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무적함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적함대는 1588년 스페인이 잉글랜드 침공을 위해 준비한 대규모 함대로, 종교 갈등과 잉글랜드의 부상, 잉글랜드-스페인 관계 악화가 배경이 되었다. 스페인은 펠리페 2세의 지휘 아래 130척의 함선과 2만 9천여 명의 승조원을 투입했으나, 잉글랜드 해군의 준비와 잉글랜드 해협에서의 전투, 특히 화공선 공격으로 인해 작전의 핵심인 육군 수송에 실패했다. 이후 스페인 함대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해역에서 폭풍과 해난을 겪으며 큰 피해를 입고 67척의 함선과 1만여 명의 생존자만 귀환했다. 이 해전은 해전 전술의 변화를 가져왔고, 잉글랜드의 해군력 강화와 해상 패권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무적함대
전투 정보
분쟁무적함대
일부영국-스페인 전쟁 (1585년-1604년), 80년 전쟁
날짜1588년 7월-8월
장소영국 해협북해
결과잉글랜드-네덜란드 연합군의 승리
전투 결과 상세스페인의 결정적 패배
군사적으로는 무승부
스페인의 잉글랜드 침공 실패
개신교측의 선전전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잉글랜드 왕국
교전국 2합스부르크 스페인
포르투갈 왕국
지휘관
지휘관 1찰스 하워드
프랜시스 드레이크
존 호킨스
유스티누스 반 나사우
지휘관 2메디나시도니아 공작
후안 데 레칼데 (전사)
미겔 데 오켄도 (전사)
디에고 데 메드라노 (전사)
페드로 데 발데스 (항복)
병력 규모
병력 1군함 34척
무장 상선 163척 (200톤 이상 30척)
평저선 30척
총 197척
16,000명
병력 2함대
군함 24척
무장 상선 44척
보조선 38척
보급선 31척
대포 2,431문
선원 10,138명
병사 19,315명 (스페인인 90%, 포르투갈인 10%)
스페인령 네덜란드
병사 31,800명
바지선 170척
총 55,000명
총 137척
사상자
사상자 1영국 해협 전투:
함선 손실 없음
그래블린 전투:
사망 50–100명
부상 400명
화공선 8척 소실
질병: 2,000–3,000명 사망
사상자 2영국 해협 전투:
갤리온 2척 나포
포로 397명
그래블린 전투:
사망 600명 이상
부상 800명
함선 5척 침몰 또는 나포
전체:
함선 약 44척 손실 (10척 자침)
사망 11,000–20,000명
추가 정보
스페인 함대 항로
스페인 함대 항로
알마다가 해전
알마다가 해전
지도 정보

2. 역사적 배경

16세기 중반, 합스부르크 스페인은 필립 2세 국왕의 지휘 아래 유럽의 주요 강대국이었으며, 가톨릭 신앙을 지지하고 아메리카 대륙과 필리핀까지 영토를 확장했다. 1580년 포르투갈 합병으로 이베리아 연합이 형성되면서 제국은 더욱 확장되었다. 필립 2세는 엘 에스코리알 궁전에서 서면 통신을 통해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통치했다.[11]

반면, 잉글랜드헨리 8세 통치 기간 동안 잉글랜드 종교 개혁을 시작했고, 프로테스탄트 종교 개혁과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헨리 8세의 딸 메리 1세는 로마 가톨릭의 영향력을 재확인하려 했고, 260명 이상을 화형시켜 "블러디 메리"라는 별명을 얻었다.[12]

필립 2세는 메리 1세를 설득하여 프랑스와 전쟁을 벌였고, 잉글랜드는 생캉탱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칼레를 프랑스에 빼앗겨 500년 이상 보유했던 프랑스 내 마지막 영토를 잃었다. 메리 1세는 큰 상실감에 "내가 죽어 해부되면, 너희는 내 심장 속에 '칼레'가 있는 것을 발견할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1558년 메리 1세가 사망하고 엘리자베스 1세가 왕위에 오르자, 필립 2세는 그녀를 이단이자 불법적인 통치자로 여겼다. 필립 2세는 엘리자베스 1세를 메리 스튜어트로 대체하려는 음모를 지원했지만, 엘리자베스 1세가 1587년 메리 스튜어트를 처형하면서 실패했다.

엘리자베스 1세는 네덜란드 독립 전쟁을 지원하고, 스페인 선박을 습격하는 사략선에 자금을 지원했으며, 모로코와의 동맹을 맺었다. 이에 필립 2세는 잉글랜드 침공을 계획했고, 시스투스 5세 교황은 이를 십자군으로 간주하여 지원했다.[15] 잉글랜드 가톨릭교도들도 침략에 대한 상당한 지원을 기대했다.[16]

1587년 카디스 습격으로 스페인의 준비는 1년 지연되었고,[17][18] 오스만 제국 함대 기동을 통해 스페인을 견제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성공 여부는 불확실하다.[19]

파르마 공작은 1583년 필립 2세와 잉글랜드 침공을 협의했다. 필립 2세는 파르마 공작의 계획과 산타 크루스 후작의 계획을 결합하여 삼중 공격을 고려했다. 주요 무적함대는 솔렌트에 안전한 정박지를 확보하고, 파르네제는 저지대에서 온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영국 해협을 건너는 것이었다.

무적함대의 해군 사령관은 산타 크루스 후작이었으나, 1588년 2월 사망하여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이 임명되었다.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은 해군 경험이 없었지만, 신의 가호를 믿고 작전을 수행했다.[20]

2. 1. 종교 갈등과 잉글랜드의 부상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약 130척의 스페인 무적함대가 리스본을 출발했다. 무적함대는 7월 말부터 8월 초(음력 7월)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해전 이후 그라벨린 해전에서 잉글랜드 함대에 패배하여 작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되자 북해 방향으로 후퇴했다.

스페인 왕 필리페 2세(Felipe II) 1580년경, 영국 국립 초상화 미술관, 런던


스페인 국왕 필리페 2세(Felipe II)는 가톨릭 신자였으며, 프로테스탄트인 엘리자베스 1세이단으로 여겼다. 필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를 몰아내고 메리 스튜어트를 잉글랜드 왕위에 앉히려 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가 1587년에 메리 스튜어트를 처형하면서 실패했다.[83]

또한, 잉글랜드의 사략선이 스페인 선박과 식민지를 공격했기 때문에, 필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해적 행위를 단속할 것을 요구했지만, 엘리자베스 1세는 이를 무시했다.[84]

엘리자베스 1세가 스페인에 적대적인 네덜란드인의 반란을 지원하여 군사 개입을 했고, 1585년 이후 양국은 사실상 전쟁 상태에 있었다. 필리페 2세는 신대륙의 스페인 무역로와 식민지에 대한 공격[86]을 막기 위해 교황 시스투스 5세(Sixtus V)의 지지를 받아 잉글랜드 침공을 십자군으로 간주하며 계획했다.[87]

1583년, 레판토 해전의 영웅인 산타 크루스 후작 알바로 데 바산이 함대 계획을 제안했다.[88] 1586년 자료에 따르면, 796척의 선박을 동원하고 총예산은 1526425898maravedíes에 달했다.[89] 레판토 해전 예산의 약 7배에 달하는 큰 금액이었기에, 함대 규모를 축소하고 상륙 부대는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의 육군을 활용하기로 했다.[90]

무적함대 총사령관 메디나-시도니아 공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Alonso Pérez de Guzmán)


1587년 4월 29일부터 30일(음력 4월 19일 - 20일), 프랜시스 드레이크가 이끄는 잉글랜드 함대가 카디스 항을 습격하여 스페인 선박 37~24척이 파괴되거나 나포되었다.[91] 이후 드레이크는 포르투갈 연안을 공격하여 100척 이상을 파괴하거나 나포했고, 이때 나포한 많은 통나무를 소각했다.[92] 이로 인해 스페인은 덜 마른 불량한 판자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후 원정에서 식수와 식량에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었다.[93][94]

스페인 함대는 레판토 해전에서 갤리선을 이용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으며, 범선으로의 이행이 더뎠다. 드레이크의 카디스 항 습격 당시 신형 범선에 대한 갤리선의 무력함이 드러났고,[95] 초기 계획의 갤리선 40척을 4척으로 대폭 줄였으며,[96] 갤리아스선을 도입했지만, 영국 해협에서는 오히려 안정성을 얻을 수 없었고, 실전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97]

스페인군은 대포 수를 2배로 늘리고,[98] 접현 격돌 전법으로 이끌어내기 위한, 무게가 큰 포탄을 발사하는, 위력은 강하지만 사정거리가 짧은 카논포나 컬버린포가 많이 사용되었다.[99][100] 또한, 접현 직전 근접전에서 인명 살상을 목표로 페리에르포 이하의 경포가 약 2,500문의 함포의 3분의 2를 차지했다.[101] 반면 잉글랜드군 대포의 95%는 경량탄을 발사하는 장거리 반컬버린포였다.[100]

필리페 2세는 잉글랜드 함대가 장거리 포전을 시도할 것이므로 스페인 함대는 접근하여 적함을 갈고리로 구속하여 공격하라고 함대 출격 전에 지시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측이 포전에서 계속 주도권을 쥐는 전개로 이어졌다.[101]

2월 9일, 함대 사령관이었던 산타 크루스 후작 알바로 데 바산이 급사했다. 대신 필리페 2세는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은 온화한 성격으로 뛰어난 행정가이기도 했지만, 해전 경험은 전무했다.[103][104][105]

2. 2. 잉글랜드-스페인 관계 악화

1588년 당시 스페인과 잉글랜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종교 문제와 더불어 잉글랜드가 네덜란드 문제에 간섭한 것이 갈등의 주요 원인이었다. 또한 잉글랜드 해적선들이 스페인 선박과 식민지를 공격하면서 스페인 왕 펠리페 2세는 잉글랜드 침공을 결심하게 되었다.[84]

필리페 2세는 1558년 그의 아내 메리 1세가 사망하기 전까지 잉글랜드의 공동 국왕이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그는 프로테스탄트였던 의붓동생 엘리자베스 1세이단자이자 불법적인 통치자로 여겼다. 필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를 몰아내고 가톨릭 신자이자 잉글랜드 왕위 계승권을 가진 메리 스튜어트를 왕위에 앉히려 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가 1587년 메리 스튜어트를 처형하면서 실패했다.[83]

잉글랜드의 사략선들이 스페인의 식민지에서 본국으로 향하는 물자 수송선을 여러 차례 공격하자, 필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해적 행위를 단속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엘리자베스 1세는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해적 행위를 지원했다.[84]

엘리자베스 1세는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확산시키기 위해 스페인에 적대적인 네덜란드인의 반란을 지원하며 군사적으로 개입했다. 1585년 이후 양국은 사실상 전쟁 상태에 돌입했다. 필리페 2세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보복으로 프로테스탄트 체제를 전복시키기 위해 잉글랜드 침공을 계획했다. 그는 잉글랜드의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85] 지원을 중단시키고, 신대륙의 스페인 무역로와 식민지에 대한 공격[86]을 막고자 했다. 교황 시스투스 5세는 이 침공을 십자군으로 간주하며 지원했고, 스페인 군이 상륙하면 특별 보조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했다.[87]

1583년, 레판토 해전의 영웅인 산타 크루스 후작 알바로 데 바산이 함대 계획을 제안했다.[88] 1586년 자료에 따르면, 796척의 선박을 동원하고 총 15억 2,642만 5,898 마라베디의 예산이 필요했다.[89] 이는 레판토 해전 예산의 약 7배에 달하는 엄청난 금액이었다. 막대한 비용 때문에 함대 규모를 축소하고, 상륙 부대는 스페인령 네덜란드 총독 파르마 공작알레산드로 파르네세의 육군을 활용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90]

1587년 4월 29일부터 30일까지, 프랜시스 드레이크가 이끄는 잉글랜드 함대가 카디스 항을 습격하여 스페인 선박 37~24척을 파괴하거나 나포했다.[91] 이후 드레이크는 포르투갈 연안을 공격하여 100척 이상을 파괴하거나 나포했고, 이때 많은 통나무를 불태웠다.[92] 이로 인해 스페인은 마르지 않은 불량한 판자를 사용하게 되었고, 이는 이후 원정에서 식수와 식량에 큰 피해를 야기했다.[93][94] 이 사건은 "스페인 왕의 수염 태우기" 사건으로 알려져 있으며, 함대 계획을 크게 변경시켰다.

