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은 2004년 엥겔과 그리말디에 의해 재정의된 곤충 분류군이다. 이 상목은 현생 대벌레붙이와 화석 대표군을 모두 포함하며, 귀뚜라미붙이목과 대벌레붙이목을 포함한다.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의 가장 원시적인 대표군은 약 3억 2000만 년 전 후기 석탄기에 출현했으며, 페름기 동안 유시성 귀뚜라미붙이가 다양성의 정점을 찍었다.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에 따르면,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은 신시류에 속하며, 대벌레붙이목과 귀뚜라미붙이목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 - 더듬이
    더듬이는 절지동물, 유조동물, 엽족동물, 연체동물의 머리에 위치한 감각 기관으로, 접촉, 기류, 냄새, 미각 등을 감지하며, 분류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 곤충 - 좀목
    좀목은 은색 광택과 물고기 같은 움직임을 보이는 편평하고 길쭉한 형태의 곤충 목(目)으로, 곡물, 종이 등을 섭취하여 인간의 책이나 고문서를 훼손하기도 하지만 리그노셀룰로스 섭취 능력으로 바이오 연료 생산 연구에 활용되기도 한다.
  • 살아있는 화석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살아있는 화석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Mantophasma zephyra Zompro et al 2002
만토파스마과의 Mantophasma zephyra
그릴로블라티다이데
그릴로블라타과의 일원
학명Notoptera
명명자Crampton, 1915
이명Xenonomia Terry & Whiting, 2005
하위 분류
목 및 과블라토그릴루스과
캄토네우리다과
틸리아르뎀비과
게이니치과
무시귀뚜라미목
Aristovia
Plesioblattogryllus
그릴로블라타과 (얼음벌레)
사마귀붙이목
만토파스마과 (검투사벌레)

2. 연구사

이 명칭은 원래 1915년 메뚜기 계열 화석군에 달아주려 했던 것으로, 2004년 엥겔과 그리말디가 살아있는 사마귀붙이목을 발견한 이후 'Notoptera Crampton을 새로운 의미로' 재정의하고 부활시킬 때까지 완전히 잊혀졌다. 엥겔 및 그리말디는 이 계통의 현생 대표군과 화석 대표군을 모두 포함하는 단일 목을 줄 것을 권고했다.[6]

2005년에 나온 테리 및 휘팅의 논문에서는 귀뚜라미붙이목과 사마귀붙이목이 속하는 같은 계통군에게 'Xenonomia'라는 새로운 명칭을 붙일 것을 독자 제안했다.[7] 혹자는 이 명칭이 유효하다고 여기기도 한다.[5] 이 명칭은 원래 1915년에 화석 직시류 무리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2004년 엥겔과 그리말디에 의해 부활하고 재정의("Notoptera Crampton ''sensu novum''")되기 전까지는 거의 잊혀졌다. 그들은 살아있는 사마귀붙이목의 발견 이후, 이 계통의 살아있는 종과 화석 종 모두를 포함하는 단일 목을 부여할 것을 권장했다.[2]

2005년 테리와 와이팅은 독립적으로 이 곤충 계통(바퀴날개목과 사마귀붙이목을 목으로 취급)에 대해 "Xenonomia"라는 새로운 이름을 제안했다.[3] 일부 학자들은 이를 이 그룹의 유효한 이름으로 간주한다.[1]

3. 진화사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중 가장 원시적인 대표군은 약 3억 2000만 년 전 석탄기 후기 즈음에 출현했다. 이 분류군의 초기 구성종들은 현생종과는 달리 날개가 존재하고, 오랫동안 논쟁 대상이었던 현생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의 귀뚜라미붙이목과 레쿨리다목(Reculida)의 구성종과 연관이 있다. 유시성 귀뚜라미붙이는 페름기(299~252 mya) 동안 일부 지역에서 모든 곤충의 1/3을 차지할 정도로 다양성에서 정점을 찍었다.[5] 초기 대벌레붙이는 쥐라기 중기(160 mya) 즘에 출현했다.[8] 현생 귀뚜라미붙이목의 화석 기록은 없지만, 백악기 중기(약 100 mya)의 것으로 보이는 미얀마 호박에서 발견한 날개가 달린 아리스토비아속(''Aristovia'') 귀뚜라미붙이의 경우, 현생 귀뚜라미붙이와 매우 닮은 구기를 가지고 있다. 대벌레붙이목과 귀뚜라미붙이목은 서로가 독자적으로 날개를 퇴화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유시성 귀뚜라미붙이는 트라이아스기에 들어서면서 다양성이 줄어들었으며, 유시성 귀뚜라미붙이는 백악기 초중반 즈음을 끝으로 기록이 없다.[5]

4.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이다.[9]

신시류

4. 1. 하위 분류

다음은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이다.[9]

4. 2. 관련 분류군

다음은 2002년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The Tree of Life Web Project'')에 제안된 계통 분류이다.[9]

{| class="wikitable"

|-

! 신시류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강도래목

|-

| 집게벌레목

|-

| 민벌레목

|-

! 망시상목

|-

|



|-

! 무시귀뚜라미붙이상목

|-

|

대벌레붙이목
귀뚜라미붙이목



|-

|



|-

! 메뚜기목

|-

|



|}

|-

|

{| class="wikitable"

|-

|



|-

| 내시상목

|}

|}

|}

참조

[1] 논문 A winged relative of ice‐crawlers in amber bridges the cryptic extant Xenonomia and a rich fossil record https://onlinelibrar[...] 2024-03-07
[2] 논문 A New Rock Crawler in Baltic Amber, with Comments on the Order(Mantophasmatodea: Mantophasmatidae) https://zenodo.org/r[...] American Museum of Natural History (BioOne sponsored)
[3] 논문 Mantophasmatodea and phylogeny of the lower neopterous insects Wiley
[4] 논문 Mantophasmatodea now in the Jurassic https://www.research[...] 2008-06-11
[5] 논문 https://onlinelibrar[...]
[6] 논문 https://zenodo.org/r[...]
[7] 논문
[8] 논문 Mantophasmatodea now in the Jurassic https://www.research[...]
[9] 웹사이트 Strepsiptera. Twisted-wing parasites http://tolweb.org/St[...] 2002-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