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은 오만의 역사적 명칭으로, 해안 지역인 무스카트와 내륙 지역인 오만을 포괄한다. 17세기 야루바 왕조가 포르투갈을 몰아낸 후 해상 제국으로 성장했으나, 18세기 대영 제국의 영향력 확대와 함께 쇠퇴했다. 1920년 시브 조약을 통해 오만 이맘국에 자치권을 부여했으나, 석유 발견 이후 내륙 지역과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970년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가 쿠데타로 술탄으로 즉위하면서 무스카트와 오만은 통합되어 현재의 오만 술탄국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잔지바르 술탄국 - 잔지바르 혁명
잔지바르 혁명은 1964년 아랍인 지배를 종식시키고 잔지바르 인민공화국 수립을 가져왔으나, 아프리카계 주민 반란 과정에서 폭력과 학살이 발생했으며 탄자니아 역사와 아프리카 민족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잔지바르 술탄국 - 영국-잔지바르 전쟁
영국-잔지바르 전쟁은 1896년 잔지바르 술탄의 후계자 다툼으로 발발하여 영국 해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38분 만에 종결되었으며, 이는 영국의 잔지바르 지배를 강화하고 제국주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사건이다. - 오만의 역사 - 마카 (사트라피)
마카는 아케메네스 제국의 동부 사트라피로, 현재의 발루치스탄과 신드 지역을 포함하며, 다리우스 1세 때 인더스 강을 탐험하고 신드를 정복하여 제20 사트라피로 삼았고, 알렉산드로스 3세에 의해 정복되었다. - 오만의 역사 - 오만 제국
오만 제국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존재했던 국가로, 야루비드 왕조 시기에 독립하여 아프리카 동부 해안과 페르시아만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했으나, 19세기에 분열되어 영국의 보호령이 되었다. - 무스카트의 역사 - 2011년 오만 시위
2011년 오만 시위는 임금 인상, 생활비 감소, 정치 개혁 등을 요구하며 오만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정부의 대응으로 사망자와 체포자가 발생했고, 오만 정부는 개혁 조치를 취했다. - 무스카트의 역사 - 알자라리 요새
알 자랄리 요새는 오만 무스카트에 위치한 1587년 포르투갈 지배하에 건설된 역사적인 요새로, 여러 세력 다툼의 무대이자 감옥으로도 사용되었으며, 현대 오만의 주요 사건들과 연관되어 현재는 역사적 유적지로 보존되고 있다.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
현지 명칭 (아랍어) | سلطنة مسقط وعمان (Salṭanat Masqaṭ wa-‘Umān) |
다른 현지 명칭 (아랍어) | دولة مسقط وعمان (Dawlat Masqaṭ wa-‘Umān) |
지위 | 법률상 주권 국가 (1856년–1970년) 사실상 영국 보호령(1872년–1970년) |
종교 | 이슬람교 (공식) |
공용어 | 오만 아랍어 발루치어 페르시아어 오스만 튀르크어 영어 |
정부 형태 | 절대 군주제 |
수도 | 무스카트 |
국가 | '' |
![]() | |
역사 | |
성립 | 잔지바르로부터 분할 (1856년) 영국과의 해운 협정 (1820년 1월 8일) 사이이드 왕조의 무스카트 술탄국 오만 이맘국 통합 |
주요 사건 | 시브 조약(1920년 9월 25일) 제벨 아크다르 전쟁(1954년) 도파르 반란(1962년) |
해체 | 카부스 빈 사이드가 오만 술탄국을 선포 (1970년 8월 9일) 1970년 오만 쿠데타로 사이드 빈 타이무르 폐위 (1970년 7월 23일) |
정치 | |
정치 체제 | 절대 군주제 |
역대 술탄 | 수와이니 빈 사이드(1855년–1866년) 살림 빈 수와이니(1866년–1868년) 아잔 빈 카이스(1868년–1871년) 투르키 빈 사이드(1871년–1888년) 파이살 빈 투르키, 무스카트 오만 술탄(1888년–1913년) 타이무르 빈 파이살(1913년–1932년) 사이드 빈 타이무르(1932년–1970년) 카부스 빈 사이드(1970년) |
