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미시오네스주 (아르헨티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시오네스 주는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주로, 원래 과라니족의 문화가 유지되던 곳이다. 17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이 정착하여 선교 마을을 건설했으나, 이후 식민 지배와 영토 분쟁을 겪었다. 19세기 후반 유럽 이민을 통해 인구가 증가했고, 1953년 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프랑스 문화의 영향을 받으며, 예르바 마테 재배, 농업, 관광 등이 경제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미시오네스는 17개의 데파르타멘토로 나뉘며, 이과수 폭포 등 자연 경관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영토 분쟁 - 포클랜드 전쟁
    포클랜드 전쟁은 1982년 아르헨티나가 자국의 영유권 주장을 내세워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면서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에 발발한 전쟁으로, 영국이 군사력을 동원하여 제도를 탈환하고 아르헨티나의 점령을 종식시켰으며, 양국 관계에 깊은 영향을 미쳐 현재까지도 포클랜드 제도의 영유권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영토 분쟁 - 포클랜드 제도 분쟁
    포클랜드 제도 분쟁은 1493년 스페인의 소유권 주장으로 시작되어 영국과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 제도의 주권을 두고 벌이는 갈등이며, 1982년 포클랜드 전쟁으로 이어졌고, 현재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불법 점령을 주장하며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기 위해 노력하고, 영국은 섬 주민의 자기 결정권을 존중하며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주 - 코리엔테스주
    아르헨티나 북동부에 위치한 코리엔테스주는 파라나 강과 우루과이 강으로 둘러싸여 과라니족의 역사와 독립 전쟁 참여, 다양한 산업 발달, 야시레타 댐을 통한 에너지 생산, 차마메 음악의 발상지, 이베라 습지와 음부루쿠야 국립공원 등의 풍부한 자연, 그리고 과라니어 공용어 채택 등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 지역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 - 멘도사주
    멘도사주는 아르헨티나 서부에 위치하며 안데스 산맥과 쿠요 평원을 포함하고, 와인 생산, 관광, 광업이 주요 산업이며 칠레와 국경을 접한다.
미시오네스주 (아르헨티나)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구아수 국립공원 폭포
이구아수 국립공원
미시오네스 주 깃발
깃발
미시오네스 주 문장
문장
국가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 내 미시오네스 주 위치
아르헨티나 내 미시오네스 주 위치
노래Misionerita (미시오네스의 아이를 위한 노래)
행정 구역
하위 행정 구역 종류데파르트멘토: 17개
지방 자치체: 78개
주도포사다스
정치
주지사우고 파살라쿠아 (FRC)
부주지사루카스 로메로 (FRC)
입법부40석
국가 하원 의원7명
국가 상원 의원카를로스 오마르 아르세 (FRC)
엔리케 고어링 라라 (PRO)
소니아 로하스 데쿠트 (FRC)
면적
총 면적29,801 km²
순위21위
인구
총 인구 (2022년)1,280,96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인구 순위9위
주민미시오네로
경제
GDP (2018년)아르헨티나 페소 4450억 (미화 170억 달러)
시간대
시간대ART
UTC 오프셋-3
식별 코드
ISO 3166-2AR-N
인간 개발 지수 (HDI)
HDI (2021년)0.842 (11위)
기타 정보
웹사이트미시오네스 주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과라니족이 원래 미시오네스 지역에 거주하며 고유 문화를 유지하고 있었다. 1527년 12월, 세바스티안 카보트가 파라나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피페 폭포를 발견하면서 유럽인 최초로 이 땅을 방문했다. 1541년에는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이과수 폭포에 도착했다.

17세기에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여 예수회 선교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몇 년 안에 그들이 건설한 선교지는 30개가 넘었다. 과라니족은 이미 농경 생활에 익숙해져 정착 생활을 하고 있었다.

1814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정권의 장관이었던 헤르바시오 포사다스는 미시오네스 주를 아르헨티나 영토(당시 아르헨티나는 준독립 상태)에 편입시키고 코리엔테스주에 병합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여러 국가의 권리 주장으로 인해 실효 지배를 하지 못했고, 1830년 코리엔테스 주의 군대가 미시오네스를 점령했다.

1838년,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 주에 사는 원주민 과라니족이 파라과이의 주요 구성 민족이라는 이유로 미시오네스를 지배했다. 1865년 삼국 동맹 전쟁이 발발하면서 파라과이군은 다시 미시오네스를 침공했다. 1876년 아르헨티나와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했다.

