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그람은 아프가니스탄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카피시와 동일시된다. 기원전 6세기 아케메네스 왕조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대왕 시기에는 코카서스의 알렉산드리아로 요새화되었다. 이후 마우리아 제국, 그레코-박트리아 왕국, 쿠샨 제국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쿠샨 제국 시대에는 동서 무역의 중심지였다. 바그람은 또한 전략적인 바그람 공군 기지가 위치한 곳이며, 2021년 미군 철수 이후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넘겨졌다. 기후는 여름철 고온 건조한 기후이며, 유적에서 다양한 문화적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지시르주 - 아프가니스탄 국민저항전선
아프가니스탄 국민저항전선은 2021년 탈레반 공세 이후 탈레반에 저항하기 위해 결성된 군사 조직으로, 아흐마드 마수드가 이끌고 암룰라 살레가 지지를 표명하며, 판지시르를 중심으로 저항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판지시르주 - 바자라크
바자라크는 아프가니스탄 판지시르주의 주도로 힌두쿠시산맥에 위치하며, 아프가니스탄 내전 기간 동안 북부 동맹의 거점이었고, 2021년에는 탈레반의 지배를 받지 않은 유일한 주도로 국민 저항 전선의 본부가 되었으나 현재까지도 탈레반과의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주도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카불
카불은 아프가니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다양한 민족과 문화가 공존하며 역사적 유적과 현대 건축물이 공존하지만, 최근 수십 년간 전쟁과 재건을 겪으며 현재는 탈레반 통치 하에 안보 및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려 노력하고 있다. - 아프가니스탄의 도시 - 칸다하르
칸다하르는 아프가니스탄 남부에 위치한 도시이자 칸다하르 주의 주도로, 아프가니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건설한 도시에서 유래하여 교역 중심지이자 전략적 요충지로서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과거 두라니 제국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탈레반의 주요 거점 도시 중 하나로, 온난 반건조 기후에 파슈툰족이 주로 거주한다.
| 바그람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공식 명칭 | 바그람 |
| 다른 이름 | 바グラム、バグラム、ベグラム、ベグラーム |
![]() | |
![]() | |
![]() | |
![]() | |
| 지리 | |
| 위치 | 파르반주 바그람 |
| 좌표 | 34°56′25″N 69°15′18″E |
| 해발고도 | 1488m |
| 행정 | |
| 주 | 파르반주 |
| 군 | 바그람 |
| 기타 정보 | |
| 시간대 | +04:30 |
2. 역사
바그람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문명과 제국의 영향을 받으며 오랜 역사를 이어왔다.
바그람 유적이 처음 건설된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기원전 6세기 중반, 아케메네스 왕조의 키루스 2세가 사카 원정 중 이 도시를 파괴했으나, 후계자 다리우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다.[5]
기원전 320년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 도시를 점령하고 코카서스의 알렉산드리아라는 요새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히포다모스가 설계한 격자형 설계를 따라 벽돌 성벽, 네 모퉁이 탑, 상점과 작업장이 있는 중앙 거리를 갖추었다.[5]
기원전 323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셀레우코스 1세가 통치하다 기원전 305년 마우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기원전 185년 마우리아 제국 멸망 후,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의 데메트리오스 1세가 이 지역을 정복했고, 월지에 쫓겨난 인도-그리스 왕국은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았다.[5]
마우리아 제국은 찬드라굽타 마우리아가 셀레우코스 1세와 협정하여 간다라, 아라코시아(고대 칸다하르) 등을 획득했다. 120년간 불교가 전래되어 조로아스터교 등과 함께 중요한 종교가 되었다.[3] 아쇼카왕 시대에는 프라크리트어 외 그리스어, 아람어 비문이 새겨졌고, 칸다하르 비문에는 "다르마"가 그리스어 유세베이아(경건)로 번역되었다.[6]
7세기 페르시아 정복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정복이 시작되었으나, 가즈나 왕조 시대에 완전한 이슬람화가 이루어졌다. 현대 바그람은 바부르가 건설한 것으로 추정되며, 바부르의 회고록에는 1519년 방문 당시 힌두교 수행자들에 대한 내용이 있다.[6]
현대 바그람에는 바그람 공군 기지가 있어 1976년 건설 후 1989년까지 소련 공군 기지로 쓰였다. 미국 주도 지역 재건 팀도 활동했다.[7] 파르완 구금 시설은 2013년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반환 전까지 미국 관리하에 있었다.[8] 2015년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했다.[9] 2021년 7월 1일, 미군은 20년 만에 기지에서 철수했다.[10]
2. 1. 고대 역사
고대 도시 카피시는 현재의 바그람과 동일시된다. 고대 불교 및 힌두교 조각상의 모습은 이 도시가 처음에는 인도인의 지배를 받았음을 보여준다.
