자들을 죽이기로 결심하고, 왕의 허가를 받아 자신의 계획을 실행했다. 모르드개는 하만의 계획을 에스더 왕비에게 알렸고, 에스더는 왕에게 호의를 이용하여 그 계획을 뒤집어 왕이 유대인들이 그들의 원수를 죽이도록 허락하게 했고, 그들은 그렇게 했다.[3]

2. 2. 에스더의 역할

모르드개는 하만의 계략을 에스더 왕비에게 알렸고, 에스더는 왕에게 간청하여 하만의 계략을 저지했다. 왕은 유대인들이 그들의 원수를 죽이도록 허락했다.[4]

프랑 카브치치(Franc Kavčič) 작, 1815년, 아하수에로스 앞에 선 에스더

2. 3. 유대인의 승리

모르드개는 하만의 계략을 에스더 왕비에게 알렸고, 에스더 왕비는 왕의 호의를 이용하여 계략을 뒤집었다. 왕은 유대인들이 적을 죽이도록 권한을 부여했고 그들은 그대로 실행했다.[4]

왕은 우연히 모르드개가 암살 음모를 저지한 공로를 기억하고 하만에게 왕을 위해 큰 봉사를 한 사람이 어떻게 존경을 받아야 하는지 물었다. 하만은 그 질문이 자신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답했다. 왕은 이 조언에 따라 모르드개를 존경하고 결국 모르드개를 그의 수석 고문으로 삼았다. 하만은 모르드개를 위해 세운 교수대에 처형되었다.

부림절은 이러한 반전을 기념한다.

2. 4. 모르드개의 지위 상승

모르드개는 왕의 암살 음모를 막은 공로를 인정받아 왕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 왕은 하만에게 왕에게 큰 공을 세운 사람을 어떻게 대우해야 하는지 물었고, 하만은 자신을 위한 질문으로 착각하여 성대하게 대우해야 한다고 대답했다. 왕은 하만의 조언대로 모르드개를 존경하고, 결국 모르드개를 자신의 수석 고문으로 삼았다. 하만은 자신이 모르드개를 처형하기 위해 세운 교수대에 오히려 자신이 처형되었다.[3]

3. 역사적 배경

1860년 율리우스 슈노르 폰 카롤스펠트의 목판화에서 모르드개가 존경받고 있다


에스더기는 역사적 사실보다는 소설에 가깝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페르시아 왕은 7개의 페르시아 귀족 가문 외에는 결혼하지 않았다는 점, 역사적인 크세르크세스 왕의 왕비는 아메스트리스였다는 점 등이 그 근거로 제시된다.[1][2][3]

3. 1. 에스더기의 문학적 성격

에스더기는 역사라기보다는 소설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페르시아 왕들은 7개의 페르시아 귀족 가문 외에는 결혼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대인 왕비 에스더가 있었을 가능성은 낮으며, 역사적으로 크세르크세스 왕의 왕비는 아메스트리스였다.[1][2][3]

에스더기는 원래 유대인이 아닌 축제를 유대인들이 전유하는 것을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는 데에 일반적으로 동의한다.[4] 이 책에서 설명하는 축제인 푸림은 바빌로니아 단어 '푸루'에서 유래되었으며, '제비'를 의미한다. 푸림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이론이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이 축제가 모르드개와 에스더가 바빌로니아 신 마르두크이슈타르를 나타내는 역사화된 바빌로니아 신화나 의식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이다. 다른 학자들은 이 의식을 페르시아 새해와 연관 짓기도 한다.[5] 일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실제 역사라고 주장하지만,[6] 다른 학자들은 역사적인 핵심을 찾으려는 시도가 "헛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한다.[7]

4. 이름의 기원

"모르드개"라는 이름은 크세르크세스 1세와 그의 아버지 다리우스 시대의 30개 텍스트(페르세폴리스 행정 기록)에서 최대 4명의 페르시아 궁정 관리의 이름으로 사용된 'Marduka' 또는 'Marduku'(𒈥𒁺𒋡elx)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된다.[1][2]

탈무드(''Menachot'' 64b 및 65a)는 그의 전체 이름이 "'''모르드개 빌샨'''"이었다고 전한다(이는 에스라 2:2와 느헤미야 7:7에 나오지만, 시퀀스에서 두 개의 ''별개의''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 호스챈더는 이를 바빌로니아어 "Marduk-belshunu"(𒀭𒀫𒌓𒂗𒋗𒉡, dAMAR.UTU-EN-''šu''-''nu'', 즉 "마르두크는 그들의 주"라는 뜻)로 해석하여, "모르드개"가 애칭이라고 보았다.

