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목은 가축을 자연 상태에서 풀을 뜯어 먹도록 하는 방식으로, 농업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세계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방목은 가축에게 사료 비용 절감, 근골격 강화, 수태율 향상 등의 이점을 제공하며, 다양한 시스템과 관리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과방목은 토지 품질 저하, 생물 다양성 감소, 사막화 등의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에도 영향을 미친다. 지속 가능한 방목을 위해서는 적절한 관리와 환경적 고려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지 이용 - 주택지
주택지는 주거 목적으로 토지를 구획하여 주택을 건설하는 부동산 개발 형태로, 19세기 후반 시작되어 2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에서 급증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주거 공간과 교통 진정 기능을 포함하는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 토지 이용 - 자연보전지역
자연보전지역은 생물 다양성 보전, 생태계 유지,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지정된 지역으로,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대한민국은 관련 법률에 따라 국립공원, 생태·경관 보전 지역, 람사르 습지 등을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지만, 관리 및 운영에 있어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초식성 - 고릴라
고릴라는 아프리카 중서부 및 중동부의 열대 우림과 산악 지대에 서식하며 서부고릴라와 동부고릴라 두 종으로 나뉘는 대형 유인원으로,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네발로 이동하며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가지고 다양한 소리와 행동으로 의사소통하는 온순하고 섬세한 성격을 지닌 동물이다. - 초식성 - 양
양은 기원전 1만 년 전후 메소포타미아에서 가축화되어 고기 생산을 시작으로 젖, 가죽, 양모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전 세계로 퍼져나간 200종 이상의 품종으로 개량된 작은 반추동물이다. - 동물행동학 - 보호색
보호색은 생물이 주변 환경과 유사한 색, 무늬, 형태 등으로 자신을 숨기는 위장 전략으로, 시각적 위장뿐 아니라 후각, 청각적 위장도 포함하며 포식자-피식자 간 공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동물행동학 - 여름잠
여름잠은 동물이 덥고 건조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신진대사율을 감소시키고 에너지와 수분을 보존하는 휴면 상태로, 달팽이, 곤충, 양서류, 파충류, 포유류 등 다양한 동물에게서 나타난다.
방목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정의 | 가축을 목초지에서 풀을 먹이는 것 |
설명 | 가축에게 사료를 주는 한 가지 방법 |
특징 | |
다른 사육 방식 | 방목은 집중식 축산과 대조됨 |
주요 목적 | 가축을 위한 먹이 조달 |
생태학적 영향 | |
다층적 영향 | 생물 다양성에 다층적인 영향을 미침 |
생물 다양성 감소 | 과도한 방목은 생물 다양성 손실을 유발할 수 있음 |
생태계 안정성 | 생물 다양성 감소는 생태계 안정성을 저해할 수 있음 |
관련 용어 | |
먹이 섭취 방식 | 뜯어먹기 (grazing)는 풀을 먹는 행위 |
잎 섭취 방식 | 잎을 뜯어먹기 (browsing)는 나뭇잎이나 가지를 먹는 행위 |
추가 정보 | |
참고 자료 | 미국 생물다양성 센터 - 방목 |
관련 주제 | 가축 |
2. 역사
농업의 역사 초기에 양, 염소, 소, 돼지 등이 가축화되었다. 양과 염소는 유목민에게 적합했고, 소와 돼지는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시작한 기원전 7000년경에 가축화되었다.[5]
미국에서는 미국 남북 전쟁 이후부터 가축이 국유지에서 방목되었다. 1934년 테일러 방목법은 대공황 이후 방목 목적으로 공유지를 이용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6]
2. 1. 한국의 방목 역사
농업의 역사 초기에 양, 염소, 소, 돼지 등이 가축화되었다. 양이 가장 먼저 가축화되었고, 그 뒤를 이어 염소가 가축화되었다. 이 두 종은 모두 유목민에게 적합했다. 소와 돼지는 사람들이 정착 생활을 시작한 기원전 7000년경에 약간 늦게 가축화되었다.[5]3. 생산