마지막 술탄 | 카부스 빈 사이드 |
경제 | |
통화 | 오만 디르함(1856년–1892년) 인도 루피(1892년–1959년) 걸프 루피(1959년–1970년) 사이드 리알(1970년)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오만 아랍에미리트 파키스탄 이란 |
이전 국가 | |
이전 국가 | 오만 제국 |
이후 국가 | |
이후 국가 | 오만 |
2. 명칭
엄밀히 말해, 오만(오만 이맘국, عُمان الوسطى|ʿUmān al-Wusṭāar)은 해안에 접근할 수 없고 수도가 니즈와에 있는 지역의 내륙 부분이다. 무스카트는 해안 술탄국으로, 그 통치자들은 실제로 해외를 포함한 확장을 수행했다.[2] 역사적인 무스카트와 오만은 그린 마운틴 고원(Al Jabal Al Akhdar (الجبل الأخضر|ar))으로 분리되어 있다.[3]
오만(오만 이맘국)은 해안 접근이 불가능하고 니즈와를 수도로 하는 내륙 지역을 지칭한다. 무스카트는 해안 술탄국으로, 해외 확장을 추진했다.[2] 무스카트와 오만은 그린 마운틴 고원으로 분리되어 있다.[3]
역사적인 오만(아라비아 동부)의 세 번째 부분은 소위 "해적 해안"이었고, 나중에는 조약 오만으로 알려졌으며, 현재는 아랍 에미리트 연합(UAE)이다. 역사적, 현재 오만의 네 번째 부분은 도파르 주이다.
3. 역사
역사적인 오만(아라비아 동부)의 세 번째 부분은 "해적 해안"으로 불렸으며, 이후 조약 오만, 현재는 아랍 에미리트 연합 (UAE)이다. 역사적, 현재 오만의 네 번째 부분은 도파르 주이다.
17세기에 야루바 이맘이 포르투갈의 영향력을 몰아냈다. 이맘들은 페르시아 만과 잔지바르로 해상 제국을 확장했지만, 페르시아에 의해 몰락했다. 1749년, 선출된 이맘 아흐마드 빈 사이드가 무스카트와 오만의 페르시아 헤게모니를 종식시켰다. 대영 제국은 다른 유럽 열강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18세기에 오만 제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라비아 남동부를 지배하려 했다. 18세기 후반, 대영 제국은 무스카트의 알부사이디 술탄을 지원하며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위한 조약을 체결했고, 술탄국은 영국의 차관과 조언에 의존하게 되었다.
무스카트는 부유한 해안 술탄국이었고, 내륙 지역은 부족 지도자와 이바디 이슬람교를 따르는 오만의 이맘들이 실질적으로 통치했다.
무스카트 술탄국은 강력한 해군력을 바탕으로 1650년 포르투갈인 추방 이후 19세기까지 해상 제국을 건설했다. 현재의 오만, 아랍에미리트, 남부 발루치스탄, 잔지바르, 케냐, 탄자니아, 모잠비크 해안을 포함했으며, 동아프리카 노예 무역에도 관여했다.
3. 1. 팽창 시대 (17세기 ~ 19세기)
무스카트 술탄국은 1650년부터 19세기까지 해상 제국을 건설하여 현재의 오만, 아랍에미리트, 발루치스탄 남부, 잔지바르, 케냐와 탄자니아의 해안가를 통치하였다. 무스카트 술탄국은 동아프리카의 노예 무역으로 유명했다. 최근 오만의 장관은 15세기에 무스카트 술탄국이 마스카렌 제도를 지배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 지역에는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17세기에 야루바 이맘이 그들을 몰아냈다. 이맘들은 이후 페르시아 만과 잔지바르로 해상 제국을 확장하여 더 넓은 지역에서 포르투갈을 몰아냈지만, 페르시아에 의해 몰락했다. 무스카트와 오만의 페르시아 헤게모니는 1749년 선출된 이맘 아흐마드 빈 사이드에게 패배하면서 종식되었다. 대영 제국은 다른 유럽 열강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18세기에 오만 제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라비아 남동부를 지배하려 했다. 그리하여 대영 제국은 18세기 후반에 권력을 잡은 무스카트의 알부사이디 술탄을 지원했다. 대영 제국은 무스카트에 대한 영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술탄들과 일련의 조약을 체결했다. 술탄국은 결국 영국의 차관과 정치적 조언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다.