스페인 함대는 파도가 잔잔한 지중해 전투에 익숙했고, 특히 레판토 해전에서 갤리선을 이용해 큰 성과를 거두었다. 범선으로의 전환은 더뎠다. 드레이크의 카디스 항 습격 당시 신형 범선에 비해 갤리선이 무력하다는 것이 드러났고,[95] 초기 계획의 갤리선 40척은 4척으로 대폭 감소했다.[96] 기동성과 공격성을 높이기 위해 노잡이 상층부에 대포를 배치한 범선과 갤리선의 혼합형 갤리아스선을 도입했지만, 파도가 거친 영불 해협에서는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실전에서 큰 효과를 보지 못했다.[97]

스페인군은 대포 수를 2배로 늘리고,[98] 몇 발만으로 적선의 움직임을 멈추게 한 후 기존의 접현 격돌 전법으로 이끌기 위해, 위력은 강하지만 사정거리가 짧은 카논포나 컬버린포를 많이 사용했다.[99][100] 또한, 접현 직전 근접전에서 인명 피해를 입히기 위해 페리에르포 이하의 경포가 약 2,500문의 함포 중 3분의 2를 차지했다.[101] 이 많은 경포를 탑재하기 위해 주력 전투함인 갤리온선에는 대규모 함교가 설치되었지만, 이는 상부 중량을 증가시켜 선체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항해성과 포의 명중률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었다.[102] 반면 잉글랜드군 대포의 95%는 경량탄을 발사하는 장거리 반컬버린포였다.[100] 잉글랜드군은 큰 함교를 없애고, 항해성과 기동성이 뛰어난 저중심 설계의 선체를 만들었다.[102] 장거리에서는 명중률이 낮고 명중하더라도 경량탄으로는 선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없었기 때문에, 근접전을 염두에 둔 스페인 함대의 전술 이론이 더 발전했다는 평가도 있다.[101] 스페인 측도 이러한 양측의 장비 차이를 인지하고 있었고, 필리페 2세는 잉글랜드 함대가 장거리 포격을 시도할 것이므로 스페인 함대는 접근하여 적함을 갈고리로 묶어 공격하라고 출격 전에 지시했다. 그러나 잉글랜드 측의 포갑판 설계와 포병 기술이 우수했기 때문에, 잉글랜드 측이 포격전에서 계속 주도권을 잡는 결과로 이어졌다.[101]

당초 1588년 1월 출격 예정이었으나, 필리페 2세의 병으로 출격이 연기되었다. 2월 9일, 함대 사령관이었던 산타 크루스 후작 알바로 데 바산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필리페 2세는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했다.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은 온화한 성격에 뛰어난 행정가였지만, 해전 경험은 전혀 없었다.[103][104][105] 그는 처음에 사령관직을 거절하고 다른 사람을 추천했지만, 필리페 2세는 고위 명문 출신자가 총사령관에 적합하다고 생각하여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06] 대신 필리페 2세는 유능한 해군 장교인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es)를 보좌역으로 임명했다.[107]

2. 3. 펠리페 2세의 결단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약 130척의 스페인 무적함대가 리스본을 출발했다. 이는 펠리페 2세의 잉글랜드 침공 계획에 따른 것이었다. 펠리페 2세는 잉글랜드의 엘리자베스 1세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가톨릭 신자인 메리 스튜어트를 잉글랜드 왕위에 앉히려 했으나, 엘리자베스 1세가 메리 스튜어트를 처형하면서 이 계획은 좌절되었다.[83]

당시 스페인과 잉글랜드는 종교 문제, 잉글랜드의 네덜란드 개입, 잉글랜드 해적선의 스페인 선박 및 식민지에 대한 해적 행위로 인해 관계가 매우 악화된 상태였다. 펠리페 2세는 엘리자베스 1세에게 해적 행위 단속을 요구했지만, 엘리자베스 1세는 이를 무시하고 오히려 해적 행위를 지원했다.[84]

펠리페 2세는 잉글랜드의 네덜란드인의 반란 지원과 신대륙에서의 스페인 무역로 및 식민지에 대한 공격을 막기 위해 잉글랜드 침공을 계획했다.[86] 교황 시스투스 5세는 이 침공을 십자군으로 간주하며 지원했다.[87]

1583년 알바로 데 바산이 함대 계획을 제안했고,[88] 초기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했지만, 알레산드로 파르네세의 육군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계획이 변경되었다.[90] 1587년 프랜시스 드레이크카디스 항 습격으로 스페인 함대는 큰 피해를 입었고, 이로 인해 함대 계획이 수정되었다.[91]

스페인 함대는 지중해에서의 전투 경험은 풍부했지만, 범선으로의 전환이 늦었다. 드레이크의 카디스 항 습격으로 갤리선의 한계가 드러났고,[95] 갤리아스선을 도입했지만 영불 해협의 거친 파도에는 적합하지 않았다.[97] 스페인군은 강력하지만 사거리가 짧은 카논포와 컬버린포를 주로 사용했고,[99][100] 잉글랜드군은 장거리 반컬버린포를 사용했다.[100]

1588년 2월 9일, 함대 사령관이었던 알바로 데 바산이 사망하고,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이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해전 경험이 없었지만,[103][104][105] 필리페 2세는 그를 신임하고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를 보좌역으로 임명했다.[107]

3. 무적함대의 편성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스페인 무적함대는 약 130척의 함선과 2만 9천여 명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무적함대는 다음과 같이 크게 10개의 함대로 편성되었다.


  • 총사령관: 메디나-시도니아 공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
  • 참모본부장: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es)[175]
  • 부사령관: 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es)[176]
  • 함선: 130척[177]
  • 화포: 2,431문[177]
  • 승조원: 2만 9,295명 (병사, 선원, 노잡이)[177]


무적함대 함선 구성
함대지휘관함선 수비고
포르투갈 함대메디나-시도니아 공12기함 산 마르티뉴(São Martinho)
카스티야 함대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es)16
비스카야 함대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es), 알레한드로 고메스 데 세구라(es)14
기푸스코아 함대미겔 데 오켄도(Miguel de Oquendo)14
안달루시아 함대페드로 데 발데스11기함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Nuestra Senora del Rosario), 8월 1일 나포
레반토(이탈리아) 함대마르틴 데 베르텐도나(es)10
나폴리 갤리온선 함대우고 데 몽카다4기함 산 로렌소(San Lorenzo)
포르투갈 갤리선 함대디에고 메드라노4
수송선단후안 로페스 데 메디나23
소형선단안토니오 우르타도 데 멘도사(Antonio Hurtado de Mendoza)22



각 함대의 상세 구성은 다음과 같다.

포르투갈 함대
지휘관: 메디나-시도니아 공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마르티뉴(São Martinho)1000ton48함대 기함
산 후안(São João)1050ton50함대 부제독함
산 마르코스(São Marcos)790ton33로페스 데 멘도사: 9월 10일 아일랜드 해상 좌초
산 펠리페(São Filipe)800ton40프란시스코 데 토레도(Francisco de Toledo, Count of Oropesa): 8월 8일 뉘우포르트와 오스텐데 사이 포기, 8월 9일 네덜란드군 나포
산 루이스(São Luís)830ton38아구스틴 메키시아
산 마테우스(São Mateus)750ton34디에고 피멘텔: 뉘우포르트와 오스텐데 사이 좌초, 8월 9일 네덜란드군 나포
산티아고(Santiago)520ton24
산 프란체스코(San Francesco)961ton52니콜로 바르톨리, 피렌체 공화국 갤리온선, 포르투갈 함대 편입
산 크리스토반(São Cristóvão)352ton20
산 베르나르도(São Bernardo)352ton21
아우구스타(Augusta)166ton13
훌리아(Júlia)166ton14



카스티야 함대
지휘관: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es)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크리스토발(San Cristóbal)700ton36함대 기함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750ton24함대 부제독함
산 페드로(San Pedro)650ton24
산 후안(San Juan)530ton24
산티아고 엘 마요르(Santiago el Mayor)530ton24
산 펠리페 이 산티아고(San Felipe y Santiago)530ton24
라 아순시온(La Asunción)530ton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바리오(Nuestra Señora del Barrio)530ton24
산 린다 이 셀레돈(San Linda y Celedón)530ton24
산타 아나(Santa Ana)250ton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베고냐(Nuestra Señora de Begoña)530ton24
라 트리니다드 보히타르(La Trinidad Bogitar)872ton24
산타 카탈리나(Santa Catalina)882ton24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700ton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Nuestra Señora del Rosario)75ton24
산 안토니오 데 파두아(San Antonio de Padua)75ton12



비스카야 함대
지휘관: 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es) 및 알레한드로 고메스 데 세구라(es)
함명톤수화포비고
산타 아나(Santa Ana)768ton30함대 기함
엘 그란 그린(El Gran Grin)1160ton28함대 부제독함, 9월 24일 아일랜드 클레어 섬(Clare Island) 좌초
산티아고(Santiago)666ton25
라 콘셉시온 데 수벨수(La Concepción de Zubelzu)486ton16
라 콘셉시온 데 후안 델 카노(La Concepción de Juan del Cano)418ton18
라 마그달레나(La Magdalena)530ton18
산 후안(San Juan)350ton21
라 마리아 후안(La María Juan)665ton248월 8일 그라블린느 북쪽 침몰
라 마누엘라(La Manuela)520ton12
산타 마리아 데 몬테마요르(Santa María de Montemayor)707ton18
마리아 데 아기레(María de Aguirre)70ton6
이사벨라(Isabela)71ton10
파타체 데 미겔 데 수소(Patache de Miguel de Suso)36ton6
산 에스테반(San Esteban)96ton6



기푸스코아 함대
지휘관: 미겔 데 오켄도(Miguel de Oquendo)
함명톤수화포비고
산타 아나(Santa Ana)1200ton47함대 기함
산 살바도르(San Salvador)958ton257월 31일 폭발, 8월 1일 나포
산타 마리아 데 라 로사(Santa Maria de la Rosa)945ton26
산 에스테반(San Esteban)736ton26
산타 크루스(Santa Cruz)680ton16
산타 마르타(Santa Marta)548ton20
산타 바르바라(Santa Barbara)525ton12
돈셀라(Doncella)500ton16
산 부에나벤투라(San Buenaventura)379ton21
라 마리아 산 후안(La Maria San Juan)291ton12
팍사트 산 베르나베(Paxat San Bernabe)69ton9
팍사트 라 아순시온(Paxat la Asuncion)60ton9
피나자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과달루페(Pinaza Nuestra Senora de Guadalupe)??
피나자 마그달레나(Pinaza Magdalena)??



안달루시아 함대
지휘관: 페드로 데 발데스
함명톤수화포비고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Nuestra Senora del Rosario)1150ton46함대 기함, 8월 1일 나포
산 바르톨로메(San Barolome)976ton27
산 프란체스코(San Francisco)915ton21
두케사 산타 아나(Duquesa Santa Ana)900ton23
라 콘셉시온(La Concepcion)862ton20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810ton31
산타 카탈리나(Santa Catalina)730ton23
산타 마리아 데 훈칼(Santa Maria de Juncal)730ton20
라 트리니다드(La Trinidad)650ton13
산 후안 데 갈가린(San Juan de Gargarin)569ton16
에스피리투 산토(Espiritu Santo.)??



레반토(이탈리아) 함대
지휘관: 마르틴 데 베르텐도나(es)
함명톤수화포비고
라 레가소나(La Regazona)1249ton30함대 기함
라 트리니다드 발렌세라(La Trinidad Valencera)1100ton42
라 트리니다드 데 스칼라(La Trinidad de Scala)900ton22
라 훌리아나(La Juliana)86ton32
라 라타 산타 마리아 엔코로나다(La Rata Santa Maria Encoronada)834ton26
산 니콜라스 프로다넬리(San Nicolas Prodaneli)820ton35
산 후안 데 시칠리아(San Juan de Sicila)80ton26
라 라비아(La Lavia)728ton25
라 아눈시아다(La Anunciada)703ton24
산타 마리아 데 비손(Santa Maria de Vison)666ton18



나폴리 갤리온선 함대
지휘관: 우고 데 몽카다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로렌소(San Lorenzo)?50함대 기함
수니가(Zúñiga)?50
라 지로나(La Girona)?50아일랜드 북부 앤트림주 좌초
나폴리타나(Napolitana)?50



포르투갈 갤리선 함대
지휘관: 디에고 메드라노
함명톤수화포비고
카피타나(Capitana)?5
프린세사(Princesa)?5
디아나(Diana)?5
바사나(Bazana)?5


  • 수송선단: 지휘관: 후안 로페스 데 메디나, 23척
  • 소형선단: 지휘관: 안토니오 우르타도 데 멘도사(Antonio Hurtado de Mendoza), 소형범선 22척


스페인 선박의 톤수는 스페인식 계산에 따른 것이며, 잉글랜드식 계산보다 25% 이상 작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178]

3. 1. 초기 계획과 수정

7월 30일, 영국 함대는 에디스톤 암초 부근에 있었고, 무적함대는 서쪽 상풍 쪽에 있었다. 영국 함대는 공격을 개시하기 위해 무적함대의 바람쪽으로 항해 방향을 바꾸어 무적함대보다 바람을 등지는 이점인 풍상을 확보했다.[23] 7월 31일 새벽, 영국 함대는 플리머스 앞바다에서 무적함대와 교전했다. 무적함대는 동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의 방어 진형을 취하고 있었다. 갤리온선과 대형 함선들은 초승달의 중앙과 양 끝에 집중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있는 수송선과 보급선을 보호했다. 이에 맞서 영국 함대는 두 부대로 나뉘어, 프랜시스 드레이크는 북쪽에서 함을 포함한 11척의 함선을 지휘했고, 하워드는 남쪽에서 함을 포함한 대부분의 함대를 지휘했다.

스페인 함대가 근접전에서 유리했기에, 영국 함대는 접근전 거리 밖에서 대포 사격으로 스페인 함선을 포격했다. 그러나 거리가 너무 멀어 효과적인 기동이 어려웠고, 첫날 전투가 끝날 때까지 양측 모두 함선을 잃지는 않았다.

페드로 데 발데스(안달루시아 함대 사령관)의 프랜시스 드레이크에게 항복 장면(1588년 무적함대 공격 당시, 존 시모어 루카스 작품)


영국 함대와 무적함대는 8월 1일, 포틀랜드 해역에서 다시 교전했다. 바람이 바뀌면서 스페인 함대가 풍상을 차지했고, 영국 함대와 접근하려 했으나, 영국 소형 함선들의 뛰어난 기동성에 좌절되었다. 스페인 중앙 함대가 산타 아나es를 지원하기 위해 기동하는 동안,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호가 여러 척의 함선과 충돌하여 사출대를 잃고 일련의 사고를 일으켰다. 배는 표류하기 시작했고, 함대와 반대 방향으로, 영국 함대에 더 가까운 곳으로 해류에 떠밀려갔다. 드레이크는 ''리벤지''호를 이끌고 밤에 로사리오es호에 접근하여 함선을 나포했다. 페드로 데 발데스 제독(안달루시아 함대 사령관)은 그의 전 승무원과 함께 항복했다. 영국군은 함선에서 절실히 필요한 화약과 5만 금두캇을 압수했다.