유엔 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초지의 약 60%(세계 이용 가능 표면적의 절반 미만)가 방목 시스템으로 덮여 있다. 이 보고서는 방목 시스템이 세계 쇠고기 생산량의 약 9%와 세계 양고기 및 염소고기 생산량의 약 30%를 공급한다고 명시한다. 건조 지역의 약 1억 명과 다른 지역의 비슷한 수의 사람들에게 방목 가축은 생계의 유일한 가능한 원천이다.[7]
방목은 사료 비용 절감, 사양 관리 노력 절감, 가축의 골격·근육·소화기 강화, 수태율 향상 등의 효과가 있다.[49] 경작 포기지 해소나 짐승 피해 방지 목적으로 실시되기도 한다.[49]
3. 1. 관리
방목 관리의 두 가지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과방목으로 인한 목초지 품질 저하 방지: 다시 말해 목초지의 지속가능성 유지
# 급성 위협으로부터 가축의 건강 보호
#* 사초병 및 질산염 중독#* 미량 원소 과다 복용 (예: 몰리브덴 및 셀레늄 중독)
#* 말의 초병 및 제엽염#* 송아지의 유병적절한 토지 이용 및 방목 관리 기법은 사료 및 가축 생산 유지와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 유지를 균형 있게 유지한다.[8] 이는 충분한 재생 기간을 허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생산자는 과방목을 하지 않도록 목초지의 밀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토지의 통제된 소각은 식물의 재생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방목은 생태계에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잘 관리된 방목 기법은 피해를 되돌리고 토지를 개선할 수 있다.

잉글랜드와 웨일스의 공유지에서는 각 공유자의 목초지(초지 방목) 및 돼지 먹이(숲 방목) 권리는 가축의 수와 종류, 그리고 특정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시기에 따라 엄격하게 정의된다. 예를 들어, 특정 오두막의 거주자는 15마리의 소, 4마리의 말, 조랑말 또는 당나귀, 그리고 50마리의 거위를 방목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질 수 있지만, 이웃의 허용되는 수는 다를 것이다. 일부 공유지(예: 뉴포레스트 및 인접한 공유지)에서는 수량에 제한이 없으며, 대신 매년 '방목료'를 지불한다. 그러나 공유지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경우(예: 과방목), 공유지는 '제한'된다. 즉, 각 공유자가 방목할 수 있는 가축 수에 제한이 설정된다. 이러한 규정은 인구 통계 및 경제적 압력에 대한 대응이었다. 따라서 공유지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접근이 더욱 제한되었다.

방목의 목적에는 사료비용 절감, 사양관리 노력 절감, 가축의 골격·근육·소화기 강화, 수태율 향상 등이 있다.[49] 경작 포기지 해소나 짐승 피해 방지 목적으로 실시되기도 한다.[49]
4. 시스템
목장주와 목초지 과학 연구자들은 가축을 위한 지속 가능한 사료 생산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목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이는 사료 공급장에서의 집약적 축산과 대조된다.
- 위탁 방목: 개별 농가가 아닌 공동 목장에 위탁하여 실시하는 방목이다.[49]
- 산림 방목(Silvopasture): 산림 경영의 일환으로 어린 나무의 산림 하층 식생 제거를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방목이다. 가축의 배설물이 비료가 되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주로 평탄한 산림이 많은 유럽의 산림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일본에서도 경사지 포함 산림 내에서 소 방목을 시도하는 농가도 있다.[50]
- 평사 사육: 양돈이나 양계에서 가축을 관리하에 두면서 방목하는 것을 말한다. 가축사 내 또는 야외에서 가축이 바닥면(지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육하는 방법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령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가축의 발육 및 건강 상태 개선, 육질 향상 등의 장점이 있지만, 저밀도 사육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시장에서 고가가 되는 단점도 있다.
- 주야 방목: 소를 낮과 밤 모두 방목지에 내보내 풀을 먹게 하는 것(채식)이다. 착유우(젖소 중 젖을 짜는 소)는 착유 시에는 축사로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 사료(곡류나 저장 조사료)를 급여한다.
4. 1. 연속 방목
연속 방목은 가축이 일 년 내내 같은 방목지에 접근할 수 있는 방목 방식이다.