에스더기 부록의 킹 제임스 성경 버전에서, 그의 이름은 '''''마르도케우스''''''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는 원래 모음을 더 잘 보존할 수 있지만, 성경의 페르시아어 이름에 대한 마소라 본문 버전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5. 연령 및 족보

에스더기 2장 5-6절에는 모르드개의 계보에 대한 짧은 구절이 나온다. 이 구절은 "모르드개는 야일의 아들이요, 시므이의 아들이요, 기스의 아들이니, 기스는 바빌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예루살렘에서 포로로 잡혀간 자들 중에 있었고, 유다 왕 여고니야와 함께 포로로 잡혀갔더라"로 번역된다. 이 구절은 모르드개 자신이 느부갓네살에게 포로로 잡혀갔는지, 아니면 그의 조상 기스가 포로로 잡혀갔는지에 대한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5]

오순절 목사 피니스 데이크는 모르드개 자신이 느부갓네살에게 유배되었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성서학자 마이클 D. 쿠건은 만약 "포로로 잡혀갔던 자"가 모르드개를 지칭한다면, 에스더기에 묘사된 사건 당시(성경의 아하수에로가 크세르크세스 1세라고 가정) 그는 100세가 넘었을 것이므로, 이는 모르드개의 나이에 대한 부정확성을 나타낸다고 보았다.[6][7][8] 많은 사람들은 이 구절이 모르드개가 아닌 그의 증조부 기스가 바빌론으로 유배된 것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5. 1. 타르굼 셰니의 족보

전통적으로 모르드개와 에스더의 무덤으로 여겨지는 곳에 있는 모르드개의 족보 석판


타르굼 셰니는 모르드개의 족보를 다음과 같이 더 자세히 제공한다. "모르드개는 야이르의 아들이요, 시메이의 아들이요, 셰미다의 아들이요, 바아나의 아들이요, 엘라의 아들이요, 미가의 아들이요, 므비보셋의 아들이요, 요나단의 아들이요, 사울의 아들이요, 기스의 아들이요, 아비엘의 아들이요, 제롤의 아들이요, 베고랏의 아들이요, 아피아의 아들이요, 셰카림의 아들이요, 우시아의 아들이요, 사손의 아들이요, 미가엘의 아들이요, 엘리엘의 아들이요, 아미후드의 아들이요, 스바댜의 아들이요, 브누엘의 아들이요, 페타의 아들이요, 멜로크의 아들이요, 예루바알의 아들이요, 예루함의 아들이요, 하나냐의 아들이요, 삽디의 아들이요, 엘바알의 아들이요, 심리의 아들이요, 스바댜의 아들이요, 리모스의 아들이요, 카숨의 아들이요, 세코라의 아들이요, 가사의 아들이요, 우사의 아들이요, 게라의 아들이요, 벨라의 아들이요, 베냐민의 아들이요, 야곱의 맏아들이며, 그의 이름은 이스라엘이라고 불린다."[9][10]

이와 동일한 족보는 에스더와 모르드개의 무덤 (그림 참조)의 거대한 금속 석판에 새겨져 있다. 이 전통적인 족보는 기스가 단순히 모르드개의 증조부의 이름이 아니라 고대 조상의 이름임을 암시한다.

6. 예언자로서의 지위

탈무드는 에스더를 예언자로 꼽는다.[11] 일부 탈무드 학자, 예를 들어 나흐만 벤 야코프는 모르드개가 성경의 예언자 말라기라고 주장했지만, 이 주장은 합의와 탈무드의 특정 해석에 의해 거부되었다.[12]

참조

[1] 사전 Mordecai http://www.dictionar[...] Random House Webster's Unabridged Dictionary
[2] 서적 Tanna D'bei Eliyahu Rabba ch. 11
[3] 성경 Esther 2:5–6 New International Version
[4] 웹사이트 Esther, Ch. 2, translation by Rabbi A. J. Rosenberg http://www.chabad.or[...]
[5] 서적 Dake's Annotated Reference Bible
[6] 간행물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Volume II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 1982
[7] 서적 Bible Exposition Commentary: Old Testament History https://books.google[...] David C Cook 2004
[8] 서적 Halley's Bible Handbook
[9] 간행물 An Explanatory Commentary on Esther with Four Appendices consisting of The Second Targum Translated From the Aramaic With Notes, Mithra, The Winged Bulls of Persepolis, And Zoroaster T&T Clark, 38 George Street, Edinburgh 1888
[10] 웹사이트 The Comprehensive Aramaic Lexicon http://cal.huc.edu/s[...] 2021-03-01
[11] 웹사이트 Megillah 14b:9 https://www.sefaria.[...] 2021-02-16
[12] 웹사이트 Megillah 15a:4 https://www.sefaria.[...] 2021-02-16
[13] 웹사이트 Esther's Echo to the Past https://www.aish.com[...] 2009-05-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