만약 무적함대가 솔런트 해협(와이트 섬과 영국 본토 사이의 해협)의 안전한 수역에 임시 기지를 마련할 수 있었다면, 파르마의 군대 소식을 기다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면 공격에서 영국 함대는 네 개의 부대로 나뉘었고, 마틴 프로비셔가 호를 지휘하는 함대를 맡았고, 드레이크는 남쪽에서 대규모 부대를 이끌었다. 메디나 시도니아는 남쪽으로 증원군을 보내고 무적함대에게 오워스 암초를 피해 다시 공해로 나가도록 명령했다.[23] 영국 남해안 동쪽에는 다른 안전한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무적함대는 파르마의 군대 소식을 기다리지 못하고 칼레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3. 2.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의 임명

7월 30일, 영국 함대는 에디스톤 암초 부근에 있었고, 무적함대는 서쪽 상풍 쪽에 있었다. 영국 함대는 공격을 개시하기 위해 무적함대의 바람쪽으로 항해 방향을 바꾸어 무적함대보다 바람을 등지게 되어, 풍상을 확보하여 상당한 이점을 얻었다. 7월 31일 새벽, 영국 함대는 에디스톤 암초 근처 플리머스 앞바다에서 무적함대와 교전했다. 무적함대는 동쪽으로 볼록한 초승달 모양의 방어 진형을 취하고 있었다. 갤리온선과 대형 함선들은 초승달의 중앙과 양 끝에 집중 배치되어, 그 사이에 있는 수송선과 보급선을 보호했다. 이에 맞서 영국 함대는 두 부대로 나뉘어, 드레이크는 북쪽에서 11척의 함선을 지휘했고, 하워드는 남쪽에서 대부분의 함대를 지휘했다.

스페인 함대가 근접전에서 유리했기에, 영국 함대는 접근전 거리 밖에서 대포 사격으로 스페인 함선을 포격했다. 그러나 거리가 너무 멀어 효과적인 기동이 어려웠고, 첫날 전투가 끝날 때까지 양측 모두 함선을 잃지는 않았다. 영국 함대는 하루 동안 항해 후 스페인 함대를 따라잡았다.

8월 1일, 영국 함대와 무적함대는 포틀랜드 해역에서 다시 교전했다. 바람이 바뀌면서 스페인 함대가 풍상을 차지했고, 영국 함대와 접근하려 했으나, 영국 소형 함선들의 뛰어난 기동성에 좌절되었다.

스페인 중앙 함대가 산타 아나es를 지원하기 위해 기동하는 동안,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호가 여러 척의 함선과 충돌하여 사출대를 잃고 일련의 사고를 일으켰다. 배는 표류하기 시작했고, 함대와 반대 방향으로, 영국 함대에 더 가까운 곳으로 해류에 떠밀려갔다. 드레이크는 리벤지 호를 이끌고 밤에 로사리오es호에 접근하여 함선을 나포했다. 페드로 데 발데스 제독(안달루시아 함대 사령관)은 그의 전 승무원과 함께 항복했다. 영국군은 함선에서 절실히 필요한 화약과 5만 금두캇을 압수했다.[23] 드레이크는 등롱을 이용하여 영국 함대를 지휘했는데, 스페인 함선을 따돌리기 위해 등롱을 끄자, 그의 함대는 새벽이 되자 흩어지고 혼란에 빠졌다. 한때, 하워드는 함선들을 전열로 형성하여 근접 공격을 하려고 모든 함포를 집중시켰지만, 기동을 계속하지 않아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전투가 소강 상태에 접어들자, 산 살바도르es호의 화약 탄약고가 폭발하여 선체 일부에 불이 붙었다. 스페인군은 함선을 자침하려 했으나, ''골든 하인드''호가 나타나면서 실패했다. 스페인군은 함선을 버렸고, ''골든 하인드''호는 즉시 함선을 나포했다.

만약 무적함대가 솔런트 해협(와이트 섬과 영국 본토 사이의 해협)의 안전한 수역에 임시 기지를 마련할 수 있었다면, 파르마의 군대 소식을 기다릴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면 공격에서 영국 함대는 네 개의 부대로 나뉘었고, 마틴 프로비셔가 함대를 맡았고, 드레이크는 남쪽에서 대규모 부대를 이끌었다. 메디나 시도니아는 남쪽으로 증원군을 보내고 무적함대에게 오워스 암초를 피해 다시 공해로 나가도록 명령했다. 영국 남해안 동쪽에는 다른 안전한 항구가 없었기 때문에, 무적함대는 파르마의 군대 소식을 기다리지 못하고 칼레로 향할 수밖에 없었다.

8월 1일부터 시도니아는 그의 위치와 이동 상황을 파르네세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기 시작했다.

3. 3. 함대의 구성

무적함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총사령관: 메디나-시도니아 공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
  • 참모본부장: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es)[175]
  • 부사령관: 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es)[176]
  • 함선: 130척[177]
  • 화포: 2,431문[177]
  • 승조원: 2만 9,295명 (병사, 선원, 노잡이)[177]


포르투갈 함대
지휘관: 메디나-시도니아 공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마르티뉴(São Martinho)100048함대 기함
산 후안(São João)105050함대 부제독함
산 마르코스(São Marcos)79033선장 로페스 데 멘도사:
9월 10일, 아일랜드 해상에서 좌초
산 펠리페(São Filipe)80040선장 프란시스코 데 토레도(Francisco de Toledo, Count of Oropesa):
8월 8일, 뉘우포르트와 오스텐데 사이에서 포기. 8월 9일, 순찰 중이던 네덜란드 연합군에 나포됨.
산 루이스(São Luís)83038선장 아구스틴 메키시아
산 마테우스(São Mateus)75034선장 디에고 피멘텔:
뉘우포르트와 오스텐데 사이에서 좌초. 8월 9일, 순찰 중이던 네덜란드 연합군에 나포됨.
산티아고(Santiago)52024
산 프란체스코(San Francesco)96152선장 니콜로 바르톨리:
피렌체 공화국의 갤리온선으로 포르투갈 함대에 편입됨.
산 크리스토반(São Cristóvão)35220
산 베르나르도(São Bernardo)35221
아우구스타(Augusta)16613
훌리아(Júlia)16614



카스티야 함대
지휘관: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크리스토발(San Cristóbal)70036함대 기함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75024함대 부제독함
산 페드로(San Pedro)65024
산 후안(San Juan)53024
산티아고 엘 마요르(Santiago el Mayor)53024
산 펠리페 이 산티아고(San Felipe y Santiago)53024
라 아순시온(La Asunción)530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바리오(Nuestra Señora del Barrio)53024
산 린다 이 셀레돈(San Linda y Celedón)53024
산타 아나(Santa Ana)250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베고냐(Nuestra Señora de Begoña)53024
라 트리니다드 보히타르(La Trinidad Bogitar)87224
산타 카탈리나(Santa Catalina)88224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70024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Nuestra Señora del Rosario)7524
산 안토니오 데 파두아(San Antonio de Padua)7512



비스카야 함대
지휘관: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 및 알레한드로 고메스 데 세구라(es)
함명톤수화포비고
산타 아나(Santa Ana)76830함대 기함
엘 그란 그린(El Gran Grin)116028함대 부제독함:
9월 24일, 아일랜드 클레어 섬(Clare Island)에서 좌초
산티아고(Santiago)66625
라 콘셉시온 데 수벨수(La Concepción de Zubelzu)48616
라 콘셉시온 데 후안 델 카노(La Concepción de Juan del Cano)41818
라 마그달레나(La Magdalena)53018
산 후안(San Juan)35021
라 마리아 후안(La María Juan)665248월 8일, 그라블린느 북쪽에서 침몰
라 마누엘라(La Manuela)52012
산타 마리아 데 몬테마요르(Santa María de Montemayor)70718
마리아 데 아기레(María de Aguirre)706
이사벨라(Isabela)7110
파타체 데 미겔 데 수소(Patache de Miguel de Suso)366
산 에스테반(San Esteban)966



기푸스코아 함대
지휘관:미겔 데 오켄도(Miguel de Oquendo)
함명톤수화포비고
산타 아나(Santa Ana)120047함대 기함
산 살바도르(San Salvador)958257월 31일 폭발, 8월 1일 나포.
산타 마리아 데 라 로사(Santa Maria de la Rosa)94526
산 에스테반(San Esteban)73626
산타 크루스(Santa Cruz)68016
산타 마르타(Santa Marta)54820
산타 바르바라(Santa Barbara)52512
돈셀라(Doncella)50016
산 부에나벤투라(San Buenaventura)37921
라 마리아 산 후안(La Maria San Juan)29112
팍사트 산 베르나베(Paxat San Bernabe)699
팍사트 라 아순시온(Paxat la Asuncion)609
피나자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과달루페(Pinaza Nuestra Senora de Guadalupe)??|
피나자 마그달레나(Pinaza Magdalena)??|



안달루시아 함대
지휘관:페드로 데 발데스
함명톤수화포비고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Nuestra Senora del Rosario)115046함대 기함
8월 1일 나포.
산 바르톨로메(San Barolome)97627|
산 프란체스코(San Francisco)91521|
두케사 산타 아나(Duquesa Santa Ana)90023|
라 콘셉시온(La Concepcion)86220|
산 후안 바우티스타(San Juan Bautista)81031|
산타 카탈리나(Santa Catalina)73023|
산타 마리아 데 훈칼(Santa Maria de Juncal)73020|
라 트리니다드(La Trinidad)65013|
산 후안 데 갈가린(San Juan de Gargarin)56916|
에스피리투 산토(Espiritu Santo.)??|



레반토 또는 이탈리아 함대
지휘관:마르틴 데 베르텐도나(es)
함명톤수화포비고
라 레가소나(La Regazona)124930함대 기함
라 트리니다드 발렌세라(La Trinidad Valencera)110042
라 트리니다드 데 스칼라(La Trinidad de Scala)90022
라 훌리아나(La Juliana)8632
라 라타 산타 마리아 엔코로나다(La Rata Santa Maria Encoronada)83426
산 니콜라스 프로다넬리(San Nicolas Prodaneli)82035
산 후안 데 시칠리아(San Juan de Sicila)8026
라 라비아(La Lavia)72825
라 아눈시아다(La Anunciada)70324
산타 마리아 데 비손(Santa Maria de Vison)66618



나폴리 갤리온선 함대
지휘관:우고 데 몽카다
함명톤수화포비고
산 로렌소(San Lorenzo)?50함대 기함
수니가(Zúñiga)?50
라 지로나(La Girona)?50아일랜드 북부 앤트림주에서 좌초.
나폴리타나(Napolitana)?50|



포르투갈 갤리선 함대
지휘관:디에고 메드라노
함명톤수화포비고
카피타나(Capitana)?5style="width:25em"|
프린세사(Princesa)?5
디아나(Diana)?5
바사나(Bazana)?5


  • 수송선단: 지휘관:후안 로페스 데 메디나: 23척
  • 소형선단: 지휘관:안토니오 우르타도 데 멘도사(Antonio Hurtado de Mendoza): 소형범선 22척


스페인 선박의 톤수는 스페인식 계산에 따른 것이며, 잉글랜드식 계산보다 25% 이상 작다.[178]

4. 잉글랜드 해협에서의 전투

8월 7일 밤, 칼레 해전에서 잉글랜드의 화공선 공격으로 인해 흩어진 무적함대는 그라벨린 앞바다에 집결했다. 8월 8일 새벽, 메디나 시도니아는 함대를 재정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그는 플랑드르 해안의 암초에 좌초될 위험을 알고 있었기에, 네덜란드 적들이 해상 표지들을 제거한 상황에서 그라벨린보다 더 동쪽으로 항해하는 것을 주저했다.[33]

영국 함대는 이전의 소규모 교전들을 통해 무적함대의 약점을 파악하고, 스페인 군함의 참나무 선체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첫 교전에서 대부분의 화약을 소모했기 때문에, 와이트 섬 이후 그라벨린 근처에서 예상되는 공격을 위해 중화기와 화약을 아껴야 했다. 스페인 포병들은 한 번 발포한 후 주요 임무인 적선 탑승으로 옮겼는데, 이는 당시 해전의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아일랜드에서 발견된 무적함대 잔해에서 함대의 탄약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거리 포격 대신 접현을 통한 전투를 고집한 것이 스페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이 전술은 10년 전 레판토 해전과 폰타 델가다에서 효과적이었지만, 영국은 이를 알고 거리를 유지하여 피하려 했다.[33]

필립 제임스 드 루터부르크(1796년)가 그린 ''무적함대의 패배, 1588년 8월 8일''


메디나 시도니아가 무적함대를 전통적인 초승달 형태로 정비하는 동안 영국 함대가 접근했고, 새벽에 기함과 다른 4척의 함선이 영국 함대 전체와 마주하게 되었다. 영국은 사정권 밖에서 스페인의 사격을 유도한 다음, 접근하여 적선에 피해를 입히는 측면 사격을 가했다. 항상 풍상 위치를 유지하여 나중에 방향을 바꿀 때 경사진 무적함대의 선체가 수면 아래 부분이 노출되도록 했다. 스페인 포병 상당수가 영국 함대의 측면 사격으로 사망하거나 부상당했고, 대포를 조작하는 일은 종종 방법을 모르는 보병들에게 돌아갔다. 배들은 영국과 스페인 함선의 상갑판에 있는 선원들이 소총 사격을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웠다. 전투 시작 후 몇 시간 만에 몇 척의 무적함대 함선이 더 접근하여 이미 공격받고 있는 5척의 함선 양쪽에 날개를 형성했다. 8시간 후 영국 함선들은 탄약이 부족해지기 시작했고, 일부 포병들은 사슬과 같은 물체를 대포에 장전하기 시작했다. 오후 4시경, 영국은 마지막 사격을 가하고 후퇴했다.[34]

이 전투에서 스페인과 포르투갈 함선 5척이 침몰하거나 좌초되었다. 605톤급 Maria Juan|마리아 후안es은 로버트 크로스에게 항복하려 했으나 블랑켄베르헤 앞바다에서 침몰하여 275명이 사망했다. 갤리온선 San Lorenzo|산 로렌소es는 우고 데 몬카다의 기함이었는데, 수면 아래에 구멍이 뚫려 침몰을 피하기 위해 칼레에 좌초되었다. 몬카다는 소총 사격 중 머리에 총을 맞아 사망했고, 이후 승무원, 갤리 노예, 영국군 사이의 치열한 전투 끝에 함선은 함락되었다. 심각하게 손상된 갤리온선 San Mateo|산 마테오es는 슬루이스와 오스텐드 사이에 좌초되었고, 네덜란드 함선과 프랜시스 베어가 이끄는 영국군에 의해 나포되었다. San Felipe|산 펠리페es는 침몰하면서 표류하다 왈헤렌 섬에 좌초되었고, 유스티누스 판 나사우가 이끄는 네덜란드 플라이보트 부대가 함선을 점령했다. 또한 한 핀네이스는 침몰을 막기 위해 승무원에 의해 좌초되었다.