학자들은 아르헨티나가 1814년부터 미시오네스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파라과이 전쟁에서 파라과이가 패배한 시점을 아르헨티나가 미시오네스를 소유한 시점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5] 전쟁 결과 파라과이가 곤궁해지면서, 아르헨티나 영토가 된 미시오네스는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되었다.

1876년,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대통령은 친구인 이탈리아군 귀족 피에트로 카네스트로 장군의 도움을 받아 이민 및 식민법을 공표했다. 이 법률은 아르헨티나의 미개간지에 인구를 늘리기 위해 유럽 이민을 장려하는 것이었다. 이 법률에 따라 여러 식민 회사가 설립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아돌프 슈벨름의 '엘도라도 콜로니자시온 이 엑스플로타시온 데 보스케스 Ltda. S.A.'였다. 엘도라도는 1919년 9월 29일 돈 아돌프 J. 슈벨름에 의해 파라나 상류의 항구와 함께 설립되었다.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은 농업 식민지와 농장에서 오렌지, 포도 등 과일과 마테차를 재배하고, 이를 가공하는 공장과 건조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었다. 특히, 스웨덴계 아르헨티나인들은 예르바 마테 재배로 유명했다.

우크라이나계 이민자, 1920


미시오네스 주는 남부 브라질에서 온 많은 유럽계 이민자들과 부에노스아이레스, 그리고 동유럽, 특히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였다. 그 이후로 미시오네스는 경제적 성장을 거듭하여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키워왔다. 그리하여 미시오네스는 순조롭게 아르헨티나의 주로 통합되었다. 오늘날에는 주의 영유권에 대해 국제적인 분쟁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1953년 12월 10일 미시오네스는 로 승격되었고, 1958년 4월 21일 헌법으로 승인되었다. 오늘날의 미시오네스는 프랑스 문화에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2. 1. 원주민 시대와 유럽인의 도래

과라니족은 원래 미시오네스주에서 고유 문화를 유지하며 살고 있었다. 1527년 12월, 세바스티안 카보트가 파라나강을 거슬러 올라가 아피페 폭포를 발견하면서 유럽인 최초로 이 땅을 방문했다. 1541년에는 알바르 누녜스 카베사 데 바카가 이과수 폭포에 도착했다.

17세기에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도착하여 예수회 선교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몇 년 안에 그들이 건설한 선교지는 30개가 넘었다. 과라니족은 이미 농경 생활에 익숙해져 정착 생활을 하고 있었다.

1814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정권의 장관이었던 헤르바시오 포사다스는 미시오네스주를 아르헨티나 영토(당시 아르헨티나는 준독립 상태)에 편입시키고 코리엔테스주에 병합한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여러 국가의 권리 주장으로 인해 실효 지배를 하지 못했고, 1830년 코리엔테스주의 군대가 미시오네스를 점령했다.

1838년,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주에 사는 원주민 과라니족이 파라과이의 주요 구성 민족이라는 이유로 미시오네스를 지배했다. 1865년 삼국 동맹 전쟁이 발발하면서 파라과이군은 다시 미시오네스를 침공했다. 1876년 아르헨티나와의 평화 협정이 체결되면서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했다.

학자들은 아르헨티나가 1814년부터 미시오네스 영유권을 주장했지만, 파라과이 전쟁에서 파라과이가 패배한 시점을 아르헨티나가 미시오네스를 소유한 시점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5] 전쟁 결과 파라과이가 곤궁해지면서, 아르헨티나 영토가 된 미시오네스는 경제적 이익을 얻게 되었다.

2. 2. 예수회 선교 활동 (17세기~18세기)

17세기예수회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도착했다. 이들은 이 땅에 여러 예수회 선교지를 건설했다. 몇 년 후 그들이 건설한 선교지는 30개가 넘었다. 과라니족은 이미 농경 생활에 익숙했기 때문에 정착 생활을 했다.[5]

thumb의 1846년 인상.]]

