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추는 실을 잣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샤프트, 추, 코프로 구성된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전 세계 고고학 유적에서 발견된다. 방추는 섬유를 회전시켜 실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물레가 발명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매달린 방추, 지지된 방추, 잡는 방추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샤프트, 추, 코프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회전 방식과 실의 형태가 달라진다. 방추는 문화적 상징으로도 사용되어, 신화나 종교, 문학 작품에서 운명, 여성성과 관련되어 묘사되기도 한다. 산업 혁명 이후에는 대량 생산에서 밀려났지만, 수공예 방적을 위한 도구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섬유 - 석면
석면은 내열성이 뛰어나 건축 자재 등으로 사용되었으나, 폐암 등을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로, 현재는 사용이 규제되고 있다. - 섬유 - 실
실은 섬유를 꼬아 만든 긴 가닥으로, 다양한 재료와 제조법, 꼬임, 색상으로 분류되며, 섬유 공학 발전과 함께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방추 |
---|
2. 역사
방추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전 세계 각지의 고고학 유적에서 방추차(whorl)가 발견되었다. 이스라엘의 나할 에인 게브 II 유적에서는 12,000년 전 나투피안 문화의 방추차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2][3] 방추가 등장하기 전에는 나무 껍질 등을 양손으로 비벼 꼬거나, 양모나 면 등의 섬유 덩어리에서 가느다란 덩어리를 끌어내어 손가락에 감아 비벼 꼬아 실을 만들었지만, 궨(추)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섬유를 회전시켜 꼬는 방추의 등장으로 실 만들기가 훨씬 쉬워졌다.
고대 이집트의 묘실 벽화에도 방추를 사용하여 실을 잣는 장면이 묘사될 정도로, 방추는 인류의 오래된 도구 중 하나이다. 일본 야요이 시대 유적에서도 토기 등을 사용한 방추차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방추는 물레의 부속품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산업 혁명 이후 제니 방적기, 뮬 방적기, 링 방적기와 같은 방적기가 등장하기 전까지 실을 잣는 주요 도구였다. 오늘날에도 안데스 산맥 지방 등에서는 방추를 사용하여 실을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방추로 만든 실의 질감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2. 1. 한국의 방추 역사
한국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방추를 사용하여 실을 잣는 문화가 있었다. 특히, 삼베, 모시, 명주 등 다양한 섬유를 생산하는 데 방추가 사용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목화가 전래되면서 면직물 생산에도 방추가 활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방적 기술이 더욱 발전하여 다양한 종류의 직물이 생산되었다. 한국의 전통 방추는 주로 나무로 만들어졌으며, 지역에 따라 형태와 크기가 다양하다.3. 종류
방추는 크게 매달린 방추, 지지된 방추, 잡는 방추의 세 가지 기본 범주로 나뉜다.[5][6][7] 지지된 방추와 매달린 방추는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잡지만, 잡는 방추는 전통에 따라 수직, 수평, 또는 각도를 주어 잡을 수 있다.
이 세 가지 주요 범주 외에도, 여러 기법 또는 혼합 기법을 사용하는 전통적인 방적 스타일이 있다.[8] 예를 들어, 아카 방추는 짧은 방추로, 면 섬유를 드래프팅하는 동안 방적공의 손으로 지지되지만, 실을 안정시키기 위해 추가 꼬임을 추가하는 동안 방추를 떨어뜨려 실 위에 놓이게 한다.
방추는 원반(추)의 위치에 따라 상단 추 방추와 하단 추 방추로 나눌 수 있다.
방추는 합사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더 강하고 균형 잡힌 실을 만들기 위해 두 개 이상의 단일 실 가닥을 함께 꼬는 것이다.
방추가 등장하기 전에는 나무 껍질 등을 양손으로 비벼 꼬거나, 양모나 면 등의 섬유 덩어리에서 가느다란 덩어리를 끌어내어 손가락에 감아 비벼 꼬아 실을 만들었다. 하지만 궨(추)의 회전력을 이용하는 방추의 등장으로 실 만들기가 훨씬 쉬워졌다. 방추와 그 파편은 매우 오래된 시대의 유적에서도 출토되었으며 (일본 야요이 시대 유적에서 토기 등을 사용한 방추차가 많이 출토됨), 고대 이집트 묘실 벽화에도 방추로 실을 잣는 장면이 그려지는 등, 인류의 오래된 도구 중 하나이다.
방추는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며, 안데스 산맥 지방 등에서는 사람들이 걷거나 이야기하면서 끊임없이 방추를 돌려 실을 만드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또한, 방추로 꼬아 만든 실의 질감을 선호하는 애호가도 있다.
