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사일 구축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사일 구축함은 함대공 미사일(SAM)을 주 무장으로 하여 대공 방어 능력을 갖춘 구축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SAM의 발달과 함께 등장했으며, 1950년대 미국 해군이 테리어 미사일을 탑재한 구축함을 최초로 운용했다. 이후 이지스 시스템과 같은 첨단 기술의 도입으로 함대 방공 능력이 강화되었으며, 현재는 개함 방공함, 함대 방공함, 전략 방공함으로 분류된다. 주요 국가들은 알레이 버크급, 세종대왕급, 055형 등 다양한 미사일 구축함을 운용하며,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통해 해상 전력 강화에 힘쓰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축함 - 광개토대왕급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노후 구축함 대체 및 전력 투사 능력 확보를 위해 설계한 구축함으로, 3척이 건조되어 운용되었으며, 성능 개량 사업을 통해 전투 시스템이 교체되었다.
  • 구축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은 대한민국 해군이 KDX-2 사업으로 개발한 스텔스 설계의 구축함으로, SM-2 미사일 탑재로 함대 방공 능력을 강화했으며 6척이 건조되어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 해군 - 싱가포르군
    싱가포르군은 1965년 독립 후 창설되어 징병제를 통해 병력을 충원하며, 육군, 해군, 공군, 디지털 및 정보통신군으로 구성된 동남아시아에서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군대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 해군 - 대제독
    대제독은 여러 국가 해군의 최고 계급 중 하나로, 국가별 역사, 임명 기준, 역할이 다양하며, 독일 해군에서는 해군 원수에 상당하는 계급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고, 대중 문화 속 픽션 작품에도 등장한다.
  • 군함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함 - 구축함
    구축함은 어뢰정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군함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어 함대 호위, 해안 경비, 대잠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첨단 기술 도입과 무인화, 자동화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해상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미사일 구축함
개요
유형유도탄 구축함
역할함대 방공
대잠전
대함전
탄도 미사일 방어
지상 공격
국가여러 국가
특징
센서 및 처리 시스템레이다
소나
전투 관리 시스템
무장함대공 미사일
함대함 미사일
대잠 로켓
어뢰
함포
근접 무기 시스템
추진가스 터빈
디젤 엔진
전기 모터
복합 추진 시스템
국가별 미사일 구축함
미국 해군알레이버크급 구축함
줌왈트급 구축함
대한민국 해군세종대왕급 구축함
정조대왕급 구축함
해상자위대아타고급 구축함
마야급 구축함
인도 해군콜카타급 구축함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055형 구축함
러시아 해군소브레멘니급 구축함

2. 역사

미사일 구축함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함대공 미사일(SAM)의 등장과 함께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미사일 시스템이 대형 함정에 주로 탑재되었으나, 기술 발전과 함께 점차 소형화되어 구축함에도 탑재되기 시작했다.

미국 해군은 테리어 미사일을 탑재한 자이엇을 시작으로, 타르타 시스템을 탑재한 찰스 F. 아담스급 미사일 구축함을 개발했다. 영국 해군은 시슬러그를 탑재한 카운티급 구축함과 시 다트를 탑재한 42형 구축함을, 프랑스 해군은 마주르카를 탑재한 쉬프랑급 구축함을 개발했다. 소련 해군은 61형 (카신형)을 개발하여 미사일 구축함 경쟁에 참여했다.

2. 1. SAM(함대공 미사일)의 등장과 초기 발전

제2차 세계 대전 말, 미국 해군은 완전히 새로운 대공 병기인 함대공 미사일(SAM) 개발에 착수했다[1]。 먼저 실용화된 테리어 미사일은 소형 함정을 위한 시스템으로 기대되었고, 1955년 기어링급 구축함 "자이엇"에 탑재하는 개조가 이루어져 미 해군 최초의 미사일 구축함이 되었다。 그러나 이 개조 결과, 해당 시스템은 구축함에 탑재하기에는 너무 대규모라고 판단되어, 기존의 순양함에 개조를 통해 장비되었고, 이후 구축함을 기반으로 대형화된 향도함(DL, 이후 프리깃)에 탑재되었다。 하지만 항공기 발달로 구축함의 주 무장이었던 12.7cm 포가 급속히 낡아짐에 따라, 구축함에도 탑재 가능한 SAM 시스템으로 타르타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1960년부터 이를 탑재한 찰스 F. 아담스급 미사일 구축함이 취역을 시작했다。 각국도 경쟁적으로 이 미사일 도입을 시도했지만, 고성능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고가여서, 도입은 일부 미사일 구축함에 한정되었다