2. 3. 영토 분쟁과 아르헨티나 편입 (19세기)

1814년, 라플라타 연합 주의 최고 지휘관이었던 헤르바시오 포사다스는 미시오네스를 아르헨티나 코리엔테스 주에 합병한다고 선언했다. 당시 아르헨티나는 사실상 독립 상태였지만 명목상으로는 여전히 스페인 식민지였다.[5] 그러나 아르헨티나는 여러 국가의 영유권 주장과 사실상 자체 통치로 인해 미시오네스를 실제로 통제하지 못했고, 1830년 아르헨티나 군대가 코리엔테스 주에서 미시오네스를 장악했다.[5]

1838년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 인구가 파라과이의 주요 민족 집단인 원주민 과라니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이유로 이 지역을 점령했다.[5] 1865년 파라과이군은 파라과이 전쟁 (1864-1870)으로 이어진 이 지역을 다시 침공했다.[5] 파라과이의 패배와 아르헨티나와의 평화 협정(1876년 체결)에 따라 파라과이는 미시오네스 영토에 대한 주장을 포기했다.[5]

존 린치 (역사가)는 "파라과이에 대항하는 동맹 조약에는 파라과이 북부의 분쟁 지역을 브라질에, 파라과이 동부와 서부 지역을 아르헨티나에 합병하는 비밀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 길고 고통스러운 전쟁(1865-70) 이후 아르헨티나는 파라나강과 우루과이강 사이의 미시오네스 영토와 더 서쪽의 다른 땅을 파라과이로부터 빼앗았다"라고 썼다.[5] 스코비는 "미시오네스의 정치적 지위는 모호하게 남아 있었다"고 말했으며, 아르헨티나는 "1860년대 파라과이 전쟁의 부산물"로 이 지역을 얻었다고 언급했다.[6]

2. 4. 이민과 경제 발전 (19세기 후반~20세기)

1876년, 니콜라스 아베야네다 대통령은 친구인 이탈리아군 귀족 피에트로 카네스트로 장군의 도움을 받아 이민 및 식민법을 공표했다. 이 법률은 아르헨티나의 미개간지에 인구를 늘리기 위해 유럽 이민을 장려하는 것이었다. 이 법률에 따라 여러 식민 회사가 설립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아돌프 슈벨름의 '엘도라도 콜로니자시온 이 엑스플로타시온 데 보스케스 Ltda. S.A.'였다. 엘도라도는 1919년 9월 29일 돈 아돌프 J. 슈벨름에 의해 파라나 상류의 항구와 함께 설립되었다.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은 농업 식민지와 농장에서 오렌지, 포도 등 과일과 마테차를 재배하고, 이를 가공하는 공장과 건조 시설을 운영하는 것이었다. 특히, 스웨덴계 아르헨티나인들은 예르바 마테 재배로 유명했다.

미시오네스 주는 남부 브라질에서 온 많은 유럽계 이민자들과 부에노스아이레스, 그리고 동유럽, 특히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 이민자들을 많이 받아들였다. 그 이후로 미시오네스는 경제적 성장을 거듭하여 아르헨티나 내에서도 정치적으로 영향력을 키워왔다. 그리하여 미시오네스는 순조롭게 아르헨티나의 주로 통합되었다. 오늘날에는 주의 영유권에 대해 국제적인 분쟁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1953년 12월 10일 미시오네스는 로 승격되었고, 1958년 4월 21일 헌법으로 승인되었다. 오늘날의 미시오네스는 프랑스 문화에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2. 5. 주 승격과 현대 (20세기 후반~현재)

1953년 12월 10일 미시오네스는 로 승격되었고, 1958년 4월 21일 헌법으로 승인되었다.[9] 오늘날 미시오네스는 프랑스 문화에 매우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다.

미시오네스는 1973년 파라과이와 코리엔테스주가 공유하는 파라나강의 지점에 야시레타 댐 수력 발전 댐을 건설하기 위한 국제 협정에 따라 국가 정책 입안자들의 더 많은 관심을 받았다. 1990년대에 댐이 완전히 가동되었을 때 파라나강의 미시오네스 해안을 따라 물이 모두 상승했다. 댐 당국이 제대로 정비하지 못한 토지가 침수되어 리슈만편모충증, 황열병, 뎅기열, 말라리아와 같은 모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이 발생했다. 파라나 강을 따라 미시오네스 해안 전체는 이제 두 개의 댐으로 제한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강의 하류에 있는 야시레타이고, 다른 하나는 브라질파라과이에 위치하고, 강 상류와 푸에르토이과수 북쪽에 있는 이타이푸 댐이다. 아르헨티나는 발전 시설의 아르헨티나의 전력 부문을 두 배로 늘리기 위해 저수지 공사를 확장하기 위한 파라과이와의 협약을 추진하고 있었다.

3. 지리

붉은 색을 띠고 있는 흙


라 셀바 미시오네라는 이 지방의 35%를 차지


이과수 폭포의 모습은 이과수 국립공원에 있다.


