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르디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르디 가문은 116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에 의해 시작된 이탈리아의 유서 깊은 가문이다. 13세기 초 피렌체에서 세력을 확장하여 금융업과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했으며, 유럽 각지에 지점을 두고 국제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14세기에는 영국 왕 에드워드 3세에게 거액을 대출했으나, 채무 불이행으로 인해 파산하여 몰락했다. 이후에도 귀족 지위를 유지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고, 메디치 가문과의 관계를 통해 피렌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바르디 가문은 은행업의 실패와 고리대금업, 백년 전쟁에 자금을 지원한 점 등으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렌체의 가문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피렌체의 가문 - 아차이올리가
아차이올리 가문은 13세기 피렌체에서 강력한 은행을 설립하여 서유럽과 그리스에 영향력을 행사했고, 피렌체 통치와 아테네 공국을 통치했으며, 마데이라 섬으로 이주하여 포르투갈과 브라질 귀족의 일부가 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은행업 가문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은행업 가문 - 벨저가
벨저 가문은 13세기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시작하여 15-16세기 유럽 각지와 레반트 무역으로 번성한 독일 상인 가문으로, 고리대금업과 식민 사업 등으로 부를 축적했으나 전쟁 등으로 쇠퇴했고, 현재는 박물관을 통해 역사를 기리고 있다. - 피렌체 공화국 - 메디치가
메디치가는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메디치 은행의 부를 기반으로 정치, 경제, 문화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르네상스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토스카나 대공국 건설 후 잔 가스토네의 죽음으로 가문의 통치가 종식되었다. - 피렌체 공화국 -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
산티시마 안눈치아타 성당은 1250년 세르비테 수도회 창립 멤버들이 피렌체에 세운 성당으로, '수태고지' 그림으로 유명하며 르네상스 시기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의 재설계를 통해 고전적인 건축 양식을 갖추었고, 미켈로초가 설계한 회랑과 예술가들의 작품이 있는 성 루카 예배당을 포함하고 있다.
바르디가 | |
---|---|
가문 정보 | |
이름 | 바르디 가문 |
원산지 | 토스카나, 이탈리아 |
국가 | 피렌체 공화국 "[[파일:Flag of the Grand Duchy of Tuscany (1562-1737).svg|24px|border]] 토스카나 대공국" 교황령 |
창립 | 10세기 |
해산 | 1810년 |
마지막 통치자 | 피에르 마리아 데 바르디 |
작위 | 베르니오 백작 |
2. 역사
바르디 가문의 귀족 지위는 1164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가 알베르토 백작에게 베르니오 영지를 하사하며 "후손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할 권리"를 부여하면서 기록되기 시작했다. 이후 알베르토 백작의 후손인 마르게리타 백작부인은 베르니오 영지를 사위인 피에로 데' 바르디에게 매각했다. 14세기 동안 바르디 가문은 강력한 세력을 형성하여 피렌체 공화국 정부로부터 잠재적 위협으로 간주되기도 했다.
13세기 초, 바르디 가문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겔프 파벌을 지지했고, 가문 구성원 중 일부는 제5차 십자군에 참여하기도 했다.[1][2] 1290년대에는 페루치 가문과 함께 잉글랜드에 지점을 설립하며 금융업에 진출했고, 14세기에는 유럽 전역에 지점을 둔 주요 은행 가문으로 성장하여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이들은 상인들에게 환어음을 제공하는 등 선진 금융 기법을 통해 국제 무역 발전에 기여했다.
그러나 14세기 중반 백년 전쟁 시기,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에게 빌려준 막대한 전쟁 자금을 회수하지 못하면서 1345년경 파산을 맞게 되었다. 은행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바르디 가문은 귀족 지위와 상업 활동을 통해 명맥을 유지했다. 특히 1415년경 콘테시나 데' 바르디와 코시모 데' 메디치의 결혼은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의 지배 세력으로 부상하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코시모는 바르디 가문의 정치적 권리를 회복시켜 주었다.
바르디 가문은 금융업 외에도 예술과 종교 활동의 후원자로도 알려져 있으며, 특히 프란치스코회와 깊은 관계를 맺고 산타 크로체 성당 내에 가문 예배당을 건립하기도 했다. 피렌체에는 가문의 저택이었던 팔라초 부시니 바르디 등이 남아있다.