3. 1. 매달린 방추 (Suspended Spindle)
매달린 방추는 회전이 시작된 후 실에서 흔들리도록 매달려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불린다. 드롭 방추는 매달린 방추의 일반적인 유형으로, 실이 형성되는 동안 방추가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여 감기 전에 더 긴 길이의 실을 뽑을 수 있게 해주는 데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매달린 방추는 또한 방추를 돌리는 동안 방적공이 이동하여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해준다.[8] 그러나 크기/무게에 실용적인 제한이 있다.3. 2. 지지된 방추 (Supported Spindle)
지지된 방추는 회전하는 동안 그 끝이 다리, 땅, 테이블, 또는 작은 그릇 등에 닿아 있는 형태이다. 지지된 방추는 크기가 매우 다양하며, 큰 나바호 방추부터 면을 방적하는 데 사용되는 작고 빠른 금속 탁리까지 여러 종류가 있다.[17]3. 2. 1. 나바호 방추 (Navajo Spindle)
나바호족이 사용하는 큰 방추는 땅에서 허벅지 위쪽까지 닿을 만큼 샤프트가 길다. 방적된 실은 휠 위로 감는다.[18]3. 2. 2. 탁리 (Tahkli)
tahkli|탁리영어는 인도에서 면 등을 잣을 때 사용되는 작은 방추이다.3. 3. 잡는 방추 (Grasped Spindle)
잡는 방추는 손가락이나 손목 움직임을 사용하여 방추를 돌리면서 손에 쥐고 있는 형태이다. 프랑스 방추는 한 손의 손가락 사이에서 "꼬이고", 일부 유형의 루마니아 방추는 주먹으로 쥐고 손목을 돌려 돌린다.[9] 잡는 방추는 손 방추, 손 안의 방추, 꼬인 방추라고도 불리며, 이 범주에 대한 명명법은 합의된 바가 없다.[10]
3. 4. 추의 위치에 따른 분류
추(whorl)의 위치에 따라 상단 추 방추(top whorl spindle)와 하단 추 방추(low whorl spindle)로 나눌 수 있다. 상단 추 방추는 샤프트 상단에 추가 있고, 하단 추 방추는 샤프트 하단 근처에 추가 있다.[10] 상단 추 방추는 방적되는 동안 방추가 매달릴 수 있도록 해주는 고리 아래의 샤프트 상단 근처에 원반이 있다. 새로 방적된 실은 원반 아래에 감겨서 '코프'를 형성한다.[10]4. 구조
방추는 실을 잣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 신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 고고학 유적지에서 방추의 부속품인 방추차(추)가 발견되었으며, 이스라엘 나할 에인 게브 II 유적에서는 12,000년 전 나투피안 문화 시대의 방추차로 추정되는 유물이 발견되기도 했다.[1][2][3]
방추는 물레나 제니 방적기, 뮬 방적기, 링 방적기와 같은 방적 기계에도 사용된다.
손으로 사용하는 방추는 크게 매달린 방추, 지지된 방추, 잡는 방추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5][6][7]
- 매달린 방추: 실에서 흔들리도록 매달려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드롭 방추가 있다. 드롭 방추는 방추가 아래로 떨어지면서 실이 뽑히는 방식이다.
- 지지된 방추: 회전하는 동안 한쪽 끝이 다리, 땅, 테이블, 그릇 등에 놓여 있다. 나바호 방추, 탁리, 오렌부르크 방추 등 다양한 크기가 있다.
- 잡는 방추: 손가락이나 손목 움직임을 사용하여 방추를 돌리면서 손에 쥐고 사용한다. 프랑스 방추나 루마니아 방추 등이 있다.
방추는 실채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실채는 흩어진 섬유를 감아두는 막대이다.
방추는 원반(추)의 위치에 따라 상단 원반, 하단 원반, 중앙 원반 방추로 나눌 수 있다. 상단 원반 방추는 샤프트 상단에 원반이 있고, 새로 잣은 실은 원반 아래에 감겨 코프(cop)를 형성한다.
방추는 합사에도 사용될 수 있는데, 합사는 두 개 이상의 실 가닥을 꼬아 더 강하고 균형 잡힌 실을 만드는 것이다.
방추가 등장하기 전에는 나무 껍질 등을 양손으로 비벼 꼬거나, 양모나 면 등의 섬유 덩어리에서 가느다란 덩어리를 끌어내어 손가락에 감아 비벼 꼬아 실을 만들었다. 하지만, 추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섬유를 회전시켜 꼬는 방추의 등장으로 실 만들기는 훨씬 쉬워졌다. 방추와 그 파편은 매우 오래된 시대의 유적에서도 출토되었으며 (일본에서도 야요이 시대 유적에서 토기 등을 사용한 방추차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방추를 사용하여 실을 잣는 장면은 고대 이집트의 묘실 벽화에도 그려지는 등, 인류의 도구 중에서도 오래된 부류에 속한다.
