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네딕도 규칙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네딕도 규칙서는 6세기 이탈리아의 성 베네딕토가 저술한 기독교 수도원 규율서이다. 이 규칙서는 수도 생활의 기원과 역사, 주요 내용, 현대적 의의를 담고 있으며, 수도원 공동체 생활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다. 이 규칙서는 서유럽 수도원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중세 유럽 사회 형성에 기여했다. 또한, "Ora et labora"(기도하고 일하라)라는 모토를 통해 균형 잡힌 삶의 방식을 제시하며, 현대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치를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세기 기독교 - 필리오퀘 문제
필리오퀘 문제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그리고 아들로부터"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성령이 성부와 성자로부터 발한다는 서방 교회의 주장에 대한 동방 교회의 반박으로 촉발된 신학적 논쟁이며, 1054년 동서방 교회 분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기독교 교파 간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6세기 문서 - 필리오퀘 문제
필리오퀘 문제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그리고 아들로부터"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성령이 성부와 성자로부터 발한다는 서방 교회의 주장에 대한 동방 교회의 반박으로 촉발된 신학적 논쟁이며, 1054년 동서방 교회 분열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기독교 교파 간의 이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기독교 문학 - 위그 드 생빅토르
위그 드 생빅토르는 12세기 파리 생 빅토르 수도원의 신학자이자 철학자, 작가로서 스콜라 철학 형성에 기여했으며, 신학, 신비주의,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저술을 남기고 철학과 신학의 조화를 추구하며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문학 - 주님은 나의 최고봉
주님은 나의 최고봉은 오스왈드 챔버스의 강의를 엮어 그의 아내가 1917년에 출판한 묵상집으로, 40개 언어로 번역되어 366개의 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네딕도 규칙서 | |
---|---|
규칙 정보 | |
이름 | 베네딕도 규칙서 |
로마자 표기 | Regyulra Saengteu Benedikto |
원어 | Regula Sancti Benedicti (라틴어) |
저자 | 성 베네딕토 |
작성 시기 | 516년경 |
주요 내용 | 수도 생활의 규율과 지침 |
언어 | 라틴어 |
관련 인물 | 교황 그레고리오 1세 |
영향 | 서방 수도원 제도의 확립 및 발전 |
인용구 | |
평화 | Pax (라틴어) |
기도하고 일하라 | Ora et labora (라틴어)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Vogüé, Adalbert de; Neufville, Jean (1972). La Règle de Saint Benoît. Les Éditions du Cerf. |
2. 기원과 역사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이전 초기 기독교 수도원 운동은 이집트 사막에서 시작되었다. 성 안토니우스 대(大)수도자(Saint Anthony the Great영어, 251–356)의 영향을 받은 성 파코미우스(Saint Pachomius영어, 286–346)는 "수도원장"(Abbot)으로 알려진 최초의 기독교 수도 공동체를 이끌었다.[3] 이 수도원 운동은 팔레스타인, 유대 사막, 시리아, 북아프리카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는 ''Ascetica''를 통해 동방 수도원의 규범을 확립했으며, 이는 오늘날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된다.
서기 500년경, 누르시아의 베네딕토는 로마 사회의 부도덕에 환멸을 느껴 학업을 포기하고 수비아코 인근 동굴에서 은둔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제자들을 모아 529년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설립하고, 생애 말년에 자신의 규칙을 작성했다.[4]
성 베네딕토는 성 바실리우스의 규칙을 존경했으며, 파코미우스의 규칙,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 성 요한 카시안의 저술에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원장의 규칙이라는 익명의 문서에서 큰 영향을 받아, 자신의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이를 수정하고 발전시켰다.[5] 그의 규칙은 종교 공동체의 기존 사상을 상세화하고 시대에 맞게 변경한 것이다.[6][7]
이 ''규칙''은 10세기에 람프론의 네르세스에 의해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되어 아르메니아 가톨릭 메키타리스트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에델월드에 의해 고대 영어로도 번역되었다.[8]
샤를마뉴는 성 베네딕토 규칙서를 서유럽 전역에 배포하여 수도사들의 표준으로 삼도록 장려했다. 성 베네딕토 규칙서는 종교적 영향 외에도 문서화된 헌법과 법치주의의 이상을 구현하여 중세 유럽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비민주적인 사회에서 민주주의적 요소를 도입하고 수작업의 가치를 강조했다.