2. 1. 초기 역사 (12세기~13세기)
바르디 가문의 귀족 지위는 1164년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 황제가 알베르토 백작에게 베르니오 영지를 하사하며 "후손에게 귀족 작위를 수여할 권리"를 부여하면서 공식적으로 기록되기 시작했다. 알베르토 백작의 마지막 후손인 마르게리타 백작부인은 이 영지를 사위인 피에로 데' 바르디에게 매각했다. 이 영지에는 피렌체에서 약 약 35.41km 떨어진 무젤로 경계에 위치한 성 하나와 9개의 코무네(commune)가 포함되어 있었다.13세기 초, 바르디 가문은 피렌체에서 점차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215년, 가문 구성원들은 향후 분쟁에 대비하여 충성을 맹세했으며, 같은 해 부온델몬테 데' 부온델몬티 가문, 즉 겔프 파벌을 지지하기로 결정했다. 가문의 일원인 구알테로토 데' 바르디는 제5차 십자군에 참전할 것을 서약했다. 그는 1219년 십자군의 다미에타 점령에 기여했으며, 그 공로로 라틴 아크레 교구의 주교로 임명되었다.[1][2]
바르디 가문은 13세기 중후반 피렌체를 둘러싼 겔프파와 기벨린파 간의 갈등에도 깊이 관여했다. 1260년 몬타페르티 전투에서 제리 디 리코 데' 바르디는 겔프파의 기치 아래 싸웠으나, 기벨린파가 승리하면서 추방당했다. 이후 1289년 캄팔디노 전투에서는 제리의 조카인 시노가 단테 알리기에리와 함께 겔프파로 참전하여 승리를 거두었다.[1][2]
1290년대에 바르디 가문은 페루치 가문과 함께 영국에 지점을 설립하며 금융업으로 활동 영역을 넓히기 시작했다.
2. 2. 전성기 (14세기)
1290년대에 바르디 가문과 페루치 가문은 잉글랜드에 지점을 설립했으며, 14세기에 들어 금융 서비스를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하여 1320년대까지 유럽의 주요 은행가로 부상했다. 이 두 가문은 상인들에게 오늘날의 수표와 유사한 환어음을 제공하여 무역을 촉진했는데, 이를 통해 한 도시의 채무자가 지불한 돈을 다른 도시에서 청구서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채권자에게 지불할 수 있었다.1338년까지 피렌체에는 80개 이상의 은행이 운영될 정도로 금융업이 발달했다. 바르디 가문은 피렌체 본점 외에도 바르셀로나, 세비야 및 마요르카, 파리, 아비뇽, 니스 및 마르세유, 런던, 브뤼헤, 콘스탄티노플, 로도스, 키프로스 및 예루살렘 등 유럽과 지중해 주요 도시에 13개의 지점을 운영하며 국제적인 금융망을 구축했다. 유럽의 강력한 통치자들 중 일부는 바르디 가문에 빚을 지고 있었으며, 이는 후에 은행 몰락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340년대 초 백년 전쟁이 발발하자,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와의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페루치 가문에서 60만 플로린, 바르디 가문에서 90만 플로린이라는 거액을 빌렸다.[4] 그러나 1345년 에드워드 3세가 채무 불이행을 선언하면서, 막대한 대출금을 회수하지 못한 바르디와 페루치 두 가문의 은행은 결국 파산하고 말았다.[3] 조반니 빌라니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을 파산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지목했지만[3], 이 시기에는 부오나콜르시 가문과 아차이올리 가문 등 다른 주요 은행들도 연이어 파산했다. 이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이 피렌체 금융 위기의 결정적인 요인이었지만, 당시 피렌체가 겪고 있던 복합적인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발생했음을 시사한다.
은행업 외에도 바르디 가문은 예술과 종교 활동의 중요한 후원자였다. 특히 프란치스코회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1317년에 성인으로 시성된 루이 드 툴루즈 주교와도 가까웠다. 리돌포 데 바르디는 1310년경 아버지가 사망하며 막대한 유산을 물려받고 가문의 사업을 책임지게 되자,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성당에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게 헌정된 바르디 예배당을 건립했다. 이 외에도 성 로렌스와 순교자, 성 실베스터와 고해자에게 헌정된 다른 예배당들도 후원했다.
