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림 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뮌헨 림 공항은 1939년 개항하여 1992년 뮌헨 공항으로 이전하기 전까지 운영된 독일 최초의 민간 공항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어 민간 항공의 중심지로 사용되었으며, 제트 여객기 운항과 승객 증가를 거쳐 1980년대 말 혼잡을 겪었다. 1992년 뮌헨 공항으로 이전 후, 공항 부지는 문화 센터로 활용되다가 메세슈타트 림으로 재개발되었다. 뮌헨 비행기 참사, 1960년 컨베어 C-131D 사마리탄 추락 사고 등 두 건의 주요 항공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헨의 교통 - 뮌헨 공항
뮌헨 공항은 1992년 개항한 독일의 주요 국제공항이자 루프트한자의 허브 공항 중 하나로, 바이에른 주의 전 주지사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주민 반대와 법적 분쟁을 극복하고 현재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으로 성장했지만, 제3 활주로 건설 계획은 지연되고 있다. - 바이에른주의 공항 - 뮌헨 공항
뮌헨 공항은 1992년 개항한 독일의 주요 국제공항이자 루프트한자의 허브 공항 중 하나로, 바이에른 주의 전 주지사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주민 반대와 법적 분쟁을 극복하고 현재 독일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으로 성장했지만, 제3 활주로 건설 계획은 지연되고 있다. - 바이에른주의 공항 - 뉘른베르크 공항
독일 뉘른베르크에 위치한 뉘른베르크 공항은 제2차 세계 대전 후 서독 최초로 건설된 국제공항으로, 뉘른베르크 지하철 U2 노선으로 시내와 연결되어 있으며 2014년 알브레히트 뒤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고, 2023년 약 392만 명의 승객이 이용했다. - 독일의 없어진 공항 -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
베를린 템펠호프 공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했던 공항으로, 1923년에 개항하여 2008년에 폐쇄되었으며, 2차 세계 대전과 베를린 봉쇄 기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폐쇄 이후에는 공원 및 행사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독일의 없어진 공항 - 베를린 테겔 공항
베를린 테겔 공항은 독일 베를린에 위치했던 공항으로, 1948년 건설되어 냉전 시기 서베를린의 주요 공항으로 기능했으며, 2020년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개항으로 폐쇄되었다.
뮌헨 림 공항 | |
---|---|
기본 정보 | |
이름 | 뮌헨-림 공항 |
![]() | |
IATA 코드 | MUC |
ICAO 코드 | EDDM |
종류 | 폐쇄됨 |
소유주-운영자 | Flughafen München GmbH |
소유주 | 해당 없음 |
개장 | 1939년 10월 25일 |
폐쇄 | 1992년 5월 16일 |
운영자 | 해당 없음 |
취항 도시 | 뮌헨 |
위치 | 트루더링-림, 바이에른주 |
고도 (미터) | 해당 없음 |
활주로 | |
활주로 1 번호 | 07R/25L |
활주로 1 길이 (미터) | 2804 |
활주로 1 표면 | 콘크리트 (폐쇄됨) |
활주로 2 번호 | 07L/25R |
활주로 2 길이 (미터) | 814 |
활주로 2 표면 | 콘크리트 (폐쇄됨) |
2. 역사
뮌헨 림 공항은 1936년 건설을 시작하여 1939년 개항했으며, 기존의 오버비젠펠트 비행장을 대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공군기지로 사용되었고, 전쟁 후에는 독일에서 가장 먼저 민간 항공 운항을 재개한 공항이 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확장을 거쳤으나 늘어나는 항공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졌고, 특히 1980년대에는 심각한 혼잡 문제를 겪었다. 결국 1992년 5월, 프라이징 인근에 새로 건설된 뮌헨 공항으로 모든 기능이 이전되면서 폐쇄되었다.