카말돌리 수도회, 시토회, 트라피스트회(시토회의 개혁), 실베스트리노회 등 여러 개혁 운동은 성 베네딕토 규칙서의 정신을 더욱 엄격하게 따르고자 했다.[1]
2. 1. 초기 기독교 수도원 운동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이전 이집트 사막에서 기독교 수도 생활이 처음 나타났다. 성 안토니우스 대(大)수도자(Saint Anthony the Great영어, 251–356)의 영감을 받은 성 파코미우스(Saint Pachomius영어, 286–346)가 이끄는 금욕주의 수도자들은 아람어 "abba"(아버지)에서 유래된 "수도원장"(Abbot)으로 알려진 최초의 기독교 수도 공동체를 형성했다.[3] 한 세대 만에 고독한 수도 생활과 공동체 수도 생활 모두 매우 인기를 얻어 이집트 밖으로 퍼져나갔고, 먼저 팔레스타인과 유대 사막으로, 그 다음 시리아와 북아프리카로 퍼져나갔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는 동방 수도원을 위한 규범을 그의 금욕 규칙, 즉 ''Ascetica''에 명문화했으며, 이 규칙은 오늘날에도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다.2. 2. 성 베네딕토와 규칙서
누르시아의 베네딕토 이전 기독교 수도 생활은 이집트 사막에서 처음 나타났다. 성 안토니우스 대(大)수도자의 영감을 받은 성 파코미우스가 이끄는 금욕주의 수도자들은 아람어 "abba"(아버지)에서 유래된 "수도원장"(Abbot)으로 알려진 최초의 기독교 수도 공동체를 형성했다.[3] 한 세대 만에 고독한 수도 생활과 공동체 수도 생활 모두 매우 인기를 얻어 이집트 밖으로 퍼져나갔고, 먼저 팔레스타인과 유대 사막으로, 그 다음 시리아와 북아프리카로 퍼져나갔다. 카이사레아의 바실리우스는 동방 수도원을 위한 규범을 그의 금욕 규칙, 즉 ''Ascetica''에 명문화했으며, 이 규칙은 오늘날에도 동방 정교회에서 사용되고 있다.서기 500년경, 베네딕토는 로마 사회의 부도덕함에 너무 화가 나서 14세의 나이에 그곳에서의 학업을 포기하고 개인적인 성화를 추구하는 금욕주의 수도자의 삶을 선택하여 험준한 수비아코 인근 동굴에서 은둔자로 살았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는 열정을 보여 모범을 보이며 제자들을 끌어들이기 시작했다. 수비아코의 첫 번째 공동체와 상당한 초기 갈등을 겪은 후, 그는 결국 529년에 몬테카시노 수도원을 설립했으며, 그곳에서 그는 생의 마지막 무렵에 자신의 규칙을 썼다.[4]
73장에서 성 베네딕토는 성 바실리의 규칙을 칭찬하고 더 많은 권위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아마도 파코미우스가 쓴(또는 그에게 귀속된) 규칙을 알고 있었을 것이며, 그의 규칙은 또한 히포의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규칙과 성 요한 카시안의 저술의 영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베네딕토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은 것은 원장의 규칙으로 알려진 익명의 문서일 것이다. 베네딕토는 자신의 광범위한 경험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원장의 규칙을 급격히 삭제하고, 확장하고, 수정했을 것으로 보인다.[5] 성 베네딕토의 작품은 종교 공동체에 존재했던 미리 생각된 아이디어를 상세히 설명했으며, 그의 시스템과 관련된 시대에 맞춰 약간의 변경만 이루어졌다.[6][7]
이 ''규칙''은 10세기에 람프론의 네르세스에 의해 아르메니아어로 번역되었으며 오늘날 아르메니아 가톨릭 메키타리스트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에델월드에 의해 고대 영어로 번역되었다.[8]