또한 방추는 세계 각지에서 발견되며, 지금도 안데스 산맥 지방 등에서는 사람들이 걷거나 이야기하면서 끊임없이 방추를 돌려 실을 만드는 광경을 볼 수 있으며, 방추로 꼬아 만든 실의 질감을 선호하여 사용하는 애호가도 있다.
방추는 샤프트(shaft), 추(whorl), 코프(cop)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추의 위치에 따라 추의 위치가 높은 방추(high-whorl spindle)와 낮은 방추(low-whorl spindle)로 나뉜다. 높은 추 방추는 15cm에서 45cm 길이의 회전축 위쪽에 추가 있다. 회전축 꼭대기에는 실을 만들기 위한 고리가 있으며, 새로 잣은 실은 추 아래의 회전축에 감긴다. 낮은 추 방추는 추가 회전축의 최하단 근처에 있으며, 새로 잣은 실은 추 위의 회전축에 감긴다.
회전축 꼭대기에 고리가 있는 경우 실은 나선형으로 회전축에 감겨 고리에 걸린다. 만약 고리가 없다면 실은 추의 가장자리를 넘어 아래로 감겨 회전축 하단에서 끌어 올려 회전축 위쪽으로 이동하면서 감겨 올라가, 상단에서 다시 되돌아와 방추가 안정적으로 실을 잣을 수 있도록 이를 반복한다.
4. 1. 샤프트 (Shaft)
방추의 샤프트(축)는 나무, 금속, 뼈,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11] 샤프트는 모양이 거의 없거나, 소용돌이의 일부를 형성할 정도로 극적으로 모양을 낼 수도 있다. 샤프트는 그대로 두거나 그림이나 조각으로 장식할 수도 있다.샤프트는 실을 넣는 방법으로, 손가락 사이에서 돌리거나 손과 허벅지 등의 신체 부위 사이에서 굴려 꼬임을 준다. 샤프트의 두께는 방추가 얼마나 빨리 회전하는지에 영향을 미치며, 샤프트가 좁을수록 방추는 더 빠르게 회전한다.[11]
많은 방추는 실을 고정하기 위해 샤프트 상단에 뾰족한 부분이 있다. 실을 묶을 수 있는 단순한 길이의 샤프트, 모양의 홈 또는 구근, 또는 고리 등이 옵션으로 사용된다.[10]
4. 2. 추 (Whorl)
방추차는 방추의 회전을 돕는 무게추 역할을 하며, 나무, 금속, 유리, 돌, 점토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11] 방추차의 모양은 매우 다양하며 공 모양, 원반 모양, 십자 모양 등이 있다. 방추차의 모양과 무게 분포는 방추의 회전 속도와 지속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데, 예를 들어 중앙에 무게가 실린 방추차는 매우 빠르고 짧게 회전하는 반면, 가장자리에 무게가 실린 원반 모양의 방추차는 더 오래, 더 느리게 회전한다.[11]방추차는 방추 샤프트의 상단, 중간 또는 하단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방추차의 위치는 방추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하단 방추차가 더 안정적인 것으로 간주된다.[11] 상단 방추차 방추는 일반적으로 상단에 고리가 있는 샤프트 상단에 원반이 있다.
4. 3. 코프 (Cop)
방추에 감겨 새로 방적된 실은 원반 아래에 감겨서 '코프'를 형성한다. 코프는 원뿔형, 풋볼형 또는 공 모양일 수 있으며 원반 위, 아래 또는 위에 감길 수 있다.[10] 코프는 실이나 실이 방적되면 방추 샤프트나 휠에 감겨 형성되는 뭉치이다. 더 많은 실이나 실이 방적되면 방추가 더 무거워지고 중심이 잡혀 방추의 운동량에 영향을 미친다.[12] 코프의 전체적인 모양과 코프를 감는 기술 또한 방추가 회전하는 방식과 방추가 "가득" 차기 전에 얼마나 많은 실이나 실을 저장할 수 있는지에 영향을 미친다.[13]5. 사용법
방추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1. 먼저 섬유를 뽑아내기 위한 "도와주는 실"을 아래쪽 물레 부분에 묶고, 회전축을 따라 돌면서 맨 위쪽 고리에 건다.
2. 도와주는 실의 끝을 양모나 면 등, 한 손에 잡은 섬유 덩어리에 묶는다.
3. 섬유를 든 손을 위로 올리고, 방추를 천천히 땅 가까이 매달면 섬유도 함께 뽑혀 나온다.
4. 방추를 매단 채로 팽이처럼 회전시킨다. 도와주는 실은 꼬여 꼬임이 생기고, 섬유도 도와주는 실에 감겨 실로 꼬여 들어간다(이것이 "실을 잣는" 작업이다). 이때 섬유가 나오는 정도를 양손으로 조절한다.