4. 2. 계절별 방목
계절별 방목은 특정 지역에 가축을 1년 중 일부 기간만 방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방목되지 않는 토지는 휴식을 취하고 새로운 사료가 자랄 수 있다.- 위탁 방목: 개별 농가가 아닌 공동 목장에 위탁하여 실시하는 방목[49]
- 산림 방목(Silvopasture): 산림 경영의 일환으로 어린 나무의 산림 하층 식생 제거를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방목. 가축의 배설물이 비료가 되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주로 평탄한 산림이 많은 유럽의 산림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일본에서도 경사지 포함 산림 내에서 소 방목을 시도하는 농가도 있다.[50]
- 평사 사육: 양돈이나 양계에서 가축을 관리하에 두면서 방목하는 것을 말한다. 가축사 내 또는 야외에서 가축이 바닥면(지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육하는 방법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법령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가축의 발육 및 건강 상태 개선, 육질 향상 등의 장점이 있지만, 저밀도 사육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시장에서 고가가 되는 단점도 있다.
- 주야 방목: 소를 낮과 밤 모두 방목지에 내보내 풀을 먹게 하는 것(채식). 착유우(젖소 중 젖을 짜는 소)는 착유 시에는 축사로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 사료(곡류나 저장 조사료)를 급여한다.
4. 3. 윤환 방목 (회전 방목)
회전 방목은 목초지를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방목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각 구역을 방목하는 것을 말한다. 회전 방목을 활용하면 새로운 사료를 위한 휴식 기간을 포함하여 가축 분포를 개선할 수 있다.
4. 4. 휴경 농업 (Ley farming)
휴경 농업(Ley farming)은 목초지를 영구적으로 심지 않고 사료 작물과 경작 작물을 번갈아 심는 방식이다.4. 5. 휴식 윤환 방목
휴식 순환 방목은 목초지를 최소한 네 개의 구역으로 나눈다. 하나의 구역은 일 년 내내 휴식을 취하고, 나머지 구역들은 순환 방목된다. 이 방목 시스템은 휴식과 재생이 필요한 민감한 풀을 사용할 때 특히 유익할 수 있다.4. 6. 지연 윤환 방목
지연 순환 방목은 "종자 결실 후까지 방목하지 않는 목초지가 하나 이상 포함된, 최소 두 개 이상의 목초지를 이용하는 방식"을 말한다. 지연 순환 방목을 이용하면, 방목이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 동안 풀이 최대 성장을 이룰 수 있다.4. 7. 패치-번 방목 (Patch-burn grazing)
패치-번 방목(Patch-burn grazing)은 목장 크기에 관계없이 매년 목초지의 3분의 1을 태우는 방식이다. 불에 탄 구역은 새로 자란 신선한 풀 때문에 가축(소 또는 들소)을 끌어들여 집중적으로 방목하게 된다. 나머지 구역은 거의 방목되지 않는다. 다음 2년 동안 나머지 두 구역을 연속적으로 태운 후, 다시 순환이 시작된다. 각 구역은 집중적인 방목으로부터 2년간의 휴식과 회복 기간을 갖게 된다. 이 기법은 다양한 초원 식물과 조류가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서식지를 만들어낸다.이는 들소와 불 사이의 역사적 관계, 즉 들소가 한 지역을 집중적으로 방목하고 다른 지역은 휴식을 취할 기회를 갖는 관계를 모방한 것으로, 화식 초식동물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오클라호마 북동부의 탈그래스 프레리 보존지역(Tallgrass Prairie Preserve)에서는 10년 이상 들소 떼를 이용하여 패치-번 방목을 실시해 왔다. 이러한 노력은 30000acre에 달하는 광대한 지역에서 들소와 불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복원했다. 히스랜드가 방목되는 데번(Devon)에서는 주기적인 불태우기를 스웨일링(swailing)이라고 한다.
4. 8. 하천변 지역 관리
하천변 지역 방목은 야생 동물과 서식지를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울타리를 이용하여 야생 동물이나 수조류의 활동 기간 이후까지 가축이 하천이나 수역 근처의 목초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방목 기간을 짧게 제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4. 9. 보전 방목 (Conservation grazing)

보전 방목은 초식 동물을 이용하여 지역의 생물 다양성을 개선하는 방법이다. 강인한 성격 때문에, 희귀하고 토착 품종이 보전 방목에 자주 사용된다. 영국 롱혼이나 하이랜드 소와 같은 소가 전통적인 건초 초지를 복원하기 위해 방목에 이용되기도 한다.