2. 3. 중세 시대의 확산과 영향
샤를마뉴는 서유럽 전역의 수도사들이 표준으로 따르도록 장려하기 위해 베네딕도 규칙서를 필사하여 배포했다. 종교적 영향 외에도, 성 베네딕도 규칙서는 중세 유럽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저술 중 하나였으며, 문서화된 헌법과 법치주의의 이상을 구현했다. 또한 비민주적인 사회에서 일정 수준의 민주주의를 도입했으며, 수작업의 가치를 높였다.2. 4. 종교 개혁과 근대의 변화
카말돌리 수도회, 시토회, 트라피스트회(시토회의 개혁), 실베스트리노회 등 여러 개혁 운동은 성 베네딕토 규칙서의 글과 정신 모두에 대한 더욱 열렬한 헌신을 추구했다.[1]3. 주요 내용
베네딕도 규칙서는 수도 생활의 다양한 측면을 다루며, 수도자들이 지켜야 할 규범들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침묵과 기도:
- 제6장은 과묵함(taciturnitas|타치투르니타스la)을 권장하며, 신중한 언행을 강조한다.[10]
- 제19장은 하느님의 현존에 대한 경건함을 강조한다.[10]
- 제49장은 사순절에 자발적인 자기 부정을 권장한다.[10]
- 일상생활과 규율:
- 제22장은 기숙사 규정을 다룬다. 각 수도자는 별도의 침대를 사용하며, 밤에 성무일도를 위해 깨어 있도록 한다. 기숙사에는 밤새 양초(candela|칸델라la)를 켜둔다.[10]
- 제42장은 저녁에 교훈적인 책을 읽고, 저녁 기도 후 엄격한 침묵을 지킬 것을 명한다.[10]
- 제43-46장은 기도나 식사에 늦는 등 사소한 잘못에 대한 처벌을 정의한다.[10]
- 제47장은 아빠스가 성가대에서 "하느님의 일"(''Opus Dei'')을 수행할 형제들과 독자를 임명하도록 한다.[10]
- 제50장과 51장은 들판에서 일하거나 여행하는 수도사는 정해진 기도 시간에 수도원의 형제들과 함께하도록 한다.[10]
- 제52장은 기도실을 헌신적인 목적에만 사용하도록 규정한다.[10]
- 제54장은 아빠스의 허가 없이 편지나 선물을 받는 것을 금지한다.[10]
- 제59장은 어린 소년의 수도원 입회 의식과 재정적 준비를 설명한다.[10]
- 제60장은 공동체에 합류하는 사제의 지위와 겸손을 강조한다.[10]
- 제61장은 외국 수도사의 방문과 입회를 다룬다.[10]
- 제62장은 수도 공동체 내 사제 서품에 관한 것이다.
- 제67장은 여행 중인 수도사의 행동 지침을 제시한다.[10]
- 제68장은 불가능해 보이는 명령이라도 기꺼이 수행할 것을 명한다.[10]
- 처벌:
- 제23-29장은 거역, 불순종, 자만심 등 심각한 잘못에 대한 단계적 처벌 체계를 명시한다. 훈계, 공개 질책, 형제들과의 분리, 파문(이해하지 못할 경우 체벌) 순으로 이어진다.[10]
- 제30장은 수도원을 떠났던 형제가 뉘우치고 돌아올 경우 세 번까지 받아들일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복귀가 금지된다고 규정한다.[10]
베네딕도 규칙서는 수도 생활 지침을 넘어 영적 성장을 위한 가르침을 담고 있다. 제73장은 이 규칙이 완벽한 이상이 아니라, 영적 생활 초심자를 위한 경건의 수단일 뿐이라고 선언한다.[10]
3. 1. 수도 생활의 기본 원칙
베네딕도 규칙서는 성 베네딕토가 영적 삶의 주요 원칙을 제시하는 권고 형식의 서문으로 시작한다.[9] 자신의 의지를 버리고 "참된 왕, 주 그리스도"(Prol. 3)를 따르며 "순명의 강력하고 고귀한 무기"로 무장할 것을 강조한다. 성 베네딕토는 "구원의 길"(Prol. 48)을 가르치는 "주님의 봉사를 위한 학교"(Prol. 45)를 설립하여, 수도자들이 인내를 통해 그리스도의 수난에 참여하고 그분의 왕국을 함께 누릴 수 있도록 한다(Prol. 50).[10]3. 2. 네 종류의 수도자