다른 많은 스페인 함선들, 특히 포르투갈 함선과 일부 스페인 대서양급 갤리온선, 그리고 나폴리 갤리선들이 전투 초기에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파르마의 군대와 합류하려던 스페인의 계획은 실패했다.

4. 1. 잉글랜드 해군의 준비

1588년, 스페인의 무적함대에 맞서 잉글랜드는 철저한 해상 방어 준비를 갖추었다. 잉글랜드 해군은 총사령관 찰스 하워드 경과 부사령관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의 지휘 아래, 197척의 함선과 15,925명의 승무원으로 구성되었다.[174] 네덜란드 연합공화국 함대는 유스티누스 판 나사우 제독의 지휘 아래 쾌속선 30척을 동원하여 플랑드르 연안 해상 봉쇄에 참여했다.

총사령관 찰스 하워드 제독 탑승함. 아크 로열호(Ark Royal)


부사령관 프랜시스 드레이크 탑승함 리벤지호(Revenge)


갤리온선 안테롭호(Antelope)


잉글랜드 해군은 왕실 직속 함선과 임시 소집 함선으로 구성되었다. 왕실 직속 함선에는 찰스 하워드 제독의 기함 아크 로열과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의 리벤지를 포함한 다양한 갤리온선들이 포함되었다.

왕실 직속 함선
함선명함장톤수포수함종
아크 로열찰스 하워드 제독80050갤리온선
엘리자베스 보나벤처조지 클리포드600?갤리온선
레인보우헨리 시모어 경500?갤리온선
골든 라이온토마스 하워드 경50028갤리온선
화이트 베어알렉산더 기브슨500?갤리온선
뱅가드윌리엄 윈터500?갤리온선
리벤지프랜시스 드레이크50032갤리온선
엘리자베스로버트 사우스웰90041갤리온선
빅토리존 호킨스 제독60032갤리온선
안테롭헨리 파머40018갤리온선
트라이엄프마틴 프로비셔110044갤리온선
드레드노트조지 비스톤40022갤리온선
메리 로즈에드워드 펜턴60028갤리온선
논파레일토마스 페너50029갤리온선
호프로버트 크로스60026갤리온선
갤리 보나볼리아??갤리온선
스위프트슈어에드워드 페너40022갤리온선
스왈로우리처드 호킨스36016갤리온선
라크아서 치체스터??
포사이트크리스토퍼 베이커30024갤리온선
에이드윌리엄 페너25012소형 갤리온선
제러미 터너20016소형 갤리온선
타이거존 보스톡20018소형 갤리온선
트라몬타나루카 워드150?소형 갤리온선
스카우트헨리 애슐리12010소형 갤리온선
아케이츠그레고리 리그스1006소형 갤리온선
조지리처드 호지스100?소형 갤리온선
찰스존 로버츠70?소형 범선
멀린월터 가워20?소형 범선
스파이앰브로즈 워드50?소형 범선
리처드 백클리40?소형 범선
시그닛존 셰리프30?소형 범선
브리건딘토마스 스콧90?소형 범선



임시 소집 함선으로는 무장 상선 34척, 평저 화물선 33척, 연안 항로선 23척 등이 있었다. 8월 7-8일 화공선 공격에는 바크 탈보트, 호프, 토마스, 바크 본드, 베어 용지, 엘리자베스, 파스텔, 병원선 등이 사용되었다.

잉글랜드 해군은 영국 해협에서의 소규모 교전을 통해 무적함대의 약점을 파악하고, 스페인 군함의 참나무 선체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첫 교전에서 대부분의 화약을 소모했기 때문에, 와이트 섬 이후 그라벨린 해전에서 예상되는 공격을 위해 중화기와 화약을 아껴야 했다.

4. 2. 플리머스 해전 (1588년 7월 31일)

7월 31일(율력 7월 21일) 밤, 잉글랜드 함대는 무적함대의 풍상으로 진로를 바꾸어 유리한 위치를 점하고 공격을 개시했다. 동이 트자 잉글랜드 함대는 무적함대의 우익 후방에서 접근하여 포격을 가했다. 그 후, 잉글랜드 함대는 좌익 후방의 비스케이 만 함대를 공격했다. 함대 사령관 리칼데 제독(es)의 기함 산 후안호(''San Juan'')[117]와 엘 그랑그린호(''El Gran Grin'') 두 척이 잉글랜드 함대의 공격 선봉에 섰다.[118] 2시간가량 결정적인 타격을 주지 못한 포격전이 계속된 후, 메디나-시도니아 공의 지원군이 도착했기에 하워드는 후퇴를 명령했다.[119]

플리머스 해전 (1588년 7월 31일)
잉글랜드 함대무적함대
총사령관: 찰스 하워드 에핑엄 경총사령관: 알론소 페레스 데 구스만 이 소토마요르
부사령관: 프랜시스 드레이크부사령관: 후안 마르티네스 데 리칼데
함선: 197척[174]함선: 약 130척
승무원: 1만 5,925명[174]


4. 3. 포틀랜드 해전 (1588년 8월 2일)

8월 2일(율력 7월 23일), 잉글랜드 함대는 역풍에도 불구하고 과감하게 공격을 감행했다. 하워드의 본대와 무적함대가 치열한 포격전을 벌이는 가운데, 북쪽으로 돌출한 마틴 프로비셔의 함대와 성 요한 기사단의 기사 우고 데 몽카다가 이끄는 갤리어스선대[125]가 교전했다. 프로비셔는 뛰어난 조선술로 갤리어스선을 교란시켜 큰 피해를 입혔고, 갤리어스선은 범선에 적수가 되지 않음을 증명했다.[126] 하워드는 고전했지만, 오후가 되자 바람 방향이 유리하게 바뀌기를 기다리고 있던 프랜시스 드레이크가 참전하여 잉글랜드 함대는 역습으로 전환했다. 치열한 포격전이 벌어졌지만 스페인 함선의 포격은 미치지 못했고, 잉글랜드 함선의 장사정이지만 경량인 컬버린포는 효과적인 타격을 줄 수 없었다.[127][128]

4. 4. 와이트 섬 해전 (1588년 8월 4일)

8월 5일(율력 7월 25일), 잉글랜드 함대는 마틴 프로비셔, 하워드, 존 호킨스,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4개 집단으로 나뉘어 전면적인 공격을 감행했다.[129] 전투는 포틀랜드 해전과 유사하게 진행되었는데, 우선 프로비셔와 하워드가 적과 포격전을 벌였고, 호킨스와 드레이크는 바람 방향이 유리해질 때까지 기다렸다가 측면 공격을 가했다. 메디나-시도니아 공은 조류에 밀려 사주에 몰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해로 나가라고 명령했다.[130] 이 전투에서도 포틀랜드 해전과 마찬가지로 양측 모두 침몰한 배는 없었고, 스페인 측의 포격은 미치지 못했고, 잉글랜드 측의 타격력이 부족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130] 와이트 섬에서 퇴각한 무적함대 근처에는 안전한 항구가 없어 팔마 공의 군대 준비와 관계없이 칼레로 향해야만 했다.

4. 5. 칼레 해전 (1588년 8월 7일)

8월 7일(율리우스력 7월 28일) 밤, 칼레 해전에서 잉글랜드는 화공선 8척을 불태워 무적함대의 대부분 함선들을 닻을 자르고 흩어지게 했다. 이어진 전투에서 잉글랜드 해군은 스페인 함선 5척을 격침 또는 좌초시켰다.[34]

  • 스페인/포르투갈 함선 5척 침몰:
  • * Maria Juanes: 605톤급 카라벨. 로버트 크로스에게 항복하려 했으나 블랑켄베르헤 앞바다에서 침몰. 275명 사망.
  • * San Lorenzoes: 갤리온선. 우고 데 몬카다의 기함. 수면 아래 구멍으로 칼레에 좌초. 몬카다는 소총 사격 중 사망. 승무원, 노예, 잉글랜드군 간 전투 후 함락.
  • * San Mateoes: 갤리온선. 심각하게 손상되어 슬루이스와 오스텐드 사이에 좌초. 네덜란드 함선과 프랜시스 베어에게 나포. 선장 디에고 핌멘탈은 항복.
  • * San Felipees: 심각하게 손상. 침몰하며 표류하다 왈헤렌 섬에 좌초. 잉글랜드군이 공격, 승무원 포로. 유스티누스 반 나사우가 이끄는 네덜란드 쾌속선 부대가 점령.
  • * 핀네이스 1척: 침몰을 막기 위해 승무원에 의해 좌초.[34]


이 외에도 많은 스페인 함선들이 피해를 입었다. 특히 포르투갈 함선과 일부 스페인 대서양급 갤리온선, 나폴리 갤리선들이 전투 초기에 큰 피해를 입었다.[34]

잉글랜드 해군은 장거리 포격으로 스페인 함대를 공격했다. 스페인 함대는 전통적인 초승달 대형을 유지하려 했으나, 잉글랜드 해군은 풍상 위치를 이용하여 스페인 함선의 약점을 노출시켰다. 스페인 포병은 잉글랜드 함대의 사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대포 조작은 보병들에게 맡겨졌다.[34]

잉글랜드 함선들은 탄약이 부족해지자 사슬 등을 대포에 장전하기도 했다. 오후 4시경, 잉글랜드는 마지막 사격을 가하고 후퇴했다.[34]

헨드릭 코르넬리우스 브롬(Hendrick Cornelisz Vroom)의 작품, "무적함대와의 전투 7일차, 1588년 8월 7일"


스페인은 117척의 함선으로 200척이 넘는 잉글랜드 함선과 맞섰다. 스페인은 레판토 해전에서처럼 대포 사격 후 적선에 접근하여 백병전을 벌이는 전술을 사용했다. 반면 잉글랜드는 바람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대포 사격을 하는 전술을 사용했다. 잉글랜드는 자국 근해에서 싸웠기 때문에 보급이 용이했고, 무적함대는 육상전에 필요한 물자를 모두 싣고 있어 무거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적함대는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전투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잉글랜드 함대와의 최종 교전 후, 스페인 함대는 효과적으로 전쟁을 수행할 능력을 유지한 채 떠났다.[34]

4. 6. 그라벨린 해전 (1588년 8월 8일)

8월 7일 밤, 칼레 해전에서 전열이 흐트러진 무적함대는 그라벨린 앞바다에 집결했다. 8월 8일 새벽, 메디나 시도니아는 흩어진 함대를 재정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플랑드르 해안의 암초에 좌초될 위험을 인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네덜란드 적들이 해상 표지들을 제거한 상황에서 그라벨린보다 더 동쪽으로 항해하는 것을 주저했다.[33]

영국 함대는 소규모 교전을 통해 무적함대의 약점을 파악했고, 스페인 군함의 참나무 선체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결론 내렸다. 첫 교전에서 대부분의 화약을 소모했기에, 와이트 섬 이후 그라벨린 근처에서 예상되는 공격을 위해 중화기와 화약을 아껴야 했다. 모든 교전에서 스페인의 중화기는 밀집 배치와 갑판 사이에 쌓인 많은 물자 때문에 재장전이 어려웠다. 이는 드레이크가 해협에서 Nuestra Señora del Rosario|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es를 나포했을 때 확인된 사실이다.[33] 스페인 포병들은 한 번 발포한 후 주요 임무인 적선 탑승으로 옮겼는데, 이는 당시 해전의 일반적인 관행이었다. 아일랜드에서 발견된 무적함대 잔해에서 함대의 탄약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거리 포격 대신 접현을 통한 전투를 고집한 것이 스페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이 전술은 10년 전 레판토 해전과 폰타 델가다에서 효과적이었지만, 영국은 이를 알고 거리를 유지하여 피하려 했다.