4. 10. 셀 방목 (Cell grazing)
셀 방목은 다수의 작은 목장으로 이루어진 회전 방목의 한 형태로, 더 지속 가능하다고 여겨진다.4. 11. 몹 방목 (Mob grazing)
몹 방목(Mob grazing)은 2002년에 발명된, 지속 가능성이 더 높다고 여겨지는 시스템으로, 평소보다 오랫동안 휴경된 토지에 매우 큰 가축 떼를 방목하는 방식이다.4. 12. 산림 방목 (Silvopasture)
산림 경영의 일환으로 어린 나무의 산림 하층 식생 제거를 줄이기 위해 실시하는 방목이다.[50] 가축의 배설물이 비료가 되므로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주로 평탄한 산림이 많은 유럽의 산림에서 행해지고 있지만, 일본에서도 경사지를 포함한 산림 내에서 소 방목을 시도하는 농가도 있다.[50]4. 13. 평사 사육
평사 사육은 양돈이나 양계에서 가축을 관리하면서 방목하는 것을 말한다. 가축사 내 또는 야외에서 가축이 바닥면(지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사육하는 방법이다. 가축의 발육 및 건강 상태 개선, 육질 향상 등의 장점이 있지만, 저밀도 사육으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고 시장에서 고가가 되는 단점도 있다.4. 14. 주야 방목
주야 방목은 소를 낮과 밤 모두 방목지에 내보내 풀을 먹게 하는 것(채식)이다. 착유우(젖을 짜는 소)는 착유 시에는 축사로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보조 사료(곡류나 저장 조사료)를 급여한다.5. 경주마의 방목
경주마의 방목은 경주마를 목장으로 보내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엄밀히 말하면 목장 부지 내에서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므로 본래의 방목이라는 의미와는 다르다. 방목은 주로 경주마가 부상을 입었을 때 실시된다. 또한, 일류 경주마의 경우 혹한기나 겨울철에 경주 출전을 피하고 재충전을 위해 방목되는 경우가 많다. 경주 사이에 경주마를 마방 근처 목장에 단기간 방목하는 경우(단기 방목)도 볼 수 있다.[1]
5. 1. 방목에 의한 휴양
경주마를 목장으로 보내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엄밀히 말해 목장 부지 내에서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므로 본래의 방목이라는 의미와는 다르다.대부분의 경우, 방목은 경주마가 부상을 입었을 때 실시된다. 또한, 일류 경주마의 경우 혹한기·혹심한 겨울철에 경주 출전을 피하고, 재충전 휴식을 위해 방목되는 경우가 많다.
경주와 경주 사이에 경주마를 관리하는 마방 근처의 목장에 단기간 방목하는 경우(단기 방목)도 많이 볼 수 있다.
5. 2. 주야 방목
경주마로 생산된 어린 말을 야간에 야외에서 사육하여 단련하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오후에 실내에서 사료를 준 후, 다음날 아침까지 야외에 방목한다.[1]6. 방목 시설
방목은 목책 등으로 둘러싸인 방목지에서 이루어진다.[51] 방목지에는 휴경지 등도 사용된다.[51]
방목지에서 동물이 물을 마시기 위한 급수 시설이 필요하다.[51]
방목지에 나무 그늘이 부족할 경우 동물이 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그늘 시설을 설치한다.[51]
방목지에서 동물의 염분 보충을 위해 광염이나 정제염을 두는 광염대가 필요하다.[51]
해충 방제 등의 경우 방목 중인 동물을 잡기 위한 포획 시설(스탠션 등)이 필요하다.[51]
7. 환경적 고려 사항
방목은 환경에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친다.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과방목, 토양 침식 증가, 다짐 및 토양 퇴화, 산림 벌채, 생물 다양성 감소,[7] 유출수로 인한 수질 악화 등이 있다.