베네딕도 규칙서는 제1장에서 네 종류의 수도자를 정의한다.[10]종류 | 설명 |
---|---|
체노비테(Cenobites) | 수도원에서 공동체 생활을 하며, 규칙과 아빠스의 지도 아래 살아가는 수도자들이다. 베네딕도 규칙서에서 가장 이상적인 수도 생활 형태로 간주된다.[10] |
앵커라이트(Anchorites) | 은수자 또는 은둔자라고도 불리며, 수도원 공동체에서 오랫동안 훈련받은 후, 하느님의 도움으로 홀로 수행하는 수도자들이다. 영적 성숙과 자기 통제력을 갖춘 이들에게 적합한 수도 형태이다.[10] |
사라바이트(Sarabaites) | 규칙이나 상급자의 지도 없이 둘 또는 셋, 심지어 혼자 살아가는 수도자들이다. 자신의 욕망과 쾌락을 따르며, 스스로에게 법이 되는 삶을 살아간다. 베네딕도는 이들을 가장 나쁜 종류의 수도자로 비판한다.[10] |
기로바그(Gyrovagues) | 유랑 수도자라고도 불리며, 한 수도원에 정착하지 않고 여러 수도원을 떠돌아다니는 수도자들이다. 자신의 의지와 욕망에 따라 방랑하며, 베네딕도는 이들을 사라바이트보다 더 나쁘다고 평가한다.[10] |
베네딕도는 이 네 종류의 수도자 중 체노비테, 즉 공동체 생활을 하는 수도자를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 제시하며, 규칙서를 통해 이들의 생활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3. 3. 아빠스와 수도 공동체
베네딕도 규칙서는 아빠스와 수도 공동체의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담고 있다.제2장은 아빠스가 갖추어야 할 자격 요건을 설명하고, 수도원 내에서 차별을 금지하며, 아빠스가 돌보는 영혼들의 구원에 대한 책임을 강조한다.[10] 제3장은 공동체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모든 형제들을 평의회에 소집하도록 규정한다.[10] 제64장은 아빠스가 수도사들의 투표로 선출되며, 자선, 열정, 분별력을 기준으로 선정되어야 한다고 명시한다.[10] 제65장은 원장 (Prior) 또는 부원장의 임명을 허용하지만, 이들은 아빠스에게 전적으로 복종해야 하며,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는 징계, 해임, 심지어 추방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10]
제21장은 10명의 수도사마다 교구원을 임명하도록 규정한다.[10] 제31장과 32장은 수도원의 재산 관리를 담당하는 관리자 임명을 지시한다.[10] 제66장은 문지기를 임명하고, 수도원이 자급자족하며 외부와의 교류를 최소화할 것을 권장한다.[10]
제58장은 새로운 구성원의 입회 규칙을 다룬다. 후보자는 먼저 손님으로 잠시 머문 후, 수련기에 들어가 엄격한 심사를 거친다. 12개월의 수습 기간 후, 후보자는 공동체 앞에서 안정, 습관의 변화, 순종을 서약하고, 평생 동안 수도원에 헌신하게 된다.[10]
제63장은 공동체 내 서열이 입회 날짜, 삶의 공로, 또는 아빠스의 임명에 따라 결정된다고 규정한다.[10] 제69장은 수도사들이 서로를 옹호하는 것을 금지하며,[10] 제70장은 서로를 때리거나 파문하는 것을 금지한다.[10] 제71장은 형제들이 아빠스와 그의 관리들뿐만 아니라 서로에게도 순종할 것을 권장한다.[10] 제72장은 수도사들에게 열정과 형제적 사랑을 간략하게 권고한다.[10]
3. 4. 선한 일의 도구
베네딕도는 제4장에서 "선한 일의 도구" 또는 "영적 기술의 도구" 73가지를 열거한다. 이것은 "수도원의 울타리"와 "공동체의 안정"을 위한 "작업장"이며,[10] 본질적으로 모든 기독교인의 의무이자 성경적 가르침이다.[10]3. 5. 겸손과 순명