메디나 시도니아가 무적함대를 전통적인 초승달 형태로 정비하는 동안 영국 함대가 접근했고, 새벽에 기함과 다른 4척의 함선이 영국 함대 전체와 마주하게 되었다. 영국은 사정권 밖에서 스페인의 사격을 유도한 다음, 접근하여 적선에 피해를 입히는 측면 사격을 가했다. 항상 풍상 위치를 유지하여 나중에 방향을 바꿀 때 경사진 무적함대의 선체가 수면 아래 부분이 노출되도록 했다. 스페인 포병 상당수가 영국 함대의 측면 사격으로 사망하거나 부상당했고, 대포를 조작하는 일은 종종 방법을 모르는 보병들에게 돌아갔다. 배들은 영국과 스페인 함선의 상갑판에 있는 선원들이 소총 사격을 교환할 수 있을 정도로 가까웠다. 전투 시작 후 몇 시간 만에 몇 척의 무적함대 함선이 더 접근하여 이미 공격받고 있는 5척의 함선 양쪽에 날개를 형성했다. 8시간 후 영국 함선들은 탄약이 부족해지기 시작했고, 일부 포병들은 사슬과 같은 물체를 대포에 장전하기 시작했다. 오후 4시경, 영국은 마지막 사격을 가하고 후퇴했다.[34]

스페인과 포르투갈 함선 5척이 침몰했다. 605톤급 Maria Juan|마리아 후안es은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의 카스티야 함대 소속의 카라벨이었는데, ''호프''호의 선장 로버트 크로스에게 항복하려 했으나 블랑켄베르헤 앞바다에서 침몰하여 275명이 사망했고 스페인은 겨우 일부 생존자를 구출했다. 갤리온선 San Lorenzo|산 로렌소es는 우고 데 몬카다의 기함이었는데, 수면 아래에 구멍이 뚫려 침몰을 피하기 위해 칼레에 좌초되었다. 이를 본 하워드는 함선의 소형 선박들로 접현하여 함선을 획득할 것을 명령했다. 몬카다는 소총 사격 교전 중 머리에 총을 맞아 사망했다. 그 후 승무원, 갤리 노예, 영국군 사이의 치열한 전투 끝에 함선은 함락되었다. 프랑스는 함선이 약탈당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지만, 영국군을 막기 위해 사격을 가했고 영국군은 재빨리 나머지 전투에 합류했다. 다음 날, 심각하게 손상된 갤리온선 San Mateo|산 마테오es는 슬루이스와 오스텐드 사이에 좌초되었고, 네덜란드 함선과 프랜시스 베어가 이끄는 영국군에 의해 나포되었다. 선장인 디에고 핌멘탈은 그의 승무원 생존자들과 함께 항복했다. 같은 날, 마에스트레 데 캄포 프란시스코 데 톨레도가 지휘하는 심각하게 손상된 San Felipe|산 펠리페es는 침몰하면서 표류하다 왈헤렌 섬에 좌초되었다. 영국군은 플러싱에서 잔해로 진출하여 피해를 입은 함선을 공격하고 승무원들을 포로로 잡았다. 유스티누스 판 나사우가 이끄는 네덜란드의 플라이보트 부대가 함선을 점령했다. 또한 한 핀네이스는 침몰을 막기 위해 승무원에 의해 좌초되었다.

다른 많은 스페인 함선들, 특히 포르투갈 함선과 일부 스페인 대서양급 갤리온선, 그리고 나폴리 갤리선들이 전투 초기에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스페인의 Nuestra Señora del Rosario|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es, San Salvador|산 살바도르es, La María Juan|라 마리아 후안es; 나폴리의 San Lorenzo|산 로렌소la; 그리고 포르투갈의 São Mateus|상 마테우스la와 São Filipe|상 필리페la 등이다. 파르마의 군대와 합류하려던 스페인의 계획은 실패했다.

5. 무적함대의 귀환과 패배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약 130척의 스페인 무적함대가 리스본을 출발했다. 무적함대는 7월 말부터 8월 초(음력 7월)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해전 이후 그라벨린 해전에서 잉글랜드 함대에 패배하여 작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되자 북해 방향으로 후퇴했다.

틸버리에서 병사들을 향해 연설하는 엘리자베스 1세


그라벨린 해전 다음 날, 바람이 남서쪽으로 바뀌면서[151]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은 함대를 프랑스 해안에서 이동시킬 수 있었다. 잉글랜드 함대는 탄약이 거의 소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함대가 다시 파르마 공의 호위 임무로 돌아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추격했다. 8월 12일(율력 8월 2일), 하워드는 스코틀랜드 포스만에서 추격 중지를 명령했다. 이 시점에서 스페인 병사들은 피로와 갈증에 시달리고 있었고,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에게는 스페인 본국으로 귀환하는 항로를 선택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지가 없었으며, 그것은 매우 위험한 항로였다.

잉글랜드인들은 여전히 네덜란드로부터의 침략 위협을 경시하지 않았고, 레스터 백작로버트 더들리는 적이 템스강 하구를 거슬러 올라와 런던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에식스주웨스트 틸버리를 4,000명의 병력으로 방어하고 있었다. 8월 18일(율력 8월 8일), 엘리자베스 1세는 병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틸버리로 가서 다음 날 연설을 했다.[152]

무적함대는 스코틀랜드아일랜드를 우회하여 귀국하려 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스페인 본국으로 돌아온 것은 약 절반인 67척에 불과했다. 사상자는 2만 명에 달했고, 이는 스페인 쇠퇴의 조짐이 되었다.[80] 그러나 이 전투 후 잉글랜드는 반격 작전에 실패하여 전쟁 주도권을 잃었고, 스페인은 함대를 재건하여 제해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전쟁은 1604년 스페인 측의 유리한 상황에서 끝났다. 영국(=잉글랜드)이 해양 패권 국가가 되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173][81][82]

이 승리는 영국에서 대규모 다윗과 골리앗식 선전 공세를 촉발했고,[75] 이를 이용하여 수년간 지속되는 국민적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웅담은 그녀 사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고 확대되었다. 또한 이는 유럽 전역의 프로테스탄트 운동에 용기를 주었고, 신이 프로테스탄트 편에 있다는 믿음을 강화했을 가능성이 있다.[68] "여호와" ('하느님이 바람을 불었고, 그들은 흩어졌다')라는 의미의 ''1588. Flavit Jehovah et Dissipati Sunt''라는 비문이 새겨진 기념 메달이 주조되었다. 카이사르의 말을 이용한 ''Venit, Vidit, Fugit''('왔다, 보았다, 도망쳤다') 와 같은 메달도 주조되었다. 아르마다를 흩어놓은 바람은 ''프로테스탄트의 바람''[60]이라고 불렸다.

아르마다를 무찌른 승리의 기억은 나폴레옹 전쟁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상기되었다. 영국의 전투 당시 RAF 전투기 조종사들은 "새로운 엘리자베스 시대의 사람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61] 플리머스에 있는 아르마다 기념비는 스페인 아르마다 패배 3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88년에 건설되었다.[62]

스페인 아르마다 함선 ''라 지로나''의 대포와 기타 무기, 얼스터 박물관, 벨파스트


1968년 벨기에 다이버 팀이 포트볼린트레이 해안에서 발견한 ''라 지로나'' 난파선의 잔해는 스페인 아르마다의 가장 큰 발견 중 하나였다. 그것은 그 당시까지 인양된 가장 큰 보물이었다.[63] 금화와 은화, 보석, 무기 및 기타 물품들은 벨파스트 스트랜밀리스에 있는 얼스터 박물관(북아일랜드 국립 박물관 소속)에 영구 전시되어 있다.

5. 1. 북해를 통한 귀환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귀환 항해 중에는 폭풍우가 적었고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의 산 마르티뇨호를 비롯한 본대는 비교적 순조롭게 귀국할 수 있었다.[155] 하지만 아일랜드로 향했거나 이탈한 함선들은 비참한 운명을 맞이했다. 무적함대의 항해사들은 아일랜드 주변 해안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155], 많은 배가 난파되어 침몰했으며, 상륙한 선원들 또한 현지 주민이나 영국군에 의해 학살당했다.[156]

익사, 아사, 그리고 학살로 인한 희생자는 전투로 인한 희생자보다 훨씬 많았고, 스페인 무적함대의 절반만이 스페인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157] 무적함대의 아일랜드 해역 항해는 스페인 선원들의 잔혹 행위와 생존 기록으로 가득 차 있다.[158] 일부 생존자는 아일랜드인들에게 숨겨졌지만, 아일랜드 반란군에 합류하여 본국으로 귀환한 스페인인은 극소수였다.

1588년 9월 22일(구력 9월 12일) 산 마르티뇨호가 스페인 북부 산탄데르 항에 귀환했고, 다른 배들도 수일 내에 도착했다.[159] 최종적으로 67척과 약 1만 명이 생존했지만, 귀환한 배의 절반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입항하자마자 침몰하기 시작한 배도 있었다.[159][160] 식량과 물이 떨어진 배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많은 선원들이 질병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귀환 병사들 중 많은 수가 스페인 본토와 항구에 정박한 병원선에서 병사했다. 원정 결과를 들은 펠리페 2세는 "나는 함대를 인간에게 보낸 것이지, 신의 바람이나 파도에 보낸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61] 크게 실망했지만 그는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을 용서하고 그의 영지로 돌려보냈다.[162] 고위 지휘관 중에서는 페드로 데 발데스는 포로가 되었고, 몬카다는 전사했으며, 부사령관 리칼데와 오켄도는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했다. 참모본부장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는 생존했지만 유죄 판결을 받고 투옥되었다.[163]

5. 2.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에서의 참사

1588년 8월 하순부터 9월까지, 무적함대는 대서양의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주변 해역에 진입했다. 긴 항해로 인해 선박들은 손상을 입기 시작했고, 일부는 굵은 밧줄로 선체를 묶어야 했다. 식량과 물이 부족해지자 군마는 바다에 던져졌다. 함대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서쪽의 비교적 안전한 외해 항해를 계획했고, 이 판단 자체는 옳았지만[153], 많은 배가 함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이탈했다. 또한, 리칼데 제독을 비롯한 일부 함선은 물과 식량 부족을 이유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은 아일랜드로 향했다.[154]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귀환 항해 중에는 폭풍우가 적었고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의 산 마르티뇨호를 비롯한 본대는 비교적 순조롭게 귀국할 수 있었다.[155] 하지만 아일랜드로 향했거나 이탈한 함선들은 비참한 운명을 맞이했다. 무적함대의 항해사들은 아일랜드 주변 해안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155], 많은 배가 난파되어 침몰했으며, 상륙한 선원들 또한 현지 주민이나 영국군에 의해 학살당했다.[156]

익사, 아사, 그리고 학살로 인한 희생자는 전투로 인한 희생자보다 훨씬 많았고, 스페인 무적함대의 절반만이 스페인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157] 무적함대의 아일랜드 해역 항해는 스페인 선원들의 잔혹 행위와 생존 기록으로 가득 차 있다.[158] 일부 생존자는 아일랜드인들에게 숨겨졌지만, 아일랜드 반란군에 합류하여 본국으로 귀환한 스페인인은 극소수였다.

5. 3. 스페인의 피해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달리, 귀환 항해 중에는 폭풍우가 적었고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의 산 마르티뇨호를 비롯한 본대는 비교적 순조롭게 귀국할 수 있었다.[155] 하지만 아일랜드로 향했거나 이탈한 함선들은 비참한 운명을 맞이했다. 무적함대의 항해사들은 아일랜드 주변 해안선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고,[155] 많은 배가 난파되어 침몰했으며, 상륙한 선원들 또한 현지 주민이나 영국군에 의해 학살당했다.[156]

익사, 아사, 그리고 학살로 인한 희생자는 전투로 인한 희생자보다 훨씬 많았고, 스페인 무적함대의 절반만이 스페인으로 귀환할 수 있었다.[157] 무적함대의 아일랜드 해역 항해는 스페인 선원들의 잔혹 행위와 생존 기록으로 가득 차 있다.[158] 일부 생존자는 아일랜드인들에게 숨겨졌지만, 아일랜드 반란군에 합류하여 본국으로 귀환한 스페인인은 극소수였다.