영국 해군은 1962년 취역한 카운티급 구축함에 시슬러그를 탑재하여 SAM 운용을 시작했지만, 이 함급은 구축함과 경순양함의 중간적인 함으로 평가받았으며, 함종 기호로는 DLG(미사일 프리깃)로 분류되었다。 DDG 기호가 부여된 것은 42형 구축함이며, 82형 구축함과 같은 계열의 시 다트를 탑재하면서 함형을 대폭 압축했다프랑스 해군은 1962년부터 술쿠프급 구축함 일부를 타르타 탑재 DDG로 개조하는 한편, 자체적으로 마주르카를 개발하여 1967년 취역한 쉬프랑급 구축함에 탑재했지만, 이는 미 해군의 DLG에 상당하는 것이었다

냉전 구조 하에서 서방 국가에 대항하려던 소련 해군도, 최초의 신조 미사일 구축함으로 61형 (카신형)을 개발하여, 1962년부터 배치를 시작했다。 단, 이 함형을 구축함으로 분류하는 것은 서방 측의 분류였고, 소련 해군 자체는 대형 대잠함 (BPK)으로 분류했다

2. 2. 시스템 통합과 발전

1960년대 초, 미국 해군은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을 통해 함대 방공을 조직화하고 무기 시스템과의 통합을 추진했다.[1] 독일 해군은 뤼첸스급 구축함에 NTDS 축소판인 SATIR-I을 탑재하여, 구축함에 전술 정보 처리 장치를 처음으로 탑재했다. 해상자위대는 NTDS 기술을 응용한 WES (Weapon Entry System)를 개발하여 다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했다.[1]

1970년대 중반 이후, 소련군의 대함 공격 능력 향상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해군은 이지스 시스템(AWS)을 개발했다. 이지스 시스템은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에 탑재되어 1991년부터 취역했으며, 대한민국 해군세종대왕급 구축함, 해상자위대의 곤고급 호위함 등 다른 나라 이지스 구축함의 기반이 되었다. 유럽에서는 호라이즌 계획을 통해 공동 개발을 추진하여, 영국 해군은 45형 구축함을, 프랑스 해군이탈리아 해군은 각각 포르반급 구축함과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을 건조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199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로부터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을 도입하여 운용을 시작했고, 이후 자체 개발한 052C형, 052D형, 055형 구축함을 건조했다.

3. 미사일 구축함의 분류

미국 해군제2차 세계 대전 말기부터 함대공 미사일(SAM) 개발에 착수하여, 테리어 미사일을 실용화했다. 초기에는 구축함에 탑재하기에는 너무 크다고 판단되어 순양함과 향도 구축함(DL, 이후 프리깃)에 탑재했다. 이후, 구축함에도 탑재 가능한 타르타 시스템이 개발되어 1960년부터 찰스 F. 아담스급이 취역했다.

영국 해군은 1962년 카운티급 구축함에 시슬러그를 탑재하여 SAM 운용을 시작했지만, DLG(미사일 프리깃)로 분류되었다. 42형 구축함은 시 다트를 탑재하고 함형을 압축한 DDG이다. 프랑스 해군은 술쿠프급 구축함 일부를 타르타 탑재 DDG로 개조하고, 마주르카를 쉬프랑급 구축함에 탑재했지만, 이는 미 해군의 DLG에 상당했다.

소련 해군은 61형 (카신형)을 1962년부터 배치했으나, 대형 대잠함 (BPK)으로 분류했다. 58형 (킨다형)은 함대함 미사일(SSM)을 탑재하여 구축함으로 분류되었지만, 후에 미사일 순양함 (RKR)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

미국 해군은 1960년대 초부터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을 배치하여 함대 방공을 조직화했다. 독일 해군의 뤼첸스급 구축함에는 NTDS 축소판인 SATIR-I이 탑재되었다. 해상자위대는 NTDS 기술을 응용한 WES (Weapon Entry System)를 다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했다.

미국 해군은 소련군의 대함 공격 능력에 대응하기 위해 이지스 시스템(AWS)을 개발했다. 타이콘데로가급은 미사일 순양함으로 함종이 변경되었지만, 이지스 DDG는 알레이 버크급으로 이어졌다. 유럽에서는 호라이즌 계획으로 미사일 구축함 공동 개발이 추진되었고, 영국은 45형 구축함,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포르반급 구축함과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을 건조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199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을 구입하여 DDG 운용을 시작했다. 이후 국산 052C형, 052D형을 건조하고, 055형 정비도 착수했다.