성 베네딕도는 제5장에서 모든 일에 상급자에게 즉각적이고, 흔쾌하며, 절대적인 순종을 강조하며,[10] "주저 없는 순종"을 겸손의 첫 번째 단계(gradus|그라두스la)라고 하였다.제7장에서는 겸손을 하늘로 인도하는 12단계의 사다리로 비유했다.[10]
단계 | 내용 |
---|---|
1 | 하나님을 두려워함 |
2 | 자신의 의지를 하나님의 뜻에 종속시킴 |
3 | 상급자에게 순종함 |
4 | 고난 속에서 인내함 |
5 | 자신의 죄를 고백함 |
6 | 가장 비천한 일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쓸모없는 일꾼"으로 여김 |
7 | 자신을 "모든 사람보다 열등"하다고 생각함 |
8 | 상급자가 제시한 본보기를 따름 |
9 | 말을 걸기 전에는 말하지 않음 |
10 | 쉽게 웃지 않음 |
11 | 단순하고 겸손하게 말함 |
12 | 육체적 자세를 통해 내면의 겸손을 표현함 |
3. 6. 성무일도와 기도 생활
베네딕도 규칙서는 하루 8번의 성무일도(Opus Dei)를 규정하며, 이는 "어떤 것보다 우선해야 할" 중요한 일이다.[10] 성무일도는 겨울과 여름, 일요일, 평일, 축일 및 기타 시간에 따라 암송해야 할 시편 등을 자세히 정하고 있다.[10]규칙서는 기도에 임하는 자세도 강조하는데, 많은 말보다 진심으로 뉘우치는 마음으로 기도할 것을 권고한다.[10] 기도는 신의 은총의 영감 아래에서만 연장되어야 하며, 공동체에서는 항상 짧게 유지하고 상급자의 신호에 따라 종료해야 한다.[10] 또한, 규칙서는 편재하시는 하나님께 드려야 할 경건함을 강조한다.[10]
3. 7. 노동과 일상 생활
베네딕도 규칙서는 수도 생활의 하루를 공동 및 개인 기도, 수면, 영적 독서, 그리고 육체 노동으로 규칙적인 시간을 정하여, "모든 것에서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도록" (규칙 57.9장 참조) 규정하고 있다.[12] 후대에 들어서는 지적 작업과 가르침이 많은 베네딕토회 수도자들에게 농업, 공예 또는 기타 형태의 육체 노동을 대체하기도 하였다.[12]전통적으로 베네딕토회 수도자의 일상은 8개의 정해진 시간에 기도를 드리는 것으로 짜여 있었다. 수도 생활의 시간표는 자정에 시작하여, "경(office)"인 ''마티나''(오늘날 독서의 경)와 오전 3시의 ''라우스''(아침 경)로 이어졌다. 14세기 이전에는 이 경을 어둠 속에서 봉헌하였기에 수도자들은 모든 것을 암기해야 했다. 이후 수도자들은 몇 시간 동안 잠을 자고 오전 6시에 ''프라임'' 경에 참석하고, ''챕터''에 모여 그날의 지시를 받거나 법률 문제를 처리했다. 오전 9시에는 ''테르체'' 경과 대미사를 드리고, 정오에는 ''섹스트'' 경과 점심 식사를 하였다. 오후 3시의 ''논'' 경 이후에는 해 질 녘까지 농사일과 가사일을 하였고, 오후 6시에는 ''베스퍼''(저녁 기도), 오후 9시에는 ''컴플린''(밤 기도)을 드리고 잠자리에 들었다.[12] 현대에는 수도원 밖의 사도직을 위해 이 시간표가 변경되기도 한다.[11]
규칙서 제31장과 32장은 수도원의 재산 관리를 담당할 관리를 임명하도록 지시하고 있다.[10] 제33장은 아빠스의 허가 없이는 어떤 것도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고, 아빠스는 모든 필수품을 제공하도록 규정한다.[10] 제34장은 필수품들을 공정하게 분배하도록 규정하고,[10] 제35장은 모든 수도사들이 교대로 부엌에서 봉사하도록 정한다.[10] 제36장과 37장은 병약자, 노인, 어린이에 대한 돌봄을 다루며, 음식 문제에서 엄격한 규칙으로부터의 면제를 허용한다.[10] 제38장은 식사 중 낭독을 규정하고, 수화를 사용하여 원하는 것을 표현하도록 허용한다.[10] 제39장과 40장은 음식의 양과 질을 규정하며, 하루 두 끼 식사와 각 식사마다 두 가지 조리된 요리를 허용한다. 