2. 3. 쇠퇴와 몰락 (14세기 중반~15세기)
1340년대 초 백년 전쟁 기간 동안 영국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와의 전쟁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바르디 가문과 페루치 가문으로부터 막대한 자금을 빌렸다. 당시 피렌체의 작가 조반니 빌라니에 따르면, 에드워드 3세는 바르디 가문으로부터 90만 플로린 금화, 페루치 가문으로부터 60만 플로린 금화를 빌렸다[4]. 1345년, 에드워드 3세가 이 채무에 대한 상환을 불이행하면서[3] 바르디사와 페루치사 두 은행 가문 모두 파산에 이르게 되었다. 바르디사(Compagnia dei Bardi)는 1344년에 파산한 것으로 기록된다.그러나 에드워드 3세가 빚 전체를 불이행한 것은 아니었으며, 일부는 현금으로, 나머지는 당시 잉글랜드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양모에 대한 보조금 형태로 지불하기도 했다. 또한, 같은 시기에 에드워드 3세에게 대출을 해주지 않았던 아차이올리 가문의 은행 역시 파산했는데, 이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이 피렌체 금융 위기의 주요 원인이기는 했으나 유일한 원인은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이 은행 파산 사태는 바르디 가문의 경제적 기반을 크게 약화시켰고, 피렌체 내에서의 정치적 영향력 또한 상당히 축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은행업에서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바르디 가문은 귀족 지위를 유지하며 이탈리아의 주요 상인 가문 중 하나로 명맥을 이어갔다. 15세기에 들어서면서 가문은 메디치 가문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영향력 회복을 모색했다. 1415년경 콘테시나 데' 바르디와 코시모 데' 메디치의 결혼은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권력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코시모 데' 메디치는 1434년 집권 이후 바르디 가문의 지지에 보답하여 그들의 정치적 권리를 회복시켜 주었으며, 1444년에는 특정 세금 납부를 면제해주기도 했다.
3. 주요 사업
바르디 가문은 중세 후기와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은행업과 국제 무역을 통해 막대한 부와 영향력을 쌓았다. 이 두 분야는 '바르디사'(Compagnia dei Bardiit)를 통해 운영되었으며, 가문의 핵심적인 경제 활동이었다. 이를 통해 바르디 가문은 당대 유럽에서 가장 부유하고 강력한 가문 중 하나로 성장할 수 있었다.
3. 1. 은행업
1290년대에 바르디 가문과 페루치 가문은 영국에 지점을 설립했으며, 1320년대까지 유럽의 주요 은행가로 부상했다. 14세기에 이 두 가문은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막대한 부를 축적했다. 바르디 가문과 페루치 가문은 상인들에게 오늘날의 수표와 유사한 환어음을 제공하여 무역을 촉진했다. 이 시스템은 한 도시의 채무자가 지불한 돈을 다른 도시에서 청구서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채권자에게 지불할 수 있게 하여 거래를 간편하게 만들었다.1338년까지 피렌체에는 80개 이상의 은행이 있었으며, 바르디 가문은 바르셀로나, 세비야 및 마요르카, 파리, 아비뇽, 니스 및 마르세유, 런던, 브뤼헤, 콘스탄티노플, 로도스, 키프로스 및 예루살렘에 13개의 지점을 운영했다. 유럽의 강력한 통치자들 중 일부는 바르디 가문에 빚을 지고 있었는데, 이는 훗날 은행가들이 몰락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1340년대 초 백년 전쟁 동안, 영국의 에드워드 3세는 프랑스와의 전쟁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바르디 가문에서 90만 플로린, 페루치 가문에서 60만 플로린을 빌렸다. 당시 피렌체의 작가 조반니 빌라니에 따르면, 에드워드 3세가 빌린 금액은 바르디 가문 90만 플로린(13만 5000리라), 페루치 가문 60만 플로린(9만 리라)에 달했다[4]. 1344년 혹은 1345년에 에드워드 3세가 채무 상환을 불이행하자, 바르디사와 페루치사 모두 파산하게 되었다.[3] 바르디사(it: Compagnia dei Bardi)는 1344년에 파산했다[3].
빌라니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을 파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지만[3], 이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에드워드 3세는 빚의 일부를 현금으로, 나머지는 당시 잉글랜드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양모에 대한 보조금 형태로 지불하려 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에드워드 3세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았던 아차이올리 가문의 은행을 포함한 다른 피렌체 은행들도 파산했다. 즉,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이 피렌체 금융계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 것은 사실이나, 이것만이 파산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었다.
은행업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바르디 가문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성공적인 상인 중 하나로 남았으며, 귀족 지위로부터 계속 혜택을 받았다.
