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라나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라나비치는 벨라루스 브레스트와 민스크의 중간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철도 교통의 요지이다. 1706년에 처음 언급되었으며, 1870년대부터 철도 결절점으로 성장했다. 기후는 연평균 7.5°C이며, M1 고속도로가 지나고 공군 기지가 위치한다. 문화 유산으로는 성 십자가 승천 가톨릭 교회 등이 있으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브레스트주 - 핀스크
    핀스크는 벨라루스 남서부 브레스트 주에 위치한 도시로,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전쟁의 영향으로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고, 현재는 벨라루스 공화국의 교통 요충지이다.
  • 브레스트주 - 브레스트 (벨라루스)
    브레스트는 벨라루스 서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국가를 거치며 다양한 문화와 교류했고, 브레스트 요새와 함께 교통의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벨라루스의 도시 - 흐로드나
    흐로드나는 벨라루스 북서부 네만 강 유역에 위치한 도시로, 다양한 정권의 지배를 거치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중세 시대부터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이자 폴란드 국왕들의 거주지, 현재는 벨라루스의 주요 도시로서 관광 도시의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 벨라루스의 도시 - 핀스크
    핀스크는 벨라루스 남서부 브레스트 주에 위치한 도시로,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전쟁의 영향으로 파괴와 재건을 반복했고, 현재는 벨라루스 공화국의 교통 요충지이다.
바라나비치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이름바рана비치
현지 이름 (벨라루스어)Баранавічы
현지 이름 (러시아어)Барановичи
기타 현지 이름이디시어: באַראַנאָוויטש
폴란드어: Baranowicze
리투아니아어: Baranovičiai
위치벨라루스 브레스트 주
설립1871년
최초 언급1706년
도시 지위 획득1919년
바라나비치 전경
바라나비치 전경 (2017년)
바라나비치 시 깃발
깃발
바라나비치 시 문장
문장
지리
면적 (총)53.64 제곱킬로미터
해발 고도193 미터
인구
인구 (2024년)171,361 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MSK
UTC 오프셋+3
행정
우편 번호225320
지역 번호+375 (0)163
차량 등록 번호1
웹사이트
웹사이트바라나비치 공식 웹사이트

2. 지리

바라나비치 시는 샤라 강과 그 지류인 Myshanka 강 사이에 있는 바라나비치 평원에 위치한다. 브레스트(206km)와 민스크(149km)를 잇는 직선상에 있으며, 랴호비치(17km), 슬로님(42km), 네스비슈(51km), 나바루드크(52km), 간체비치(72km) 등의 도시가 인근에 있다.

바라나비치는 평평한 지형으로, 고도 차이는 20m를 넘지 않는 해발 180~200m이다. 도시의 평균 고도는 해발 193m이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10km, 남쪽에서 북쪽으로 7km 정도 뻗어 있다. 도시 면적은 80.66 km2 (2012년 8월 12일 기준 8066 ha)이며, 인구 밀도는 1km2당 2,000명 이상이다.

도시의 최북단 지점은 코롤리크 거리 (북위 53°10'), 최남단은 우즈노기 마을 (북위 53°06'), 최서단 지점은 바다카 거리 인근 (동경 25°57'), 최동단 지점은 예고로바 거리와 카슈타노바 거리 교차로 인근 (동경 26°04')이다. 도시의 기하학적 중심은 레닌 광장이다. 총 500개에 달하는 거리와 골목길의 전체 길이는 252.8km이며, 그 중 129.8km는 조경이 되어 있고, 240km는 조명이 설치되어 있다.

바라나비치는 주요 철도와 고속도로의 교차점으로, 가스관, 에너지 및 수자원 공급 시스템이 발달되어 있으며, 기후가 양호하다. 2019년 1월 1일 기준, 바라나비치에는 81,829대의 승용차가 등록되어 있으며, 도시 시민의 거의 절반이 승용차를 소유하고 있다.