각 수도사에게는 빵 1파운드와 헤미나 (약 1/4 리터)의 와인이 허용되며, 병자와 허약한 사람을 제외하고는 네 발 달린 동물의 고기는 금지된다.[10] 제41장은 식사 시간을 규정하며, 이는 일 년 중 시간에 따라 달라진다.[10] 제55장은 의류가 기후와 지역에 적합해야 하며, 단순하고 저렴해야 한다고 명시한다. 각 수도사는 세탁을 위해 옷을 갈아입어야 하며, 여행 시에는 더 좋은 품질의 옷을 입어야 한다. 낡은 옷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주어야 한다.[10] 제56장은 아빠스가 손님과 함께 식사하도록 지시한다.[10] 제57장은 수도원 장인들에게 겸손을 명하며, 그들의 작품은 현재 거래 가격보다 낮게 판매되어야 한다고 규정한다.[10]
제48장은 수도사의 능력에 적합한 매일의 육체 노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노동 시간은 계절에 따라 다르지만 하루 5시간을 넘지 않아야 한다고 규정한다.[10] 제53장은 환대를 다루며, 손님을 적절한 예의로 맞이하고, 체류 기간 동안 특별한 보호를 제공하도록 규정한다.[10]
3. 8. 규율과 처벌
권위에 복종하지 않는 거역, 불순종, 자만심 등 심각한 잘못에 대해서는 단계적인 처벌을 내린다.[10] 먼저 개인적으로 훈계하고, 이후 공개적으로 질책한다. 그래도 고쳐지지 않으면 식사 등에서 다른 형제들과 분리시키고,[10] 마지막 수단으로 파문한다. 파문이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에는 체벌을 가할 수도 있다.[10]수도원을 떠났던 형제가 다시 돌아오고자 하면, 잘못을 뉘우치고 개선할 것을 약속하는 조건으로 받아들인다. 그러나 이러한 일이 세 번 반복되면 더 이상 수도원으로 돌아올 수 없다.[10]
3. 9. 서원과 입회
베네딕도 규칙서는 새로운 구성원을 받아들이는 절차와 수도 서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한다.새로운 구성원은 쉽게 받아들여져서는 안 되며, 먼저 손님으로 짧은 시간을 보낸 후 수련에 입학하여 그의 소명(召命)을 엄격하게 시험받아야 한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언제든지 떠날 수 있다. 12개월의 수습 기간 후에도 그가 끈기 있게 견딘다면, 그는 공동체 앞에서 ''stabilitate sua et conversatione morum suorum et oboedientia''—"안정, 습관의 변화, 순명"을 약속할 수 있다.[10] 이 서약을 통해 그는 평생 동안 자신의 직업의 수도원에 묶이게 된다.
- 안정(stabilitate): 한 수도원에 머무르며 공동체 생활에 헌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 생활 개선(conversatione morum): 수도 생활에 맞게 자신의 습관과 행동을 바꾸는 것을 의미한다.
- 순명(oboedientia): 아빠스와 규칙에 순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어린 소년을 수도원에 입학시키는 의식은 특별한 재정적 준비와 함께 별도로 설명되어 있다.[10] 또한, 공동체에 합류하는 사제는 겸손의 본보기를 보여야 하며, 아빠스의 허락을 통해서만 사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10]
4. 현대적 의의
성 베네딕토 규칙은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수도 생활의 규범을 제시한 이 규칙은 영적인 삶뿐만 아니라 세속적인 삶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치를 담고 있다.