3. 1. 1. 무스카트 술탄국과 오만 이맘국
부유하고 항해를 하는 해안 술탄국인 무스카트와 내륙 부족 사이에는 역사적인 차이가 존재했다. 영토는 무스카트 술탄국이 지배하였지만, 이바디파 사람들과 유목민 지도자들이 실효적으로 통치를 하였다.[1]
무스카트 술탄국은 강력한 해군과 함께 1650년에서 19세기까지 해상 제국을 건설할 수 있었다. 지금의 오만, 아랍에미리트, 발루치스탄 남부, 잔지바르, 케냐와 탄자니아의 해안가를 통치하였다. 무스카트 술탄국은 동아프리카의 노예 무역으로 유명했다.[1]
이 지역에는 포르투갈의 영향력이 있었지만, 야루바 이맘이 17세기에 그들을 몰아냈다. 이맘들은 이후 페르시아 만과 잔지바르로 해상 제국을 확장하여 더 넓은 지역에서 포르투갈을 몰아냈지만, 페르시아에 의해 몰락했다. 무스카트와 오만의 페르시아 헤게모니는 1749년 선출된 이맘 아흐마드 빈 사이드에게 패배하면서 종식되었다. 대영 제국은 다른 유럽 열강의 영향력을 억제하고 18세기에 오만 제국을 약화시키기 위해 아라비아 남동부를 지배하려 했다. 그리하여 대영 제국은 18세기 후반에 권력을 잡은 무스카트의 알부사이디 술탄을 지원했다. 대영 제국은 무스카트에 대한 영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술탄들과 일련의 조약을 체결했다. 술탄국은 결국 영국의 차관과 정치적 조언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되었다.[1]
내륙 지역은 무스카트 술탄의 명목상의 통치를 받았지만, 실제로는 부족 지도자와 이바디 이슬람교를 따르는 오만의 이맘들에 의해 운영되었다.[1]
3. 2. 통합과 쇠락 (19세기 ~ 20세기 초)
19세기 초,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은 번영하였으나, 유럽 열강의 압력으로 쇠퇴하기 시작했다. 1820년대 초 술탄국은 페르시아만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고 영국의 보호를 받는 협상 국가가 되었다.[16] 알사이드 왕조의 사이이드 빈 술탄은 왕국의 재산과 경제적 이익을 통합하여 번영을 이끌었지만, 유럽 함대와의 경쟁에서 밀려 남아시아 무역을 상실하고 노예제 폐지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잃었다.
1856년 사이이드 빈 술탄 사후 왕위 계승 문제로 분열이 발생했고, 영국의 중재로 알사이드 가문에서 두 명의 통치자가 임명되었다. 술탄의 셋째 아들 투와이니 빈 사이드는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의 술탄이 되었고, 여섯째 아들 마지드 빈 사이드는 잔지바르 술탄국의 통치자가 되었다. 잔지바르 술탄은 매년 무스카트에 공물을 바치기로 맹세하였다.[16]
해안의 세속적인 사람들의 영향을 받은 이바디파는 무스카트 술탄국을 지속적으로 공격했다. 술탄국은 영국의 원조로 방어할 수 있었지만, 역사적 분할은 지속되었다. 타이무르 빈 파이살 술탄은 시브 조약을 통해 오만 이맘국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허용했다.
오만만에 위치한 마지막 해외 영토 과다르는 1958년 파키스탄에 팔렸다. 그러나 1967년 대영 제국이 빅토리아 여왕에게 증여받았던 쿠리야 무리야 제도를 돌려주면서 술탄국은 영토 일부를 돌려받았다.
