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밭벼는 물에 잠기지 않는 밭에서 재배되는 벼의 한 종류로, 씨앗을 밭에 직접 파종하는 직파 재배 방식이 특징이다. 밭벼는 모내기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지만, 연작 피해와 잡초 발생의 어려움이 있다. 1920년대부터 품종 개량이 진행되었으며, 최근에는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 연구와 생명공학 기술을 활용한 품종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밭벼는 과거에는 아라레나 센베이의 원료로 사용되었으며,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다년생 품종 개발과 토양 침식 방지 기술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밭벼 | |
---|---|
밭벼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Oryza sativa |
한국어 | 밭벼 |
영어 | Upland rice |
일본어 | 陸稲 (おかぼ, 오카보) |
유형 | 벼 |
재배 방식 | 밭 |
특징 | |
재배 조건 | 건조한 환경에 적합 |
용도 | 식용 |
분포 지역 | 전 세계 |
역사 | |
기원 | 벼의 한 종류로, 건조한 환경에서 재배되도록 개량됨 |
재배 시작 | 신석기 시대 |
재배 | |
파종 시기 | 봄 |
수확 시기 | 가을 |
주요 생산 지역 |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 |
활용 | |
식용 | 밥, 떡, 과자 등 |
기타 | 사료, 퇴비 등 |
기타 정보 | |
장점 |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도 재배 가능 |
단점 | 수확량이 일반 벼에 비해 적음 |
2. 특징
밭벼는 물에 잠기지 않은 밭 환경에서 재배되며, 직파 재배만 가능하다. 수도(논벼)에 비해 초형이 크고 잎이 길며, 뿌리가 발달되어 가뭄에 강하다. 낟알이 크고 재배가 용이하며, 일부 품종은 줄무늬잎마름병이나 도열병에 강하다. 연작 장해와 잡초 발생 문제가 있으며, 수확량과 식미는 수도보다 떨어진다. 유전자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다.[2]
밭벼는 벼를 주식으로 하는 약 1억 명의 사람들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이다. 밭벼 재배 면적의 약 2/3는 아시아에 분포하며,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중국, 인도 북동부, 인도네시아, 미얀마, 네팔, 태국, 베트남 등이 주요 생산국이다.[2]
밭벼는 다양한 환경에서 재배되는데, 평탄하거나 완만한 경사지, 가파른 밭 등 다양한 지형에서 자란다. 해발 2,000m까지, 연간 강수량 1,000~4,500mm의 넓은 범위에서 재배된다. 토양 조건 또한 비옥한 토양에서부터 척박하고 산성인 토양까지 다양하지만, 비옥하고 생육 기간이 긴 곳에서 재배되는 밭벼는 전체의 15% 정도이다.[3]
많은 밭벼 재배 농가들은 집약 농업 방식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지역 벼 품종을 재배하지만, 이러한 품종들은 해당 환경에 잘 적응하고 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충족하는 곡물을 생산한다.[3]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관개 벼 재배 기술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밭벼 재배에 대한 연구도 함께 이루어졌다. 연구자들은 척박한 토양에 적합하고 해충 저항성과 가뭄 내성이 개선된 품종을 개발했으며, 일부 품종은 전통 벼보다 100% 이상 수확량이 증가했다. 이러한 개선된 품종과 지역 품종을 교배하여 잡종 벼 품종이 개발되기도 했다.[4]
일본에서도 밭벼가 재배되었지만, 치수 사업이 발전하고 벼 품종이 개량되면서 재배 면적이 감소하고 있다. 밭벼는 수도에 비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초형: 크다.
- 잎: 크고 길다.
- 뿌리: 발달되어 가뭄에 강하다.
- 낟알: 비교적 크다.
- 재배: 밭에 직접 씨앗을 뿌리는 직파 재배만 가능하며, 육성이 용이하다.
- 병충해: 일부 품종은 줄무늬잎마름병이나 도열병에 강하며, 특정 작물과 함께 재배할 경우 해충 방지 효과가 있다.