공항의 구체적인 설립 과정과 확장, 운영 말기 상황 및 이전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2. 1. 설립과 확장 (1936-1972)
1936년에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1939년 10월 25일 첫 비행기가 착륙하며 항공 교통이 시작되었다. 당시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공항 중 하나로 평가받았고, 기존의 오버비젠펠트(현재 올림픽 공원 부지) 비행장을 대체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나치 독일 공군인 루프트바페 소속 아돌프 갈란트의 야크트페어반트 44가 주둔하는 공군기지로 사용되었다. 1945년 4월 9일, 연합군의 폭격으로 공항 시설 대부분이 파괴되었으며, 그날까지 이루어지던 민간 항공 운항도 중단되었다. 종전 후 미국 육군 제42보병사단 소속 조지 라펠드(George Raffeld)가 연합군 중 가장 먼저 공항에 도착하여 독일군이 철수했음을 보고했다.
전쟁 후 뮌헨-리엠은 독일에서 민간 항공 운항을 재개한 최초의 공항이 되었다. 1948년 4월 6일, 팬 아메리칸 월드 항공 소속 DC-3 항공기가 착륙하면서 전후 운영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1949년 10월 12일에는 공항 운영을 위한 '뮌헨-리엠 공항 유한회사'(Flughafen München-Riem GmbH)가 설립되었고, 울프-디터 그라프 추 카스텔(Wulf-Dieter Graf zu Castell)이 초대 사장 중 한 명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11월, 공항 활주로는 1900m까지 연장되었다.
1958년 10월 29일에는 700m 더 길어진 활주로에 에어 프랑스의 제트 여객기인 쉬드 아비아시옹 카라벨이 처음으로 착륙했다. 1962년에는 연간 이용객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 그러나 늘어나는 항공 수요를 감당하기에 기존 부지는 한계가 있었고, 추가 확장이 법적, 정치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1963년 초 옥슬레 위원회는 새로운 공항 부지를 물색하기 시작했다. 기존 활주로와 평행하거나 수직으로 추가 활주로를 건설하려면 인근 지역 사회의 이전이 불가피했기 때문이다. 또한 몇 차례의 항공기 사고는 공항을 도시 외곽으로 이전하고 리엠 공항을 폐쇄하는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확장 노력의 일환으로 1965년 10월에는 의 비용을 들여 건설한 제트기 정비 격납고가 완공되어 루프트한자에 인도되었다. 1969년에는 공항 운영사의 이름이 '뮌헨-리엠 공항 유한회사'에서 '뮌헨 공항 유한회사'(Flughafen München GmbH)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 8월, 주요 활주로(07R/25L)는 3주간의 재포장 공사를 거쳐 최종 길이인 2804m로 확장되었다. 1971년에는 새로운 도착 홀이 문을 열었고, 연간 여객 처리량은 400만 명에 달했다. 오랜 기간 공항 운영을 이끌었던 울프-디터 그라프 추 카스텔 사장은 1972년 12월 31일을 끝으로 은퇴했다.
2. 2. 운영 말기와 이전 (1972-1992)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뮌헨 림 공항은 심각한 혼잡 문제에 직면했다. 원래 터미널은 연간 500만 명에서 8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었으나, 1991년에는 연간 이용객 수가 1,200만 명으로 급증하여 설계 용량의 1.5배에서 2배를 초과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또한, 공항의 유도로 시스템은 중형 공항 규모에 맞춰 설계되었기 때문에 급증하는 항공 교통량을 감당하기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 항공편을 위한 특별 홀을 포함한 임시 부속 시설들이 건설되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는 못했다.결국, 1992년 5월 16일 밤부터 17일 사이에 공항 운영은 프라이징 인근에 새로 건설된 뮌헨 공항(프란츠 요제프 슈트라우스 국제공항)으로 완전히 이전되었다. 기존에 뮌헨 림 공항이 사용하던 IATA 공항 코드 MUC와 ICAO 공항 코드 EDDM 역시 새로운 뮌헨 공항으로 재할당되었다.
3. 재개발
뮌헨 림 공항이 폐쇄된 후, 해당 부지는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임시적으로 콘서트나 레이브 등 대규모 문화 행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이후 1990년대 후반부터는 뮌헨의 주요 도시 계획 프로젝트 중 하나인 메세슈타트 림 개발이 진행되어, 현재는 컨벤션 센터, 주거 단지, 공원 등이 들어선 새로운 지역으로 탈바꿈하였다.