바라나비치는 벨라루스에서 8번째로 큰 도시이자, 중요한 산업, 문화, 교육 중심지 중 하나이다. 2010년 초, 러시아, 핀란드, 오스트리아, 폴란드, 중국, 이탈리아, 라트비아, 우크라이나 등 21개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벨라루스 철도 교통의 요지로 민스크브레스트 중간 지점에 위치하며, 북쪽으로 리투아니아빌뉴스로도 연결된다.

2. 1. 기후

바라나비치의 기후는 1991년부터 2020년까지의 평균 기온 및 강수량, 그리고 1940년부터 현재까지의 기온 극값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19]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최고 기온 기록 (°C)13°C15.1°C25.5°C29°C31.5°C34.3°C34.7°C35.7°C33.5°C25.5°C17.8°C11.4°C35.7°C
평균 최고 기온 (°C)-1.5°C-0.2°C5.2°C13.3°C19.1°C22.5°C24.4°C24.1°C18.2°C11.2°C4.3°C-0.1°C11.7°C
평균 기온 (°C)-3.8°C-3°C1.2°C8.1°C13.6°C17°C18.9°C18.3°C13°C7.2°C2°C-2.2°C7.5°C
평균 최저 기온 (°C)-6°C-5.6°C-2.1°C3.3°C8.2°C11.8°C13.6°C12.9°C8.5°C3.9°C0°C-4.2°C3.7°C
최저 기온 기록 (°C)-34.5°C-35.4°C-28.8°C-9.6°C-4.1°C0.9°C3.9°C-0.5°C-3.4°C-11.2°C-19.5°C-29.9°C-35.4°C
강수량 (mm)41mm36mm37mm38mm68mm77mm96mm53mm55mm47mm43mm45mm636mm
평균 강우 일수978111515151213141310142
평균 강설 일수16161130.10000281571
평균 상대 습도 (%)87847969687374737983888979


3. 역사

바라나비치는 1706년 사료에서 처음 등장한다.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인해 러시아 제국령이 되었다. 1870년대부터 철도 노선의 결절점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바르샤바모스크바선과 빌뉴스・리비우선이 이 도시에서 교차했다. 이를 계기로 인구가 증가하여 1880년대에는 약 2,000명, 1890년대 말에는 약 4,600명이 되었으며, 그 절반은 유대인으로 추정된다.[2]

제1차 세계 대전폴란드 제2공화국이 점령하고, 1919년에 도시 지위를 인정받았다. 당시 도시 인구는 11,000명 정도였다. 폴란드에 정식으로 병합된 후, 상업・흥업 발전을 배경으로 1938년에는 폴란드 라디오 방송국 지국도 개설되었다. 이때 인구는 약 30,000명에 달하여 주변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가 되었다.

독소 불가침 조약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곧 폴란드 침공을 감행한 소련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1941년 독소 전쟁 발발과 함께 나치 독일에 의해 점령되었다. 유대인은 게토에 갇혀 열악한 생활 환경에 놓였으며, 곧 각지의 강제 수용소로 끌려가 처형되었다. 1944년 7월, 도시는 붉은 군대에 점령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소비에트 연방 내의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으며, 이 시기에 더욱 산업화가 추진되었다. 1991년 소련 붕괴 후에는 독립 벨라루스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3. 1. 초기 역사 (17세기 ~ 19세기)

17세기 후반, 바라나비치에는 예수회 선교부가 있었다. 18세기 후반에는 마살스키 가문과 네시올로프스키 가문의 소유였다. 이 마을은 폴란드 제3차 분할(1795년)까지 노보그루데크 보이보드십에 행정적으로 속해 있었으며, 이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다. 19세기에는 에.A. 로즈와도프스키 백작 부인의 소유였다. 노보그로데크(현재 나바흐루다크) 오크루그에 속해 있었으며, 슬로님 현, 리투아니아 현, 그로드노 현, 그리고 이후에는 민스크 현에 속했다.[1]