알토 파라나 대서양 숲


미시오네스 주는 투쿠만 주 다음으로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작은 주이다.

미시오네스 고원은 국경을 넘어 브라질의 일부를 포함한다. 이 지역의 암석에는 상당량의 철이 포함되어 있어 토양의 일부를 형성하고 붉은색을 띠게 한다. 고원의 중앙에는 미시오네스 산맥이 솟아 있으며, 그 최고봉은 세로 린콘의 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 근처에 있는 해발 843m이다.

이 주는 파라나 강, 우루과이 강, 이구아수 강을 포함한 세 개의 큰 강에 둘러싸여 있다. 이구아수 폭포는 주의 북서쪽 모퉁이, 푸에르토 이과수 시 근처에 있는 이구아수 강에 있는 장관을 이루는 폭포이다. 미시오네스는 이 폭포를 브라질의 파라나 주와 공유하며, 파라과이와의 국경선도 가깝다.

3. 1. 기후

미시오네스 주는 건조한 계절이 없고 연중 풍부한 강우량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 아열대 기후를 가지고 있다.[10]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Cfa''로 분류된다.[11] 4개의 뚜렷한 계절이 있지만 겨울과 가을은 비교적 짧다.[11] 연평균 기온은 약 21°C이다.[10] 6월에서 8월은 기온이 10°C 이하로 떨어질 수 있는 가장 추운 날을 기록한다.[10] 그러나 남쪽에서 오는 드문 한랭 기단이 서리가 내리게 할 수 있다.[11] 여름은 12월에서 2월까지 기온이 32°C를 넘는 더운 날씨를 보인다.[10] 주요 특징 중 하나는 주의 중부 및 북부에 언덕이 있어 고도가 높아 기온이 낮아진다는 것이다.[11] 연평균 강수량은 남부의 1870mm에서 북부의 2360mm까지 다양하다. 주의 강수 패턴은 봄과 가을에 두 개의 최고점을 보이는 이중 모드 분포를 보이며 겨울은 가장 건조하다. 예외는 강수량이 연중 고르게 분포하는 북부 및 고지대이다. 높은 언덕에서는 강설이 발생했다.[11] 예를 들어, 1975년 겨울 동안, 주의 가장 추운 도시 중 하나인 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에서 적설이 관측되었고, 이 도시는 해발 815m의 고도에 위치해 있다.[11] 습한 기후와 높은 강수량으로 인해 상대 습도가 높다.[11]

미시오네스 주의 쾨펜 기후 지도.

3. 2. 식생

아열대 기후로 건기가 없어, 미시오네스 주는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무더운 주 중 하나이다. 식생은 일종의 "미시오네스 열대 우림"이다. 이 중 일부는 인간에 의해 농업과 농장을 위해 변형되었다. 원래의 생물대는 이구아수 국립공원에서 보호되고 있다.

4. 인구

2001년 인구조사 기준 965,522명이 거주하고 있었으며, 2022년 전국 인구 조사에서는 1,280,96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오네스 주민 다수는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아르헨티나 다른 지역의 이민자들이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경유한 것과 달리, 미시오네스 정착 이민자들은 상당수가 브라질 남부를 통해 들어왔다. 미시오네스에는 이탈리아인, 독일인, 스페인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프랑스인, 스위스인, 러시아인, 덴마크인, 아랍인 등 다양한 민족이 정착했다.[12]

미시오네스 인구 피라미드 (2022년 인구 조사).


인구의 일부는 원주민(특히 과라니족)의 후손이며, 식민지 시대에 도착하여 원주민과 섞인 스페인인의 후손도 있다. 또한 유럽 이민자의 후손도 거주민의 일부를 구성한다. 1960년대부터는 브라질 (주로 동유럽인의 후손)과 파라과이 (주로 원주민과 스페인인의 후손)에서 온 이민자들도 이 주에 정착했다. 소수의 아랍인, 일본인과, 최근에는 라오스인(1970년대 후반)과 중국인(2000년대)도 있다.

문맹률은 91.4%이다.