3. 2. 1. 영국의 영향력 확대
1820년대 초, 오만 술탄국은 페르시아만의 대부분의 영토를 잃었고, 이 지역은 영국의 보호를 받는 트루셜 스테이츠가 되었다. 알사이드 왕조의 5대 술탄인 사이이드 빈 술탄은 술탄국의 영토와 경제적 이익을 통합했고, 오만은 번영했다. 그러나 오만 함대는 더 기술적으로 발전한 유럽 함대와 경쟁할 수 없었고, 술탄국은 남아시아와의 무역의 많은 부분을 잃었다. 대영 제국의 노예 무역 폐지 압력은 술탄국의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 상실로 이어졌다.
1856년 6월 4일, 사이이드 빈 술탄은 왕위 계승자를 지명하지 않고 사망했고, 알사이드 왕조의 구성원들은 통치자에 합의할 수 없었다. 영국의 중재를 통해 알사이드 가문에서 두 명의 통치자가 임명되었다. 술탄의 셋째 아들인 투와이니 빈 사이드가 본토의 통치자가 되었다. 그의 여섯째 아들인 마지드 빈 사이드는 1856년 10월 19일 독립적인 잔지바르 술탄국의 통치자가 되었다.[6] 그 후 잔지바르의 술탄은 매년 무스카트에 공물을 바쳐야 했다.[7]
오만 해안의 오만 술탄국에서 영국의 제국주의가 발전하면서 오만 내륙에서 이맘의 대의가 부활했다.[8] 1913년, 이맘 살림 알카루시는 오만 내륙 지역에 이맘국을 재건하기 위해 무스카트에 반란을 일으켰다.[8] 술탄국과 마찬가지로 이맘국은 이바디 종파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양측 간의 분쟁은 대부분 정치적인 것이었다.[9] 내륙의 오만인들은 통치자가 선출되어야 한다고 믿었고 술탄국에 대한 영국의 통제를 거부했다.[10][11] 그러나 술탄국은 영국의 도움으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었다. 이 역사적인 분열은 20세기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술탄 타이무르 빈 파이살은 1920년 시브 조약을 통해 이바디 성직자 아래 '''오만 이맘국'''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다.
마지막 해외 영토였던 오만만 건너편의 과다르 항구는 1958년 파키스탄에 매각되었다. 그러나 술탄국은 1967년 영국이 쿠리야 무리야 제도를 반환하면서 일부 영토를 얻었다(원래 1854년 술탄이 빅토리아 여왕에게 선물로 증여).
3. 2. 2. 시브 조약 (1920년)
영국의 제국주의가 오만 해안의 오만 술탄국에서 발전하면서, 오만 내륙에서 이맘의 대의가 부활했다.[8] 1913년, 이맘 살림 알카루시는 오만 내륙 지역에 이맘국을 재건하기 위해 무스카트에 반란을 일으켰다.[8] 술탄국과 마찬가지로 이맘국은 이바디 종파에 의해 통치되었지만, 양측 간의 분쟁은 대부분 정치적인 것이었다.[9] 내륙의 오만인들은 통치자가 선출되어야 한다고 믿었고, 술탄국에 대한 영국의 통제를 거부했다.[10][11] 그러나 술탄국은 영국의 도움으로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었다. 이 역사적인 분열은 20세기 대부분 동안 지속되었으며, 술탄 타이무르 빈 파이살은 1920년 시브 조약을 통해 이바디 성직자 아래 '''오만 이맘국'''에 제한적인 자치권을 부여했다.
3. 3. 반란과 석유 시대 (20세기 중반 ~ 20세기 후반)
페르시아만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무스카트 술탄과 오만 이맘 간의 관계가 악화되었다. 1920년대 초 영국-페르시아 석유 회사에 의해 석유 탐사가 시작되었으나,[17]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1954년, 술탄이 이라크 석유 회사에 석유 개발을 허가하자 마지막 이맘 오만 갈리브 빈 알리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1955년에 끝났지만, 더 큰 갈등으로 번져 술탄 사이드 빈 타이무르는 지속적인 영국 군사 지원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다. BP를 포함한 유럽 석유 거대 기업이 소유한 이라크 석유는 석유 탐사 운영자인 오만 석유 개발과 함께 영국 정부가 술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도록 장려했다.