1706년에 사료에서 처음 등장한다. 18세기 말, 폴란드 분할로 인해 러시아 제국령이 되었다. 1870년대부터 철도 노선의 결절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도시에서 바르샤바모스크바선과 빌뉴스・리비우선이 교차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인구가 증가하여, 1880년대에는 약 2,000명, 1890년대 말에는 약 4,600명이 되었다. 그 절반이 유대인으로 추정된다.[2]

3. 2. 도시의 성장 (1870년대 ~ 1919년)

바라나비치의 역사는 1871년 11월 스몰렌스크-브레스트 노선의 새로운 구간 건설이 시작되면서 시작되었다.[1] 역의 이름은 1627년 A.E Sinyavskaya의 유언장에 처음 언급된 인근 마을 바라나비치에서 유래되었다.[1] 1871년에는 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기관차 차고가 건설되었다.[1]

1874년에는 철도 분기점이 생겼다.[1] 바라나비치의 철도 노동자들은 나무로 된 역 건물에서 생활했다.[1] 새로운 철도는 모스크바와 제정 러시아의 서쪽 변두리를 연결했다.[1]

19세기 말 중앙 기차역


1884년 5월 27일 민스크 주지사가 지주 Rozwadowski의 토지에 Rozvadovo 마을을 건설하기로 결정하면서, 역 남쪽 인접 지역에 보다 집중적인 정착이 시작되었다.[1] 이 마을은 주지사의 승인을 받은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120채의 집과 500명의 사람들이 살았다.[1]

알렉산드르 3세 황제가 승인한 계획은 빌뉴스, 루닌예츠, 핀스크, 로브노를 연결하는 하나의 철도가 더 건설될 것을 예상했다.[1] 이에 따라 역에서 2.5km 떨어진 곳에서 모스크바-브레스트 철도는 폴레시에 철도의 빌뉴스-로브노 선로와 교차했다.[1] 이 분기점에는 또 다른 역인 바라나비치(폴레시에 철도에 따르면)가 있었는데, 이 역은 도시의 두 번째 중심지가 되었다.[1]

노동자와 상인들이 이전처럼 역 근처에 정착했다.[1] 새로운 정착지는 Rozvadovo와 달리 '새 바라나비치'라고 불렸으며, Rozvadovo는 비공식적으로 '구 바라나비치'라고 불렸다.[1] 새로운 역 근처의 마을(스베틸로비치, 게로프, 우즈노기)의 농민들이 소유한 땅에 개발이 이루어졌다.[1] 지주들의 토지보다 더 편리하고, 임대 조건이 좋으며, 행정 기관과의 근접성은 이 정착지의 급속한 성장에 기여했다.[1]

1870년대부터 철도 노선의 결절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 도시에서 바르샤바모스크바선과 빌뉴스・리비우선이 교차하게 되었다.[2] 이를 계기로 인구가 증가하여, 1880년대에는 약 2,000명, 1890년대 말에는 약 4,600명이 되었다.[2] 그 절반은 유대인으로 추정된다.[2] 제1차 세계 대전폴란드 제2공화국이 점령하고, 1919년에 도시로서의 지위를 인정받았다.[2] 당시 도시의 인구는 11,000명 정도였다.[2]

3. 3. 20세기 (1919년 ~ 1991년)

제1차 세계 대전 초, 바라나비치는 최고사령부의 위치였으며, 대퇴각 전까지 러시아 참모본부의 본부였다.[3]

1930년대 바라노비체 폴란드 은행


1919년 1월 5일 독일군이 철수한 후 소비에트군에 의해 점령되었다.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초기에는 1919년 3월 18일 폴란드군에 의해 잠시 점령되었고,[4] 폴란드가 독립을 되찾은 지 5개월 후인 1919년 4월에 다시 더 오랫동안 점령되었다.[5] 1920년 7월 17일 러시아군이 재점령했지만, 1920년 9월 30일 폴란드군이 다시 탈환했다.

