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모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모켄어는 안다만 해 주변에서 사용되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약 5,000~6,000년 전 타이완에서 이주한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언어에서 기원했으며, 현재는 미얀마와 태국에서 주로 사용된다. 모켄어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둥, 자이트, 레비, 니아위, 자디아크 등 여러 방언이 존재한다. 음운론적으로는 자음과 모음 체계를 가지며, 동사 및 명사 파생과 같은 형태론적 특징을 보인다. 모켄족은 전통적으로 "바다의 사람들"로 불리며, 해양 지식과 관련된 전통적인 생활 방식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마두라어
    마두라어는 인도네시아 마두라섬에서 사용되며 여러 방언과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SVO 어순을 따르는 언어이다.
  •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 발리어
    발리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며 인도네시아 발리섬과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복잡한 경어 표현과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니고 발리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태국의 언어 - 크메르어
    크메르어는 캄보디아의 공용어로서 약 1,300만 명의 모어 화자를 가지며, 다양한 방언과 남인도계 아부기다 계통의 크메르 문자를 사용하는, 어미가 없는 분석적인 언어이다.
  • 태국의 언어 - 크무어
    크무어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무어어파의 언어로, 표준어 없이 서부와 동부 크무어로 나뉘는 여러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메르어와 어휘적 유사성이 있지만 별개의 언어이다.
  • 미얀마의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 미얀마의 언어 - 리수어
    리수어는 중국 남서부 등지에서 사용되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로, 프레이저 문자로 문자화되었으나, 사용자 감소 문제와 다양한 방언 및 문자 체계가 존재한다.
모켄어
언어 정보
이름모켄어
다른 이름셀룽, 마우켄, 바싱, 셀롱, 살롱, 살론, 차우 코', 모클렌
사용 국가태국, 미얀마
사용 지역동남아시아, 끄라 지협 서쪽 메르귀 제도
사용자모켄족
사용자 수6,000명 (2010년), 7,500명 (1984–2007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말레이숨바와어군?
분기모클렌어군
언어 코드
ISO 639-3mwt
Glottologmoke1242

2. 분류

이 언어는 모켄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우락 라워이어와 유사하다고 오인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먼 관계이다.[2] 화자들이 주로 안다만 해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바다의 사람들"로 여겨지기도 한다.[3]

3. 역사

모켄어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구어로 사용된다. 약 5,000~6,000년 전 타이완에서 이동해 온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이주 이후 오스트로네시아어가 발전하면서 형성되었다.[4] 2009년 기준으로 모켄족 인구는 4,000명이지만, 모어 화자는 약 1,500명으로 추산되어 언어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4]

4. 지리적 분포

모켄어는 버마(미얀마)와 태국에서 사용되며, 그 파생어는 안다만해 주변에서 사용된다.

5. 방언

모켄어 방언을 북쪽에서 남쪽 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둥(Dung) 방언 (화자 635명[12])
  • 자이트(Jait) 방언 (화자 331명[12])
  • 레비(Lebi, L'be) 방언 (화자 980명[12])
  • 니아위(Niawi) 방언
  • 자디아크(Jadiak) 방언


둥, 자이트, 레비, 니아위 방언은 미얀마에서 쓰이고 자디아크 방언은 태국에서 쓰인다. 미얀마에서 쓰이는 방언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6]

태국 라농주의 주요 모켄어 방언은 다음과 같다. (Larish 2005)

  • 북자디아크 방언 (꼬 수린 모켄어). Ivanoff (1988)[13]와 Hinshiranan (1996)[14]이 연구한 바 있다.
  • 남자디아크 방언 (라와이 모켄어). 푸껫섬 남쪽 끝, 우락라워이어 사용 지역 근처에서 쓰인다. Chantanakomes (1980)[15]가 기록한 바 있다.