5. 실이 꼬이면 일단 고리에서 풀어서 회전축에 감아 올린다.
6. 다시 실을 고리에 걸고, 섬유를 든 손은 높이, 방추는 아래로 내려 나머지 섬유를 뽑아 꼬아준다. 이를 반복한다.
방추의 회전 방향에 따라 꼬임의 종류가 달라진다. 시계 방향으로 방추가 돌면 Z형 꼬임이 되고, 시계 반대 방향이면 S형 꼬임이 된다.[5][6][7]
6. 문화적 상징
방추는 여러 문화권에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실을 잣는 도구로서, 운명, 여성, 생산성 등과 관련된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고대 이집트의 묘실 벽화에는 방추를 사용하여 실을 잣는 장면이 그려져 있을 정도로, 방추는 인류의 오래된 도구 중 하나이다.[1] 일본 야요이 시대 유적에서도 토기 등을 사용한 방추차가 많이 출토되었다. 현대에도 안데스 산맥 지방 등에서는 사람들이 걷거나 이야기하면서 방추를 돌려 실을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방추로 꼬아 만든 실의 질감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다. 각 지역마다 방추의 원반 모양 추 부분에는 다양한 장식이 더해져 있다.
6. 1. 신화와 종교
게르만 신화의 홀다, 그리스 신화의 아르테미스와 아테나 등 많은 여신들이 방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리스 신화의 운명의 여신들과 북유럽 신화의 노른은 삶을 나타내는 실을 잣는 존재로 묘사되어 운명과도 자주 연결된다.[14]기독교 외경인 야고보 복음에서는 천사 가브리엘이 성모 마리아에게 예수를 잉태할 것이라고 말할 때, 그녀가 성전 휘장을 위해 실을 잣고 있었다고 묘사한다.[15]
6. 2. 문학
샤를 페로와 그림 형제의 판본을 포함한 여러 버전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 이야기에서 공주는 가락 바늘에 손가락을 찔린다. 일부 이야기에서는 그녀가 바퀴로 작동되는 가락 바늘인 큰 물레에 찔리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공주는 "방추에 손가락을 찔려 죽는다"는 저주를 받는데, 이는 실잣는 도구를 의미하기도 하고, 방추 자체를 의미하는 것으로도 해석된다.[1]7. 현대적 응용
산업 혁명 이후 방적기가 발명되면서 방추는 대량 생산에서 밀려났지만, 여전히 수공예 방적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안데스 산맥 지방 등에서는 사람들이 걷거나 이야기하면서 끊임없이 방추를 돌려 실을 만드는 광경을 볼 수 있다. 방추로 꼬아 만든 실의 질감을 선호하는 애호가도 있다. 방추의 원반 모양 추 부분에는 각국 각 지방마다 다양한 특징적인 장식이 가해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extile production
https://oxfordre.com[...]
2016-03-07
[2]
간행물
12,000-year-old spindle whorls and the innovation of wheeled rotational technologies
2024-11-13
[3]
웹사이트
12,000-year-old stones may be oldest example of wheel-like tools
https://www.newscien[...]
2024-11-13
[4]
서적
The Oxford Book of Trees
Oxford University Press
1975
[5]
서적
Yarn and Cloth Making
Macmillan & Co.
[6]
문서
Spin Flax & Cotton: Traditional Techniques with Norman Kennedy
Interweave Press
2012
[7]
서적
Ancient Egyptian Materials and Industrie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2-04-30
[8]
서적
Respect the Spindle
Interweave Press
[9]
서적
Methods of Hand Spinning in Egypt and the Sudan
Halifax
[10]
서적
Respect the Spindle
Interweave Press
[11]
서적
Respect the Spindle
Interweave Press
[12]
서적
Respect the Spindle
Interweave Press
[13]
웹사이트
Variables and Assumptions in Modern Interpretation of Ancient Spinning Technique and Technology {{!}} EXARC - Journal
http://journal.exarc[...]
[14]
간행물
Unravelling mythology: mythological figures who spin
https://www.academia[...]
2018
[15]
웹사이트
Review of ''Late Antique Images of the Virgin Annunciate Spinning''
https://bmcr.brynmaw[...]
Bryn Mawr Classical Review
2019-07-26
[16]
웹사이트
mitosis {{!}} Origin and history of mitosis by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7-09-28
[17]
웹사이트
Spindles
http://woodlandwoodw[...]
[18]
웹사이트
The Woolery - Weaving - Spinning - Felting - Rug Hooking Supplies
http://www.woolery.c[...]
[19]
문서
A Handspindle Treasury
[20]
웹사이트
The art of spinning in Scotland
https://nationalclot[...]
2018-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