샤를마뉴는 서유럽 전역의 수도사들이 표준으로 따르도록 장려하기 위해 베네딕도 규칙서를 필사하여 배포했다. 종교적 영향 외에도, 성 베네딕도 규칙서는 문서화된 헌법과 법치주의의 이상을 구현하여 중세 유럽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저술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비민주적인 사회에서 일정 수준의 민주주의를 도입했으며, 수작업의 가치를 높였다.
최근에는 성 베네딕토 규칙의 원칙과 정신이 세속적인 작업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12]
4. 1. 공동체 생활의 모델
성 베네딕토가 제시한 수도 생활의 모델은 가족이었으며, 수도원장은 아버지, 모든 수도자는 형제였다. 사제직은 처음에는 베네딕토 수도 생활의 중요한 부분이 아니었다.[11] 수도자들은 지역 사제의 서비스를 이용했다. 이 때문에 규칙의 거의 모든 내용은 수녀원장의 권한 아래 있는 여성 공동체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다수의 집단에 대한 호소는 나중에 성 베네딕토 규칙이 기독교 신앙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지침이 되게 했다.성 베네딕토의 규칙은 수도 생활의 하루를 공동 및 개인 기도, 수면, 영적 독서, 육체 노동의 정기적인 시간으로 정리한다. – ''ut in omnibus glorificetur Deus'', "모든 [것]에서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도록"(규칙 57.9장 참조).[12] 후세기에 지적 작업과 가르침은 많은 – 아니면 대부분의 – 베네딕토회 수도자들에게 농업, 공예 또는 기타 형태의 육체 노동을 대체했다.
전통적으로 베네딕토회 수도자의 일상은 8개의 정시 기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수도 생활의 시간표 또는 시간표(호라리움)는 자정, 즉 "경(office)"인 ''마티나'' (오늘날에는 독서의 경이라고도 함)로 시작하여 오전 3시에 아침 경인 ''라우스''로 이어진다. 14세기에 밀랍 촛불이 등장하기 전에는 이 경을 어둠 속에서 또는 최소한의 조명으로 봉헌했으며, 수도자들은 모든 것을 암기해야 했다. 이 경은 매우 길어서 때로는 새벽까지 이어지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 찬트, 세 개의 안티폰, 세 개의 시편, 세 개의 독서, 지역 성인의 축일 기념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수도자들은 몇 시간 동안 잠을 자고 오전 6시에 일어나 씻고 ''프라임'' 경에 참석했다. 그런 다음 ''챕터''에 모여 그날의 지시를 받고 법률 문제를 처리했다. 그 후 개인 미사, 영적 독서 또는 오전 9시까지의 작업이 있었고, 이때 ''테르체'' 경을 드리고 대미사를 올렸다. 정오에는 ''섹스트'' 경과 점심 식사가 있었다. 짧은 시간의 공동 휴식 후, 수도자는 오후 3시의 ''논'' 경까지 휴식을 취할 수 있었다. 그 후 해 질 녘까지 농사일과 가사일이 이어졌고, 오후 6시에는 저녁 기도인 ''베스퍼''가, 오후 9시에는 밤 기도인 ''컴플린''이 이어졌으며, 다시 잠자리에 들어 이 주기를 반복했다. 현대에는 이 시간표가 수도원 울타리 밖의 사도직 (예: 학교 또는 교구 운영)을 수용하기 위해 자주 변경된다.[11]
많은 베네딕토 수도원에는 기도에 참여하는 다수의 ''서원 수도자 (평신도)''가 있으며, 그들은 개인적인 상황과 이전의 약속이 허용하는 한, 성 베네딕토 규칙을 사생활에서 가능한 한 엄격히 따르겠다는 공식적인 개인 약속(보통 매년 갱신)을 했다.