디아도코이 전쟁 동안, 마우리아 제국은 인도 아대륙 북부로 팽창하고 있었다. 왕조의 시조인 찬드라굽타는 기원전 305년 셀레우코스 1세가 이끄는 마케도니아의 침략과 짧은 대결을 거쳐 합의가 이루어졌고, 셀레우코스는 간다라, 아라코시아(고대 칸다하르) 및 바그람 이남(현재 아프가니스탄 동남단)을 마우리아 제국에 양도했다. 마우리아 제국이 아프가니스탄 남부를 지배한 120년 동안 불교가 전래되었고, 조로아스터교와 토착 신앙과 함께 이 지역의 중요한 종교가 되었다.[3]
바그람 유적이 처음 건설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기원전 6세기 중반, 아케메네스 왕조의 키루스 2세는 사카에 대한 원정의 일환으로 이 도시를 파괴했다. 그러나 곧 그의 후계자 다리우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다.[5]
기원전 320년대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도시를 점령하고 요새화된 코카서스의 알렉산드리아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히포다모스의 설계에 따라 격자형 설계를 갖춘 그리스 도시 계획의 특징을 갖추고 있었다. 벽돌 성벽을 가지고 있었으며, 네 모퉁이에는 탑이 있었다. 중앙 거리는 상점과 작업장으로 둘러싸여 있었다.[5]
기원전 323년 대왕의 사후, 이 도시는 장군 셀레우코스 1세가 지배했다. 기원전 305년에는 마우리아 제국에 양도되었다. 기원전 185년 마우리아 제국이 숭가 왕조에 의해 멸망한 후, 데메트리오스 1세가 이끄는 그레코-박트리아 왕국이 북서 인도(현재의 파키스탄)를 침략, 정복했다. 월지에 의해 기원전 140년에 박트리아에서 쫓겨난 인도-그리스 왕국은 알렉산드리아를 수도로 삼았다.[5]
1세기에는 알렉산드리아는 쿠샨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이곳을 거점으로 남쪽의 페샤와르를 정복했다. "바그람의 유보"라고 불리는 유물은 고전기의 모든 문화 중심지 사이에 활발한 무역이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쿠샨 제국은 동서 육상 및 해상 무역의 교차점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나 바그람에서 발견된 공예품은 순수한 그리스, 로마, 중국, 인도적인 것이며, 혼합주의를 보여주는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5]
마우리아 제국의 아쇼카왕에 의해 쓰여진 그리스어 칙령 제13조의 단편 외에도, 그리스어와 아람어의 두 언어로 된 완전한 비문이 칸다하르에서 발견되었다. 이 비문의 그리스어는 우아한 고전 그리스어로, 세련된 철학 용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비문에서, 프라크리트어의 다른 비문에서 "다르마"라고 기록된 단어는 그리스어로 유세베이아(경건)로 번역되었다.[6]
2. 2. 쿠샨 제국 시대
1세기에 바그람은 쿠샨 제국의 수도가 되어 페샤와르를 정복하는 거점이 되었다.[4] "바그람의 유보"라고 불리는 유물들은 당시 동서 육상 및 해상 무역의 교차점에 위치했던 쿠샨 제국의 활발한 무역을 보여준다.[4] 그러나 바그람에서 발견된 공예품은 순수한 그리스, 로마, 중국, 인도적인 것이며, 그레코-불교 미술과 같은 혼합주의를 보여주는 것은 소수에 불과하다.[4]2. 3. 이슬람 정복 이후
아프가니스탄의 이슬람 정복과 인접한 파슈툰 지역에 대한 이슬람 정복은 7세기 페르시아 정복 직후 시작되었다.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의 완전한 이슬람화는 가즈나 왕조 시대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현대의 이 도시는 고대 도시의 부지에 바부르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5] 바부르의 회고록에서 1519년 그의 방문의 초점은 그를 매료시킨 Gurh Kattri(Kur Katri)에 있는 힌두교 수행자들의 식민지에 맞춰져 있다.[6]2. 4. 현대사