전쟁 전 아르투르 부올 기념비


1919년 8월 1일, 도시권을 획득하여 폴란드 노보그루데크 보이보드십의 군 중심지가 되었다. 1921년 바라노비체에는 11,000명 이상의 주민이 있었고(67%가 유대인, 나머지는 대부분 벨라루스인, 폴란드인, 러시아인이었다). 곧, 도시는 성장하기 시작하여 이 지역의 중요한 무역 및 상업 중심지가 되었다. 도시의 정교회 대성당은 1924년부터 1931년까지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으며, 바르샤바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대성당 철거에서 살아남은 모자이크로 장식되었다. 1930년, 폴란드-소비에트 전쟁에서 폴란드 전투의 영웅인 헝가리 중령 아르투르 부올의 기념비가 바라노비체에 세워졌다.[6] 전쟁 사이 시대에 폴란드 정치인 레흐 카친스키야로스와프 카친스키의 조부모와 아버지가 바라노비체에 살았다.[7]

이 도시는 또한 중요한 군사 주둔지였으며, KOP 기병 여단, 폴란드 제20 보병 사단 및 노보그루즈카 기병 여단이 주둔해 있었다. 지역 산업의 빠른 성장으로 인해 1938년에는 폴란드 라디오의 지역 지부가 개설되었다. 1939년 바라나비치에는 거의 30,000명의 주민이 있었고 노보그루데크 보이보드십에서 가장 크고 중요한 도시였다.

폴란드 침공 후, 소련은 1939년 9월 17일 이 도시를 점령하여 벨라루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합병했다. 9,000명의 지역 유대인 인구에 독일에 점령된 폴란드 지역에서 온 약 3,000명의 유대인 난민이 합류했다. 바르바로사 작전 시작 후, 1941년 6월 27일 베르마흐트에 의해 도시가 점령되었다. 독일 점령 동안 독일 제국 위임통치령 오스트란트의 ''제너럴베지르크 바이슬루테니엔''의 일부였다. 1941년 8월, 도시에는 게토(바라나비치 게토)가 생겼으며, 12,000명 이상의 유대인이 외곽의 6개 건물에서 끔찍한 환경에 갇혔다. 1942년 3월 4일부터 12월 14일까지 게토의 모든 유대인 인구가 다양한 절멸 수용소로 보내져 가스실에서 살해되었다. 전쟁에서 약 250명만이 살아남았다.[8]

해방된 바라나비치를 통과하는 소비에트 군대, 1944년 7월


이 도시는 1944년 7월 8일 붉은 군대에 의해 해방되었다.[10] 또한 1939년부터 1941년까지, 그리고 1944년부터 1954년까지 바라나비치주의 소재지였다. 그동안 집중적인 산업화가 이루어졌다. 1991년 이 도시는 독립적인 벨라루스의 일부가 되었다.

3. 4. 현대 (1991년 ~ 현재)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바라나비치는 독립된 벨라루스 공화국의 도시가 되었다.

4. 교통

바라나비치는 벨라루스에서 중요한 교통의 요지 중 하나이다. 특히, 벨라루스 철도 교통의 요지로서, 민스크브레스트를 잇는 주요 철도 노선 상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리투아니아빌뉴스까지 연결된다.

1871년 11월, 스몰렌스크-브레스트 노선의 새로운 구간 건설과 함께 바라나비치 역이 건설되면서 도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874년에는 철도 분기점이 생겼고, 1884년에는 민스크 주지사의 결정으로 로즈바도프스키(Rozwadowski) 지주의 토지에 로즈바도보(Rozvadovo) 마을이 건설되면서 본격적인 도시 발전이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르 3세의 계획에 따라 빌뉴스, 루닌예츠, 핀스크, 로브노를 연결하는 철도가 추가로 건설되면서, 바라나비치에는 폴레시에 철도의 바라나비치 역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이로써 바라나비치는 두 개의 역을 중심으로 발전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바라나비치는 벨라루스의 주요 동서 고속도로인 M1 고속도로 (유럽 고속도로 E30의 일부) 상에 위치하여 도로 교통도 발달하였다.