- 단점: 연작 장해가 발생하기 쉽고, 잡초 발생이 많아 제초 작업이 필요하다.[11] 수확량과 밥맛(특히 메벼)은 수도보다 떨어진다.
밭벼는 품종 개량에 유용한 유전자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3. 품종 개량
1920년경부터 인공 교배를 통한 밭벼 품종 개량이 시작되었고, 1926년부터는 전국적인 조직 활동을 통해 우량 품종을 선발하고 품종을 고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졌다.[2] 밭벼에는 멥쌀과 찹쌀 품종이 모두 있지만, 찹쌀 품종이 더 많다. 대표적인 밭벼 품종으로는 네리카 쌀이 있으며, 일본에서는 히노시의 히라야마, 이바라키현의 키요하타모치, 토요하타모치, 유메노하타모치 등이 알려져 있다.[2]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주로 관개 벼에 대한 기술 개발이 이루어졌지만, 밭벼 재배에 대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연구자들은 척박한 토양에 잘 적응하고 해충 저항성과 가뭄 내성이 개선된 품종을 개발했으며, 일부 품종은 전통적인 벼보다 수확량이 100% 이상 높았다. 국립 농업 연구 시스템의 과학자들은 이러한 개선된 품종과 지역 품종을 교배하여 잡종 벼 품종을 도입했다.[4]
최근에는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생명 공학 기술을 이용하여 더욱 내구성이 강한 질병 저항성을 가진 품종이 개발되고 있다.[5] 국제미작연구소(IRRI)는 고지대 벼 연구 컨소시엄과 협력하여 병원균 집단을 이해하고 저항성 유전자를 식별하며, 이를 새로운 고지대 품종에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5]
4. 재배 역사
조몬 시대부터 일본에서 밭벼가 재배된 흔적이 고고학적으로 확인되며,[12] 논벼 재배보다 기원이 더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가장 오래된 기록은 안정 3년(1229년)에 작성된 "휴가 구시마 원전 밭 목록"(『가마쿠라 유문』 3814호)에 등장하는 "야이네밭 3단"으로, 당시에는 야이네라고 불렸던 것으로 보인다. 중세부터 근세에 걸쳐 남규슈나 북관동 등에서 널리 재배되었다. 일본 최고(最古)의 농서(1650년대에 성립된 것으로 여겨짐)인 『세이료키』에는 밭벼, 겐로쿠 10년(1697년)에 간행된 농서 『농업전서』(서일본의 농업 정세가 중심)에는 밭벼, 야이네, 가뭄벼(히데리이네)라는 명칭으로 등장한다.
5. 밭벼 재배의 어려움
밭벼 재배 지역은 빈곤, 인구 증가,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밭벼 재배는 가뭄, 척박한 토양, 잡초, 식물 질병 등 열악한 재배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수년간 벌목 이후의 화전 농업은 토양을 심각하게 침식시키고 황폐화시켰다. 이는 유역을 파괴하여 하류 지역에 문제를 야기한다.[2]
이러한 압력으로 인해 밭벼 재배 지역에서는 영구적인 농업으로의 전환과 토지 이용의 집약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밭벼 재배 농민들은 기존의 문제 외에도 토양과 다양한 식물 종을 보존하고, 점점 더 빈번하고 심각해지는 잡초와 질병 피해에 대처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6. 주요 재배 기술
밭벼는 물을 가두지 않은 상태에서 재배하는 벼를 의미하며, 밭벼 재배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술을 활용한다.