3. 2. 무역
바르디 가문은 은행업과 더불어 '바르디사'(Compagnia dei Bardiit)라는 무역 회사를 운영하며 국제 무역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290년대 영국에 지점을 설립하는 등 유럽 각지에 활발히 진출하여, 14세기에는 페루치 가문과 함께 유럽의 주요 금융 및 무역 세력으로 성장했다.바르디사는 바르셀로나, 세비야 및 마요르카, 파리, 아비뇽, 니스 및 마르세유, 런던, 브뤼헤, 콘스탄티노플, 로도스, 키프로스 및 예루살렘 등 유럽과 지중해 주요 도시에 13개의 지점을 두고 광범위한 무역망을 구축했다. 이들은 상인들에게 오늘날의 수표와 유사한 환어음을 제공하여 국제 무역을 촉진했다. 이를 통해 한 도시에서 예치된 자금을 다른 도시에서 청구서를 제시하는 것만으로 쉽게 지불할 수 있었다.
특히 잉글랜드와의 거래가 활발했으며, 당시 잉글랜드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양모 무역과도 관련이 깊었다. 그러나 백년 전쟁 중이던 1340년대 초,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3세에게 빌려준 막대한 전쟁 자금이 문제가 되었다. 에드워드 3세는 바르디 가문으로부터 90만 플로린 금화를, 페루치 가문으로부터 60만 플로린 금화를 빌렸으나[4], 1345년 채무 이행을 중단하면서 바르디사와 페루치사 모두 파산에 이르게 되었다.
동시대 피렌체 작가 조반니 빌라니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이 이들 가문의 파산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기록했다[3]. 에드워드 3세가 빚의 일부를 현금과 양모 보조금으로 지불했음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대출금 회수 실패는 바르디 가문에 큰 타격을 주었다. 다만, 에드워드 3세에게 돈을 빌려주지 않았던 아차이올리 가문의 회사도 비슷한 시기에 파산한 것을 보면, 당시 피렌체의 금융 위기는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불이행 외에도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금융 부문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바르디 가문은 성공적인 상인 가문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이후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
4. 문화 예술 후원
바르디 가문은 은행업으로 축적한 부를 바탕으로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후원자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종교 예술 분야에 대한 후원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산드로 보티첼리와 같은 당대 유명 화가에게 작품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 피렌체에 위치한 팔라초 부시니 바르디는 바르디 가문과 관련된 대표적인 건축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활동들은 바르디 가문이 단순한 금융가를 넘어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의 문화 예술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4. 1. 종교 예술 후원
바르디 가문은 은행업 외에도 "수도사들의 위대한 후원자"로 알려져 있다. 1317년에 성인으로 추대된 프란치스코회 주교 루이 드 툴루즈(1274–1297)는 바르디 가문과 매우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 가문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게 헌정된 채플을 구입했으며, 제단 오른쪽에는 루이 드 툴루즈에게 헌정하기 위해 새롭고 더 큰 예배당을 건립했다.성 프란치스코에게 헌정된 바르디 채플은 리돌포 데 바르디가 1310년경 설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그의 아버지가 사망한 후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고 바르디 회사를 경영하게 된 시점과 일치한다. 이 외에도 성 로렌스와 순교자, 성 실베스터와 고해자에게 헌정된 다른 바르디 채플들도 존재했다.
바르디 제단화로 알려진 두 개의 중요한 그림이 전해진다. 하나는 산드로 보티첼리가 1484년에서 1485년 사이에 그린 작품으로 현재 독일 베를린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파르미자니노가 그린 작품이다. 다만 파르미자니노의 그림은 바르디 가문이 아닌, 해당 지역 마을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4. 2. 회화 작품
바르디 제단화라는 이름의 중요한 그림 두 점이 있다.하나는 산드로 보티첼리가 1484년에서 1485년 사이에 그린 작품으로, 현재 독일 베를린에 소장되어 있다. 이 제단화는 본래 바르디 가문의 예배당을 위해 제작되었으며,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 세례자 요한, 복음사가 요한을 묘사하고 있다.
다른 하나는 파르미자니노가 그린 '바르디 제단화'이다. 이 작품의 이름은 바르디 가문이 아닌, 그림이 그려진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5. 주요 인물
바르디 가문에서는 여러 중요한 인물들이 배출되었다. 13세기 초, 캐논이었던 구알테로토 데' 바르디는 제5차 십자군에 참여하여 1219년 다미에타 점령에 기여했으며, 이후 라틴 아크레 교구의 주교가 되었다. 같은 시기, 바르디 가문은 부온델몬테 데' 부온델몬티 가문을 지지하며 겔프 파벌에 속하게 되었다.