반면, 방목은 영양분 재분배를 통한 토양 개선, 짓밟힘을 통한 토양 통기, 생물량 제거, 관목 성장 조절, 종자 분산을 통한 화재 제어 및 생물 다양성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7] 특히 일부 서식지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방목이 과방목, 방목 부족 등으로 교란된 목초지에서 토종 풀과 초본의 다양성을 복원하거나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초식 동물의 오줌과 배설물은 질소, 인, 칼륨 등 식물 영양소를 토양으로 되돌려주며, 낙엽(유기물) 축적을 조절하여 토양 침식을 방지하고 토양 내 곤충과 유기체의 영양분 역할을 하여 탄소 격리와 물 여과에 도움을 준다. 풀이 방목되면 죽은 풀과 낙엽이 줄어들어 물새와 같은 조류에게 유리하며, 브롬이나 블루그래스와 같이 동일한 풀들이 많이 자라 단일 경작이 발생하는 것을 막아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에 따르면, 방목은 지구 육지 표면의 26%를 차지하며, 가축을 위한 방목지 확장은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 삼림 벌채의 주요 원인이다. 아마존 분지에서만 이전에 숲이었던 토지의 약 70%가 목초지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남서부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서는 가축 방목으로 인해 강이나 개울에 인접한 습지 환경인 하천변 지역이 심각하게 훼손되었고,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농업이 다른 모든 비점오염원보다 하천 오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37] 1990년, 애리조나 주립 공원 관리국에 따르면,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원래 하천변 지역의 90% 이상이 사라졌으며,[40] 1988년 미국 정부 감찰원(GAO) 보고서에 따르면, 콜로라도주 국토관리국(BLM)이 관리하는 5,300마일의 하천 서식지의 90%가 불량한 상태였으며, 아이다호주의 하천변 지역의 80%도 마찬가지였다.[40]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가축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41][42] 뉴질랜드에서 방목은 흔하며, 2004년 농업으로 인한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뉴질랜드 온실가스 배출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다.[43] 동물과학 저널 (Journal of Animal Science)의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방목 소가 곡물 사료 소보다 훨씬 더 많은 메탄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46][47]
한편, 방목용 농업광전지는 동물과 식생에 그늘을 제공하여 토양의 수분 함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48]
7. 1. 생태
방목은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는데,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방목의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과방목, 토양 침식 증가, 다짐 및 토양 퇴화, 산림 벌채, 생물 다양성 감소,[7] 유출수로 인한 수질 악화 등이 있다. 반면, 방목은 영양분 재분배를 통한 토양 개선, 짓밟힘을 통한 토양 통기, 생물량 제거, 관목 성장 조절, 종자 분산을 통한 화재 제어 및 생물 다양성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7]일부 서식지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방목이 과방목, 방목 부족(야생 초식 동물 제거 등), 기타 인간의 간섭으로 교란된 목초지에서 토종 풀과 초본의 다양성을 복원하거나 유지하는 데 효과적일 수 있다. 보전 방목은 이러한 서식지를 관리하기 위해 초식 동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종종 국내 가축의 야생 친척이나 현재 없거나 멸종된 다른 종의 생태적 영향을 재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초식 동물의 오줌과 배설물은 질소, 인, 칼륨 등 식물 영양소를 토양으로 되돌려준다. 방목은 일부 계절과 지역에서 낙엽(유기물) 축적을 줄일 수 있지만, 토양 침식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낙엽 축적을 증가시키기도 한다. 이는 토양 내 곤충과 유기체의 영양분 역할을 하며, 이들은 탄소 격리와 물 여과에 도움을 준다.