5. 1. 미얀마 방언

둥(Dung) 방언 (화자 635명[12]), 자이트(Jait) 방언 (화자 331명[12]), 레비(Lebi, L'be) 방언 (화자 980명[12]), 니아위(Niawi) 방언은 미얀마에서 쓰인다.[12][6] 미얀마 방언들은 아직 충분히 조사되지 않았다.[6]

5. 2. 태국 방언

모켄어 방언은 지역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미얀마에서 쓰이는 방언으로는 둥(Dung) 방언 (화자 635명[12]), 자이트(Jait) 방언 (화자 331명[12]), 레비(Lebi, L'be) 방언 (화자 980명[12]), 니아위(Niawi) 방언이 있다.[12] 이들 미얀마 방언은 아직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12]

태국 라농주에서 쓰이는 주요 모켄어 방언은 자디아크(Jadiak) 방언이다.[12] 자디아크 방언은 다시 북자디아크 방언과 남자디아크 방언으로 나뉜다. 북자디아크 방언은 꼬 수린 모켄어를 지칭하며, Ivanoff (1988)[13]와 Hinshiranan (1996)[14]이 연구하였다. 남자디아크 방언은 라와이 모켄어로, 푸껫섬 남쪽 끝, 우락라워이어 사용 지역 근처에서 쓰이며, Chantanakomes (1980)[15]가 기록한 바 있다.

6. 음운론

wikitext

모켄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7][8]



/r/의 음소는 '매우 의문스럽다'라고 기술되며, /d/의 변이음일 가능성이 높다. 수린 섬 방언에서는 [ɾ]과 [r]이 /d/의 자음 사이에 위치한 변이음으로 기술된다.

모켄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7]

모켄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 iːu, uː
중고모음e, eːəo, oː
중저모음ɛ, ɛːɔ, ɔː
저모음a, aː
이중모음



/i/는 폐음절에서 [ɪ]의 동소음을 가지며, /ɛ/는 개음절에서 [æ]의 동소음을 가진다.

6. 1. 자음

모켄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7][8]



/r/의 음소는 '매우 의문스럽다'라고 기술되며, /d/의 변이음일 가능성이 높다. 수린 섬 방언에서는 [ɾ]과 [r]이 /d/의 자음 사이에 위치한 변이음으로 기술된다.

6. 2. 모음

모켄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7]

모켄어 모음
 전설중설후설
고모음i, iːu, uː
중고모음e, eːo, oː
중저모음ɛ, ɛːɔ, ɔː
저모음a, aː|
이중모음| uə



/i/는 폐음절에서 [ɪ]의 동소음을 가지며, /ɛ/는 개음절에서 [æ]의 동소음을 가진다.

6. 3. 음절 구조

모켄어는 최대 CVC 음절 구조를 갖는다. 자음군은 일반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며, 외래어 차용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예: 태국어 ''nangsui'' → 모켄어 ''lasiː'' ('책')). 모든 자음이 음절 첫머리에 올 수 있지만, 음절 끝에는 /m/, /n/, /ŋ/, /p/, /t/, /k/, /ʔ/, /h/, /w/, /j/만 올 수 있다.[9]

모켄어는 대부분 이음절어로 구성되지만, 실제 연결된 말에서는 강세가 없는 첫 음절의 선택적 삭제를 통해 이음절어가 단음절 형태로 축약되는 경우가 빈번하다.[10]

6. 4. 억양 및 강세

모켄어는 문장의 억양 면에서 영어와 유사한 음운론을 따른다. 상승 억양은 의문문이나 감탄문으로 끝나는 문장에서 사용되고, 하강 억양은 일반적인 문장에서 사용된다.

모켄어에서 두 단어가 연속적으로 발음될 때, 첫 번째 단어는 평평한 억양을 유지하고 두 번째 단어는 상승 억양으로 끝난다.

음절의 관점에서 보면, 단음절 단어는 발음 내내 일정한 강세를 유지하는 반면, 접두사 음절과 주요 음절로 구성된 단어는 주요 음절에 강세가 놓인다. 다시 말해, 마지막 음절에 항상 강세가 주어지며, 마지막 음절의 부재는 단어의 경계를 알려준다.