1260년 몬타페르티 전투에서는 제리 디 리코 데' 바르디가 겔프파로 참전했으나, 기벨린파가 승리하면서 추방당했다. 그의 조카 시노는 1289년 캄팔디노 전투에서 단테 알리기에리와 함께 싸워 겔프파의 승리에 기여했다.[1][2]
14세기 초에는 리돌포 데 바르디가 가문의 재력을 바탕으로 종교 예술 후원에 힘썼다. 그는 아버지로부터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고 바르디 은행을 맡은 후, 1310년경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게 헌정된 바르디 채플을 피렌체의 산타 크로체 성당 내에 설립했다. 또한 가문과 가까웠던 프란치스코회 주교이자 1317년에 성인으로 시성된 루이 드 툴루즈에게 헌정된 예배당도 지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인물 중 한 명은 콘테시나 데' 바르디이다. 그녀는 1415년경 코시모 데' 메디치와 결혼했는데, 이는 당시 강력한 금융 가문이었던 바르디 가문과 신흥 강자였던 메디치 가문의 결합을 의미했다. 이 결혼은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정치적 기반을 다지고 권력을 장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코시모 데 메디치는 1434년 집권 후 바르디 가문의 지지에 보답하여 그들의 정치적 권리를 회복시켜 주었고, 1444년에는 특정 세금 납부를 면제해주기도 했다. 콘테시나의 역할은 메디치 가문의 부상뿐 아니라, 당시 여성이 정치 및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로도 중요하다.
이 외에도 바르디 가문의 많은 구성원들이 십자군에 참여하거나 교황에게 파견되는 대사와 같은 중요한 직책을 맡았으며, 일부는 기사 작위를 받기도 했다.
6. 비판적 관점
바르디 가문이 운영했던 바르디사(Compagnia dei Bardi)는 1344년에 파산했는데, 이는 당시 피렌체를 중심으로 한 금융 시스템에 상당한 혼란을 야기했다. 동시대 피렌체 작가 조반니 빌라니는 이러한 파산의 주요 원인으로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3세에게 빌려준 막대한 전쟁 자금에 대한 지급 거부를 지적했다.[3] 빌라니의 기록에 따르면, 에드워드 3세는 바르디 가문과 페루치 가문으로부터 거액의 자금을 빌렸다.[4]
대출 가문 | 대출 금액 (플로린 금화) |
---|---|
바르디 가문 | 900,000 |
페루치 가문 | 600,000 |
에드워드 3세는 빌린 금액 전액에 대해 채무 불이행을 선언한 것은 아니었다. 일부는 현금으로 상환했고, 나머지는 당시 잉글랜드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양모 관련 권리나 보조금 등으로 변제하려 시도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출금 회수에 실패하면서 바르디사와 페루치 가문은 결국 파산에 이르렀다. 이 여파는 다른 금융 가문에도 미쳐, 빌라니의 형제가 속한 부오나콜르시 가문 역시 파산했으며, 심지어 에드워드 3세에게 직접 돈을 빌려주지 않았던 아차이올리 가문의 회사마저 파산하는 등 연쇄적인 금융 위기로 번졌다.
따라서 에드워드 3세의 채무 문제가 피렌체 금융 위기의 유일한 원인은 아니었을지라도, 당시 가장 큰 규모의 금융 회사였던 바르디사의 파산을 촉발하고 연쇄적인 경제 혼란을 야기한 핵심 요인 중 하나였다는 점에서 비판적인 평가를 받는다. 특히 국왕이라는 권력자의 채무 불이행이 경제 시스템 전체에 큰 부담을 지웠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참조
[1]
서적
Marietta de' Ricci, ovvero Firenze al tempo dell'assedio racconto storico di Agostino Ademollo: Vol 3
https://books.google[...]
Stabilimento Chiari
1845
[2]
서적
Florentine Palaces and Their Stories
https://www.gutenber[...]
J. M. DENT & CO.
[3]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4]
문서
1340 conversion rate used of a florin to 3s
[5]
문서
Banking in the Middle Ages
[6]
웹사이트
History of Banking
www.historyworld.net
[7]
웹사이트
History of Banking
www.historyworld.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