각국 해군의 미사일 구축함 목록은 다음과 같다.

해군함급
미국기어링급 구축함「자이엇」, 미처급 구축함, 존 폴 존스급 미사일 구축함, 패러것급 미사일 구축함, 찰스 F. 애덤스급 미사일 구축함,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 알레이 버크급 미사일 구축함, 줌월트급 미사일 구축함, DDG(X)(계획 중)
영국카운티급 구축함, 82형 구축함「브리스톨」, 42형 구축함, 45형 구축함
이탈리아임파비도급 구축함, 아우다체급 구축함 (2대), 데 라 펜네급 구축함,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
인도라지푸트급 구축함, 델리급 구축함, 콜카타급 구축함, 비샤카파트남급 구축함
호주퍼스급 구축함, 호바트급 구축함
독일뤼첸스급 구축함
캐나다이로쿼이급 미사일 구축함
러시아
소련
브라브이급 함대 수뢰정(56A/K형), 그네브니급 대형 대잠함(57A형), 카신급 구축함(61형), 소브레메니급 구축함(956형), 리델급 원자력 구축함(23560형)(계획 중)
한국세종대왕급 구축함
중국051B형(려하이형) 구축함「선전」, 052B형(려양 I형) 구축함, 052C형(려양 II형) 구축함, 051C형(려저우형) 구축함, 052D형(려양 III형) 구축함, 055형 구축함
일본미사일 호위함「아마츠카제」, 다치카제급 호위함, 하타카제급 호위함, 콩고급 호위함, 아타고급 호위함, 마야급 호위함
프랑스쉬프랑급 구축함, 켈산급 구축함, 카사르급 구축함, 포르뱅급 구축함, 아키텐급 구축함


3. 1. 방공 능력에 따른 분류

미국 해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부터 함대공 미사일(SAM) 개발에 착수했다. 초기 테리어 미사일은 구축함에 탑재하기에는 너무 커서 순양함과 향도 구축함(DL, 이후 프리깃)에 탑재되었다. 이후 구축함용 타르타 시스템이 개발되어 찰스 F. 아담스급에 탑재되었다.

영국 해군은 1962년 카운티급 구축함에 시슬러그를 탑재했으나, 이는 DLG(미사일 프리깃)로 분류되었다. 42형 구축함은 시 다트를 탑재하고 함형을 압축한 DDG이다. 프랑스 해군은 술쿠프급 구축함 일부를 타르타 탑재 DDG로 개조하고, 마주르카를 쉬프랑급 구축함에 탑재했지만, 이는 미 해군의 DLG에 상당했다.

소련 해군은 61형 (카신형)을 1962년부터 배치했으나, 대형 대잠함 (BPK)으로 분류했다. 58형 (킨다형)은 후에 미사일 순양함 (RKR)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

미국 해군은 1960년대 초 해군 전술 정보 시스템(NTDS)을 배치하여 함대 방공을 조직화했다. 뤼첸스급 구축함에는 NTDS 축소판인 SATIR-I이 탑재되었다. 해상자위대는 NTDS 기술을 응용한 WES (Weapon Entry System)를 다치카제형 호위함에 탑재했다.

그러나 소련군의 대함 공격 능력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해군은 이지스 시스템(AWS)을 개발했다. 타이콘데로가급은 미사일 순양함으로 함종이 변경되었지만, 이지스 DDG는 알레이 버크급으로 이어졌다. 유럽에서는 호라이즌 계획으로 미사일 구축함 공동 개발이 추진되었고, 영국은 45형 구축함, 프랑스와 이탈리아는 포르반급 구축함과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을 건조했다.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1990년대 후반부터 러시아 소브레메니급 구축함을 구입하여 DDG 운용을 시작했다. 이후 국산 052C형, 052D형을 건조하고, 055형 정비도 착수했다.