3. 1. 문화 센터로의 활용 (1993-1996)
공항 폐쇄 이후, Zeppelinhalle|제펠린할레deu, Charterhalle|차터할레deu, Terminal 1|터미널 1deu, Wappensaal|바펜잘deu과 같이 남아있던 터미널 건물들은 콘서트와 레이브 같은 대규모 행사를 위한 장소로 활용되었다. 이 시기 림 지역은 테크노, 대안 문화, 그리고 록 음악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대표적인 예로, 전설적인 록 밴드 너바나의 마지막 콘서트가 1994년 3월 1일 이곳에서 열렸다. 또한, 1994년 6월 17일에는 과거 공항의 카페테리아 주방이었던 공간에 울트라찰 테크노 클럽이 문을 열기도 했다. 이러한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은 해당 지역이 메세슈타트 림으로 재개발됨에 따라 1996년 여름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3. 2. 메세슈타트 림 (1996-)
메세슈타트 림(림 컨벤션 시티)으로의 재개발은 1990년대 후반과 21세기 초에 걸쳐 진행된 뮌헨의 가장 큰 도시 계획 프로젝트 중 하나였다. 이 계획에는 메세슈타트 림이라는 이름의 컨벤션 센터 건립과 더불어 아파트 및 공원 조성이 포함되었다. 1999년, 첫 번째 주민들이 이 새로운 구역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현재 과거 공항 부지에 남아있는 주요 구조물은 관제탑과 원래 터미널 건물이었던 Wappenhalle|바펜할레deu(문장 홀)이다. 이 두 건축물은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보호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이전 활주로의 작은 일부가 동쪽 끝에 여전히 남아있다. 2005년에는 이 부지에서 연방 정원 박람회가 열리기도 했다.
4. 사고 및 사건
- 1958년 2월 6일, 에어스피드 AS 57 앰배서더 전세기가 이륙 직후 추락하여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선수 8명을 포함한 23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뮌헨 비행기 참사로 알려져 있다.[4][5]
- 1960년 12월 17일, 미국 공군 소속 컨베어 C-131D 사마리탄 항공기가 이륙 직후 추락하여 탑승자 20명 전원과 지상에 있던 32명이 사망했다.[6]
4. 1. 1958년 뮌헨 비행기 참사
1958년 2월 6일, 에어스피드 AS 57 앰배서더 전세기가 이륙 직후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는 뮌헨 비행기 참사로 알려져 있으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축구 선수 8명을 포함하여 총 23명이 사망하고 21명이 생존했다.사고 초기, 영국인 조종사 제임스 테인은 사고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조사관들은 비행기 날개에 얼음이 얼어 이륙에 실패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테인과 그의 가족은 사고 책임에 대한 비난과 함께 수많은 언어폭력, 혐오 편지, 심지어 살해 협박까지 받았다.
그러나 1969년, 테인은 사고에 대한 책임이 없음이 공식적으로 밝혀졌다.[4] 실제 사고 원인은 활주로 위의 슬러시였으며, 날개에는 얼음이 없었던 것으로 최종 확인되었다.[5]
4. 2. 1960년 컨베어 C-131D 사마리탄 추락 사고
1960년 12월 17일, 미국 공군이 운용하던 컨베어 C-131D 사마리탄 항공기가 이륙 직후 추락했다. 이 사고로 항공기에 탑승했던 승객과 승무원 20명 전원이 사망했으며, 지상에 있던 32명도 목숨을 잃었다.[6] 이 사고는 비행기와 전차 선로가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두 건의 추락 사고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참조
[1]
서적
Mjunik Disco – from 1949 to now
Blumenbar
2008-11-01
[2]
웹사이트
11 verrückte Clubs in München, die Geschichte schrieben
https://muenchen.mit[...]
Mit Vergnuegen
2022-02-21
[3]
웹사이트
Messestadt
http://www.toytownge[...]
Toytown Germany
2015-01-24
[4]
뉴스
Munich crash pilot cleared
https://www.newspape[...]
2023-03-05
[5]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Airspeed AS.57 Ambassador 2 G-ALZU München-Riem Airport (MUC)
http://aviation-safe[...]
[6]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