풀이 방목되면 죽은 풀과 낙엽이 줄어들어 물새와 같은 조류에게 유리하다. 방목은 생물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데, 방목이 없다면 브롬이나 블루그래스와 같이 동일한 풀들이 많이 자라 단일 경작이 발생한다. 북미 큰기장초원의 생태계는 질소 이용 가능성에 크게 좌우되며, 이는 불과 대형 초식 동물의 방목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조절된다. 봄철 화재는 특정 풀의 성장을 촉진하고, 초식 동물은 이러한 풀들을 선호하여 균형 시스템을 만들고 더 높은 식물 다양성을 허용한다. 유럽에서는 황야가 소, 양 또는 기타 초식 동물의 방목을 통해 유지되는 문화 경관이다. 건조대 주변 등에서 삼림(식생)의 회복 능력을 넘어서는 과방목이 이루어지면 사막화가 진행될 수 있다.[52]
7. 2. 보전
유엔식량농업기구(FAO) 보고서 『가축의 긴 그림자』(Livestock's Long Shadow)에 따르면, 방목은 지구 육지 표면의 26%를 차지하며, 사료 작물 생산에는 경작 가능한 토지의 약 3분의 1이 필요하다. 가축을 위한 방목지 확장은 특히 라틴 아메리카에서 삼림 벌채의 주요 원인이며, 아마존 분지에서만 이전에 숲이었던 토지의 약 70%가 목초지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사료 작물이 차지하고 있다.많은 방목지는 숲이나 습지와 같은 다른 서식지를 개간하거나 배수하는 과정을 통해 조성되었다.
생물다양성센터는 미국 남서부의 건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대규모 방목이 지역 생물 다양성에 많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말한다.[36] 소는 토종 식물을 파괴하고, 토양과 개울 제방을 손상시키며, 배설물로 수로를 오염시킨다. 수십 년 동안 가축 방목이 이루어진 후, 한때 무성했던 개울과 하천변 숲은 평평하고 건조한 황무지로 변했다. 한때 풍부했던 표토는 먼지로 변하여 토양 침식, 하천 퇴적 및 일부 수생 서식지의 전면적인 제거를 초래했다.
미국 남서부와 같은 건조한 기후에서는 가축 방목으로 인해 강이나 개울에 인접한 습지 환경인 하천변 지역이 심각하게 훼손되었다.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은 농업이 다른 모든 비점오염원보다 하천 오염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으며, 하천변 지역의 부적절한 방목은 하천변 지역의 비점오염에 기여할 수 있다.[37] 건조 및 반건조 환경의 하천변 지역은 생물다양성 핫스팟으로 불려왔다.[38] 1990년, 애리조나 주립 공원 관리국에 따르면, 애리조나와 뉴멕시코의 원래 하천변 지역의 90% 이상이 사라졌다.[40] 1988년 미국 정부 감찰원(Government Accountability Office) 보고서에 따르면, 콜로라도주 국토관리국(Bureau of Land Management)이 관리하는 5,300마일의 하천 서식지의 90%가 불량한 상태였으며, 아이다호주의 하천변 지역의 80%도 마찬가지였고, "잘못 관리된 가축 방목이 연방 목초지의 훼손된 하천 서식지의 주요 원인"이라고 결론지었다.[40]
2013년 FAO 보고서는 가축이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고 추산했다.[41][42] 뉴질랜드에서 방목은 흔하며, 2004년 농업으로 인한 메탄과 아산화질소는 뉴질랜드 온실가스 배출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으며, 그 대부분은 가축 때문이었다.[43] 2008년 미국 환경보호청(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의 배출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미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6%가 농업 때문이었다.[44] 방목 가축과 사육 가축의 메탄 배출량을 비교한 연구에 따르면, 방목 소가 곡물 사료 소보다 훨씬 더 많은 메탄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5][46][47] 『동물과학 저널』(Journal of Animal Science)의 한 연구에서는 4배나 많은 메탄을 배출한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러한 측정 결과는 저품질 고섬유질 사료를 섭취하는 소가 고곡물 사료를 섭취하는 소보다 CH4 생산량이 더 높다는 것을 명확하게 보여줍니다"라고 밝혔다.[45]
건조대 주변 등에서 삼림(식생)의 회복 능력을 넘어서는 과방목이 이루어지면 사막화가 진행될 수 있다.[52]
7. 3. 온실가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2013년 보고서에 따르면 가축은 인위적 온실가스 배출량의 14.5%를 차지한다.[41][42] 2004년 뉴질랜드의 농업으로 인한 메탄과 아산화질소 배출량은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거의 절반을 차지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가축 때문이었다.[43] 2008년 미국 환경보호청(EPA)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미국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6%가 농업 때문이었다.[44]동물과학 저널』(Journal of Animal Science)의 연구를 포함한 여러 연구에서 방목 소가 곡물 사료 소보다 훨씬 더 많은 메탄을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물과학 저널』의 연구에서는 방목 소가 4배나 많은 메탄을 배출하며, "저품질 고섬유질 사료를 섭취하는 소가 고곡물 사료를 섭취하는 소보다 CH4 생산량이 더 높다"고 밝혔다.[45][46][47]
7. 4. 농업광전지 (Agrivoltaics)
방목용 농업광전지는 동물과 식생에 그늘을 제공하여 토양의 수분 함량을 높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48]
8. 문제점
건조대 주변 등에서 삼림(식생)의 회복 능력을 넘어서는 과방목이 이루어지면 사막화가 진행될 수 있다.[52]
9. 한국의 방목 정책 및 현황
(이전 출력 결과가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전과 동일하게 빈 내용을 출력합니다.)