1957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오만 반군을 지원하면서 반란이 다시 발생했지만, 결국 술탄은 내륙 대부분에 대한 우위를 확립하였다. 같은 해 영국군은 이맘국의 수도인 니즈와를 폭격하고 이바디 신정 정치를 전복했다. 갈리브 빈 알리는 사우디아라비아로 망명했고, 마지막 반군 세력은 2년 후인 1959년에 패배했다. 시브 조약은 종료되었고 자치 오만 이맘국은 폐지되었다.[18]
남예멘의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을 받은 도파르 반란과 같은 봉기의 빈도는[19] 영국이 술탄을 교체하도록 동기를 부여했다. 영국은 쿠데타를 두려워한 아버지 때문에 궁에 갇혀 있던 술탄의 서구 교육을 받은 아들 카부스 빈 사이드를 선택했다. 석방된 카부스 빈 사이드는 영국 군대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인 궁정 쿠데타를 일으켰고, 1970년 무스카트와 오만의 술탄으로 선포되었다. 새롭게 통합된 영토는 무스카트와 함께 1970년 8월에 현재의 통일된 오만 술탄국으로 재편되었다.[15]
1976년, 다시 영국 원조와 함께 술탄은 전체 내부를 장악하고 도파르 반란을 진압했다.
3. 3. 1. 제벨 아크다르 전쟁 (1954년 ~ 1959년)
페르시아만의 석유 발견은 무스카트의 술탄과 오만의 이맘 간의 관계를 악화시켰다. 영국-페르시아 석유 회사는 1920년에 석유 탐사를 시작하였다.[17]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이 활동은 잠시 주춤하게 되었다.
1954년 술탄이 이라크 석유 회사에 석유 개발을 허용해주자, 마지막 이맘 오만 갈리브 빈 알리는 1954년에 반란을 일으켰다. 이 적대 관계는 1955년에 끝났다. 술탄은 영국의 지원과 함께 BP를 통해 이라크 석유 회사, 오만 석유 개발청을 소유하게 되었다.
1957년에 반란이 다시 터졌다. 사우디아라비아가 이바디 반란군들을 지원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술탄은 대부분의 영토를 통치할 수 있었다. 같은 해에 영국군들은 니즈와를 폭격하였고 이바디를 없애버렸다. 갈리브 빈 알리는 사우디아라비아로 추방되었고, 마지막 반란군들은 1959년에 항복하였다. 시브 조약은 파기되었고 오만의 이맘 왕조는 멸망하였다.[18]
3. 3. 2. 도파르 반란 (1962년 ~ 1976년)
남예멘의 공산주의 정부의 지원을 받은 도파르 반란과 같은 반란들이 자주 있었다.[19] 영국은 서구 교육을 받은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를 지목하였다. 그의 아버지 사이드 빈 타이무르는 아들의 쿠데타를 두려워해서 그를 궁전 감옥에 수감시켰다. 카부스 빈 사이드는 감옥에서 해방된 후 영국군의 도움을 받아 성공적인 쿠데타를 일으켜, 1970년에 자신을 무스카트와 오만의 술탄으로 선포하였다.
1976년, 술탄은 영국의 원조를 통해 다시 나라 전체를 통제할 수 있었으며 도파르 반란을 성공적으로 진압하였다.[15]
3. 3. 3.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술탄의 즉위 (1970년)
페르시아만에서 석유가 발견되면서 무스카트 술탄과 오만 이맘 간의 관계가 나빠졌다. 1920년대 초 영국-페르시아 석유 회사가 석유 탐사를 시작했지만,[17]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잠시 중단되었다.