3. 1. 1. 개함 방공함

자신의 함정만을 보호할 수 있는 제한적인 방공 능력을 가진 구축함이다. 주로 단거리 대공 미사일을 탑재한다. RIM-7 시 스패로, HQ-16, 아스터-15 등이 대표적인 단거리 대공 미사일이다.[1]


3. 1. 2. 함대 방공함

2003년 12월 11일, 이지스 순양함 USS Lake Erie (CG 70)에서 SM-3 미사일이 시험 발사되고 있다. 적의 중거리 탄도 미사일을 요격하는 이지스 BMDS 실험이었다. 하와이의 Kauai에서 발사된, 초속 3.7 킬로미터로 날아오는 탄도 미사일을 요격했다. 요격된 지점은 Kauai에서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고도 137 킬로미터 상공이었다. 4번째 요격 실험의 성공이었다.


자신의 함정뿐만 아니라 함대 전체의 아군 함정들을 미사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함정이다. 대공 미사일의 사거리는 50km에서 170km까지 다양하다. 대표적인 함대공 미사일은 RIM-162 ESSM, RIM-67 스탠더드, 아스터, S-300F, HQQ-9, RIM-174 스탠더드 ERAM 등이 있다.

국가함급
독일작센급 호위함
이탈리아오리존테급 호위함
영국데어링급 구축함 (Type 45)
대만키드급 구축함
대한민국세종대왕급 구축함
일본무라사메급 호위함
일본다카나미급 호위함
일본아키즈키급 호위함
일본아사히급 호위함
러시아우달로이급 구축함
러시아카신급 구축함
중국052D형 구축함
중국055형 구축함
미국알레이버크급 구축함 플라이트I
호주호바트급 구축함


3. 1. 3. 전략 방공함

요격미사일을 발사하여 탄도미사일을 파괴할 수 있는 전략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구축함이다. 현재까지 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전략방공함에 속하는 구축함들은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채택한 이지스 구축함밖에 없다. 대공 미사일의 종류는 SM-3 블록 1과 블록 2가 있으며, 사거리는 700km부터 2500km까지이다. 요격고도는 500km부터 1500km까지 있다.

4. 주요 국가별 미사일 구축함 현황

055형 구축함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가장 크고 진보된 수상 전투함이다.


052D형 구축함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에 있다.


인도 해군 구축함의 일제 항해


이탈리아 해군의 미사일 구축함


세계 각국은 해군력 강화를 위해 미사일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다. 주요 국가별 미사일 구축함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캐나다'''
  • 리버급 구축함 (15척 계획, 2030년대)

  • '''프랑스'''
  • 포르뱅급 구축함 (프랑스에서는 프리깃함으로 지정, NATO 분류는 구축함) 2척

  • '''이탈리아'''
  • 두랑 드 라 펜급 구축함 2척
  •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 2척

  • '''스페인'''
  • 알바로 데 바잔급 호위함 (스페인에서는 호위함으로 지정, NATO 분류는 구축함) 5척

  • '''터키'''
  • TF2000급 구축함 (계획, 8척 건조 예정)

4. 1. 대한민국

ROKS 율곡 이이 (DDG-992)


대한민국 해군은 세종대왕급 구축함 3척을 운용하고 있으며, 추가 건조(Batch-II)가 예정되어 있다. 또한, KDDX급 구축함 개발 및 건조를 계획하고 있다.

  • 세종대왕급 구축함
  • * ROKS 세종대왕 (DDG-991)
  • * ROKS 율곡 이이 (DDG-992)
  • * ROKS 서애 유성룡 (DDG-993)
  • KDDX급 구축함 (계획)