5. 경제

미시오네스주의 경제는 아르헨티나 북부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덜 발달했지만 상당히 다변화되어 있다. 2006년 생산량은 48억달러(아르헨티나의 경제 성장에 따르면 2011년에는 약 72억달러) 또는 1인당 4940USD(2011년에는 약 6500USD)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전국 평균보다 40% 이상 낮다.[13]

비가 많이 오고 침식되기 쉬운 지형은 집약농업을 방해하지만, 농업은 총 10%를 기여하며 주의 경제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미시오네스의 울창한 숲은 오랫동안 생태계에 과도한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많은 양의 원목을 생산하는 데 기여해 왔다. 주요하게 이용되는 나무는 파라나 소나무, 과탐부, 삼나무, 페티리비, 유향, 사탕수수 파이프, 안치코, 유칼립투스, 게이카이다.

미시오네스의 주요 농업 소득원은 오랫동안 예르바 마테의 재배였다. 미시오네스는 아르헨티나의 주요 생산지(연간 약 50만 톤 생산)이다. 차, 감귤류 과일, 소량의 담배, 사탕수수, , 커피, 카카오, 코코넛도 미시오네스에서 재배된다.

경공업과 관광 또한 지역 경제에 기여하며, 각각 총 13%를 기여한다.

6. 행정 구역

미시오네스 주의 행정 구역


미시오네스 주는 17개의 데파르타멘토(departamentos|데파르타멘토es)로 나뉜다.

데파르타멘토주도
아포스톨레스 데파르타멘토아포스톨레스
카잉구아스 데파르타멘토캄포그란데
칸델라리아 데파르타멘토산타 아나
수도 데파르타멘토포사다스
콘셉시온 데 라 시에라 데파르타멘토콘셉시온 데 라 시에라
엘도라도 데파르타멘토엘도라도
헤네랄 마누엘 벨그라노 데파르타멘토베르나르도 데 이리고옌
과라니 데파르타멘토엘 소베르비오
이과수 데파르타멘토푸에르토 에스페란사
레안드로 N. 알렘 데파르타멘토레안드로 N. 알렘
리베르타도르 헤네랄 산 마르틴 데파르타멘토푸에르토 리코
몬테카를로 데파르타멘토몬테카를로
오베라 데파르타멘토오베라
산 이그나시오 데파르타멘토산 이그나시오
산 하비에르 데파르타멘토산 하비에르
산 페드로 데파르타멘토산 페드로
베인티친코 데 마요 데파르타멘토알바 포세


7. 주요 도시

8. 정치

주 정부는 일반적으로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부서로 나뉜다. 행정부는 내각을 임명하는 주지사가 이끌고, 입법부는 미시오네스 주 의회가 담당하며, 사법부는 대법원이 이끈다.[1]

포사다스에 있는 주지사 관저


미시오네스 주 헌법은 주 법률의 근간을 이룬다.[1]

미시오네스 주 경찰


아르헨티나의 주요 법 집행 기관은 아르헨티나 연방 경찰이지만, 미시오네스 주 경찰이 추가적인 업무를 수행한다.[1]

9. 자매 결연 도시

미시오네스 주는 다음과 같은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프랑스 피레네아틀랑티크주 (2012년~)

참조

[1] 웹사이트 Nuevos datos provisorios del Censo 2022: Argentina tiene 46.044.703 habitantes https://www.infobae.[...] Infobae 2023-01-31
[2] 웹사이트 PBG Misiones https://www.atm.misi[...]
[3] 웹사이트 El mapa del desarrollo humano en Argentina https://www.undp.org[...] 2023-06-25
[4] 웹사이트 Instruccion practica para ordenar santamente la vidà; que ofrece el P. Antonio Garriga de la Compania de Iesus. Como brebe memorial, y recuerdo à los que hazen los exercicios espirituales de S. Ignacio de Loyola fundador de la misma Compañia https://wdl.org/2835 2013-06-07
[5] 서적 Argentina Since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5-02
[6] 서적 Argentina Oxford University Press
[7] 간행물 The Right to Migrate as a Human Right: The Current Argentine Immigration Law https://core.ac.uk/d[...] 2023-05-02
[8] 서적 Pioneer Settlement in Northeast Argent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2023-05-02
[9] 서적 Savage Frontier: Making News and Security on the Argentine Border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3-05-02
[10] 웹사이트 Geografía http://www.misiones.[...] Ministerio de Turismo 2017-03-29
[11] 웹사이트 Provincia de Misiones–Clima y Meteorologia http://www.misiones.[...]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7-03-29
[12] 뉴스 Censo 2022 https://www.indec.go[...]
[13] 문서 I.A.D.E.R http://www.iader.org[...]
[14] 웹사이트 Distribución de la población por jurisdicción. Total del país. Año 2022 https://www.censo.go[...] 2023-0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