1588년 9월 22일(구력 9월 12일) 산 마르티뇨호가 스페인 북부 산탄데르 항에 귀환했고, 다른 배들도 수일 내에 도착했다.[159] 최종적으로 67척과 약 1만 명이 생존했지만, 귀환한 배의 절반은 재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였고, 입항하자마자 침몰하기 시작한 배도 있었다.[159][160] 식량과 물이 떨어진 배에 갇혀 있었기 때문에, 많은 선원들이 질병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귀환 병사들 중 많은 수가 스페인 본토와 항구에 정박한 병원선에서 병사했다. 원정 결과를 들은 펠리페 2세는 "나는 함대를 인간에게 보낸 것이지, 신의 바람이나 파도에 보낸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전해진다.[161] 크게 실망했지만 그는 메디나시도니아 공작을 용서하고 그의 영지로 돌려보냈다.[162] 고위 지휘관 중에서는 페드로 데 발데스는 포로가 되었고, 몬카다는 전사했으며, 부사령관 리칼데와 오켄도는 귀국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병사했다. 참모본부장 디에고 플로레스 데 발데스는 생존했지만 유죄 판결을 받고 투옥되었다.[163]

6. 전투의 의의와 영향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약 130척의 스페인 무적함대가 리스본을 출발했다. 무적함대는 7월 말부터 8월 초(음력 7월)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해전 이후 그라벨린 해전에서 잉글랜드 함대에 패배하여 작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되자 북해 방향으로 후퇴했다. 무적함대는 스코틀랜드아일랜드를 우회하여 귀국하려 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스페인 본국으로 돌아온 것은 약 절반인 67척에 불과했다. 사상자는 2만 명에 달했고, 스페인 쇠퇴의 조짐이 되었다.[80]

스페인 무적함대의 패배는 해전 전술에 혁명을 일으켰다. 이전까지 해전은 적선에 접근하여 병사들이 배에 올라타 백병전을 벌이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스페인 역시 레판토 해전에서 이러한 전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영국 해군은 바람의 방향을 이용해(풍상 위치 확보) 적선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함포 사격을 가하는 새로운 전술을 도입했다. 이 방식은 적선의 선체와 키를 표적으로 노출시켜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었다.[57] 이전까지 대포는 적선에 접근하여 탑승하는 주요 전술을 보조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함포 사격만으로 적선을 침몰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라벨린 해전에서 영국 함대는 이 새로운 전술을 성공적으로 활용했다. 무적함대는 10:1로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함대는 거리를 유지하며 함포 사격을 퍼부었다. 8시간 동안의 전투에서 영국은 카라크선 1척을 침몰시키고 갤리온선 2척, 피나스선 1척, 무장 상선 1척을 좌초시키는 전과를 올렸다.[57] 무적함대는 한 번도 전투에서 물러서지 않았지만, 영국 함대가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돛을 올렸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반격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군력의 균형이 영국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조선 기술은 혁신적이었고, 함장들은 새로운 전투 대형과 전술을 고안했다. 더 매끄럽고 기동성이 뛰어난 범선은 더 많은 대포를 탑재할 수 있었고, 이는 해전을 영원히 바꿔놓았다.[58] 역사학자 제프리 파커는 1588년 당시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 해군의 주력 함선은 세계 어느 곳에도 없는 가장 강력한 전투 함대였다"라고 평가했다.[58]

영국은 또한 스페인의 전략적 약점을 이용했다. 스페인은 침략 함대와 육상 군대 간의 조정이 필요했지만, 이는 실행하기 어려웠다.[59] 반면 영국은 자국 근해에서 싸웠기 때문에 보급이 용이했다. 스페인 대포는 구식 설계로 인해 재장전 속도가 느렸고, 이는 영국이 전투를 주도할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이 전투 후 잉글랜드는 반격 작전에 실패하여 전쟁 주도권을 잃었고, 스페인은 함대를 재건하여 제해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전쟁은 1604년 런던 조약을 통해 스페인 측에 유리한 상황에서 끝났다. 영국(=잉글랜드)이 해양 패권 국가가 되는 데는 아직 긴 세월이 필요했다.[173][81][82]

6. 1. 잉글랜드의 승리와 해군력 강화

스페인 무적함대가 잉글랜드 침공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영국 제도 전체가 공격에 취약함을 드러냈다.[45]

틸버리 연설 다음 날, 엘리자베스 1세는 군대 해산을 명령했고, 틸버리의 군영은 5일 후 해체되었으며, 해군 또한 급료 없이 해산되어 집으로 돌려보냈다.[47][48] 이러한 방어 노력의 비용은 계속 증가하여 총액이 거의 400000GBP에 달했고, 이를 완화하기 위한 조치들이 취해졌다. 티푸스, 괴혈병이질이 선원들에게 퍼져 많은 수가 마게이트에서 상륙한 후 질병과 기아로 사망했다. 예를 들어, 500명의 승무원 중 200명 이상이 사망했고, 출항 당시 승무원 중 단 한 명만 살아남았다.[47] 하워드는 버글리에게 "그토록 용감하게 싸운 사람들이 이렇게 비참하게 죽는 것을 보는 것은 누구의 마음에도 슬픔을 안겨줄 것"이라고 썼다.[47] 호킨스 또한 버글리를 비난하며 "사망, 병자의 해산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급여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8] 선원들은 장교들의 자선에 의존해야 했고, 하워드는 자신의 주머니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서 선원들을 돕는 모범을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000명 이상이 사망했다.[47][48] 그 결과, 장애를 입은 선원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채텀 체스트가 설립되었다.[47][48]

8월 말과 9월 초에 소식이 전해지기 시작하면서 승리의 규모를 깨닫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 그 결과, 잉글랜드 전역의 대성당과 교회에서 여러 차례 감사 예배가 거행되었다.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는 8월 30일 설교가 있었던 첫 번째 감사 예배를 시작으로 9월 18일 또 다른 예배가 거행되었다. 재앙의 전모와 베르겐옵줌에서 파르마에 대한 잉글랜드의 승리 소식이 전해짐에 따라 11월 29일 더 큰 전국적인 감사 예배가 거행되었다. 5일 후 두 번째이자 마지막 감사 예배가 거행되었고, 여왕이 마차를 타고 런던 거리를 행진하는 왕실 행렬이 있었다. 무적함대 함선에서 노획한 12개의 스페인 깃발과 다른 전리품들이 대규모 예배 기간 동안 세인트 폴 대성당 합창단을 장식했다.[47]

노획된 스페인 갤리온선 Nuestra Señora del Rosario|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es와 San Salvador|산 살바도르es는 영국인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San Salvador|산 살바도르es는 "그레이트 스페니아드"로 알려졌지만 1588년 11월 스터들랜드 해안에서 난파되었다. Nuestra Señora del Rosario|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로사리오es는 다트머스로 가져왔다. 397명의 승무원은 토키 근처 토어 애비로 끌려가 헛간(오늘날 '스페인 헛간'이라고 불림)에 감금되었지만 처형은 면했다. Rosario|로사리오es는 나중에 채텀으로 보내져 건식 독에 놓인 후 결국 부두를 지지하기 위해 침몰되었다.[47] 페드로 데 발데스는 5년 동안 런던탑에 감금되었고, 그의 가족이 몸값을 지불한 후 스페인으로 돌아갔다. 그는 자신의 배를 잃은 것에 대해 비난받지 않았고 1602년부터 1608년까지 쿠바의 식민지 총독으로 임명되었다.[47]

잉글랜드인들은 여전히 네덜란드로부터의 침략 위협을 경시하지 않았고, 레스터 백작로버트 더들리는 적이 템스강 하구를 거슬러 올라와 런던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에식스주웨스트 틸버리를 4,000명의 병력으로 방어하고 있었다.

8월 18일(율력 8월 8일), 엘리자베스 1세는 병사들을 격려하기 위해 틸버리로 가서 다음 날 가장 유명한 연설을 했다.

잉글랜드의 피해는 사망자 50~100명, 부상자 400명으로 그쳤고 침몰한 함선도 없었지만, 잉글랜드 함대는 그라벨린 해전에서 무적함대의 재결집을 저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여전히 함대에 병력을 배치해야 했다. 이 때문에 함대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티푸스와 이질, 기근으로 수천 명의 선원과 병사가 사망했다.[72] 정부의 재정 부족으로 인해 그들은 급여를 받지 못한 채 해산되었고, 하워드가 전리품과 사재를 사용하여 승무원들을 구제했지만 턱없이 부족했다.[164] 잉글랜드의 수호자들이 수개월 동안 무급으로 방치되면서 사기를 저하시키는 논쟁이 발생했다. 이는 스페인 정부가 함대 생존자들에게 지원을 제공한 것과는 대조적이었다.[165]

이 해전의 결과는 그때까지 충각 돌격이나 접현 백병전의 보조에 불과했던 포수의 지위 향상이라는 해전 상의 변혁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라벨린 해전은 일부 군사사학자들에 의해 양국의 해군 기술 및 무장의 차이 등 해군력 균형이 잉글랜드로 이동한 것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166] 이는 다음 세기까지 계속되었다. 역사학자 제프리 파커는 "1588년 엘리자베스 해군의 주력함은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함대를 구성하고 있었다"고 말했다.[167] 그러나 무적함대 전투에서의 패배 이후, 스페인 해군 또한 대규모 조직 개혁에 착수하여 다음 세기에서도 본국 해역과 외양 항로의 지배를 계속 유지했다.

잉글랜드에서는 수년간 국위가 높아졌고, 엘리자베스 신화는 그녀의 사후에도 오랫동안 살아남아 성장했다. 스페인 해군의 격퇴는 유럽 전역의 프로테스탄트에게 용기를 주었고, 신이 프로테스탄트 신앙을 보호하고 있다는 신념은 기념 메달에 새겨진 "''신이 바람을 일으켜 그들을 흩어버렸다''"(''He blew with His winds, and they were scattered'')라는 문구에 잘 나타나 있다. 그 외에도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말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Veni, vidi, vici'')를 본뜬 "그는 왔다, 그는 보았다, 그는 도망쳤다"(''Venit, Vidit, Fugit'')를 새긴, 더 유쾌한 메달도 있다.

그러나 잉글랜드의 우위는 이듬해 1589년에 실행된 포르투갈 및 아조레스 제도 원정의 실패로 인해 상실되었다. 잉글랜드 무적함대라 불리는 이 원정은 포르투갈인과의 연계에 실패하여 큰 피해를 입고 귀환했다.

6. 2. 스페인의 쇠퇴와 해상 패권의 변화

스페인 무적함대의 잉글랜드 침공 실패는 잉글랜드에 침공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영국 제도 전체가 공격에 취약함을 드러냈다.[45] 틸버리 연설 다음 날, 엘리자베스 1세는 군대 해산을 명령했고, 틸버리의 군영은 5일 후 해체되었으며, 해군 또한 급료 없이 해산되어 집으로 돌려보냈다.[47] 이러한 방어 노력의 비용은 계속 증가하여 총액이 거의 400000GBP에 달했고,[47] 티푸스, 괴혈병이질이 선원들에게 퍼져 많은 수가 마게이트에서 상륙한 후 질병과 기아로 사망했다.[47] 예를 들어, 영국 해군 함선 보나벤처(Bonaventure)호의 500명의 승무원 중 200명 이상이 사망했고,[47] 엘리자베스 요나스(Elizabeth Jonas)호는 출항 당시 승무원 중 단 한 명만 살아남았다.[47] 하워드는 버글리에게 "그토록 용감하게 싸운 사람들이 이렇게 비참하게 죽는 것을 보는 것은 누구의 마음에도 슬픔을 안겨줄 것"이라고 썼고,[47] 호킨스 또한 버글리를 비난하며 "사망, 병자의 해산 등으로 인해 일반적인 급여를 절감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3,000명 이상이 사망했다.[48] 그 결과, 장애를 입은 선원들에게 연금을 지급하기 위해 채텀 체스트가 설립되었다.[48]

8월 말과 9월 초에 소식이 전해지기 시작하면서 승리의 규모를 깨닫는 데는 시간이 걸렸다.[48] 런던의 세인트 폴 대성당에서는 8월 30일 설교가 있었던 첫 번째 감사 예배를 시작으로 9월 18일 또 다른 예배가 거행되었다. 11월 29일 더 큰 전국적인 감사 예배가 거행되었다.[48] 무적함대 함선에서 노획한 12개의 스페인 깃발과 다른 전리품들이 대규모 예배 기간 동안 세인트 폴 대성당 합창단을 장식했다.[48]

노획된 스페인 갤리온선 Nuestra Señora del Rosarioes와 San Salvadores는 영국인들에 의해 연구되었다. San Salvadores는 "그레이트 스페니아드"로 알려졌지만 1588년 11월 스터들랜드 해안에서 난파되었다. Nuestra Señora del Rosarioes는 다트머스로 가져왔다. 397명의 승무원은 토키 근처 토어 애비로 끌려가 헛간(오늘날 '스페인 헛간'이라고 불림)에 감금되었지만 처형은 면했다.[48] Rosarioes는 나중에 채텀으로 보내져 건식 독에 놓인 후 결국 부두를 지지하기 위해 침몰되었다.[48] 페드로 데 발데스는 5년 동안 런던탑에 감금되었고, 그의 가족이 몸값을 지불한 후 스페인으로 돌아갔다.[48]

네덜란드도 승리를 축하했고, 네덜란드 예술가들은 기념 메달과 그림을 빠르게 제작하여 그해 안에 유통되었다. 좌초된 스페인 갤리온선 San Mateoes와 San Felipees는 모두 수면 아래에서 포탄에 맞은 구멍이 많이 뚫린 것으로 밝혀졌다. 두 배 모두 인양할 수 없을 정도로 손상되어 해체되었고, 대포는 근처 요새에서 네덜란드인들이 사용했다. San Matteoes의 메인 탑메스트 리깅 배너(그 일부에는 십자가에 못 박힌 그리스도가 묘사되어 있음)는 라이덴의 세인트 피터스 교회 합창단에 걸어 전시되었다. 현재는 뮤지엄 드 라켄할에 소장되어 있다.[49]

재난 소식은 충격과 절망을 가져왔고, 스페인은 국가적인 애도에 잠겼다.[49] 국왕 필리페 2세는 이 소식에 큰 충격을 받고 며칠 동안 칩거했다. 국왕은 "나는 무적함대를 사람들에게 보냈지, 신의 바람과 파도에게 보낸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한다.[50]

손실된 함선의 수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1880년대 중반 스페인 해군 역사가 세사레오 페르난데스 두로(Fernandez Duro)의 상세한 연구에 따르면 총 63척이 침몰했다고 주장한다.[51] 역사가 José Luis Casado Soto는 각 함선의 운명을 조사하여 개별 기록을 만들고 35척이 침몰했다고 주장했다.[51] 또한 영국 해협에 진입한 122척의 무적함대 함선 중 87척이 영국 해협과 영국 제도를 거쳐 항해를 마치고 돌아왔다는 점에 주목했다.[51] 이 수치에는 행방불명된 8척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52] 다른 역사가들은 추가 연구를 수행했다. 닐 핸슨, 로버트 허치슨, 콜린 마틴, 제프리 파커는 모두 귀환한 무적함대 함선을 연구하여 44척에서 51척 사이의 함선이 손실되었다는 같은 결론에 도달했으며, 출항한 함선의 수와 그 운명에 대한 더 자세한 분석을 제시했다.[52] 이 수치는 함대의 3분의 1이 침몰, 나포, 난파 또는 자침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52] 미국의 역사가 가렛 매틀링(Garrett Mattingly)은 66척의 함선만이 스페인으로 돌아왔고, 다른 한 척은 그 해 말에 돌아왔다고 언급했다.[52]

스페인 자료에 따르면 1만 1천 명이 넘는 사망자는 없다고 한다.[53] 필리페 2세의 관리들, 관료들, 서기관들은 스페인 제국의 모든 구석구석에서 일어난 모든 일을 기록하고, 날짜를 기입하고, 분류했으며, 그 모든 기록은 스페인 국립문서보관소와 에스코리알에 보관되어 있다. 사망자 수는 지급 명세서에서 추출되었다.[54]

귀환 후에도 병사들은 좁은 공간과 식량과 물 부족으로 인해 질병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더 많은 무적함대 생존자들이 스페인이나 스페인 항구의 병원선에서 항해 중에 걸린 질병으로 사망했다. 많은 저명한 스페인 지휘관들도 항구에 도착한 후 사망했다. 기푸스코아 함대의 부제독이자 지휘관인 미겔 데 오켄도는 전투 부상과 열병으로 코루냐에 도착한 지 이틀 만에 사망했다. 비스카야 함대 지휘관 후안 마르티네스 데 레칼데도 같은 이유로 사망했다.[55] 메디나 시도니아 공작도 귀환 후 병에 걸려 거의 죽을 뻔했지만, 필리페 2세는 그를 비난하지 않고 요양을 위해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했다.