4. 2. 미국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


함명함번상태
USS 알레이 버크DDG-51취역
USS 배리DDG-52취역
USS 존 폴 존스DDG-53취역
USS 커티스 윌버DDG-54취역
USS 스타우트DDG-55취역
USS 존 S. 매케인DDG-56취역
USS 미처DDG-57취역
USS 라분DDG-58취역
USS 러셀DDG-59취역
USS 폴 해밀턴DDG-60취역
USS 라미지DDG-61취역
USS 피츠제럴드DDG-62취역
USS 스테덤DDG-63취역
USS 카니DDG-64취역
USS 벤폴드DDG-65취역
USS 곤잘레스DDG-66취역
USS DDG-67취역
USS 설리번스DDG-68취역
USS 밀리우스DDG-69취역
USS 호퍼DDG-70취역
USS 로스DDG-71취역
USS 마한DDG-72취역
USS 데카투르DDG-73취역
USS 맥폴DDG-74취역
USS 도널드 쿡DDG-75취역
USS 히긴스DDG-76취역
USS 오케인DDG-77취역
USS 포터DDG-78취역
USS 오스카 오스틴DDG-79취역
USS 루스벨트DDG-80취역
USS 윈스턴 S. 처칠DDG-81취역
USS 라센DDG-82취역
USS 하워드DDG-83취역
USS 벌클리DDG-84취역
USS 맥캠벨DDG-85취역
USS 쇼프DDG-86취역
USS 메이슨DDG-87취역
USS 프레블DDG-88취역
USS 머스틴DDG-89취역
USS 채피DDG-90취역
USS 핀크니DDG-91취역
USS 맘슨DDG-92취역
USS 정훈DDG-93취역
USS 니체DDG-94취역
USS 제임스 E. 윌리엄스DDG-95취역
USS 베인브리지DDG-96취역
USS 헐시DDG-97취역
USS 포레스트 셔먼DDG-98취역
USS 패러것DDG-99취역
USS 키드DDG-100취역
USS 그리들리DDG-101취역
USS 섐슨DDG-102취역
USS 트럭스턴DDG-103취역
USS 스터렛DDG-104취역
USS 듀이DDG-105취역
USS 스톡데일DDG-106취역
USS 그라블리DDG-107취역
USS 웨인 E. 메이어DDG-108취역
USS 제이슨 던햄DDG-109취역
USS 윌리엄 P. 로렌스DDG-110취역
USS 스프루언스DDG-111취역
USS 마이클 머피DDG-112취역
USS 존 핀DDG-113취역
USS 랄프 존슨DDG-114취역
USS 라파엘 페랄타DDG-115취역
USS 토마스 허드너DDG-116취역
USS 폴 이그나티우스DDG-117취역
USS 다니엘 이노우에DDG-118취역
USS 델버트 D. 블랙DDG-119취역
USS 칼 M. 레빈DDG-120취역
USS 프랭크 E. 피터슨 주니어DDG-121취역
USS 존 바실론DDG-122진수
USS 레나 H. 서트클리프 히그비DDG-123취역
USS 하비 C. 바넘 주니어DDG-124건조 중
USS 잭 H. 루카스DDG-125취역
USS 루이스 H. 윌슨 주니어DDG-126건조 중
DDG-127건조 중
USS 테드 스티븐스DDG-128진수
USS 제레마이아 덴턴DDG-129건조 중
DDG-130건조 중
USS 조지 M. 닐DDG-131건조 중
USS 퀘스틴 윌시DDG-132건조 중
USS 샘 넌DDG-133건조 중
USS 존 E. 킬머DDG-134건조 승인
USS 테드 코크란DDG-135건조 승인
USS 리처드 G. 루거DDG-136건조 승인
USS 존 F. 레만DDG-137건조 승인
USS J. 윌리엄 미덴도르프DDG-138건조 승인
USS 텔레스포로 트리니다드DDG-139건조 승인
USS 토마스 G. 켈리DDG-140건조 승인
DDG-1000취역
DDG-1001취역
DDG-1002해상 시험



미국 해군은 70척 이상의 알레이 버크급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성능 개량 및 추가 건조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3척의 줌왈트급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차세대 구축함 개발 계획인 DDG(X)를 추진하고 있다.

4. 3. 일본

일본 해상자위대의 미사일 구축함 (DDG-179)


일본은 이지스 시스템을 탑재한 마야급 구축함, 아타고급 구축함, 콩고급 구축함과 하타카제급 구축함을 운용하고 있다.

함급함명함번
마야급 구축함JS Maya|마야영어DDG-179
마야급 구축함JS Haguro|하고로영어DDG-180
아타고급 구축함JS Atago|아타고영어DDG-177
아타고급 구축함JS Ashigara|아시가라영어DDG-178
콩고급 구축함JS Kongō|콩고영어DDG-173
콩고급 구축함JS Kirishima|기리시마영어DDG-174
콩고급 구축함JS Myōkō|묘코영어DDG-175
콩고급 구축함JS Chōkai|초카이영어DDG-176
하타카제급 구축함JS Hatakaze|하타카제영어DDG-171
하타카제급 구축함JS Shimakaze|시마카제영어DDG-172