최근 몇 년 동안 성 베네딕토 규칙의 원칙과 정신이 세속적인 작업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가끔 논의가 있었다. [12]
4. 2. 균형 잡힌 삶의 방식
성 베네딕토의 규칙은 수도 생활의 하루를 공동 및 개인 기도, 수면, 영적 독서, 육체 노동의 정기적인 시간으로 정리하여, "모든 [것]에서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도록"(ut in omnibus glorificetur Deusla) 하였다.(규칙 57.9장 참조)[11] 후대에 이르러 많은 베네딕토회 수도자들에게는 지적 작업과 가르침이 농업, 공예 또는 다른 형태의 육체 노동을 대체하였다.전통적으로 베네딕토회 수도자의 일상은 8개의 정시 기도와 관련되어 있었다. 수도 생활의 시간표 또는 시간표(호라리움)는 자정의 ''마티나''(오늘날에는 독서의 경이라고도 함)로 시작하여 오전 3시에 아침 경인 ''라우스''로 이어졌다. 이후 수도자들은 오전 6시에 ''프라임'' 경, 오전 9시에 ''테르체'' 경과 대미사, 정오에는 ''섹스트'' 경과 점심 식사를 하였다. 오후 3시의 ''논'' 경 후에는 해 질 녘까지 농사일과 가사일을 하였고, 오후 6시에는 저녁 기도인 ''베스퍼'', 오후 9시에는 밤 기도인 ''컴플린'' 후 잠자리에 들었다. 현대에는 이 시간표가 수도원 밖의 사도직 (예: 학교[12] 또는 교구 운영)을 수용하기 위해 자주 변경된다.
최근에는 성 베네딕토 규칙의 원칙과 정신이 세속적인 작업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13] "Ora et labora"(기도하고 일하라)라는 모토는 규칙에 명시적으로 언급되어 있지는 않지만, 규칙의 정신을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표현으로 널리 여겨진다.
4. 3. 세속 사회에의 적용
성 베네딕토 규칙의 원칙과 정신이 세속적인 작업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최근 몇 년 동안 있어 왔다.[12]"모든 것에서 하나님이 영광을 받으시도록"(규칙 57.9장 참조)이라는 정신에 따라, 성 베네딕토 규칙은 수도 생활의 하루를 공동 및 개인 기도, 수면, 영적 독서, 육체 노동의 시간으로 정리한다. 후대에 들어 많은 베네딕토회 수도자들에게 지적 작업과 가르침이 농업, 공예 또는 기타 형태의 육체 노동을 대체하기도 하였다.
샤를마뉴는 서유럽 전역의 수도사들이 표준으로 따르도록 장려하기 위해 베네딕도 규칙서를 필사하여 배포했다. 종교적 영향 외에도, 성 베네딕도 규칙서는 문서화된 헌법과 법치주의의 이상을 구현하여 중세 유럽을 형성하는 데 가장 중요한 저술 중 하나가 되었다. 또한 비민주적인 사회에서 일정 수준의 민주주의를 도입했으며, 수작업의 가치를 높였다.
5. 한국 사회와 성 베네딕토 규칙
주어진 결과물이 없습니다. 이전 단계에서 생성된 결과물을 제공해주시면, 지시사항에 따라 검토 및 수정하여 출력해드리겠습니다.
참조
[1]
서적
La Règle de Saint Benoît
Les Éditions du Cerf
[2]
간행물
Saint Benedict and the Twelfth-Century Reformation
[3]
문서
abbot
[4]
서적
The Western Experience
Knopf
[5]
웹사이트
OSB. About the Rule of Saint Benedict by Abbot Primate Jerome Theisen OSB.
http://www.osb.org/g[...]
2008-11-10
[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Rule of St. Benedict
http://www.newadvent[...]
2017-11-29
[7]
학술지
Understanding Decline and Renewal in the History of Life under Saint Benedict's Rule: Observations from Canada
https://search.lib.a[...]
2012
[8]
문서
The Old English Rule of Saint Benedict: with Related Old English Texts
Liturgical Press
[9]
간행물
Pseudo-Basil's ''De admonitio ad filium spiritualem'': A New English Translation
https://www.heroicag[...]
[10]
문서
Rule of St. Benedict
[11]
문서
Educational principles in the Rule of St. Benedict
St. John's Abbey
[12]
학술지
The rule of Saint Benedict and corporate management: Employing the whole person
[13]
웹사이트
Work Is Prayer: Not! by Terrence Kardong from ''Assumption Abbey Newsletter'' (Richardton, ND 58652). Volume 23, Number 4 (October 1995)
http://www.osb.org/g[...]
2010-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