```text
참조
[1]
논문
The effects of livestock grazing on biodiversity are multi-trophic: A meta-analysis
[2]
웹사이트
Grazing
https://www.biologic[...]
[3]
논문
Grazing-induced biodiversity loss impairs grassland ecosystem stability at multiple scales
2021
[4]
서적
The Ecological and Societal Consequences of Biodiversity Loss
Wiley
2022-02-16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DOMESTICATION OF ANIMALS
http://www.historywo[...]
2019-09-26
[6]
웹사이트
History of Public Land Livestock Grazing
http://www.nv.blm.go[...]
2008-12-01
[7]
서적
Livestock & the Environment: Finding a Balance
http://www.fao.org/d[...]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under auspices of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997
[8]
보고서
[36]
웹사이트
Grazing
http://www.biologica[...]
[37]
웹사이트
Negative Effects of Livestock Grazing Riparian Areas
http://ohioline.osu.[...]
Ohio State University School of Environment and Natural Resources
2015-06-15
[38]
저널
Discouraging Words
1986-09
[39]
웹사이트
Lifeblood of the West
http://www.publiclan[...]
2007-08-08
[40]
저널
The Price is Wrong
1990-09-10
[41]
웹사이트
Tackling climate change through livestock // FAO's Animal Production and Health Division
http://www.fao.org/a[...]
2018-08-16
[42]
보고서
Tackling climate change through livestock – A global assessment of emissions and mitigation opportunities
http://www.fao.org/3[...]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19-10-03
[43]
웹사이트
New Zealand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 Voluntary Greenhouse Gas Reporting Feasibility Study – Summary
http://www.maf.govt.[...]
2018-08-16
[44]
웹사이트
Climate Change
https://www.epa.gov/[...]
2013-08-12
[45]
저널
Direct measurements of methane emissions from grazing and feedlot cattle
http://www.journalof[...]
2014-03-29
[46]
저널
Is the Grass Always Greener? Compa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Conventional, Natural and Grass-Fed Beef Production Systems
2012-04-10
[47]
저널
Comparative life cycle environmental impacts of three beef production strategies in the Upper Midwestern United States
2010-07
[48]
웹사이트
Agri-voltaics - Small Farm Canada
https://www.smallfar[...]
[49]
간행물
特集 大きな牧場の小さな虫たち - 小さな虫たちの大きな悪事 放牧と家畜害虫 -
https://www.naro.go.[...]
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動物衛生研究所
2020-04-29
[50]
간행물
間放牧等による低コスト肉用牛繁殖経営~裏山放牧で「ゆとりある繁殖複合経営」を実現
http://www.nbafa.or.[...]
2017-12-16
[51]
간행물
牛を放牧するための準備
https://www.maff.go.[...]
近畿農政局
2024-10-10
[52]
웹사이트
アフリカの巨大な緑の壁:サハラ砂漠の拡大防止に向けて
https://globalnewsvi[...]
GNV
2017-04-13
[53]
웹인용
방목 :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
2016-04-12
[54]
서적
Concise Oxford Dictionary
[55]
서적
Ecology: theories and applications
https://archive.org/[...]
Prentice Hall
1999
[56]
저널
Current Usage of Symbiosis and Associated Terminology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