- 도열병 저항성 강화: 벼의 주요 질병 중 하나인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저항성 유전자를 도입하여 내병성 품종을 개발한다. 특히, 국제미작연구소(IRRI)는 고지대 벼 연구 컨소시엄과 협력하여 병원균 집단을 분석하고 저항성 유전자를 식별하여 새로운 고지대 품종에 통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잡초 관리: 잡초는 밭벼 생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이다. 타감 작용을 이용하여 주변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벼 품종을 찾아 제초제 사용을 최소화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또한, 특정 질병에 취약한 잡초의 특성을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질병을 유발하여 잡초를 방제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 토양 비옥도 개선: 밭벼 재배 지역의 토양은 인 부족과 산성 문제가 흔하다. 인산 비료를 사용하거나, 콩과 작물과의 윤작을 통해 토양에 질소를 공급하고 인의 이용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활용된다. 또한, 석회 성분을 토양에 첨가하여 산성도를 낮추고, 산성에 강한 벼 품종을 재배하는 기술도 연구되고 있다.
- 토양 침식 방지: 밭벼 재배지는 토양 침식에 취약하다. 필리핀에서 등고선을 따라 나무, 관목, 풀 등으로 울타리를 설치하여 토양 침식을 최대 90%까지 줄이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또한, 매년 다시 심을 필요가 없는 다년생 벼 품종을 개발하여 영구적인 지표 식물과 뿌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토양 침식을 줄이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 직파 재배: 밭벼는 논에 물을 대고 모를 심는 이앙 재배와 달리 밭에 씨앗을 직접 파종하는 직파 재배를 한다. 이는 모를 기르는 등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연작 장해와 잡초 발생이 쉽다는 단점도 있다.
7. 활용
과거 밭벼는 아라레와 센베이의 원료로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대부분 수도미를 사용한다. 자위대 식량, 생물학연구소 연구용 등으로 활용되며, 상황도 파종을 한 기록이 있다.[1]
8. 미래 전망 및 과제
기후 변화와 식량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밭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고수확, 내병성, 내재해성 다년생 밭벼 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국제미작연구소에서는 유전체학을 이용하여 다년생 유전적 특성을 재래 품종에 이전하고, 유전적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해충 저항성 품종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8]
과학자들은 열악한 토양에 적응하고, 적은 투입량으로도 높은 수확량을 얻을 수 있으며, 질병과 곤충에 강한 고수확 다년생 벼 품종을 생산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7]
옥수수와 같은 다른 작물들이 밭벼를 부분적으로 대체하고 있지만, 참여적 품종 개량을 통해 밭벼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밭벼를 밭에 추가하면 윤작을 가능하게 하여 밭의 다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국은 밭벼 연구 및 개발에 참여하여 국제 사회에 기여하고, 식량 안보 강화에 힘써야 한다. 특히, 밭벼 재배 기술 개발과 보급을 통해 북한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efinition of UPLAND RICE
https://www.merriam-[...]
2022-06-23
[2]
서적
Upland Rice: A Global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Rice Research Institute
2024-06-06
[3]
간행물
Farmer and Researcher contributions to the selection of Landraces of Ghaiya (Upland rice) for Tar areas of Nepal
L-BIRD/SANFEC. Katmandu / Dhaka
[4]
간행물
Collection of Upland Rice Landraces from Western Mid Hill Districts and Evaluation for Drought Tolerance
Nepal Academy of Science
[5]
논문
Upland Ri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 Less Favorable Ecosystem
https://www.jstor.or[...]
1995
[6]
논문
Upland Rice Response to Phosphorus Fertilization in Asia
https://onlinelibrar[...]
2001-11
[7]
논문
Upland Ric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a Less Favorable Ecosystem
https://www.jstor.or[...]
1995
[8]
뉴스
Developing Perennial Upland Rice I: Field Performance of Oryza sativa/O. rufipogon F1, F4, and BC1F4 Progeny
http://crop.scijourn[...]
Crop Sci.
[9]
웹사이트
作況調査(水陸稲、麦類、豆類、かんしょ、飼肥料作物、工芸農作物)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10]
웹사이트
令和4年産水陸稲の収穫量
https://www.maff.go.[...]
2022-12-09
[11]
논문
陸稲の連作障害の原因をめぐって
https://doi.org/10.1[...]
1976
[12]
서적
考古学から見た日本人
青春新書INTELLIGE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