4. 4. 중국



함급함명함번비고
055형 구축함 (렌하이급 순양함)난창DDG-101
라사DDG-102
다롄DDG-105
안산DDG-103
옌안DDG-106
우시DDG-104
쭌이DDG-107
시안양DDG-108
052D형 (루양 III급) 구축함쿤밍DDG-172
창사DDG-173
허페이DDG-174
인촨DDG-175
시닝DDG-117
샤먼DDG-154
우루무치DDG-118
구이양DDG-119
난징DDG-155
타이위안DDG-131
후허하오터DDG-161
청두DDG-120
치치하얼DDG-121
쯔보DDG-156
탕산DDG-122
쑤저우DDG-132
화이난DDG-123
난닝DDG-162
카이펑DDG-124
구이린DDG-164
바오터우DDG-133
전장DDG-165건조 중
사오싱DDG-134해상 시험
자오쭤DDG-163해상 시험
주하이DDG-157해상 시험
052C형 (루양 II급) 구축함란저우DDG-170
하이커우DDG-171
창춘DDG-150
정저우DDG-151
지난DDG-152
시안DDG-153
052B형 (루양 I급) 구축함광저우DDG-168
우한DDG-169
051C형 (루저우급) 구축함선양DDG-115
스자좡DDG-116
051B형 (루하이급) 구축함선전DDG-167
항저우DDG-136
푸저우DDG-137
타이저우DDG-138
닝보DDG-139


4. 5. 러시아

우달로이급 구축함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 소브레메니급 구축함(956형)
  • * ''부르니'' (778)
  • * ''나스토이치비'' (610)
  • * ''아드미랄 우샤코프'' (434)
  • 우달로이급 구축함
  • * ''부제독 쿨라코프'' (626)
  • * ''아드미랄 트리부츠'' (564)
  • * ''마르샬 샤포시니코프'' (543)
  • * ''세베로모르스크'' (619)
  • * ''아드미랄 렙첸코'' (605)
  • * ''아드미랄 비노그라도프'' (572)
  • * ''아드미랄 판텔레예프'' (548)
  • * ''아드미랄 차바넨코'' (650)


소련 해군은 서방 국가에 대항하기 위해 최초의 미사일 구축함인 61형 (카신형)을 1962년부터 배치했다. 소련은 카신형을 대형 대잠함 (BPK)으로 분류했지만, 서방 측에서는 구축함으로 분류했다. 소련은 카신형과 동일한 SAM에 장거리 함대함 미사일(SSM)을 탑재한 58형 (킨다형)도 개발했는데, 처음에는 구축함으로 분류했다가 나중에 미사일 순양함 (RKR)으로 변경했다.

4. 6. 영국

HMS 던컨


영국 해군은 1962년 취역한 카운티급 구축함에 자체 개발한 시슬러그 미사일을 탑재하여 함대공 미사일 운용을 시작했다.[1] 하지만 카운티급은 구축함과 경순양함의 중간적인 함정으로, 함종 기호는 DLG(미사일 프리깃)로 분류되었다.

DDG 기호가 부여된 것은 42형 구축함으로, 82형 구축함과 같은 계열의 시 다트 미사일을 탑재하면서 함형을 대폭 줄였다.

현재 영국 해군은 45형 구축함 6척을 운용하고 있다.

  • HMS 데어링
  • HMS 돈틀리스
  • HMS 다이아몬드
  • HMS 드래곤
  • HMS 디펜더
  • HMS 던컨


또한, 차세대 구축함으로 83형 구축함을 개발할 계획이다.

4. 7. 기타 국가

Australia영어

Canada영어

  • 리버급 구축함 (15척 계획)


France프랑스어

프랑스 해군은 더 이상 "구축함"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지만, 가장 큰 프리깃함에는 "D" 기호가 붙은 군함 기호가 부여되는데, 이는 구축함을 의미한다.

  • 포르뱅급 구축함 (프랑스에서는 프리깃함으로 지정되었으며, NATO 분류를 사용하여 구축함으로 지정됨)


India영어

Italyit

  • 두랑 드 라 펜급 구축함
  • 안드레아 도리아급 구축함


Spaines

  • 알바로 데 바잔급 호위함 (스페인에서는 호위함으로 지정되었지만, NATO 분류에서는 구축함으로 지정됨)


Turkeytr

  • TF2000급 구축함 (계획, 8척 건조 예정)

5. 퇴역 함급

국가퇴역 함급
패러것급, 찰스 F. 아담스급, 키드급 미사일 구축함
카운티급 구축함, 82형 구축함, 42형 구축함
임파비도급 구축함, 아우다체급
퍼스급 구축함
뤼첸스급 구축함
이로쿼이급 미사일 구축함
/브라브이급 함대 수뢰정, 그네브니급 대형 대잠함
아마츠카제, 다치카제급 호위함
쉬프랑급 구축함, 켈산급 구축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