바그람에는 아프가니스탄에서 미국 공군의 대부분의 공중 활동이 이루어진 전략적 바그람 공군 기지가 있다. 이 활주로는 1976년에 건설되었으며, 1979년부터 1989년까지 소련의 공군 기지였다. 미국이 아프가니스탄에 주둔하며 대반군 전략을 시행했을 때에는 지방 재건팀도 있었다.[7]
바그람은 파르완 구금 시설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이 구금 시설은 미국의 관리하에 있던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감옥이었다. 2013년 3월 25일에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반환되었다.[8] 이 구금 시설은 이전에 수감자들이 고문을 받았다는 주장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었다(바그람 고문 및 수감자 학대 문서 참조). 시설 반환 당시, 국제 앰네스티와 같은 인권 단체들은 그곳 수감자들의 처우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8]
2015년 12월 21일, 바그람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6명이 사망했다.[9]
2021년 7월 1일, 미군은 20년 만에 공군 기지에서 철수하여 이 기지를 아프가니스탄 정부에 넘겼다. 당시 아프가니스탄 사령관에 따르면, 미국은 아프가니스탄 군에 사전 공식 통보 없이 밤에 기지를 철수했다.[10]
3. 기후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바그람은 짧지만 추운 겨울과 길고 덥고 건조한 여름을 가진 여름철 고온 습윤 대륙성 기후(Dsa)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2°C이며, 강수는 주로 10월과 4월 사이에 집중된다. 연중 특정 시기에는 먼지 폭풍과 모래 폭풍이 자주 발생하며[3], 겨울철에는 종종 눈으로 뒤덮인다.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Elevation: Bagram
https://en.climate-d[...]
2022-09-24
[2]
문서
Cunningham (1871), pp. 16-27
[3]
웹사이트
Bagram Air Base in Parvan Province, Afghanistan
https://militarybase[...]
2022-10-20
[4]
웹사이트
Climate: Bagram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22-09-03
[5]
서적
Journeys on the Silk Road Through Ages
https://books.google[...]
Zorba
2017-10-11
[6]
서적
Mughal India: Art, Culture and Empire
British Library
2013
[7]
웹사이트
Provincial Reconstruction Teams (PRTs)
http://www.understan[...]
2021-07-02
[8]
뉴스
US hands over Bagram prison to Afghanistan
http://www.aljazeera[...]
Aljazeera
2013-03-25
[9]
웹사이트
6 U.S. troops killed in motorcycle bomb attack in Afghanistan, officials say
http://www.cnn.com/2[...]
CNN
2015-12-21
[10]
뉴스
US left Bagram Airbase at night with no notice, Afghan commander says
https://www.bbc.com/[...]
BBC
2021-07-06
[11]
뉴스
US hands over Bagram prison to Afghanistan
http://www.aljazeera[...]
アルジャジーラ
2013-03-25
[12]
웹사이트
6 U.S. troops killed in motorcycle bomb attack in Afghanistan, officials say
https://edition.cnn.[...]
CNN
2015-1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