다음 해, 영국은 네덜란드 징집병과 함께 프랜시스 드레이크 경과 존 노리스 경(Sir John Norris) 지휘하에 세 가지 임무를 가진 반(反)무적함대를 출격시켰다.

  • 스페인 대서양 함대(북부 스페인 항구에서 수리를 받고 있던 낡은 함대)를 파괴한다.
  • 포르투갈 리스본에 상륙하여 필립 2세(포르투갈 필립 1세)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키고, 섭정 돔 안토니오, 크라투의 수도원장을 포르투갈 왕위에 앉힌다.
  • 가능하다면 아소르스 제도를 점령하여 영구적인 기지를 확보한다.


하지만 세 가지 목표 중 어느 것도 달성하지 못했다.[56] 스페인으로부터 포르투갈 왕위를 회복하려는 시도는 실패했고, 약화된 스페인 해군에 결정적인 타격을 가할 기회를 놓쳤다. 이 원정으로 엘리자베스 1세의 긴 통치 기간 동안 신중하게 회복된 영국의 재정 자원이 고갈되었다. 이 기회를 놓친 덕분에 필립 2세는 이듬해 해군을 재건하여 6,420명의 병력을 태운 37척의 함선을 브르타뉴로 보내 작전 기지를 블라베 강에 설치할 수 있었다. 영국과 네덜란드는 매년 동원되는 많은 군사 인원에도 불구하고 결국 인도 함대들을 방해하는 데 실패했다. 따라서 스페인은 수십 년 동안 유럽의 주요 강국으로 남아 있었다.[56]

전쟁 기간 동안 스페인은 영국 해협을 장악하거나 플랑드르에서의 영국 개입을 막거나 영국 사략선의 대서양 습격을 저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브르타뉴를 기지로 삼은 스페인 사략선들은 영국 해안에 여러 차례 침입하여 영국과 네덜란드 선박을 약탈했다.[56] 스페인은 1595년 7월 26일 콘월의 마운츠 베이 습격과 같이 여러 차례 소규모 공격을 감행했으며, 이틀 동안 펜잰스, 뉴린, 마우스홀, 폴이 습격당하고 불타올랐다. 콘월에서 또 다른 소규모 카운샌드 습격이 이듬해에 일어났지만 실패로 끝났다.[56] 1596년 6월, 영국과 네덜란드 연합 공화국은 스페인에 제2 아르마다를 파견하여 카디스를 2주간 점령하고 경제적 손실을 입혔지만 보물 함대를 압수하는 데는 실패했다. 이후 스페인은 세 차례의 아르마다를 더 파견했다 – 1596년에 파견된 제2차 아르마다(126~140척)는 폭풍으로 흩어졌고, 이듬해 파견된 제3차 아르마다(140척) 역시 폭풍으로 인해 영국 함대에 여러 척이 나포되거나 침몰했다. 1601년 10월 아일랜드에 파견된 마지막 아르마다(33척)는 세 달 후 킨세일에서 항복으로 끝났다.[56] 이후 군사 행동이 줄어들면서 갈등이 수그러들었고, 마침내 1604년 8월 런던 조약의 체결로 끝났다.

스페인은 117척의 함선으로 200척이 넘는 영국 함선과 맞섰다. 대립하는 세력들은 완전히 다른 전투 방식에 능숙했다. 스페인의 전투 방식은 레판토 해전에서 연구할 수 있다. 그들의 전술은 일제히 대포 사격을 한 후, 적선에 접근하여 탑승하고 백병전을 벌이는 것이었다. 반면 영국식 전투는 바람을 이용하여(풍상 위치 확보) 풍상에서 일렬로 대포 사격을 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적선의 선체와 키를 표적으로 노출시켰다. 또한, 탑승할 필요 없이 해상 대포를 사용하여 적선에 피해를 입히는 방식도 자리 잡았다. 그때까지 대포는 적선에 접근하여 탑승하는 주요 전술을 보조하는 역할을 했다.[56] 스페인 무적함대의 실패는 영국의 전략을 입증했고 해전 전술에 혁명을 일으켰다. 영국은 또한 자국 근해에서 싸웠기 때문에 손쉽고 빈번하게 보급받을 수 있었던 이점이 있었다. 반면 무적함대 함선들은 육상전을 벌일 침략군에 필요한 모든 물자를 싣고 있었기 때문에 무게가 많이 나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함대가 실제로 그라벨린 해전에서 충돌했을 때, 무적함대는 10:1로 수적으로 열세였다.[56] 그리고 8시간 동안의 전투에서 영국은 카라크선 1척을 침몰시키고 갤리온선 2척, 피나스선 1척, 무장 상선 1척을 좌초시켰다. 이러한 열세에도 불구하고 무적함대는 한 번도 전투에서 물러서지 않았다. 무적함대가 영국 함대에 도전할 때마다, 영국 함대는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돛을 올렸다.[56] 영국 함대와의 최종 교전 후, 스페인 함대는 효과적으로 전쟁을 수행할 능력을 유지한 채 떠났다.[56]

대부분의 군사 역사가들은 그라벨린 해전이 해상 전력의 균형을 영국 쪽으로 기울게 한 지속적인 변화를 반영한다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 세기까지 이어진 해군 기술과 대포 무장의 차이 때문이다.[57] 역사가 제프리 파커의 말에 따르면, 1588년까지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 해군의 주력 함선은 세계 어느 곳에도 없는 가장 강력한 전투 함대였다".[58] 영국 해군 조선소는 기술 혁신을 선도했고, 함장들은 새로운 전투 대형과 전술을 고안했다. 충분한 대포를 갖춘 더 매끄럽고 기동성이 뛰어난 범선은 그 세기의 가장 큰 발전 중 하나였으며 해전을 영원히 바꿔놓았다.

영국 조선 기술자들은 새로운 설계를 도입했는데, 1570년 포어사이트(Foresight)호와 1573년 드레드노트(Dreadnought)호에서 처음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함선은 더 빠르게 항해하고, 더 잘 기동하며, 더 많고 무거운 대포를 탑재할 수 있었다.[58] 이전에는 군함들이 서로 붙잡고 병사들이 적선에 탑승하려고 했지만, 이제는 적선을 침몰시킬 수 있는 함포 사격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영국 함선과 선원술이 침략을 막았다. 영국은 또한 스페인의 실행 불가능한 전략(침략 함대와 육상 스페인 군대 간의 조정이 필요함)으로부터 이익을 얻었다. 스페인 대포의 구식 설계는 근접전에서 재장전 속도가 훨씬 느리다는 것을 의미하여 영국이 제어권을 장악할 수 있게 했다. 스페인은 여전히 수적으로 더 큰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지만, 영국은 스페인을 따라잡고 있었다.[59]

영국에서는 해전 이후 전단과 팸플릿이 배포되고, 승전 기념 메달이 주조되었으며, 수많은 기쁨의 축하 행사가 열렸다.[59] 이 승리는 대규모 다윗과 골리앗식 선전 공세를 촉발했고,[59] 이를 이용하여 수년간 지속되는 국민적 자긍심을 고취시켰다. 엘리자베스 여왕의 영웅담은 그녀 사후에도 오랫동안 지속되고 확대되었다. 또한 이는 유럽 전역의 프로테스탄트 운동에 용기를 주었고, 신이 프로테스탄트 편에 있다는 믿음을 강화했을 가능성이 있다.[59] 이는 "''1588. Flavit Jehovah et Dissipati Sunt''"이라는 비문의 변형을 새긴 기념 메달의 주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 "히브리어로 된 여호와" ('하느님이 바람을 불었고, 그들은 흩어졌다') 또는 '그가 바람을 불었고, 그들은 흩어졌다'라는 의미이다. 카이사르의 말을 이용한 ''Venit, Vidit, Fugit''('왔다, 보았다, 도망쳤다') 와 같은 보다 경쾌한 메달도 주조되었다. 아르마다를 흩어놓은 바람은 ''프로테스탄트의 바람''[60]이라고 불렸는데, 이 표현은 이후 실패한 영국 침략에도 사용되었다.

아르마다를 무찌른 승리의 기억은 영국이 다시 한번 외세의 침략 위협에 직면했던 나폴레옹 전쟁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모두 상기되었다. 영국의 전투 당시 RAF 전투기 조종사들은 "새로운 엘리자베스 시대의 사람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61] 플리머스에 있는 아르마다 기념비는 스페인 아르마다 패배 3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1888년에 건설되었다.[62]

1588년 5월, 메디나시도니아 공이 이끄는 약 130척의 스페인 무적함대가 리스본을 출발했다. 무적함대는 7월 말부터 8월 초(음력 7월)에 걸쳐 일어난 일련의 해전 이후 그라벨린 해전에서 잉글랜드 함대에 패배하여 작전을 계속할 수 없게 되자 북해 방향으로 후퇴했다. 무적함대는 스코틀랜드아일랜드를 우회하여 귀국하려 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고, 결국 스페인 본국으로 돌아온 것은 약 절반인 67척에 불과했다. 사상자는 2만 명에 달했고, 스페인 쇠퇴의 조짐이 되었다.[80] 그러나 이 전투 후 잉글랜드는 반격 작전에 실패하여 전쟁 주도권을 잃었고, 스페인은 함대를 재건하여 제해권을 유지했기 때문에, 전쟁은 1604년 스페인 측의 유리한 상황에서 끝났다. 영국(=잉글랜드)이 해양 패권 국가가 되는 데는 아직 긴 세월이 필요했다.[81][82][173]

잉글랜드의 피해는 사망자 50~100명, 부상자 400명으로 그쳤고 침몰한 함선도 없었지만, 잉글랜드 함대는 그라벨린 해전에서 무적함대의 재결집을 저지하지 못했기 때문에, 여전히 함대에 병력을 배치해야 했다. 이 때문에 함대에 전염병이 발생하여, 티푸스와 이질, 기근으로 수천 명의 선원과 병사가 사망했다.[72] 정부의 재정 부족으로 인해 그들은 급여를 받지 못한 채 해산되었고, 하워드가 전리품과 사재를 사용하여 승무원들을 구제했지만 턱없이 부족했다.[164]

그러나 잉글랜드의 우위는 이듬해 1589년에 실행된 포르투갈 및 아조레스 제도 원정의 실패로 인해 상실되었다. 잉글랜드 무적함대라 불리는 이 원정은 포르투갈과의 연계에 실패하여 큰 피해를 입고 귀환했다.

스페인은 함대를 재건하여 1596년 이후 잉글랜드 공격을 목표로 하는 4차례의 무적함대를 편성했다. 1596년 10월에 파견된 2차 무적함대는 약 100척, 12,000명의 병력으로 아일랜드를 목표로 했지만, 악천후로 인해 75척 3,000명을 잃고 실패했다.[168] 1597년 10월에 파견된 112척으로 구성된 3차 무적함대는 적에게 발각되지 않고 잉글랜드 본토에 접근했지만, 다시 한번 폭풍을 만나 실패했다.[169] 1599년에 편성된 4차 무적함대는 출항 직전 작전을 변경하여 네덜란드 함대를 요격하기 위해 아조레스 제도로 향했다.[170] 마지막 5차 무적함대는 1601년 봄에 아일랜드 반란군을 지원하기 위해 파견되어 아일랜드에 병력 3,000명을 상륙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그 후 육전에서 패배하고 철수했다.[171]

외양에서의 해적 행위나 네덜란드 및 프랑스에서의 펠리페 2세의 적에 대한 증원은 계속되었지만, 잉글랜드에는 거의 실질적인 보상을 가져다주지 못했다.[172] 영국-스페인 전쟁은 교착 상태에 빠졌고, 펠리페 2세와 엘리자베스 1세 사후 1604년에 스페인 측에 유리한 내용의 런던 조약이 체결되어 종결되었다.