도시 남쪽에는 벨라루스 공군이 사용하는 대규모 공군 기지가 위치해 있다.

5. 문화

바라나비치는 비교적 젊은 도시이기에 문화 유산 기념물은 많지 않다. 대부분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사이 기간에 세워진 건물들로, 성 십자가 승천 가톨릭 교회, 구 폴란드 은행 건물, 폴란드 라디오 바라노비체 방송국 건물, 소방서, 성모 보호 정교회 등이 있다. 20세기 초의 오래된 주택 몇 채가 보존되어 있으며, 도시에는 철도 박물관이 있다.

6. 자매 도시

국가도시연도
-- 핀란드헤이놀라1978년
-- 오스트리아슈토케라우1989년
-- 폴란드그디니아1993년
-- 우크라이나노보볼린스크1995년
-- 중화인민공화국츠비시1997년
-- 이탈리아페라라1998년
-- 러시아상트페테르부르크1998년
-- 불가리아카를로보1999년
-- 러시아미티시2000년
-- 폴란드비아와포들라스카2001년
-- 리투아니아샤울랴이2001년
-- 러시아키네시마2002년
-- 라트비아옐가바2003년
-- 스웨덴나카시2005년
-- 폴란드비아와 포들라스카
-- 중화인민공화국츠비
-- 러시아칼리닌그라드
-- 불가리아카를로보
-- 러시아키네쉬마
-- 튀르키예콘야알트
-- 러시아마가단
-- 러시아미티쉬
-- 스웨덴나카
-- 우크라이나폴타바
-- 러시아솔른체보 (모스크바)
-- 오스트리아슈토케라우
-- 폴란드술렌친 군
-- 러시아바실레오스트로프스키 (상트페테르부르크)
-- 러시아예이스크 군



바라나비치는 위에 언급된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3] 2022년 라트비아옐가바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바라나비치와의 협력 협정을 중단했다.[14]

참조

[1]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на 1 января 2024 г. и среднегодовая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за 2023 год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в разрезе областей, районов, городов, поселков городского типа https://www.belstat.[...] 2024-06-11
[2] 서적 Назвы населеных пунктаў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 Брэсцкая вобласць Тэхналогія 2010
[3] 서적 Nicholas and Alexandria Ballantine Books 1967
[4] 서적 Wojna polsko-rosyjska 1919–1920 Bellona 2010
[5] 웹사이트 Baranowicz – Nowogródek kwiecień 1919 http://phw.org.pl/ba[...] 2019-10-22
[6] 웹사이트 Artur Buol - węgierski bohater Wojska Polskiego https://menway.inter[...] 2019-10-22
[7] 웹사이트 Kim był ojciec Jarosława i Lecha Kaczyńskich? https://www.fakt.pl/[...] 2015-04-17
[8] 웹사이트 Jewish Heritage Research Group in Belarus https://web.archive.[...] 2022-04-21
[9] 웹사이트 Armann Hugo https://righteous.ya[...] 2023-04-18
[10] 서적 Operation Bagration Helion & Co., Ltd. 2016
[11]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Baranavichy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21-11-08
[12] 뉴스 Belarus: Scathing sentence for opposition leader following politically motivated case https://www.amnesty.[...]
[13] 웹사이트 Города-побратимы https://web.archive.[...] Baranovichy 2020-01-12
[14] 뉴스 Jelgava suspends cooperation agreement with twin cities Magadan (Russia) and Baranovichi (Belarus) https://www.jelgava.[...]
[15] 웹사이트 Lithuania (M2TW-K-TC faction) https://wiki.totalwa[...] 2019-11-27
[16] 문서 バラナヴィチとも表記される。
[17]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по Республике Беларусь, областям и г.Минску (тысяч человек)на 1 января 2010 года http://belstat.gov.b[...]
[18] 문서 バラノヴィチとも表記される。
[19] 웹사이트 Weather and Climate-The Climate of Baranavichy http://www.pogodaikl[...] Weather and Climate 2021-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