7. 형태론

7. 1. 동사 파생

모켄어 동사는 보통 비비음 자음으로 시작하는 명사에서 파생되며, 초기 자음을 비음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10] 예를 들어, cəkuːt/cəkuːtmwt ('키')에서 ɲəkuːt/ɲəkuːtmwt ('키를 잡다'), cʰɔbaŋ/cʰɔbaŋmwt ('귀걸이')에서 ŋɔbaŋ/ŋɔbaŋmwt ('귀걸이를 하다'), cʰuju:k/cʰuju:kmwt ('검지')에서 luju:k/luju:kmwt ('가리키다'), ʔɔbat/ʔɔbatmwt ('약')에서 ŋɔbat/ŋɔbatmwt ('치료하다'), cəcik/cəcikmwt ('비늘(물고기)')에서 məcik/məcikmwt ('물고기 비늘을 벗기다'), solaːy/solaːymwt ('빗')에서 ɲolaːy/ɲolaːymwt ('빗질하다'), kapiːt/kapiːtmwt ('집게발(게)')에서 ŋapiːt/ŋapiːtmwt ('집다, 꼬집다'), pəjaːn/pəjaːnmwt ('어망')에서 məjaːn/məjaːnmwt ('그물을 던지다')와 같이 파생된다.[10]

비음은 동사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많은 모켄어 동사는 초기 비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kehaʔ/kehaʔmwt ('괴로워하다, 바쁘다'), kəboːk/kəboːkmwt ('게으르다'), toloŋ/toloŋmwt ('돕다') 등이 있다.[10]

차용어의 모켄어 적응 과정에서 ma-/mə-/ma-/mə-mwt 접두사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태국어 ''thām''에서 모켄어 məthaːm/məthaːmmwt ('묻다'), 태국어 ''ān''에서 모켄어 maːn/maːnmwt ('읽다')와 같이 사용된다.[10] 이 접두사는 말레이어 접두사 məN-/məN-my (''meng-'')와 어원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원말레이폴리네시아어 접두사 ''*maN-''과 관련이 있다고 추정된다. 이들 역시 동사 접두사로 사용된다.[10] 하지만 이러한 파생법은 더 이상 생산적인 방식은 아닌 것으로 보이는데, 최근의 태국어 차용어에는 이 접두사가 붙지 않는다.[10]

7. 2. 명사 파생

모켄어에는 명사 접두사 카/kʰa-mwt가 존재하는데, 예를 들어 태국어 ''muək''는 모켄어 카무억/kʰamuəkmwk('모자')이 된다. 이 형태소는 생성성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모켄어와 모클렌어 이름 앞에는 남성 이름 표지 아/ʔa-mwk와 여성 이름 표지 이/ʔi-mwk가 친족 관계 용어가 사용되지 않는 한 의무적으로 사용된다.

'하나'를 뜻하는 아/ʔa-mwt의 음운적으로 축약된 형태가 접두사로 사용되어 부정관사 역할을 한다.[10]

8. 멸종 위기

모켄어를 사용하는 주요 인구는 문해력 부족으로 인해 언어 전승이 어려워 주로 노년층이다.[5] 그러나 문해력 부족은 역설적으로 언어 보존에도 기여했다. "바다의 사람들"이라는 별칭은 바다에 대한 깊은 지식을 암시하는데, 이는 그들의 이동 방식과 관련이 깊다. 마을에 머무르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은 여러 세대에 걸쳐 해양 및 산림 지식뿐만 아니라 보트 건조 기술을 축적하게 했다. 많은 모켄족이 거주하는 수린 제도가 2004년 12월 대쓰나미를 경험했을 때, 조상들이 전해 내려온 "일곱 개의 파도"와 "라분"(거대한 파도)에 대한 전설 덕분에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3]

9. 각주










참조

[1] 서적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2] 논문 1995
[3] 논문 2008
[4] 논문 2009
[5] 논문 2018
[6] 학회발표 The Process of Preserving Moken from Extinction 2015
[7] 논문 2005
[8] 논문 1995
[9] 논문 1980
[10] 서적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https://www.proquest[...] 1999
[11] 웹사이트 Moken https://www.ethnolog[...] 2015
[12] 학회발표 The process of preserving Moken from extinction 2015
[13] 논문 Moken: Les naufragés de l’histoire École des Hautes Études en Sciences Sociales, Paris 1988
[14] 논문 The analysis of Moken opportunistic foragers’ intragroup and intergroup relations University of Hawai'i 1996
[15] 논문 A description of Moken: a Malayo-Polynesian language Mahidol University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