스페인은 그 후에도 한동안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에서 패권 국가로 남아 있었고, 영국이 이를 대체하는 강력한 해군을 가진 해양 패권 국가가 되는 데는 오랜 세월이 필요했다.[173][81][82]

6. 3. 해전 전술의 변화

스페인 무적함대의 패배는 해전 전술에 혁명을 일으켰다. 이전까지 해전은 적선에 접근하여 병사들이 배에 올라타 백병전을 벌이는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 스페인 역시 레판토 해전에서 이러한 전술을 사용했다. 그러나 영국 해군은 바람의 방향을 이용해(풍상 위치 확보) 적선과의 거리를 유지하며 함포 사격을 가하는 새로운 전술을 도입했다. 이 방식은 적선의 선체와 키를 표적으로 노출시켜 더 큰 피해를 줄 수 있었다.[57] 이전까지 대포는 적선에 접근하여 탑승하는 주요 전술을 보조하는 역할에 불과했지만, 이제는 함포 사격만으로 적선을 침몰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라벨린 해전에서 영국 함대는 이 새로운 전술을 성공적으로 활용했다. 무적함대는 10:1로 수적으로 열세였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함대는 거리를 유지하며 함포 사격을 퍼부었다. 8시간 동안의 전투에서 영국은 카라크선 1척을 침몰시키고 갤리온선 2척, 피나스선 1척, 무장 상선 1척을 좌초시키는 전과를 올렸다.[57] 무적함대는 한 번도 전투에서 물러서지 않았지만, 영국 함대가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돛을 올렸기 때문에 제대로 된 반격을 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군력의 균형이 영국으로 이동했음을 보여준다. 영국의 조선 기술은 혁신적이었고, 함장들은 새로운 전투 대형과 전술을 고안했다. 더 매끄럽고 기동성이 뛰어난 범선은 더 많은 대포를 탑재할 수 있었고, 이는 해전을 영원히 바꿔놓았다.[58] 역사학자 제프리 파커는 1588년 당시 "엘리자베스 1세 시대 영국 해군의 주력 함선은 세계 어느 곳에도 없는 가장 강력한 전투 함대였다"라고 평가했다.[58]

영국은 또한 스페인의 전략적 약점을 이용했다. 스페인은 침략 함대와 육상 군대 간의 조정이 필요했지만, 이는 실행하기 어려웠다.[59] 반면 영국은 자국 근해에서 싸웠기 때문에 보급이 용이했다. 스페인 대포는 구식 설계로 인해 재장전 속도가 느렸고, 이는 영국이 전투를 주도할 수 있게 했다.

7. 주요 참전 인물

엘리자베스 1세 여왕, 베드퍼셔주 워번 수도원의 아르마다 초상화


무적함대를 목격하고 회합하는 총사령관 하워드와 부사령관 드레이크. 1880년경 작품

  • 로버트 더들리 레스터 백작: 런던으로 향하는 강 상류 침입에 대비하여 에식스주 웨스트 틸버리에 4,500명의 민병대를 집결시켰다.
  • 엘리자베스 1세: 틸버리에서 군대를 사열하고 왕실 연설을 하였다.
  • 찰스 하워드 에핑험 경: 영국 함대의 총사령관을 맡았다.
  • 프랜시스 드레이크: 영국 함대의 부사령관을 맡았다.
  • 존 호킨스: 영국 함대의 후위 사령관을 맡았다.


영국 함대는 왕실 소속 함선 34척과 급조된 163척의 무장 상선으로 편성되었다.

참조

[1] 서적 Mattingly p. 401
[2] 서적 Parker & Martin p. 5
[3] 서적 Vego p. 148
[4] 서적 Artillery: An Illustrated History of Its Impact
[5]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Volume 13, Companion Volume
[6] 서적 Spain, 1469–1714: A Society of Conflict Routledge 2014
[7]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Anno 1588 Navy Records Society 1895
[8] 간행물 The Eighteenth Century Annual Bulletin of Historical Literature 1985
[9] 서적 The Medical Services of the Gran Armada Barnes & Noble 1991
[10] 사전 armada
[11] 서적 Success is never final Basic Books
[12] 서적 Sovereign Ladies: The Six Reigning Queens of England https://archive.org/[...] St. Martin's Press
[13] 서적 Spain 1474–1700:The Triumphs and Tribulations of Empire Heinemann
[14] 서적 Admirals of the Caribbean Houghton Mifflin Co. 1922
[15] 백과사전
[16] 뉴스 10 things you (probably) didn't know about the Spanish Armada https://www.historye[...] 2005-04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Elizabethan World; Britain, Ireland, Europe, and Ame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웹사이트 The Spanish Armada in Lisbon: preparing to invade England https://www.bhsportu[...]
[19] 뉴스 Why we must thank the Turks, not Drake, for defeating the Armada https://www.theguard[...] 2004-06-01
[20] 서적 Drake, The Life and Legend of an Elizabethan Hero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UK Ltd.
[21] 서적 The Invincible Armada and Elizabethan England https://www.questia.[...] Cornell University Press 1963
[22] 문서 The English Mercurie Chriss Barker 1588-07-23
[23] 서적 England and the Spanish Armada
[24] 서적 The Safeguard of the Sea: A Naval History of Britain, 660–1649 Penguin
[25] 서적 Life of Sir Walter Raleigh Oliver & Boyd 1833
[26] 서적 Of Providence and Protestant Winds: the Spanish Armada of 1588 and the Dutch armada of 168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
[27]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Netherlands from the Death of William the Silent to the Synod of Dort John Murray
[28] 서적 Lewis (1960)
[29] 서적 Lewis (1960)
[30] 서적 Lewis (1960)
[31] 서적 Lewis (1960)
[32] 웹사이트 Military Science in Western Europe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web.archive.[...]
[33] 서적 Drake: The Life and Legend of an Elizabethan Hero https://books.google[...] Simon & Schuster
[34] 비디오 The Spanish Armada
[35] 서적 Elizabeth: The Forgotten Years https://books.google[...] Viking
[36] 서적 The Longman Anthology of British Literature, Volume 1B: The Early Modern Period Pearson Longman
[37] 웹사이트 The Battle of Gravelines https://www.bbc.co.u[...]
[38] 논문 Elizabeth I and the Spanish Armada: A Painting and its Afterlif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0-08
[39] 서적 The Little Ice Age: How Climate Made History 1300–1850 Basic Books
[40] 서적 The New World Dodd, Mead & Co.
[41] 웹사이트 Captain Cuellar's adventures in Connacht & Ulster, A.D. 1588 https://archive.org/[...] 2022-11-01
[42] 서적 The Invention of News Yale University Press
[43] 웹사이트 Libro La Batalla del Mar Oceano Vol IV Tomo I Libreria nautica Fragata, la libreria nautica online https://www.fragata-[...] 2024-09-30
[44] 웹사이트 San Pedro El Mayor https://www.heritage[...] 2022-11-12
[45] 서적 Alessandro Farnese: Prince of Parma: Governor-General of the Netherlands (1545–1592) MJV
[46] 서적 Alessandro Farnese: Prince of Parma: Governor-General of the Netherlands (1545–1592) MJV
[47]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anno 1588 Navy Records Society
[48]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anno 1588 Navy Records Society
[49]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Netherlands: from the Death of William the Silent to the Twelve Years' Truce – 1609 https://books.google[...] Harper & Brothers
[50] 웹사이트 Queen Elizabeth – Against the Spanish Armada http://www.sparknote[...]
[51] 서적 England, Spain and the Gran Armada, 1585–1604 Barnes & Noble
[52] 논문 The Spanish Story of the 1588 Armada Reassessed http://www.jstor.org[...] 2023-01-07
[53] 서적 La sanidad en la jornada de Ingblaterra (1587–1588) Editorial Naval
[54] 서적 England, Spain and the Gran Armada, 1585–1604 Barnes & Noble
[55] 문서
[56] 서적 Armada Española desde la Unión de los Reinos de Castilla y Aragón Naval Museum of Madrid, Instituto de Historia y Cultura Naval
[57] 논문 The Eighteenth Century
[58] 논문 The 'Dreadnought' Revolution of Tudor England 1996-08
[59] 잡지 Why the Armada Failed 1988-05
[60] 웹사이트 Europe – MSN Encarta https://web.archive.[...] 2019-04-08
[61] 서적 The Good Fight Battle of Britain Propaganda and The Few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UK
[62] 서적 History of Plymouth: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W. Benden
[63] 웹사이트 Girona gold: How a diver discovered 400-year-old treasure https://www.bbc.com/[...] 2021-11-01
[64] 서적 A discourse concerninge the Spanishe fleete inuadinge Englande in the yeare 1588 https://quod.lib.umi[...]
[65]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https://catalog.hath[...] Printed for the Navy Records Society
[66] 논문 Through the "Golden Mist": a brief overview of Armada historiography
[67] 웹사이트 The real 'John Blackthorne' of Shogun https://www.tudorsoc[...] 2022-12-24
[68] 서적 The BBC: The First Fifty Years Oxford University Press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Anno 1588 Navy Records Society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웹사이트 La Armada Invencible https://archive.org/[...]
[76] 문서 무적이었어야 할 함대에 대한 한탄과 애도의 뜻을 제목에 담았다는小林幸雄의 주장
[77] 서적
[78] 문서 armada의 어원 및 용례 설명
[79] 문서 잉글랜드의 그레고리력 미채택
[80] 웹사이트 Yahoo! 백과사전, 마이페디아 http://100.yahoo.co.[...]
[81] 서적
[82] 서적
[83] 서적
[84] 서적
[85] 문서 저지대 국가의 스페인 통치 탈출 시도
[86] 서적
[87] 웹사이트 The Spanish Armada http://en.wikisource[...]
[88] 서적
[89] 서적
[90] 서적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アルマダの航海-スペインの物語
[95] 서적
[96] 서적
[97] 서적
[98] 서적
[99] 서적
[100] 서적
[101] 서적
[102] 서적
[103] 서적
[104] 서적
[105] 서적
[106] 서적 石島 (1981)
[107] 서적 外山 (1981)
[108] 서적 荒川 (2006)
[109] 서적 石島 (1981)
[110] 서적 The English Mercurie published by Authoritie Whitehall July 23, 1588 Imprinted at London by Chriss Barker, Her Highnesse's Printer 1588
[111] 서적 荒川 (2006)
[112] 서적 荒川 (2006)
[113] 서적 海野 (1985)
[114] 웹사이트 http://britishbattle[...]
[115] 서적 Colin&Parker (1999)
[116] 서적 石島 (1981)
[117] 서적 石島 (1981)
[118] 서적 ルイス (1996)
[119] 서적 荒川 (2006)
[120] 서적 ルイス (1996)
[121] 서적 外山 (1981)
[122] 서적 ルイス (1996)
[123] 서적 荒川 (2006)
[124] 서적 ルイス (1996)
[125] 문서 帆船とガレー船の折衷型の船種
[126] 서적 ルイス (1996)
[127] 서적 ルイス (1996)
[128] 서적 荒川 (2006)
[129] 서적 ルイス (1996)
[130] 서적 荒川 (2006)
[131] 문서 疫病により1万6,000人に減っていた
[132] 서적 ルイス (1996)
[133] 서적 ルイス (1996)
[134] 서적 海野 (1985)
[135] 서적 荒川 (2006)
[136] 서적 海野 (1985)
[137] 서적 外山 (1981)
[138] PDF Hellburners http://www.drizzle.c[...]
[139] 서적 ルイス (1996)
[140] 서적 ルイス (1996)
[141] 서적
[142] 서적
[143] 서적
[144] 서적
[145] 서적
[146] 서적
[147] 서적
[148] 서적
[149] 서적
[150] 서적
[151] 서적
[152] 서적 The Longman Anthology of British Literature, Volume 1B: The Early Modern Period Pearson Longman
[153] 서적
[154] 서적
[155] 서적
[156] 서적
[157] 서적
[158] 서적
[159] 서적
[160] 서적
[161] 웹사이트 SparkNotes: Queen Elisabeth – Against the Spanish Armada http://www.sparknote[...]
[162] 서적
[163] 서적
[164] 서적
[165] 서적
[166] 서적
[167] 서적
[168] 서적
[169] 서적
[170] 서적
[171] 서적
[172] 서적
[173] 서적
[174] 서적
[175] 서적
[17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96
[17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81
[17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96
[179] 문서 용례
[180] 웹사이트 グラスゴーの奇跡…いや奇跡じゃない 無敵艦隊を撃沈 http://www.asahi.com[...] 朝日新聞デジタル 2012-07-27
[18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8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83]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84] 서적 Heroes: A History of Hero Worship Knopf Doubleday Publishing Group 2010
[185] 서적 Battlefield: Decisive Conflicts 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86] 서적 La empresa de Inglaterra: (la "Armada invencible": fabulación y realidad)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2004
[187]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88]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89] 서적 Battlefield: Decisive Conflicts in History 2001
[19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1] 서적 História de Portugal 1972
[192] 서적 The Spanish Armada Penguin Books 1999
[193] 서적 The Spanish Armada Penguin Books 1999
[194] 서적 The Spanish Armada T.Y. Crowell Co. 1968
[195] 서적 State Papers Relating to the Defeat of the Spanish Armada, Anno 1588 Navy Records Society 1895
[196] 서적 (서적 제목 없음)
[197] 간행물 The Eighteenth Century Annual Bulletin of Historical Literature 1985
[198] 서적 Atlantic shipping in sixteenth-century Spain and the 1588 Armada John Donald 1991
[199] 서적 The Armada Houghton Mifflin 1987
[200]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1]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2] 서적 (서적 제목 없음)
[203] 웹사이트 The Spanish Armada http://en.wikisour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