1954년, 술탄이 이라크 석유 회사의 석유 개발을 허가하자 마지막 이맘 오만 갈리브 빈 알리가 반란을 일으켰다. 이 분쟁은 1955년에 끝났지만, 술탄은 영국의 지원과 BP를 통해 이라크 석유 회사, 오만 석유 개발청을 소유하게 되었다.
1957년, 사우디아라비아의 지원을 받은 이바디 반란군에 의해 반란이 다시 일어났다. 그러나 술탄은 영국군의 도움으로 니즈와를 폭격하고 이바디를 몰아내며 대부분의 영토를 통치할 수 있었다. 갈리브 빈 알리는 사우디아라비아로 추방되었고, 1959년 마지막 반란군이 항복하면서 시브 조약은 파기되고 오만의 이맘 왕조는 멸망하였다.[18]
남예멘의 공산주의 정부가 지원한 도파르 반란과 같은 잦은 반란은 영국이 서구 교육을 받은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를 주목하게 만들었다. 카부스의 아버지는 아들의 쿠데타를 두려워하여 그를 궁전 감옥에 가두었지만, 카부스는 감옥에서 풀려난 후 영국군과 함께 쿠데타를 성공시켜 1970년에 무스카트와 오만의 술탄으로 즉위하였다. 1980년, 새롭게 통합된 영토들은 지금의 오만 정부로 재정비되었다.[19]
1976년, 술탄은 영국의 원조를 통해 다시 나라 전체를 통제하고 도파르 반란을 진압할 수 있었다.
3. 4. 소하르 술탄국 (1920년 ~ 1932년)
1920년 타이무르 빈 파이살 술탄의 친척인 셰흐 알리 바누 부 알리가 소하르 북부에서 반란을 일으켜 스스로를 술탄으로 선포했지만, 1932년 대영 제국에 의해 진압되었다.[8]
참조
[1]
PDF
Oman and the West: State Formation in Oman since 1920
https://etheses.lse.[...]
University of London
2021-12-15
[2]
웹사이트
A history of Muscat and Oman
http://www.fahnenkon[...]
2013-07-01
[3]
웹사이트
The Western Hajar Mountains
http://www.oman.de/c[...]
[4]
서적
The Rough Guide to Oman
https://books.google[...]
Penguin
2011-11-01
[5]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A Close Relationship: Britain and Oman Since 1750
https://www.qdl.qa/e[...]
QDL
2014-12-11
[6]
간행물
Zanzibar: Its History and Its People
Routledge
[7]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Oma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 Diplomacy in Action
2019-05-23
[8]
웹사이트
The Oman Question: The Background to the Political Geography of South-East Arabia J. C. Wilkinson.
https://www.jstor.or[...]
2019-07-20
[9]
웹사이트
CNN Arabic: وفاة آخر أئمة عُمان في منفاه السياسي بالسعودية
http://archive.arabi[...]
CNN Arabic
2019-07-20
[10]
뉴스
The Guardian: Britain's secret wars
https://www.theguard[...]
2016-09-08
[11]
웹사이트
British National Archive: Muscat and Oman Internal Affairs History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14-05-30
[12]
웹사이트
Overview
http://www.omanet.om[...]
Omani Ministry of Information
[13]
웹사이트
The Foreign Office London: File 8/62 Muscat State Affairs: Principal Shaikhs and Tribes of Oman [146r] (291/296).
https://www.qdl.qa/e[...]
The Foreign Office London
2018-04-20
[14]
서적
Oman's Insurgencies: The Sultanate's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Saqi
2013-01-02
[15]
웹사이트
Tribute to His Majesty
http://www.omanet.om[...]
Omani Ministry of Information
[16]
웹인용
Background Note: Oman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 Diplomacy in Action
[17]
웹인용
Overview
http://www.omanet.om[...]
Omani Ministry of Information
2011-08-30
[18]
웹인용
Background Note: Oman
http://www.state.gov[...]
U.S Department of State – Diplomacy in Action
[19]
웹인용
Tribute to His Majesty
http://www.omanet.om[...]
Omani Ministry of Information
2006-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